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2022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2. 12. 2.
반응형

2022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

2022.12.02 통계청

첨부파일
2022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hwp
파일 다운로드

2022년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요약)

□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1% 하락, 전년동월대비 5.0% 상승
◦ 전월비는 전기·가스·수도, 서비스는 변동 없으며, 공업제품은 상승하였으나, 농축수산물이 하락하여 전체 0.1% 하락

◦ 전년동월비는 서비스, 공업제품, 전기·가스·수도, 농축수산물이 모두 상승하여 전체 5.0% 상승

□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4.8% 각각 상승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4.3% 각각 상승

□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3% 하락, 전년동월대비 5.5% 상승
전년동월대비 식품은 6.3%, 식품이외는 5.0% 각각 상승

□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8.0% 하락, 전년동월대비 0.8% 상승
전년동월대비 신선채소 2.8% 하락, 신선어개 6.8%, 신선과실 0.8% 각각 상승

< 주요부문 소비자물가지수 전년동월비 >
(%)

‘21.11월
12월
‘22.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총지수
3.8
3.7
3.6
3.7
4.1
4.8
5.4
6.0
6.3
5.7
5.6
5.7
5.0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
2.4
2.7
3.0
3.2
3.3
3.6
4.1
4.4
4.5
4.4
4.5
4.8
4.8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
1.9
2.2
2.6
2.9
2.9
3.1
3.4
3.9
3.9
4.0
4.1
4.2
4.3
생활물가지수
5.2
4.6
4.1
4.1
5.0
5.7
6.7
7.4
7.9
6.8
6.5
6.5
5.5
신선식품지수
5.6
6.7
6.0
-0.9
-2.2
1.0
2.5
5.4
13.0
14.9
12.8
11.4
0.8

 

 

2022년 11월 소비자물가 동향

 

1. 소비자물가지수 동향

 

 2022년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9.10(2020=100)으로 전월대비 0.1% 하락

 

 전년동월대비 5.0% 상승하여 전월 5.7%보다 0.7%p 축소

< 월별 소비자물가지수 동향 >

(2020=100, %)


‘21.11월
12월
‘22.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지 수
103.87
104.04
104.69
105.30
106.06
106.85
107.56
108.22
108.74
108.62
108.93
109.21
109.10
전 월 비
0.5
0.2
0.6
0.6
0.7
0.7
0.7
0.6
0.5
-0.1
0.3
0.3
-0.1
전년동월비
3.8
3.7
3.6
3.7
4.1
4.8
5.4
6.0
6.3
5.7
5.6
5.7
5.0
전년누계비
2.4
2.5
3.6
3.6
3.8
4.1
4.3
4.6
4.9
5.0
5.0
5.1
5.1

 

□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4.8% 각각 상승

 

< 월별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 동향 >

(2020=100, %)


‘21.11월
12월
‘22.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지 수
102.81
103.25
103.77
104.22
104.40
104.98
105.73
106.15
106.28
106.53
106.88
107.47
107.78
전 월 비
0.2
0.4
0.5
0.4
0.2
0.6
0.7
0.4
0.1
0.2
0.3
0.6
0.3
전년동월비
2.4
2.7
3.0
3.2
3.3
3.6
4.1
4.4
4.5
4.4
4.5
4.8
4.8
전년누계비
1.8
1.8
3.0
3.1
3.2
3.3
3.4
3.6
3.7
3.8
3.9
4.0
4.1

* 계절적인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의한 물가변동분을 제외한 기조적인 물가상승률로 전체 458개 품목 중 곡물 외의 농산물과 석유류 관련 품목을 제외한 401개 품목으로 작성

 

□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4.3% 각각 상승

 

< 월별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 동향 >

(2020=100, %)


‘21.11월
12월
‘22.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지 수
102.06
102.51
103.16
103.59
103.72
104.11
104.60
105.04
105.43
105.76
105.71
106.09
106.40
전 월 비
0.2
0.4
0.6
0.4
0.1
0.4
0.5
0.4
0.4
0.3
0.0
0.4
0.3
전년동월비
1.9
2.2
2.6
2.9
2.9
3.1
3.4
3.9
3.9
4.0
4.1
4.2
4.3
전년누계비
1.3
1.4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기조적인 물가상승률의 범위를 OECD 기준의 식료품과 에너지 관련 품목을 제외한 309개 품목으로 작성

 

□ 생활물가지수* 전월대비 0.3% 하락, 전년동월대비 5.5% 상승

 

◦ 식품은 전월대비 1.3% 하락, 전년동월대비 6.3% 상승

◦ 식품이외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5.0% 각각 상승

◦ 전월세포함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2% 하락, 전년동월대비 4.9% 상승

 

< 생활물가지수 동향 >

(2020=100, %)


품목수
가중치
2021년 11월
2022년 10월
2022년 11월
지수
전월비
전년
동월비
지수
전월비
전년
동월비
지수
전월비
전년
동월비
생활물가지수
144
529.4
105.08
0.6
5.2
111.16
0.1
6.5
110.83
-0.3
5.5
- 식품
84
203.7
106.53
0.6
5.7
114.68
-0.8
8.3
113.23
-1.3
6.3
- 식품이외
60
325.7
104.17
0.6
4.9
108.96
0.7
5.3
109.33
0.3
5.0
전월세포함
생활물가지수
146
627.7
104.62
0.6
4.7
109.98
0.1
5.7
109.73
-0.2
4.9

* 전체 458개 품목 중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으로 작성

 

□ 신선식품지수* 전월대비 8.0% 하락, 전년동월대비 0.8% 상승

 

◦ 신선어개는 전월대비 2.1%, 전년동월대비 6.8% 각각 상승

◦ 신선채소는 전월대비 13.7%, 전년동월대비 2.8% 각각 하락

◦ 신선과실은 전월대비 7.9% 하락, 전년동월대비 0.8% 상승

 

< 신선식품지수 동향 >

(2020=100, %)


품목수
가중치
2021년 11월
2022년 10월
2022년 11월
지수
전월비
전년
동월비
지수
전월비
전년
동월비
지수
전월비
전년
동월비
신선식품지수
55
42.2
105.50
1.7
5.6
115.60
-6.1
11.4
106.36
-8.0
0.8
- 신선어개
11
10.6
102.23
1.9
0.7
106.95
2.1
6.6
109.20
2.1
6.8
- 신선채소
26
16.8
107.00
8.0
8.2
120.56
-13.1
21.7
104.01
-13.7
-2.8
- 신선과실
18
14.8
106.15
-4.8
6.2
116.18
-2.0
4.2
106.99
-7.9
0.8

* 신선어개(생선・해산물), 신선채소, 신선과실 등 계절 및 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작성

 

□ 자가주거비포함지수* 전월대비 0.1% 하락, 전년동월대비 4.4% 상승

(2020=100, %)


품목수
가중치
2021년 11월
2022년 10월
2022년 11월
지수
전월비
전년
동월비
지수
전월비
전년
동월비
지수
전월비
전년
동월비
자가주거비포함지수
459
1248.3
103.53
0.4
3.4
108.10
0.2
4.9
108.04
-0.1
4.4
- 자가주거비
1
248.3
102.18
0.2
1.9
103.65
0.1
1.7
103.77
0.1
1.6

* 자신의 소유주택을 주거 목적으로 사용하여 얻는 서비스에 대해 지불한 비용(자가주거비)을 포함하여 작성

2. 소비자물가지수 부문별 동향

 

□ 지출목적별 동향

 

◦ 전월대비 전월대비 의류·신발(3.3%), 음식·숙박(0.2%), 교통(0.2%), 기타 상품·서비스(0.4%), 가정용품·가사서비스(0.3%)는 상승, 주류·담배, 보건, 통신, 오락·문화, 교육은 변동 없으며, 주택·수도·전기·연료(-0.1%), 식료품·비주류음료(-2.1%)는 하락

 

◦ 전년동월대비 주택·수도·전기·연료(7.3%), 음식·숙박(8.6%), 식료품·비주류음료(4.8%), 기타 상품·서비스(8.6%), 교통(3.6%), 의류·신발(5.5%), 가정용품·가사서비스(4.8%), 오락·문화(3.7%), 보건(1.4%), 교육(1.5%), 통신(1.1%), 주류·담배(2.5%)가 모두 상승

 

< 지출목적별 등락률 및 기여도 >

 

(2020=100, %, %p)

지출목적별 부문
품목수
가중치
지수
등락률
기여도
전월비
전년동월비
전월비
전년동월비
< 총 지 수 >
458
1,000.0
109.10
-0.1
5.0
-0.10
5.04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140
154.5
112.41
-2.1
4.8
-0.33
0.77
주류 및 담배
7
16.5
103.04
0.0
2.5
0.00
0.04
의류 및 신발
25
48.6
107.33
3.3
5.5
0.15
0.26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
15
171.6
110.65
-0.1
7.3
-0.01
1.25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
50
53.9
108.41
0.3
4.8
0.02
0.26
보 건
34
87.2
101.12
0.0
1.4
0.00
0.12
교 통
33
106.0
115.44
0.2
3.6
0.03
0.40
통 신
6
48.4
100.68
0.0
1.1
0.00
0.05
오락 및 문화
47
57.5
104.13
0.0
3.7
0.00
0.21
교 육
20
70.3
102.54
0.0
1.5
0.00
0.10
음식 및 숙박
44
131.3
113.22
0.2
8.6
0.03
1.13
기타상품 및 서비스
37
54.2
110.60
0.4
8.6
0.02
0.46

 

 

 

□ 품목성질별 동향

 

 상품은 전월대비 0.2% 하락, 전년동월대비 6.1% 상승

- 농축수산물은 전월대비 4.3% 하락, 전년동월대비 0.3% 상승

- 공업제품은 전월대비 0.8%, 전년동월대비 5.9% 각각 상승

- 전기‧가스‧수도는 전월대비 변동 없으며, 전년동월대비 23.1% 상승

 

 서비스는 전월대비 변동 없으며, 전년동월대비 4.1% 상승

- 집세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1.6% 각각 상승

- 공공서비스는 전월대비 변동 없으며, 전년동월대비 0.8% 상승

- 개인서비스는 전월대비 변동 없으며, 전년동월대비 6.2% 상승

 

< 품목성질별 등락률 및 기여도 >

(2020=100, %, %p)


품목수
가중치
지수
등락률
기여도
전월비
전년동월비
전월비
전년동월비
< 총 지 수 >
458
1000.0
109.10
-0.1
5.0
-0.10
5.04
- 상 품
310
466.6
111.73
-0.2
6.1
-0.11
2.87
농축수산물
78
83.8
109.78
-4.3
0.3
-0.38
0.03
(농산물)1)
57
43.8
104.71
-7.7
-2.0
-0.35
-0.09
(채소류)
27
16.9
104.11
-13.7
-2.7
-0.25
-0.05
(축산물)
6
27.6
118.24
-1.6
1.1
-0.05
0.03
(수산물)
15
12.4
108.86
1.9
6.8
0.02
0.08
공업제품1)
228
348.4
110.99
0.8
5.9
0.27
2.08
(가공식품)
73
86.8
113.71
0.5
9.4
0.04
0.81
(석유류)
6
39.4
135.83
0.3
5.6
0.02
0.27
전기‧가스‧수도
4
34.4
123.94
0.0
23.1
0.00
0.77
- 서 비 스
148
533.4
106.79
0.0
4.1
0.00
2.16
집세
2
98.3
103.77
0.1
1.6
0.01
0.15
공공서비스
30
127.3
101.72
0.0
0.8
0.00
0.10
개인서비스
116
307.8
109.86
0.0
6.2
-0.01
1.91
(외식)
39
126.7
113.48
0.3
8.6
0.04
1.10
(외식외)
77
181.1
107.33
-0.2
4.5
-0.04
0.81

주1) 농산물은 하위 4개 분류 중 채소류만 수록하였고, 공업제품은 하위 8개 분류 중 가공식품, 석유류만 수록

 

 

< 주요 등락품목 >

 

(%)


전월대비
전년동월대비
농축
수산물
쌀(5.6), 굴(13.1), 오징어(5.9), 고등어(2.3),
닭고기(2.5), 부추(17.7), 달걀(0.7)
돼지고기(2.6), 양파(27.5), 무(36.5), 고등어(8.3),
감자(28.6), 닭고기(10.2), 오징어(15.2)
배추(-45.9), 귤(-20.5), 돼지고기(-3.6), 무(-34.7),
토마토(-14.6), 파프리카(-28.7), 오이(-24.3)
쌀(-10.0), 오이(-35.3), 상추(-34.3), 호박(-34.9),
국산쇠고기(-2.4), 사과(-8.0), 고구마(-13.5)
공업제품
경유(2.3), 유아동복(7.9), 티셔츠(5.2), 점퍼(5.3),
여자하의(7.4), 운동화(4.2), 여자외의(2.7)
경유(19.6), 등유(48.9), 기능성화장품(30.7),
빵(15.8), 다목적승용차(5.5), 스낵과자(14.5)
휘발유(-0.9), 프라이팬(-13.1), 자동차용LPG(-1.7),
냄비(-7.4), 밀폐용기(-4.1), 수입승용차(-0.4)
휘발유(-6.8), 컴퓨터(-6.5), 자동차용LPG(-3.2),
소형주방가전(-7.5), 조제약(-1.3), 병원약품(-1.8)
전기·가스·수도

도시가스(36.2), 전기료(18.6), 지역난방비(34.0)


서비스
집세
전세(0.1), 월세(0.1)
전세(2.2), 월세(0.8)
공공
서비스
시외버스료(5.0), 정화조청소료(0.1)
외래진료비(2.3), 국제항공료(14.1)
국제항공료(-3.2)
유치원납입금(-19.1), 사립대학교납입금(-0.8)
개인
서비스
생선회(외식)(1.1), 피자(1.6),
구내식당식사비(0.5), 돼지갈비(외식)(0.7)
보험서비스료(14.9), 공동주택관리비(5.3),
생선회(외식)(9.0), 구내식당식사비(5.5)
햄버거(-6.2), 공동주택관리비(-1.0),
국내단체여행비(-9.0), 승용차임차료(-2.9)
병원검사료(-19.5), 취업학원비(-5.6),
자동차보험료(-1.3), 공연예술관람료(-0.8)

3. 소비자물가지수 지역별 동향

 

□ 지역별 소비자물가 동향

 

◦ 전월대비 인천, 광주, 경기는 변동 없으며, 서울, 부산, 대구, 대전 등 9개 지역은 0.1%, 울산, 세종은 0.2%, 충북, 충남은 0.3%, 제주는 0.4% 각각 하락

 

◦ 전년동월대비 경북은 5.7%, 강원, 충북은 5.6%, 충남은 5.5%, 세종은 5.4%, 전남, 제주는 5.3%, 대구, 전북, 경남은 5.2%, 인천은 5.1, 광주는 5.0%, 부산, 대전, 울산, 경기는 4.9%, 서울은 4.7% 각각 상승

 

< 지역별 소비자물가 등락률 >

(2020=100, %)

 
지 수
등 락 률
 
지 수
등 락 률
전월비
전년동월비
전월비
전년동월비
전 국
109.10
-0.1
5.0
경 기
109.10
0.0
4.9
서 울
108.03
-0.1
4.7
강 원
110.43
-0.1
5.6
부 산
108.74
-0.1
4.9
충 북
109.96
-0.3
5.6
대 구
109.51
-0.1
5.2
충 남
110.13
-0.3
5.5
인 천
109.40
0.0
5.1
전 북
109.50
-0.1
5.2
광 주
109.19
0.0
5.0
전 남
109.79
-0.1
5.3
대 전
108.82
-0.1
4.9
경 북
110.28
-0.1
5.7
울 산
108.97
-0.2
4.9
경 남
109.27
-0.1
5.2
세 종
109.59
-0.2
5.4
제 주
109.97
-0.4
5.3

 

□ 지역별 공공 및 개인서비스 동향

 

 공공서비스 부문을 전월대비로 보면 서울, 부산 등 17개 모든 지역은 변동 없음

 

- 전년동월대비로는 세종은 2.2%, 충북은 1.4%, 강원은 1.3%, 서울, 부산 등 12개 지역은 0.5~1.2%, 인천은 0.1% 각각 상승, 충남은 0.5% 하락

 

 개인서비스 부문을 전월대비로 보면 세종, 강원은 0.2%, 부산, 경기, 경북은 0.1% 각각 상승, 대구, 충남, 전북은 변동 없으며, 서울, 충북, 전남, 경남, 제주는 0.1%, 인천, 광주, 대전은 0.2%, 울산은 0.3% 각각 하락

 

- 전년동월대비로는 제주는 7.6%, 충북은 6.7%, 대구, 인천, 강원, 경북은 6.5%, 서울, 대전, 충남, 전남은 6.3%, 경기는 6.2%, 세종은 6.0%, 부산, 전북은 5.9%, 경남은 5.8%, 광주는 5.7%, 울산은 5.4% 각각 상승

 

< 지역별 공공 및 개인서비스 등락률 >

 

(%)


전월대비
전년동월대비
공 공
서비스
개 인
서비스


공 공
서비스
개 인
서비스


외식
외식제외 개인
외식
외식제외 개인
전 국
0.0
0.0
0.3
-0.2
0.8
6.2
8.6
4.5
서 울
0.0
-0.1
0.2
-0.3
0.8
6.3
8.6
4.7
부 산
0.0
0.1
0.7
-0.4
0.9
5.9
8.9
3.5
대 구
0.0
0.0
0.2
-0.2
0.7
6.5
8.9
4.7
인 천
0.0
-0.2
-0.1
-0.2
0.1
6.5
8.5
5.0
광 주
0.0
-0.2
0.1
-0.4
0.7
5.7
7.7
4.3
대 전
0.0
-0.2
0.3
-0.5
0.6
6.3
8.4
4.8
울 산
0.0
-0.3
-0.2
-0.4
1.0
5.4
7.8
3.6
세 종
0.0
0.2
-0.1
0.4
2.2
6.0
8.2
4.6
경 기
0.0
0.1
0.4
-0.1
0.9
6.2
8.8
4.5
강 원
0.0
0.2
0.6
-0.2
1.3
6.5
9.0
4.9
충 북
0.0
-0.1
0.1
-0.2
1.4
6.7
8.3
5.4
충 남
0.0
0.0
0.1
-0.1
-0.5
6.3
8.0
5.1
전 북
0.0
0.0
0.5
-0.3
1.1
5.9
8.5
4.2
전 남
0.0
-0.1
-0.1
-0.2
0.7
6.3
9.0
4.4
경 북
0.0
0.1
0.4
-0.1
0.5
6.5
9.0
4.7
경 남
0.0
-0.1
0.2
-0.3
0.9
5.8
8.3
3.9
제 주
0.0
-0.1
0.1
-0.3
1.2
7.6
8.7
6.8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