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1분기 승용차 교역 현황
2023.04.28 관세청
’23년 1분기 승용차 교역 현황
|
- ’22.3분기부터 매 분기 역대 최대 수출 기록 경신
|
< 요 약 >
○ ’23년 1분기 승용차(중고차 제외) 교역 현황을 보면,
- (수출) 154억 달러역대 최대, 전년동기대비 +41.1% 증가
- (수입) 37억 달러, 전년동기대비 +24.6% 증가

○ 친환경 승용차 이전 기록(’22.4분기) 훌쩍 넘어 최대 수출 달성
- (수출) 60억 달러(전년동기대비 +68.4%, 비중 39.2)수출액·비중 역대 최대,
’22년 1분기 북미 전체 승용차 수출(54억 달러) 상회하는 규모
- (수입) 18억 달러(전년동기대비 +34.3%, 비중 48.3)

’23년 1분기 승용차 교역현황
|
*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에 따른 구분으로, 신차만 집계함
[총괄]
□ (금액) ’23.1분기 승용차 수출액은 154억 달러(전년동기대비 +41.1%)로 증가하며 역대 최대 실적 재차 경신, 수입액은 37억 달러로(+24.6%) 증가
ㅇ (대수) 수출대수는 68만 대로(전년동기대비 +31.1%) 증가,
수입대수는 8만 대로(+14.2%) 증가
* 수출액(억 달러) : (’22.1분기) 109.3 → (2분기) 113.5 → (3분기) 126.3 → (4분기) 140.9 → (’23.1분기) 154.2
[수출]
□ (국가별) 주요 수출 대상국(금액기준)은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 순으로
ㅇ 미국(+51.5%)·캐나다(+55.3%)·호주(+16.6%)·영국(+3.4%)·독일(+86.9%)·이스라엘(+48.9%)·사우디아라비아(+84.9%) 등은 전년동기대비 증가
ㅇ 베트남(△16.3%)·칠레(△39.3%)·남아공(△31.3%) 등은 전년동기대비 감소
□ (종류별) 친환경 승용차 수출액은 60억 달러(전년동기대비 +68.4%)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수출액, 수량, 비중) 달성
ㅇ 차량용 반도체 수급 정상화, 친환경차 수요 확대로 꾸준한 성장세
* 친환경차 수출액(억달러) : (’22.1Q) 35.9 → (2Q) 36.9 → (3Q) 40.5 → (4Q) 46.1 → (’23.1Q) 60.4
* 친환경차 수출 수량(만대) : (’22.1Q) 12.3 → (2Q) 13.2 → (3Q) 14.8 → (4Q) 15.7 → (’23.1Q) 19.1
* 친환경차 수출 비중(%) : (’22.1Q) 32.8 → (2Q) 32.5 → (3Q) 32.1 → (4Q) 32.8 → (’23.1Q) 39.2
* 하이브리드(18.8억 달러, 비중 12.2%), 플러그인하이브리드(5.7, 3.7%), 전기차(35.9, 23.3%)
ㅇ 미국(+83.1%)·독일(+90.4%)·캐나다(+136.4%)·프랑스(+42.1%)·이스라엘(+104.9%) ·스웨덴(+21.4%) 등으로 수출액 전년동기대비 증가
[수입]
□ (국가별) 주요 수입 대상국(금액기준)은 독일, 미국, 영국 순으로
ㅇ 독일(+10.6%)·미국(+17.7%)·영국(+107.3%)·슬로바키아(+65.8%) 등은 전년동기대비 증가, 중국(△30.2%)·캐나다(△7.9%) 등은 감소
□ (종류별) 친환경차(전년동기대비 +34.3%), 중형차(+22.0%) 위주로 증가
* 친환경차(수입비중 48.3%), 중형차(23.3%)
ㅇ 1분기 친환경차 수입액은 18.1억 달러*(+34.3%), 수입비중은 48.3%**를 기록하며 전체 승용차 수입 증가를 주도
* 하이브리드(12.8억 달러, 비중 34.0%), 플러그인하이브리드(1.2, 3.2%), 전기차(4.2, 11.1%)
** (’21.4분기) 44.5 → (’22.1분기) 44.8 → (2분기) 46.9 → (3분기) 51.1 → (4분기) 45.3 → (’23.1분기) 48.3
[수출입 단가]
□ (수출) 승용차 수출 평균단가(대당)는 22,578 달러(전년동기대비 +7.6%)로 상승, 수입 평균단가는 48,924 달러(+9.2%)로 상승
ㅇ 친환경차 수출단가*는 역대 최대인 31,590 달러(+8.5%)로 상승
* 하이브리드(23,639 달러, +7.1%), 플러그인하이브리드(32,486 달러, +13.8%), 전기차(38,160 달러, +2.6%)
ㅇ 더불어, 중형 휘발유차량 17,055 달러(+3.3%) 및 대형 휘발유차량이 29,599 달러(+3.8%)로 상승하며 전체 수출단가 상승에 영향
□ (수입) 친환경 차량 51,660 달러(전년동기대비 +3.1%)로 상승, 중형 휘발유차량 36,319 달러(+17.2%) 및 대형 휘발유차량 74,621 달러(+23.8%) 등도 동시에 상승하며 전체 승용차 수입 단가 상승
□ 세부내역 : 붙임
※ 신고수리일 기준 확정치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4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음.
붙임1
|
|
’23년 1분기 승용차 교역현황
|
1
|
|
총 괄
|
□ (무역규모) 수출액 41.1%↑, 수입액 24.6%↑(전년 동기 대비)
○ 수출은 154억 달러(68만 대), 수입은 37억 달러(8만 대)

□ (평균단가) 수출은 22,578달러(7.6%↑), 수입은 48,924달러(9.2%↑)
○ 수출단가 : (‘22. 1/4) 20,980달러 → (2/4) 20,807달러 → (3/4) 21,273달러 → (4/4) 21,827달러 → (’23.1/4) 22,578달러
○ 수입단가 : (‘22. 1/4) 44,817달러 → (2/4) 43,084달러 → (3/4) 43,260달러 → (4/4) 41,790달러 → (’23.1/4) 48,924달러
○ 수입단가 대비 수출단가는 ’23년 1/4분기에 46.1%로 전년 동기 수출단가(46.8%) 수준보다 0.7%p 하락

□ (국가별) 최대 수출 대상국은 미국으로 휘발유, 친환경 차량이 인기, 수입은 독일 차량을 선호
○ 수 출
- 휘발유, 친환경 차량은 미국 수출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경유 차량은 호주가 강세
- 배기량별 미국 수출비중은 대형 휘발유차(59.6%), 소형 휘발유차(61.5%), 중형 휘발유차(48.9%), 친환경차(41.0%) 순임
○ 수 입
- 중형, 대형 휘발유, 친환경 차량에서는 독일차량 선호가 높으며, 대형 경유 차량은 미국, 소형차량은 네덜란드, 프랑스를 선호
- 전체 승용차 수입 중 독일 비중은 43.8%, 미국은 20.7%를 기록
<표1> 배기량별 최대교역대상국 (금액 기준)
(단위 : 백만 달러, %)
구 분
|
배기량
|
수 출
|
수 입
|
|||
수출 금액
및 비중* *
|
주요국(비중)
|
수입 금액
및 비중
|
주요국(비중)
|
|||
경 차
|
1,000cc이하
|
휘발유
|
600
(3.9)
|
스페인(12.4)
|
-
|
-
|
소 형
|
1,000cc초과 1,500cc이하
|
휘발유
|
2,048
(13.3)
|
미 국(61.5)
|
48
(1.3)
|
네덜란드(32.6)
|
1,500cc이하
|
경 유
|
-
|
-
|
4
(0.1)
|
프랑스(60.1)
|
|
중 형
|
1,500cc초과 2,000cc이하
|
휘발유
|
3,241
(21.0)
|
미 국(48.9)
|
689
(18.4)
|
독 일(48.8)
|
경 유
|
202
(1.3)
|
호 주(50.0)
|
184
(4.9)
|
독 일(67.3)
|
||
대 형
|
2,000cc초과
|
휘발유
|
2,864
(18.6)
|
미 국(59.6)
|
845
(22.5)
|
독 일(29.5)
|
경 유
|
426
(2.8)
|
호 주(29.3)
|
165
(4.4)
|
미 국(73.0)
|
||
친환경 승용차*
|
6,041
(39.2)
|
미 국(41.0)
|
1,812
(48.3)
|
독 일(50.2)
|
||
* 친환경 승용차 :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 전체 수출 또는 수입에서 해당용량의 금액 및 비율(%)
※ 수출 소형 경유, 수입 경차 등 극히 소량인 경우 별도표기하지 않았으나, 합계에는 포함됨
|
2
|
|
배기량별 수출입 현황
|
[수 출]
□ 수출은 주력 품목인 중형 휘발유차량, 대형, 친환경차 판매 호조로 증가 지속
○ (친환경차) 친환경차는 전년 동기 대비 68.4% 증가
○ (1,000cc이하) 경차는 전년 동기 대비 29.7% 증가
○ (1,000∼1,500cc) 휘발유차량은 전년 동기 대비 48.3% 증가
○ (1,500∼2,000cc) 휘발유차량은 24.2% 증가, 경유차량은 30.2% 감소
○ (2,000cc 초과) 휘발유차량은 31.6% 증가, 경유차량은 1.0% 증가
<표2> 배기량별 승용차 수출액
(단위 : 백만 달러, %)
|
|||||||
연도
배기량별
|
’22.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23.1분기
|
||
경 차
|
1,000cc 이하
|
휘발유
|
463
(△21.0)
|
409
(△13.4)
|
429
(7.6)
|
456
(△3.9)
|
600
(29.7)
|
소 형
|
1,000cc 초과
1,500cc 이하
|
휘발유
|
1,382
(△14.4)
|
1,401
(8.4)
|
1,566
(46.6)
|
1,869
(100.4)
|
2,048
(48.3)
|
중 대 형
|
1,500cc 초과
2,000cc 이하
|
휘발유
|
2,610
(△10.4)
|
2,733
(8.8)
|
3,230
(33.3)
|
3,349
(23.3)
|
3,241
(24.2)
|
경 유
|
289
(23.6)
|
340
(27.3)
|
284
(14.7)
|
305
(1.2)
|
202
(△30.2)
|
||
2,000cc 초과
|
휘발유
|
2,176
(△24.2)
|
2,344
(△26.5)
|
2,738
(15.3)
|
2,999
(10.4)
|
2,864
(31.6)
|
|
경 유
|
422
(17.3)
|
433
(42.0)
|
333
(△5.6)
|
496
(25.8)
|
426
(1.0)
|
||
친환경 승용차*
|
3,587
(48.3)
|
3,695
(36.9)
|
4,049
(42.4)
|
4,614
(25.7)
|
6,041
(68.4)
|
||
합계
|
10,927
(△0.6)
|
11,355
(5.8)
|
12,630
(30.1)
|
14,088
(25.7)
|
15,421
(41.1)
|
||
* 친환경 승용차 :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 수출 소형 경유 등 극히 소량인 경우 별도표기하지 않았으나, 합계에는 포함됨
|
[수 입]
□ 친환경차, 중형, 대형 휘발유 차량을 중심으로 수입 증가 지속
○ (친환경차) 전년 동기 대비 34.3% 증가
○ (소형차) 휘발유 차량은 전년 동기 대비 37.4% 증가, 경유차량은 전년 동기 대비 236.0% 증가
○ (중․대형차) 중형, 대형 휘발유 차량 증가 지속
- 1,500∼2,000cc 휘발유차량은 전년동기대비 전분기(68.7%)에 이어 26.4% 증가, 경유 차량은 7.8% 증가
- 2,000cc 초과 휘발유차량은 28.7% 증가 지속, 경유차량은 전분기 증가(31.4%)에서 △33.6% 감소 전환
<표3> 배기량별 승용차 수입액
(단위 : 백만 달러, %)
|
|||||||
연도
배기량별
|
’22.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23.1분기
|
||
소 형
|
1,000cc 초과
1,500cc 이하
|
휘발유
|
35
(△36.6)
|
73
(3.9)
|
47
(△37.3)
|
74
(39.2)
|
48
(37.4)
|
1,500cc 이하
|
경 유
|
1
(△85.9)
|
7
(△43.2)
|
3
(△32.6)
|
8
(△27.9)
|
4
(236.0)
|
|
중 대 형
|
1,500cc 초과
2,000cc 이하
|
휘발유
|
545
(△25.3)
|
624
(△17.2)
|
592
(△5.7)
|
999
(68.7)
|
689
(26.4)
|
경 유
|
171
(39.7)
|
162
(38.3)
|
147
(△21.6)
|
216
(63.6)
|
184
(7.8)
|
||
2,000cc 초과
|
휘발유
|
657
(△17.7)
|
755
(△12.3)
|
790
(24.8)
|
758
(4.1)
|
845
(28.7)
|
|
경 유
|
248
(88.3)
|
206
(△21.0)
|
128
(120.3)
|
155
(31.4)
|
165
(△33.6)
|
||
친환경 승용차*
|
1,349
(30.8)
|
1,615
(△18.2)
|
1,791
(29.3)
|
1,832
(39.4)
|
1,812
(34.3)
|
||
합계
|
3,008
(4.6)
|
3,445
(△15.0)
|
3,501
(17.7)
|
4,045
(37.0)
|
3,749
(24.6)
|
||
* 친환경 승용차 :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
3
|
|
배기량별 가격 현황
|
[수출단가]
□ 수출 주력 품목인 친환경차, 중대형 휘발유 차량 등을 중심으로 수출단가 상승
○ 1,000cc 이하 경차는 12,361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2% 상승
○ 1,000∼1,500cc 휘발유차량은 전년 동기 대비 7.4% 상승
○ 중형 경유 차량을 제외한, 중형, 대형 차량 수출단가 상승
- 1,500∼2,000cc 휘발유차량은 전분기(4.5%)에 이어 상승(3.3%) 지속, 경유차량은 △0.2% 하락 전환
- 2,000cc 초과 휘발유차량은 29,599달러(3.8%), 경유차량은 30,107달러(6.8%)
○ 친환경차는 최초 3만달러 돌파, 31,590달러로 8.5% 상승률을 기록
<표4> 배기량별 평균 수출단가
(단위 : 달러/대, %)
|
|||||||
연도
배기량별
|
’22.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23.1분기
|
||
경 차
|
1,000cc 이하
|
휘발유
|
11,754
(△12.4)
|
11,473
(△7.4)
|
11,209
(△8.7)
|
11,335
(△5.5)
|
12,361
(5.2)
|
소 형
|
1,000cc 초과
1,500cc 이하
|
휘발유
|
14,210
(△3.2)
|
14,420
(△0.4)
|
14,850
(1.7)
|
15,640
(13.9)
|
15,266
(7.4)
|
중 대 형
|
1,500cc 초과
2,000cc 이하
|
휘발유
|
16,504
(7.9)
|
16,473
(4.5)
|
17,561
(10.9)
|
17,126
(4.5)
|
17,055
(3.3)
|
경 유
|
24,747
(0.3)
|
23,797
(△3.2)
|
24,982
(7.1)
|
25,093
(5.7)
|
24,689
(△0.2)
|
||
2,000cc 초과
|
휘발유
|
28,527
(12.7)
|
27,388
(8.6)
|
28,817
(8.4)
|
28,888
(8.9)
|
29,599
(3.8)
|
|
경 유
|
28,189
(10.7)
|
28,999
(△0.8)
|
28,028
(△3.7)
|
28,762
(2.5)
|
30,107
(6.8)
|
||
친환경 승용차*
|
29,107
(4.6)
|
27,949
(△2.1)
|
27,402
(△6.2)
|
29,398
(2.3)
|
31,590
(8.5)
|
||
합계
|
20,980
(8.4)
|
20,807
(2.5)
|
21,273
(2.6)
|
21,827
(3.3)
|
22,578
(7.6)
|
||
* 친환경 승용차 :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 수출 소형 경유 등 극히 소량인 경우 별도표기하지 않았으나, 합계에는 포함됨
|
[수입단가]
□ 수입은 친환경차, 중대형 휘발유 차량을 중심으로 수입단가 상승 전환
○ 소형 휘발유차량(1,000∼1,500cc)은 전년 동기 대비 3.6% 하락, 소형 경유차량(1,500cc이하)은 전년 동기 대비 8.8% 하락
- 1,000∼1,500cc 휘발유 : ’22년 1분기, 22,260달러 → ’23년 1분기, 21,466달러
- 1,500cc이하 경유 : ’22년 1분기, 21,612달러 → ’23년 1분기, 19,700달러
○ 대형 경유 차량 하락, 수입 중대형 차량은 수입단가 상승
- 1,500∼2,000cc 휘발유차량은 17.2% 상승, 경유차는 13.8% 상승
- 2,000cc초과 휘발유차량 23.8% 상승, 경유차는 24.3% 하락
○ 친환경차는 역대 최대 51,660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1% 상승
<표5> 배기량별 평균 수입단가
(단위 : 달러/대, %)
|
|||||||
연도
배기량별
|
’22.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23.1분기
|
||
소 형
|
1,000cc 초과
1,500cc 이하
|
휘발유
|
22,260
(12.5)
|
18,884
(△9.0)
|
20,463
(3.5)
|
18,870
(△3.0)
|
21,466
(△3.6)
|
1,500cc 이하
|
경 유
|
21,612
(△3.2)
|
20,547
(△20.1)
|
18,393
(△19.7)
|
19,511
(△20.5)
|
19,700
(△8.8)
|
|
중 대 형
|
1,500cc 초과
2,000cc 이하
|
휘발유
|
31,000
(△1.7)
|
32,619
(1.6)
|
31,813
(4.4)
|
32,104
(9.1)
|
36,319
(17.2)
|
경 유
|
30,225
(△14.3)
|
29,673
(△21.2)
|
29,833
(△7.1)
|
27,553
(△14.5)
|
34,383
(13.8)
|
||
2,000cc 초과
|
휘발유
|
60,280
(9.9)
|
57,956
(△5.4)
|
62,424
(13.5)
|
63,804
(24.3)
|
74,621
(23.8)
|
|
경 유
|
81,340
(5.5)
|
69,642
(△17.6)
|
72,847
(△2.6)
|
73,566
(△5.8)
|
61,561
(△24.3)
|
||
친환경 승용차*
|
50,086
(11.4)
|
47,713
(△6.1)
|
45,473
(△8.3)
|
47,272
(△6.6)
|
51,660
(3.1)
|
||
합계
|
44,817
(8.0)
|
43,084
(△7.3)
|
43,260
(4.4)
|
41,790
(△0.6)
|
48,924
(9.2)
|
||
* 친환경 승용차 :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
4
|
|
교역 대상국별 현황
|
[수출 대상국]
□ 미국은 휘발유, 친환경 차량, 호주는 경유차량 수출 호조
○ 1,000cc이하 경차 수출은 스페인(비중 12.4%)․영국(12.3%)․프랑스(11.6%) 순
○ 1,000∼1,500cc 소형 휘발유차량은 미국(비중 61.5%) 수출이 가장 크고, 캐나다(5.0%), 이스라엘(4.5%) 순
○ 중·대형급 휘발유차는 미국, 경유차는 호주가 최대
- 1,500~2,000cc 휘발유차는 미국(비중 48.9%), 경유차는 호주(50.0%)가 최대
- 2,000cc초과 휘발유차는 미국(비중 59.6%), 경유차는 호주(29.3%)가 최대
○ 친환경 승용차는 미국(비중 41.0%)·영국(8.8%)·독일(8.1%) 순
<표6> 1분기 배기량별 주요 수출 대상국
(단위 : 백만 달러, %)
|
||||||||
배기량별 순위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경 차
|
1,000cc이하
|
휘발유
|
국가
|
스페인
|
영국
|
프랑스
|
이탈리아
|
독일
|
금액
|
74
|
74
|
69
|
63
|
53
|
|||
비중
|
12.4
|
12.3
|
11.6
|
10.5
|
8.8
|
|||
소 형
|
1,000cc초과-1,500cc이하
|
휘발유
|
국가
|
미국
|
캐나다
|
이스라엘
|
프랑스
|
영국
|
금액
|
1,259
|
102
|
92
|
72
|
65
|
|||
비중
|
61.5
|
5.0
|
4.5
|
3.5
|
3.2
|
|||
중대형
|
1,500cc 초과
2,000cc 이하
|
휘발유
|
국가
|
미국
|
캐나다
|
호주
|
사우디
|
멕시코
|
금액
|
1,586
|
424
|
342
|
171
|
85
|
|||
비중
|
48.9
|
13.1
|
10.5
|
5.3
|
2.6
|
|||
경 유
|
국가
|
호주
|
독일
|
남아공
|
벨기에
|
슬로베니아
|
||
금액
|
101
|
16
|
9
|
6
|
6
|
|||
비중
|
50.0
|
7.8
|
4.6
|
3.1
|
2.9
|
|||
2,000cc 초과
|
휘발유
|
국가
|
미국
|
캐나다
|
사우디
|
호주
|
카자흐스탄
|
|
금액
|
1,707
|
292
|
199
|
112
|
100
|
|||
비중
|
59.6
|
10.2
|
7.0
|
3.9
|
3.5
|
|||
경 유
|
국가
|
호주
|
대만
|
인도네시아
|
독일
|
베트남
|
||
금액
|
125
|
43
|
36
|
33
|
19
|
|||
비중
|
29.3
|
10.1
|
8.5
|
7.7
|
4.5
|
|||
친환경 승용차*
|
국가
|
미국
|
영국
|
독일
|
캐나다
|
프랑스
|
||
금액
|
2,478
|
533
|
489
|
408
|
303
|
|||
비중
|
41.0
|
8.8
|
8.1
|
6.7
|
5.0
|
|||
* 친환경 승용차 :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
[수입 대상국]
□ 중형, 친환경 차량은 독일, 대형 차량은 미국을 중심으로 수입
○ 소형 휘발유차량(1,000~1,500cc)은 네덜란드 32.6%, 소형 경유차(1,500cc 이하)는 프랑스 비중이 60.1% 차지
○ 중형 승용차 수입에서 독일은 52.7%의 높은 비중 차지
- 독일 중형(1,500~2,000cc) 수입비중은 휘발유차 48.8%, 경유차 67.3%
○ 대형 차량에서는 미국, 독일 차량 수입이 최대
- 2,000cc초과 휘발유차량은 독일(비중 29.5%), 미국(28.3%) 순이며, 경유차는 미국(73.0%), 독일(15.3%) 순
○ 친환경 차량 수입 비중은 독일 차량이 50.2%로 높은 수준
<표7> 1분기 배기량별 주요 수입 대상국
(단위 : 만 달러, %)
|
||||||||
순위
배기량별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소 형
|
1,000cc초과
1,500cc이하
|
휘발유
|
국가
|
네덜란드
|
이탈리아
|
영국
|
멕시코
|
미국
|
금액
|
1,569
|
1,105
|
1,053
|
391
|
299
|
|||
비중
|
32.6
|
23.0
|
21.9
|
8.1
|
6.2
|
|||
1,500cc이하
|
경 유
|
국가
|
프랑스
|
스페인
|
인도
|
-
|
-
|
|
금액
|
223
|
138
|
9
|
-
|
-
|
|||
비중
|
60.1
|
37.4
|
2.5
|
-
|
-
|
|||
중대형
|
1,500cc 초과
2,000cc 이하
|
휘발유
|
국가
|
독일
|
오스트리아
|
미국
|
멕시코
|
헝가리
|
금액
|
33,596
|
14,417
|
11,739
|
3,246
|
2,179
|
|||
비중
|
48.8
|
20.9
|
17.0
|
4.7
|
3.2
|
|||
경 유
|
국가
|
독일
|
오스트리아
|
멕시코
|
미국
|
헝가리
|
||
금액
|
12,415
|
1,956
|
1,684
|
1,299
|
1,057
|
|||
비중
|
67.3
|
10.6
|
9.1
|
7.0
|
5.7
|
|||
2,000cc 초과
|
휘발유
|
국가
|
독일
|
미국
|
영국
|
슬로바키아
|
이탈리아
|
|
금액
|
24,901
|
23,913
|
16,252
|
12,609
|
3,915
|
|||
비중
|
29.5
|
28.3
|
19.2
|
14.9
|
4.6
|
|||
경 유
|
국가
|
미국
|
독일
|
슬로바키아
|
이탈리아
|
호주
|
||
금액
|
12,017
|
2,526
|
1,719
|
196
|
3
|
|||
비중
|
73.0
|
15.3
|
10.4
|
1.2
|
0.02
|
|||
친환경 승용차*
|
국가
|
독일
|
미국
|
일본
|
스웨덴
|
슬로바키아
|
||
금액
|
90,893
|
28,153
|
18,061
|
9,963
|
8,571
|
|||
비중
|
50.2
|
15.5
|
10.0
|
5.5
|
4.7
|
|||
* 친환경 승용차 :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
붙임2
|
|
’23년 1분기 승용차 국가별 교역현황
|
(단위 : 백만 달러, %)
수 출
|
수 입
|
||||||||
국 가
|
’22년
1/4
|
’23년 1/4
|
|
국 가
|
’22년
1/4
|
’23년 1/4
|
|
|
|
동기
대비
|
비 중
|
동기
대비
|
비 중
|
||||||
미 국
|
4,640
|
7,030
|
51.5
|
45.6
|
독 일
|
1,486
|
1,643
|
10.6
|
43.8
|
캐나다
|
789
|
1,225
|
55.3
|
7.9
|
미 국
|
658
|
774
|
17.7
|
20.7
|
호 주
|
705
|
823
|
16.6
|
5.3
|
영 국
|
123
|
254
|
107.3
|
6.8
|
영 국
|
662
|
685
|
3.4
|
4.4
|
슬로바키아
|
144
|
239
|
65.8
|
6.4
|
독 일
|
361
|
675
|
86.9
|
4.4
|
오스트리아
|
124
|
184
|
48.3
|
4.9
|
이스라엘
|
300
|
447
|
48.9
|
2.9
|
일 본
|
156
|
184
|
17.4
|
4.9
|
프랑스
|
303
|
445
|
46.8
|
2.9
|
스웨덴
|
48
|
100
|
107.6
|
2.7
|
사우디
|
209
|
386
|
84.9
|
2.5
|
헝가리
|
24
|
64
|
169.0
|
1.7
|
스페인
|
214
|
267
|
25.3
|
1.7
|
남아프리카
|
0
|
59
|
93706.5
|
1.6
|
네덜란드
|
133
|
223
|
67.9
|
1.4
|
멕시코
|
34
|
56
|
68.0
|
1.5
|
기 타
|
2,611
|
3,216
|
23.2
|
20.9
|
기 타
|
211
|
191
|
△9.8
|
5.1
|
합 계
|
10,927
|
15,421
|
41.1
|
100
|
합 계
|
3,008
|
3,749
|
24.6
|
100
|
붙임3
|
|
’23년 1분기 승용차 대륙별 교역현황
|
(단위 : 백만 달러, %)
수 출
|
수 입
|
||||||||
대 륙
|
’22년
1/4
|
’23년 1/4
|
|
대 륙
|
’22년
1/4
|
’23년 1/4
|
|
|
|
동기
대비
|
비 중
|
동기
대비
|
비 중
|
||||||
북 미
|
5,429
|
8,255
|
52.0
|
53.5
|
유 럽
|
2,079
|
2,616
|
25.9
|
69.8
|
유 럽
|
3,009
|
3,692
|
22.7
|
23.9
|
북 미
|
661
|
777
|
17.6
|
20.7
|
중 동
|
718
|
1,156
|
61.1
|
7.5
|
아시아
|
235
|
238
|
1.3
|
6.4
|
오세아니아
|
784
|
922
|
17.7
|
6.0
|
아프리카
|
0
|
59
|
93706.5
|
1.6
|
아시아
|
524
|
772
|
47.2
|
5.0
|
중남미
|
34
|
56
|
67.8
|
1.5
|
중남미
|
354
|
520
|
47.0
|
3.4
|
|
|
|
|
|
아프리카
|
92
|
82
|
△10.8
|
0.5
|
|
|
|
|
|
기 타
|
15
|
21
|
33.9
|
0.1
|
|
|
|
|
|
합 계
|
10,927
|
15,421
|
41.1
|
100
|
합 계
|
3,008
|
3,749
|
24.6
|
100
|
붙임4
|
|
’23년 1분기 승용차 연료별 교역현황(대수)
|
(단위 : 만 대, %)
수 출
|
수 입
|
||||||||
연 료
|
’22년
1/4
|
’23년 1/4
|
|
연 료
|
’22년
1/4
|
’23년 1/4
|
|
|
|
동기
대비
|
비 중
|
동기
대비
|
비 중
|
||||||
휘발유
|
37.1
|
46.9
|
26.5
|
68.7
|
친환경
|
2.7
|
3.5
|
30.2
|
45.8
|
친환경
|
12.3
|
19.1
|
55.2
|
28.0
|
휘발유
|
3.1
|
3.3
|
6.0
|
43.5
|
경 유
|
2.7
|
2.2
|
△16.2
|
3.3
|
경 유
|
0.9
|
0.8
|
△6.1
|
10.7
|
합 계
|
52.1
|
68.3
|
31.1
|
100
|
합 계
|
6.7
|
7.7
|
14.2
|
100
|
붙임5
|
|
’23년 1분기 친환경차 교역현황
|
□ 수출입 금액 및 단가
(단위 : 백만 달러, %, 달러/대)
|
구분
|
수 출
|
수 입
|
||||||
’22년
1/4
|
’23년 1/4
|
|
’22년
1/4
|
’23년 1/4
|
|
|
|||
동기
대비
|
비 중
|
동기
대비
|
비 중
|
||||||
금
액
|
하이브리드
|
1,277
|
1,885
|
47.6
|
12.2
(31.2)
|
918
|
1,276
|
38.9
|
34.0
(70.4)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404
|
566
|
39.9
|
3.7
(9.4)
|
158
|
120
|
△23.7
|
3.2
(6.6)
|
|
전기차
|
1,906
|
3,591
|
88.4
|
23.3
(59.4)
|
273
|
416
|
52.5
|
11.1
(23.0)
|
|
합계
|
3,587
|
6,041
|
68.4
|
39.2
|
1,349
|
1,812
|
34.3
|
48.3
|
|
단
가
|
하이브리드
|
22,068
|
23,639
|
7.1
|
|
54,996
|
52,046
|
△5.4
|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28,559
|
32,486
|
13.8
|
|
45,531
|
46,897
|
3.0
|
|
|
전기차
|
37,209
|
38,160
|
2.6
|
|
40,305
|
52,003
|
29.0
|
|
|
합계
|
29,107
|
31,590
|
8.5
|
|
50,086
|
51,660
|
3.1
|
|
* ( )안은 친환경차에서 비중.
□ 국가별 수출입
(단위 : %)
구분
|
수 출
|
수 입
|
||||
1위
|
2위
|
3위
|
1위
|
2위
|
3위
|
|
하이브리드
|
미국
(53.4)
|
캐나다
(7.8)
|
프랑스
(7.8)
|
독일
(52.0)
|
일본
(13.4)
|
미국
(7.8)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미국
(45.6)
|
캐나다
(9.8)
|
이스라엘
(7.0)
|
독일
(40.8)
|
미국
(33.9)
|
스웨덴
(13.3)
|
전기차
|
미국
(33.8)
|
독일
(12.3)
|
영국
(10.8)
|
독일
(47.1)
|
미국
(33.9)
|
헝가리
(7.7)
|
* ( )안은 비중.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국내 개발 신약 코로나19 백신 등 2개 허가 (0) | 2023.04.28 |
---|---|
외국인 환승객 무사증 입국허가 제도 재개 (2) | 2023.04.28 |
제22차 비상경제차관회의 겸 수출투자책임관회의 개최 (0) | 2023.04.28 |
복막투석 환자의 재택의료 서비스 제공 기반이 확대된다 (0) | 2023.04.28 |
’23.3월 산업활동 동향 및 평가 (0) | 2023.04.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