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코로나19 여름철 확산 대비, 방역수칙 준수 적극 권고(8.2.수)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3. 8. 2.
반응형

코로나19 여름철 확산 대비, 방역수칙 준수 적극 권고(8.2.수)

2023.08.02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여름철 확산 대비,
방역수칙 준수 적극 권고
- 마스크 착용, 손씻기, 기침예절 준수, 환기·소독일상방역수칙 생활화

- 감염취약시설 방역수칙 철저히 준수하여 집단감염 예방

- 60세 이상·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은 확진 초기에 치료제 처방·복용할 필요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로부터 ‘최근 코로나19 증가세 관련 대응 방안’을 보고받고 이를 논의하였다.

 

1. 최근 코로나19 증가세 관련 대응 방안

 

1. 유행 상황

 

❶ 발생 동향

 

’23년 6월4주부터 확진자 발생 증가세로 전환하여 5주 연속 증가하고 있으며 7월1주부터는 전주 대비 20% 이상 증가하고 있다.

* 일평균 확진자(만명) : (6.4주) 1.7 → (7.1주) 2.2 → (7.2주) 2.7 → (7.3주) 3.6 → (7.4주) 4.5

 

전체 확진자 발생 증가에 따라 60세 이상 고령층 발생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발생 비율은 4주 연속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7월4주 29.8%전주 대비 증가하였다.

* 60세 이상 비중(%) : (6.4주) 26.8 → (7.1주) 25.6 → (7.2주) 25.2 → (7.3주) 26.7→ (7.4주) 29.8

 

재원중 위중증 및 사망자는 지난 ’23년 3월1주 이후 각각 150명, 100명 이하를 유지하면서 소폭 등락을 반복하였으나, 7월4주부터는 확진자 발생에 동반하여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재원중 위중증(명) : (6.4주) 110 → (7.1주) 117 → (7.2주) 122 → (7.3주) 142 → (7.4주) 170

** 사망(명) : (6.4주) 58 → (7.1주) 41 → (7.2주) 43 → (7.3주) 51 → (7.4주) 88

 

지속적인 변이 발생자연감염·백신접종을 통한 면역 유지기간 등을 고려시 연중 한두차례의 소규모 등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번 여름철 증가세 또한 지난 유행 시기 우세 변이(BA.1/2, BA.5, BN.1)와는 다른 XBB 변이 계열의 우세화, 기존 백신의 효과* 등 고려시 예측 및 관리 가능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 현재 코로나19 백신의 주된 효과는 상당기간(8~12개월) 지속되는 중증·사망 예방에 있으며, 백신을 통한 감염 자체에 대한 억제력은 단기간 유지

 

이에 더하여 격리 의무 해제로 증상이 있어도 검사받지 않는 사람들의 증가, 여름철 냉방시 환기 부족, 예방수칙 준수 약화 등이 증가세의 주요 원인으로 추정된다.

 

’23년 7월4주 확진자 발생 규모작년 겨울 유행정점 시기 대비 약 2/3(’22년 12월3주), 사망자 규모는 약 1/5(’22년 12월4주) 수준*이다. 작년 여름철 재유행시 일 최고 확진자 수는 180,729명(’22.8.17.)이다.

* 일평균 확진자(명) : (‘22.8.3주) 127,558, (‘22.12.3주) 67,306, (‘23.7.4주) 44,844

** 일평균 사망자(명) : (‘22.8.4주) 74, (‘22.12.4주) 59, (‘23.7.4주) 13

 

❷ 질병 위험도

 

’23년 7월 중순 치명률은 0.02~0.04%, 중증화율은 0.09~0.10%로 최저 수준이다. 지난 ’22년 오미크론 대유행두 차례의 재유행 시기 치명률 0.10%(BA.1/2 변이 우세), 0.07%(BA.5 변이 우세), 0.10%(BN.1 변이 우세) 대비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계절인플루엔자 치명률 수준으로 하락하였다.

* 인플루엔자 수준 치명률(0.03%∼0.07%(WHO), 0.03∼0.08%(국내자료 분석))로 하락

 

❸ 변이 바이러스

 

지난 4월, 국내 첫 검출된 EG.5(XBB.1.9.2.5)XBB.1.9.2의 하위변이로 5월에 재명명된 오미크론 변이 중 하나이다. 6월 4주부터 5% 이상의 검출률을 보였으며, 7월4주 검출률17.8%지속 증가 추세가 확인되었다.

 

한편, WHO에 따르면 현재 유행 중인 XBB 변이의 중증도 증가는 확인되지 않았고, 기존 변이 대비 위험도도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XBB.1.5 위험도 평가(6.20) 및 XBB.1.16 위험도 평가(6.5.)).

 

다만, XBB 계열 변이면역회피능 증가 특성을 보여, XBB 세부계통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국내 발생상황을 면밀히 감시하고있다.

 

❹ 단기 예측

 

8월 중순 확진자 규모는 작년 12월과 유사하게 주간 일평균 약 6만명 정도(일 최고 발생 약 7.6만)로 전망되나 치명률 감소에 따라 사망자 전망은 동기간 대비 절반 수준으로 예상된다. 다만, 최근 확진자 증가 추세가 가파르고, 60세 이상 고령층 발생도 증가하는 양상을 고려하여 지속적인 유행 상황 모니터링 위험 평가가 필요한 상황이다.

 

❺ 상황 평가

 

이전 오미크론 유행 시기 대비 낮은 치명률축적된 의료대응 역량을 고려시 안정적으로 관리 가능한 수준이나 최근 확진자의 빠른 증가세인플루엔자 동시 유행 다양한 호흡기 감염병 발생 상황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2. 국외 상황

 

한국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 국가에서 전수감시를 중단하면서 전세계적으로 전반적인 검사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표본감시 체계로 전환하거나 집계를 중단하는 국가가 증가함에 따라 WHO에서 발표되는 통계*를 해석함에 있어 주의를 요한다.

 

* ’23.7.10.∼7.16.동안 WHO에 신고·집계된 전세계 확진자 207,785명 중 전수감시 체계를 유지하고 있는 한국이 93%를 차지하여 통계 발표 왜곡

 

국가별 감시체계가 상이하나 표본감시를 통해 발생 양상을 파악하는 국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 중 감시자료가 보고되는 일본·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도 최근 환자 및 입원 보고 수가 증가*하고 있다.

* (일본) 표본감시기관 당 보고 수 한 달여간 2배로 증가(6.1주 5.11명 → 7.2주 11.04명), (미국) 전주 대비 신규 입원환자 10.3% 증가, 검체 양성률은 6월 이후 꾸준히 증가

 

3. 대응

 

확진자 수 억제보다는 코로나19 일상관리체계 전환에 따른 자율 방역 기조를 지속 유지하면서 고위험군 보호 중심으로 대응한다. 이에 따라 일상 방역수칙을 준수하도록 적극 안내·홍보함과 동시에 감염취약시설 관리를 강화하고 치료제 투여동절기 백신접종 등에 집중할 계획이다.

 

❶ 실내마스크 착용 등 일상방역수칙 생활화

 

마스크 착용감염병 예방의 가장 기본적인 수단으로 자율적 참여에 기반하여 마스크 착용을 생활화하여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특히 여름 휴가철 이동량과 대면접촉이 증가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대중교통·다중이용시설 등 3밀 환경에서는 마스크 자율 착용을 적극 권고한다.

또한 60세 이상 고령자·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감염시 중증화 우려가 높은 만큼 스스로의 건강 보호를 위해 마스크 착용, 수시로 손씻기 개인 방역수칙을 적극 권고한다. 특히 유행 확산기에는 더욱 주의를 요한다.

 

❷ 격리 권고 적극 준수

 

사업장, 학교, 보육시설 등에서 각 영역별 지침에 따라 격리 준수할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한다. 확진된 경우에는 집단 전파가정 내 고위험군 감염 방지를 위해 격리 기간 동안 격리를 유지하고, 집안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한다.

 

❸ 감염취약시설 관리·점검 강화

 

지자체별 감염취약시설 전담대응팀을 통해 감염취약시설 코로나19 발생 현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집단발생시 신속 대응체계를 유지할 계획이다.

 

감염취약시설 종사자의 경우 증상이 있거나 다수인 접촉 등 필요시 선제검사를 적극 실시할 것을 권고한다. 또한 대면 면회 입소자 건강 보호를 위해 면회 예약제, 면회객 사전음성 확인, 야외·1인실 등 별도 공간 면회, 실내마스크 착용 및 면회실 환기 등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하여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❹ 병상 모니터링 및 대응체계 강화

 

현재 중증 지정 병상 가동률은 41.4%(7.4주)로, 이전 오미크론 유행 시기 최대 가동률 47.0%~70.0% 대비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현 병상 대응체계(지정병상 및 일반병상 활용) 내에서 지속 대응하는 한편, 병상가동률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필요시 추가적인 병상 지정 등도 검토할 계획이다.

 

❺ 치료제 적극 처방

 

60세 이상 처방률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치료제 효과 관련 홍보를 강화한다. 60세 이상 처방률은 ’23년 6월 44.9%로 담당약국 확대 등 투약 기반 강화 및 고위험군 대상 적극 처방을 통해 ’22년 5월 대비 32.6%p 상승하였다. 또한 요양병원·시설 처방 현황 모니터링 확진 초기 치료제 투약 처방률 제고를 위한 협조 체계를 강화한다.

 

❻ 진단검사 시 의료이용 안내

 

현재 유증상자는 누구나 가까운 병·의원에서 무료로 검사받고, 증상에 맞는 신속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다. 전국 호흡기환자진료센터 14,129개소(7.31. 기준)에서 무료로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RAT)를 받을 수 있다.

 

또한 고위험군 대상으로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무료 PCR 검사체계*를 운영하고 있는 만큼 증상이 있는 경우 신속히 검사·진료를 권장한다.

* 전국 보건소 선별진료소 총 563개소 운영 중(7.31. 기준)으로 만60세 이상 고령자, 감염취약시설 종사자, 입원 예정 환자 등은 PCR 검사 우선순위 대상자

 

❼ 동절기 대비 XBB 백신 접종

 

WHO, FDA 등 권고에 따라 현재 유행 변이인 XBB 계열 대응을 위해 신규 개발된 XBB 기반 백신을 신속 도입하여 접종할 예정이다. 코로나19 2가 백신 접종 효과를 분석한 결과, 60세 이상에서 미접종 대비 2가 백신 접종의 중증화 및 사망 예방효과는 3차·4차접종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향후 ’23년 동절기 대비 접종 시에도 권고 대상인 고위험군은 적극 접종에 동참하여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질병관리청은 현 방역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코로나19 위기단계 조정 로드맵(3.29.발표)에 따른 4급 감염병 전환을 준비 중으로, 향후 전문가 자문을 거쳐 방역 상황과 질병 위험도 및 대응역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코로나19 발생 증가 이외에도 예년과 다르게 인플루엔자 등 호흡기 감염병 발생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여름 휴가철을 안전하게 보내기 위해 밀폐·밀집한 장소나 인구 이동으로 대면 접촉이 늘어나는 여름철 휴가지에서는 외출 전·후 30초 이상 비누로 손씻기, 기침 예절, 마스크 착용 및 주기적인 환기·소독 등 생활방역수칙을 준수 것을 당부하였다.

 

2.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7.23.∼7.29.)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 7월 4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170명, 일평균 사망자는 1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5,289명이라고 밝혔다.

 

2월 4주 이후 위중증환자는 주간 평균 150명 이하 유지 중이었으나 7월 4주 170명대로 증가, 사망자는 100명이하 유지중이다.

구분
7.23.
7.24.
7.25.
7.26.
7.27.
7.28.
7.29.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161
162
161
174
186
173
176
170
-
사망자
7
8
9
18
23
17
6
13
88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최근 1주간 연령대별 사망자 비중은 80세 이상이 72.8%, 70대가 10.2%, 60대가 14.8%로, 50대 이하 2.2%와 비교하면 고연령층 사망자가 대다수였다.

< 성별·연령별 주간 사망 및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현황 >
구 분
신규 사망
(주간 누적)
(%)
사망누계
(%)
치명률(%)
재원중
위중증
구성비(%)
88
(100.0)
35,289
(100.0)
0.11
170
(100.0)
성별
남성
47
(53.4)
17,416
(49.4)
0.11
102
(60.0)
여성
41
(46.6)
17,873
(50.6)
0.10
68
(40.0)
연령
80세 이상
64
(72.8)
21,065
(59.7)
1.80
65
(38.2)
70-79
9
(10.2)
7,993
(22.7)
0.42
45
(26.4)
60-69
13
(14.8)
4,009
(11.3)
0.11
25
(14.7)
50-59
1
(1.1)
1,436
(4.1)
0.03
19
(11.2)
40-49
1
(1.1)
479
(1.3)
0.01
4
(2.3)
30-39
0
(0.0)
164
(0.5)
0.01
2
(1.2)
20-29
0
(0.0)
81
(0.2)
0.01
0
(0.2)
10-19
0
(0.0)
24
(0.1)
0.01
1
(0.5)
0-9
0
(0.0)
38
(0.1)
0.01
9
(5.3)
* 치명률(%) = 사망자수 / 확진자수 × 100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3.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7.23.∼7.29.)

 

[ 1. 주간 위험도 평가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지영미)는 7월 4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낮음’으로 평가하였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위중증, 사망자 지속 증가 추세이나 치명률은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였다. 다만, 신규 확진 증가에 따라 위중증 및 사망자 지속 증가가 우려되어 의료대응역량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이다.

 

지난 해 오미크론 유행 이후 여름(2022년 7~9월 11주) 및 겨울(2022년 11~2023년 1월 12주) 발생 증가에 따른 위험도 ‘중간’ 상향 후, 2023년 상반기 전체에 걸쳐 위험도는 발생률과 치명률, 중환자실 병상가동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낮음’으로 유지되었다.

 

<7월 4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22.10월
’22.11월
’22.12월
’23.1월
’23.2월
’23.3월
’23.4월
’23.5월
’23.6월
’23.7월
1-3주
(10.2.~)
4주
(10.23.~)
1-5주
(10.30.~)
1-4주
(12.4.~)
1-2주
(1.1.~)
3-4주
(1.15.~)
1-4주
(1.29.~)
1-5주
(2.26.~)
1-4주
(4.2.~)
1-5주
(4.30.~)
1-4주
(6.5.~)
1주
(7.2.~)
2주
(7.9.~)
3주
(7.16.~)
4주
(7.23.~)
전국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수도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비수도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 2. 위중증·사망자 현황 ]

 

지난주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19.7% 증가하여 일평균 170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72.5% 증가(51명→88명)하였고 일평균은 13명이다.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 : (7월 1주) 117명→(7월 2주) 122명→(7월 3주) 142명→(7월 4주) 170명

** 주간 일평균 사망자 수 : (7월1주) 6명→ (7월2주) 6명→ (7월3주) 7명→ (7월4주) 13명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일평균 사망자 발생 현황(’23.7.29. 0시 기준)>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135명(79.4%),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12.2명(97.7%)이었다.

 

※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50세 이상 154명(90.6%), 일평균 사망자 중 50세 이상 12.4명(98.9%)

 

 

7월 2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중증화율 0.09%, 치명률은 0.02%였으며, 델타변이 우세시기인 ’21.11.3주 중증화율 3.23%, ’21.12.1주 치명률 1.72% 대비 낮은 수준이다.

’23년 7월 29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8.3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코로나19 60세 이상 사망자(86명) 중 미접종자‧1차접종자의 비율*은 29.1%(25명)로 여전히 높으며,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999.3명(치명률 1.80%)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215.1명(치명률 0.42%), 60대는 56.0명(치명률 0.11%)이었다.

* 60세 이상 일반 인구의 미접종․1차 접종자 비율(’23.7.31. 기준) : 3.2%

[ 3. 확진자 및 발생추이 ]

 

7월 4주(7.23.~7.29.) 주간 신규 확진자는 313,906명으로 전주 대비 23.7% 증가하였다.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44,844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는 1.19로 6월 4주부터 5주 연속 1 이상이며 이는 ‘22년 가을 유행시점(10월 4주, 1.17)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 주간 누적: (7월1주) 15.2만명→ (7월2주) 18.6만명→ (7월3주) 25.3만명→ (7월4주) 31.3만명

** 일 평균: (7월1주) 21,856명→ (7월2주) 26,705명→ (7월3주) 36,258명→ (7월4주) 44,844명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6월 1주
(6.4.~6.10.)
6월 2주
(6.11.~6.17.)
6월 3주
(6.18.~6.24.)
6월 4주
(6.25.~7.1.)
7월 1주
(7.2.~7.8.)
7월 2주
(7.9.~7.15.)
7월 3주
(7.16.~7.22.)
7월 4주
(7.23.~7.29.)
확진자수(명)
117,199
113,141
112,176
122,090
152,993
186,936
253,808
313,906
일 평균 확진자(명)
16,743
16,163
16,025
17,441
21,856
26,705
36,258
44,844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32.5
31.4
31.2
33.9
42.5
51.9
70.5
87.2
전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1.0
1.0
1.0
1.1
1.3
1.2
1.4
1.2
감염재생산지수(Rt)
1.02
0.98
0.98
1.03
1.12
1.16
1.19
1.19

 

방학 등의 영향으로 10~19세 연령대에서 전주 대비 일평균 발생률이 감소하였다. 발생률은 70-79세(111.8명), 80세 이상(107.7명), 30-39세(100.9명) 순으로 높았다. 특히 전주 대비 60세 이상 확진자 규모 및 비중의 증가가 뚜렷하였다.

* 60세 이상 확진자수(명): (7.1주) 39,125 → (7.2주) 47,106 → (7.3주) 67,841 → (7.4주) 93,663

** 60세 이상 비중(%): (7.1주) 25.6→ (7.2주) 25.2 → (7.3주) 26.7 → (7.4주) 29.8

성별에 따른 누적 확진자를 보면 여성(53.9%) 남성(46.1%)보다 높으나 누적 사망자는 여성(50.6%)남성(49.4%)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다.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7월 2주
7월 3주
7월 4주
누적 발생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발생률
186,936
(100.0)
51.9
253,808
(100.0)
70.5
313,906
(100.0)
87.2
33,138,645
(100.0)
64,423
성별
남성
81,904
(43.8)
45.6
110,632
(43.6)
61.6
135,234
(43.1)
75.4
15,266,415
(46.1)
59,548
여성
105,032
(56.2)
58.2
143,176
(56.4)
79.3
178,672
(56.9)
98.9
17,872,230
(53.9)
69,267
연령별
0-9세
8,086
(4.3)
32.7
9,934
(3.9)
40.2
11,122
(3.5)
45.0
3,211,477
(9.7)
90,909
10-19세
30,547
(16.3)
92.8
37,324
(14.7)
113.4
27,207
(8.7)
82.6
4,112,515
(12.4)
87,441
20-29세
24,200
(12.9)
53.9
32,215
(12.7)
71.7
42,740
(13.6)
95.1
4,807,862
(14.5)
74,922
30-39세
27,326
(14.6)
59.0
36,213
(14.3)
78.2
46,727
(14.9)
100.9
4,866,090
(14.7)
73,556
40-49세
26,512
(14.2)
46.9
37,039
(14.6)
65.5
47,926
(15.3)
84.8
5,029,856
(15.2)
62,304
50-59세
23,159
(12.4)
38.4
33,242
(13.1)
55.1
44,521
(14.2)
73.9
4,330,620
(13.1)
50,286
60-69세
23,969
(12.8)
46.3
34,164
(13.5)
65.9
46,720
(14.9)
90.1
3,686,193
(11.1)
49,790
70-79세
14,957
(8.0)
55.9
21,251
(8.4)
79.4
29,935
(9.5)
111.8
1,923,297
(5.8)
50,273
80세이상
8,180
(4.4)
51.8
12,426
(4.9)
78.7
17,008
(5.4)
107.7
1,170,735
(3.5)
51,893

 

 

[ 4. 병상가동률 및 치료제 ]

 

전국 중환자실 병상가동률 50% 이하로 유지되나, 앞으로 추가 증가 가능성 있어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7.3주 → 7.4주): (전국) 34.4% → 41.4%, (수도권) 30.6% → 34.0%, (비수도권) 38.8% → 49.6%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7.3주 → 7.4주): (전국) 53.7% → 53.9%, (수도권) 55.7% → 57.1%, (비수도권) 51.4% → 50.3%

 

60세 이상 치료제 처방률은 ’23년 7월 3주 50.6%로, 투약기반 강화 및 고위험군 대상 적극 처방을 통해 ’22.5월 대비 38.3%p 상승하였다.

* 60세 이상 처방률(%) : (‘22.5) 12.3 → (‘23.1) 34.9 → (‘23.6) 44.9 → (‘23.7.3주) 50.6

 

[ 5. 변이 바이러스 ]

 

XBB.1.9.1의 검출률은 22.7%(+0.0%p)20%대 초중반 유지 중이고, XBB.1.9.2의 세부계통인 EG.5(XBB.1.9.2.5)*17.8%(+6.0%p)로 지속 증가 추세, XBB.1.16과 XBB.2.3은 18.8%(-1.2%p), 14.8%(-0.6%p)로 전주 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 (EG.5) XBB.1.9.2의 하위변이(XBB.1.9.2.5)로 5월에 재명명된 오미크론 변이의 하나임

 

【 국내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세부계통 검출률(7.29. 기준) 】

구분
분석주차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세부계통 검출률(%)
XBB.1.9.1
XBB.1.9.2
EG.5
(XBB.1.9.2.5)
XBB.1.16
XBB.2.3
XBB.1.5
XBB*
기타
전체
7월1주
25.2
17.7
6.3
19.7
15.5
8.2
4.0
3.3
7월2주
25.9
15.4
9.3
18.7
16.1
6.6
5.5
2.5
7월3주
22.7
15.4
11.8
20.0
15.4
5.9
5.8
3.1
7월4주
22.7
12.4
17.8
18.8
14.8
4.7
5.8
3.0
국내감염
7월1주
25.1
18.1
6.0
19.4
15.7
8.3
3.7
3.6
7월2주
26.2
15.5
9.1
18.5
16.1
6.7
5.5
2.4
7월3주
22.2
15.6
11.9
20.1
15.6
5.9
5.8
3.0
7월4주
23.0
12.4
17.6
18.9
15.0
4.7
5.4
3.0
해외유입
7월1주
25.9
5.6
14.8
27.8
9.3
3.6
13.0
0.0
7월2주
12.5
15.7
15.6
28.1
15.6
0.0
9.4
3.1
7월3주
44.0
4.0
8.0
16.0
8.0
4.0
4.0
12.0
7월4주
10.7
14.3
28.6
14.3
7.1
0.0
25.0
0.0

* XBB는 XBB.1.9.1, XBB.1.9.2, EG.5(XBB.1.9.2.5), XBB.1.16, XBB.2.3, XBB.1.5을 제외한 XBB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지표명
7월 1주
(7.2.~7.8.)
7월 2주
(7.9.~7.15.)
7월 3주
(7.16.~7.22.)
7월 4주
(7.23.~7.29.)
대응역량
중환자실 병상가동률(%)
21.2
28.2
34.4
41.4

수도권
21.5
27.1
30.6
34.0

비수도권
20.9
29.5
38.8
49.6
①-1 일평균 재원 위중증 환자 수(명)
117
122
142
170
중환자실 의료역량 대비 60세 이상 발생 비율(%)
4.1
4.9
7.1
7.4

수도권
2.6
3.0
4.1
4.2

비수도권
7.6
11.5
14.1
15.0
준-중환자 병상가동률(%)
37.0
34.7
53.7
53.9

수도권
36.7
34.8
55.7
57.1

비수도권
37.3
34.6
51.4
50.3
발생
주간 사망자 수(명)
41
43
51
88
-1 주간 치명률(%, 전체)
0.04
0.02
-
-

60대
0.03
0.01
-
-

70대
0.07
0.02
-
-

80대 이상
0.56
0.40
-
-

추정 주간 치명률(%)
0.04
0.03
0.03
0.04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명)
124
142
150
177
⑤-1 주간 중증화율(%, 전체)
0.10
0.09
-
-

60대
0.13
0.13
-
-

70대
0.29
0.21
-
-

80대 이상
1.08
0.97
-
-
주간 일평균 확진자 수(명, 전체(검역 포함))
21,856
26,705
36,258
44,844

수도권
10,451
12,112
16,064
19,897

비수도권
11,401
14,590
20,192
24,946
⑥-1 주간 일평균 해외유입 확진자 수(명)
13
13
14
11
⑥-2 주간 일평균 발생률(인구10만 명당, 전체(검역 포함))
42.5
51.9
70.5
87.2

수도권
40.2
46.6
61.8
76.6

비수도권
44.8
57.3
79.3
98.0
⑥-3 주간 신규 확진자 수(명, 전체(검역 포함))
152,993
186,936
253,808
313,906

수도권
73,154
84,781
112,447
139,277

비수도권
79,806
102,129
141,346
174,619
주간 60세 이상 확진자 수(명, 전체(검역 포함))
39,125
47,106
67,841
93,663

수도권
17,553
20,310
27,583
37,154

비수도권
21,568
26,795
40,256
56,508
⑦-1 주간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 전체)
25.6
25.2
26.7
29.8
18세 이하 확진자 비율(%, 전체)
17.3
19.8
17.8
11.3
⑧-1 주간 18세 이하 확진자 수(명, 전체)
26,438
37,033
45,242
35,536
감염재생산지수(Rt)
1.12
1.16
1.19
1.19
예방
접종
60세 이상 동절기 접종률(%, 대상자 대비)
34.5
34.5
34.5
34.5
⑩-1 동절기 접종률(%, 12세 이상 대상자 대비)
15.2
15.2
15.2
15.2
60세 이상 예방접종 효과
(미접종 대비 2가백신 추가접종)
중증화 예방효과
사망 예방효과
73.2~89.0%
74.5~90.2%

(지표② 기준) 중환자실 감당가능 60세 이상 확진자 수(7월 4주∼): 전국 181,299명, (수도권) 127,455명, (비수도권) 53,844명

* 기준 : (중환자실 최대 확보 병상 수) 전국 2,825개, 수도권 1,986개, 비수도권 839개, (4주 평균 60세 이상 중증화율) 0.60%, (4주 평균 병상가중치) 1.0, (재원일수) 7일

(지표④-1 기준) ‘주간 치명률’은 주간 확진자 중 사망자 수 비율을 확진일 기준으로 2주 전까지 산출(사망까지 모니터링 기간 필요, 국내 산출방식)하나, ‘추정 주간 치명률’은 집계된 사망자를 기준으로 최근 치명률을 산출함(Our World in Data 산출방식)

(지표⑩ 기준) 7월 26일 기준 산출

(지표⑪ 기준) '23.3월5주부터 5월3주차까지(8주간) 주차별 분석대상 중 각 접종군에 해당되는 대상자를 확진일 이후 28일간 중증화, 사망여부를 모니터링한 예방효과의 최소값, 최대값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