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 벼농사 ‘건전한 볍씨 사용과 소독’이 좌우
2023.04.03 농촌진흥청
한 해 벼농사 ‘건전한 볍씨 사용과 소독’이 좌우
|
- 벼 키다리병, 벼잎선충 예방 … 소금물 가리기, 온탕‧약제 소독해야
|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본격적인 벼농사에 앞서 농업인들에게 건전한 볍씨 사용과 철저한 볍씨 소독으로 벼 키다리병과 벼잎선충을 예방할 것을 당부했다.
벼 키다리병과 벼잎선충은 종자로 전염돼 벼의 품질을 떨어뜨리고 수확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병해를 예방하고 안정적인 벼 생산을 위해서는 건전한 볍씨를 사용하고 파종 전 볍씨를 철저히 소독해야 한다.
벼 키다리병은 지난해 감염된 볍씨를 씨뿌림(파종) 할 경우, 못자리 육묘상에서 발생해 수확기까지 이어진다. 이 병에 걸린 벼는 웃자라고, 증상이 심해지면 말라 죽는다.
그동안 대규모 공동육묘장이 늘고 볍씨 소독 기술 교육, 홍보 등으로 병 발생이 점차 줄어드는 추세*지만, 한 번 병이 발생하면 피해가 커 농가에서는 지속적인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못자리 내 키다리병 발생 현황(발병상자비율): (2020) 4.3% → (2021) 1.2% → (2022) 2.8%
키다리병이 0.5% 이상 발병한 못자리 현황: (2020) 1.1% → (2021) 0.1% → (2022) 0.1%
벼잎선충은 감염된 볍씨에서 발생하며 잎과 볍씨로 전염된다. 피해를 본 볍씨는 크기가 줄어들고 까만 점이 생겨 품질이 떨어지고 수확량이 줄어든다.
지난해 조사 결과, 전국 조사 대상 1,600여 필지 중 26.6%(425필지)가 벼잎선충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약 1.54배 증가한 수치다.
*2021년 조사 결과 2,400필지 중 17.3% (416필지) 감염
벼 키다리병과 벼잎선충 등 종자 감염 병해를 예방하려면 건전한 볍씨를 골라 철저히 소독한 후 사용해야 한다.
소금물 가리기= 우선 물 20리터(L)당 메벼는 소금 4.2kg, 찰벼는 소금 1.3kg을 녹여 볍씨를 담가 물에 뜬 볍씨는 걸러내고 가라앉은 볍씨는 깨끗한 물에 2~3회 씻어 말린다.
온탕 소독= 60도(℃)의 물 300리터(L)당 볍씨 30kg을 10분 담갔다가 꺼내 찬물에 바로 식혀준다. 비율(물 10:볍씨 1), 온도 등 조건을 제대로 지키면 벼 키다리병을 90% 이상 방제할 수 있다. 고온에 민감한 품종*은 조건을 지키지 않으면 발아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고운, 삼광, 운광, 일미, 풍미, 동진1호, 서안1호, 신운봉1호
약제 소독= 온탕 소독을 마친 볍씨는 적용 약제별로 희석 배수에 맞게 희석한 후 약액 20리터(L)당 볍씨 10kg을 30도(℃)로 맞춰 48시간 담가둔다. 해마다 같은 약제를 사용하면 약효가 떨어질 수 있어 2~3년 주기로 약제를 바꿔주는 것이 좋다.
농촌진흥청 작물보호과 이세원 과장은 “종자에 감염돼 병해를 일으키는 벼 키다리병과 벼잎선충 예방하려면 소금물 가리기로 건전한 볍씨를 구분하고, 파종 전 볍씨 소독을 철저히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붙임 1. 소금물 가리기와 볍씨 소독 방법
2. 벼 키다리병 감염경로와 병 증상
3. 벼잎선충 형태와 피해 증상
붙임 1
|
|
소금물 가리기와 볍씨 소독 방법
|
□ 소금물 가리기
❍ 볍씨의 까락(까끄라기)을 없앤 뒤 물 20L당 메벼는 소금 4.2kg, 찰벼는 소금 1.3kg을 녹여 볍씨를 담가, 물에 뜬 볍씨는 걸러내고 가라앉은 볍씨는 깨끗한 물에 2~3회 씻어 말린다.
□ 볍씨 소독 방법
❍ 온탕 소독
- 60℃의 물 300L당 볍씨 30kg을 10분 담갔다가 꺼내 찬물에 바로 식혀준다. 물과 볍씨의 비율(물 10 : 볍씨 1), 온도 등 조건을 제대로 지키면 90% 이상 벼 키다리병 방제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또한 벼잎선충 방제에도 효과적이다.
- 단, 고온에 민감한 ‘고운’, ‘삼광’, ‘운광’, ‘일미’, ‘풍미’, ‘동진1호’, ‘서안1호’, ‘신운봉1호’ 등은 위의 조건을 지키지 않으면 발아율⁕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발아율: 파종된 볍씨 수에 대한 발아볍씨 수의 비율(%)
❍ 약제 소독
- 온탕 소독을 마친 볍씨는 적용 약제별로 희석 배수에 맞게 희석한 후 약액 20L당 볍씨 10kg을 30℃로 맞춰 48시간 담가둔다. 볍씨를 너무 많이 겹쳐 쌓아서 담그면 안쪽 볍씨는 소독되지 않고 오히려 병원균의 활동에 좋은 환경이 만들어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 해마다 같은 계통의 약제를 사용하면 약효가 떨어질 수 있어 2~3년 주기로 약제를 바꿔주는 것이 좋다. 볍씨소독용 살균제는 현재 33품목 이상이 등록돼 있고, 벼잎선충 약제로는 4개 품목이 등록돼 있다.
□ 볍씨소독용 등록 살균제 목록(2023년 3월 현재)
No.
|
품목명
|
상표명
|
1
|
디페노코나졸.피디플루메토펜 액상수화제
|
미래빛듀오
|
2
|
베노밀.티람수화제
|
삼공베노람, 큰나락
|
3
|
아족시스트로빈.피디플루메토펜 종자처리액상수화제
|
시드큐어
|
4
|
오리사스트로빈 액상수화제
|
올크린
|
5
|
이프코나졸 종자처리액상수화제
|
키맨
|
6
|
이프코나졸.코퍼하이드록사이드 종자처리액상수화제
|
키맨플러스
|
7
|
테부코나졸유제
|
호리쿠어
|
8
|
트리플루미졸 유제
|
큰댁
|
9
|
티오파네이트메틸.트리플루미졸 수화제
|
모도우리, 굳타임
|
10
|
프로클로라즈 유탁제
|
풍성탄
|
11
|
프로클로라즈.테부코나졸 유제
|
두아졸
|
12
|
프로클로라즈.트리플루미졸 유제
|
시드크린
|
13
|
프로클로라즈미탁제
|
난초애
|
14
|
프로클로라즈유제
|
삼공스포탁, 스포탁, 팜한농프로라츠, 아리볍씨왕, 엑스타, 풍성탄
|
15
|
프로클로라즈코퍼클로라이드 종자처리액상수화제
|
스포탁골드
|
16
|
프로클로라즈코퍼클로라이드.테부코나졸 액상수화제
|
균마기골드
|
17
|
플루디옥소닐 분산성액제
|
슈퍼사이드
|
18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샤이나
|
19
|
플루디옥소닐 입상수화제
|
테이크업
|
20
|
플루디옥소닐 종자처리액상수화제
|
방어벽, 아리스위퍼, 젠토씨드크린, 톱코팅
|
21
|
플루디옥소닐.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액상수화제
|
탐지기
|
22
|
플루디옥소닐.프로클로라즈 액상수화제
|
균사마
|
23
|
플루디옥소닐.프로클로라즈 종자처리액상수화제
|
스위퍼플러스
|
24
|
플룩사피록사드.크레속심메틸 종자처리액상수화제
|
경농팜닥터
|
25
|
피라클로스트로빈 유제
|
카브리오
|
26
|
피리벤카브 액상수화제
|
선두주자
|
27
|
피리벤카브 종자처리액상수화제
|
씨드캅
|
28
|
피리벤카브.테부코나졸 종자처리액상수화제
|
키자바
|
29
|
피리벤카브.트리플루미졸 액상수화제
|
씨엔조아
|
30
|
피리벤카브.티오파네이트메틸 액상수화제
|
만수무강
|
31
|
헥사코나졸.프로클로라즈 유제
|
균마기
|
32
|
헥사코나졸.피리벤카브 액상수화제
|
키다리엔
|
33
|
헥사코나졸.피리벤카브 종자처리액상수화제
|
키다리엔플러스
|
□ 벼잎선충 등록 약제 목록 (2023년 3월 현재)
품목명
|
주성분함량
|
희석배수
|
사용방법
|
카보설판 액상수화제
|
20%
|
1,000배
|
파종 전 24시간 침지
|
카보설판 유탁제
|
12%
|
600배
|
파종 전 48시간 침지
|
페니트로티온 유제
|
50%
|
1,000배
|
파종 전 24시간 침지
|
펜티온 유제
|
50%
|
1,000배
|
파종 전 24시간 침지
|
붙임 2
|
|
벼 키다리병 감염경로와 병 증상
|
□ 벼 키다리병 감염경로
❍ 논에서 벼 줄기에 형성된 벼 키다리병 원인균의 포자가 출수기 무렵 바람에 날려 꽃으로 감염되고, 볍씨에서 월동하여 이듬해 감염된 볍씨에서 병이 발생함.
□ 벼 키다리병 증상
붙임 3
|
|
벼잎선충의 형태와 피해 증상
|
□ 벼잎선충 피해 조사 결과(2022년 기준)
❍ 전국 47개 시군, 1,597개 벼 포장 조사 결과 벼잎선충에 의해 피해를 받은 포장은 26.6%였으며, 품질 저하와 수량 감소가 예상되는 포장은 전체 포장의 1.6%로 조사되었음.
조사지역
|
조사시군
|
조사 포장 수
|
선충피해
검출 포장 수
|
피해 포장 수*
|
강원도
|
3
|
54
|
9(16.7%)
|
0(0%)
|
경기도
|
6
|
246
|
23(9.4%)
|
0(0%)
|
충청북도
|
5
|
135
|
18(13.3%)
|
0(0%)
|
충청남도
|
7
|
242
|
31(5.4%)
|
0(0%)
|
전라북도
|
6
|
205
|
86(42.0%)
|
8(3.9%)
|
전라남도
|
8
|
305
|
118(38.7%)
|
1(0.3%)
|
경상북도
|
6
|
212
|
46(21.7%)
|
0(0%)
|
경상남도
|
6
|
198
|
94(47.5%)
|
17(8.6%)
|
계
|
47
|
1,597
|
425(26.6%)
|
26(1.6%)
|
* 피해 포장: 30주당 5주 이상 선충피해증상 포장, 농가 자체 진단 가능, 자가채종 금지
□ 벼잎선충의 형태
❍ 벼잎선충의 크기는 0.7mm 내외로 몸통이 가늘고 길며, 꼬리는 원뿔형으로 끝에 3∼4개의 돌기가 있음.
□ 벼잎선충 피해 증상
❍ 벼잎의 끝부분이 흰색으로 변하면서 구부러지고 기형이 된 후 점점 회색으로 변함. 피해 본 벼는 완전미율과 천립중(낟알 천 개의 무게)이 감소하고 쌀 색이 변하거나 검은 점이 생겨 품질을 떨어뜨림.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북항,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태어나다 (0) | 2023.04.03 |
---|---|
17개 시·도와 협력하여 전세피해 임차인 적극 지원 (0) | 2023.04.03 |
농식품부, 농산물도매시장 디지털 혁신 기반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전자송품장 도입 추진 (1) | 2023.04.01 |
중소기업 기술침해 신고는 쉽게! 소송부담은 낮게! (0) | 2023.04.01 |
국립산림과학원 봄철 꽃나무 개화시기 예측지도 발표 (0) | 2023.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