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한 해 벼농사 ‘건전한 볍씨 사용과 소독’이 좌우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3. 4. 3.
반응형

한 해 벼농사 ‘건전한 볍씨 사용과 소독’이 좌우

2023.04.03 농촌진흥청

한 해 벼농사 ‘건전한 볍씨 사용과 소독’이 좌우
- 벼 키다리병, 벼잎선충 예방 … 소금물 가리기, 온탕‧약제 소독해야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본격적인 벼농사에 앞서 농업인들에게 건전한 볍씨 사용과 철저한 볍씨 소독으로 벼 키다리병과 벼잎선충을 예방할 것을 당부했다.

 

벼 키다리병과 벼잎선충은 종자로 전염돼 벼의 품질을 떨어뜨리고 수확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병해를 예방하고 안정적인 벼 생산을 위해서는 건전한 볍씨를 사용하고 파종 전 볍씨를 철저히 소독해야 한다.

 

벼 키다리병은 지난해 감염된 볍씨를 씨뿌림(파종) 할 경우, 못자리 육묘상에서 발생해 수확기까지 이어진다. 이 병에 걸린 벼는 웃자라고, 증상이 심해지면 말라 죽는다.

 

그동안 대규모 공동육묘장이 늘고 볍씨 소독 기술 교육, 홍보 등으로 병 발생이 점차 줄어드는 추세*지만, 한 번 병이 발생하면 피해가 커 농가에서는 지속적인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못자리 내 키다리병 발생 현황(발병상자비율): (2020) 4.3% → (2021) 1.2% → (2022) 2.8%

키다리병이 0.5% 이상 발병한 못자리 현황: (2020) 1.1% → (2021) 0.1% → (2022) 0.1%

 

벼잎선충은 감염된 볍씨에서 발생하며 잎과 볍씨로 전염된다. 피해를 본 볍씨는 크기가 줄어들고 까만 점이 생겨 품질이 떨어지고 수확량이 줄어든다.

 

지난해 조사 결과, 전국 조사 대상 1,600여 필지 중 26.6%(425필지)가 벼잎선충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약 1.54배 증가한 수치다.

 

*2021년 조사 결과 2,400필지 중 17.3% (416필지) 감염

 

벼 키다리병과 벼잎선충 등 종자 감염 병해를 예방하려면 건전한 볍씨를 골라 철저히 소독한 후 사용해야 한다.

 

소금물 가리기= 우선 물 20리터(L)당 메벼는 소금 4.2kg, 찰벼는 소금 1.3kg을 녹여 볍씨를 담가 물에 뜬 볍씨는 걸러내고 가라앉은 볍씨는 깨끗한 물에 2~3회 씻어 말린다.

 

온탕 소독= 60도(℃)의 물 300리터(L)당 볍씨 30kg을 10분 담갔다가 꺼내 찬물에 바로 식혀준다. 비율(물 10:볍씨 1), 온도 등 조건을 제대로 지키면 벼 키다리병을 90% 이상 방제할 수 있다. 고온에 민감한 품종*은 조건을 지키지 않으면 발아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고운, 삼광, 운광, 일미, 풍미, 동진1호, 서안1호, 신운봉1호

 

약제 소독= 온탕 소독을 마친 볍씨는 적용 약제별로 희석 배수에 맞게 희석한 후 약액 20리터(L)당 볍씨 10kg을 30도(℃)로 맞춰 48시간 담가둔다. 해마다 같은 약제를 사용하면 약효가 떨어질 수 있어 2~3년 주기로 약제를 바꿔주는 것이 좋다.

 

농촌진흥청 작물보호과 이세원 과장은 “종자에 감염돼 병해를 일으키는 벼 키다리병과 벼잎선충 예방하려면 소금물 가리기로 건전한 볍씨를 구분하고, 파종 전 볍씨 소독을 철저히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붙임 1. 소금물 가리기와 볍씨 소독 방법

2. 벼 키다리병 감염경로와 병 증상

3. 벼잎선충 형태와 피해 증상

붙임 1

소금물 가리기와 볍씨 소독 방법

 

□ 소금물 가리기

❍ 볍씨의 까락(까끄라기)을 없앤 뒤 물 20L당 메벼는 소금 4.2kg, 찰벼는 소금 1.3kg을 녹여 볍씨를 담가, 물에 뜬 볍씨는 걸러내고 가라앉은 볍씨는 깨끗한 물에 2~3회 씻어 말린다.

 

□ 볍씨 소독 방법

온탕 소독

- 60℃의 물 300L당 볍씨 30kg을 10분 담갔다가 꺼내 찬물에 바로 식혀준다. 물과 볍씨의 비율(물 10 : 볍씨 1), 온도 등 조건을 제대로 지키면 90% 이상 벼 키다리병 방제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또한 벼잎선충 방제에도 효과적이다.

- 단, 고온에 민감한 ‘고운’, ‘삼광’, ‘운광’, ‘일미’, ‘풍미’, ‘동진1호’, ‘서안1호’, ‘신운봉1호’ 등은 위의 조건을 지키지 않으면 발아율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발아율: 파종된 볍씨 수에 대한 발아볍씨 수의 비율(%)

 

약제 소독

- 온탕 소독을 마친 볍씨는 적용 약제별로 희석 배수에 맞게 희석한 후 약액 20L당 볍씨 10kg을 30℃로 맞춰 48시간 담가둔다. 볍씨를 너무 많이 겹쳐 쌓아서 담그면 안쪽 볍씨는 소독되지 않고 오히려 병원균의 활동에 좋은 환경이 만들어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 해마다 같은 계통의 약제를 사용하면 약효가 떨어질 수 있어 2~3년 주기로 약제를 바꿔주는 것이 좋다. 볍씨소독용 살균제는 현재 33품목 이상이 등록돼 있고, 벼잎선충 약제로는 4개 품목이 등록돼 있다.

 

□ 볍씨소독용 등록 살균제 목록(2023년 3월 현재)

No.
품목명
상표명
1
디페노코나졸.피디플루메토펜 액상수화제
미래빛듀오
2
베노밀.티람수화제
삼공베노람, 큰나락
3
아족시스트로빈.피디플루메토펜 종자처리액상수화제
시드큐어
4
오리사스트로빈 액상수화제
올크린
5
이프코나졸 종자처리액상수화제
키맨
6
이프코나졸.코퍼하이드록사이드 종자처리액상수화제
키맨플러스
7
테부코나졸유제
호리쿠어
8
트리플루미졸 유제
큰댁
9
티오파네이트메틸.트리플루미졸 수화제
모도우리, 굳타임
10
프로클로라즈 유탁제
풍성탄
11
프로클로라즈.테부코나졸 유제
두아졸
12
프로클로라즈.트리플루미졸 유제
시드크린
13
프로클로라즈미탁제
난초애
14
프로클로라즈유제
삼공스포탁, 스포탁, 팜한농프로라츠, 아리볍씨왕, 엑스타, 풍성탄
15
프로클로라즈코퍼클로라이드 종자처리액상수화제
스포탁골드
16
프로클로라즈코퍼클로라이드.테부코나졸 액상수화제
균마기골드
17
플루디옥소닐 분산성액제
슈퍼사이드
18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샤이나
19
플루디옥소닐 입상수화제
테이크업
20
플루디옥소닐 종자처리액상수화제
방어벽, 아리스위퍼, 젠토씨드크린, 톱코팅
21
플루디옥소닐.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액상수화제
탐지기
22
플루디옥소닐.프로클로라즈 액상수화제
균사마
23
플루디옥소닐.프로클로라즈 종자처리액상수화제
스위퍼플러스
24
플룩사피록사드.크레속심메틸 종자처리액상수화제
경농팜닥터
25
피라클로스트로빈 유제
카브리오
26
피리벤카브 액상수화제
선두주자
27
피리벤카브 종자처리액상수화제
씨드캅
28
피리벤카브.테부코나졸 종자처리액상수화제
키자바
29
피리벤카브.트리플루미졸 액상수화제
씨엔조아
30
피리벤카브.티오파네이트메틸 액상수화제
만수무강
31
헥사코나졸.프로클로라즈 유제
균마기
32
헥사코나졸.피리벤카브 액상수화제
키다리엔
33
헥사코나졸.피리벤카브 종자처리액상수화제
키다리엔플러스

 

 

□ 벼잎선충 등록 약제 목록 (2023년 3월 현재)

품목명
주성분함량
희석배수
사용방법
카보설판 액상수화제
20%
1,000배
파종 전 24시간 침지
카보설판 유탁제
12%
600배
파종 전 48시간 침지
페니트로티온 유제
50%
1,000배
파종 전 24시간 침지
펜티온 유제
50%
1,000배
파종 전 24시간 침지

 

붙임 2

벼 키다리병 감염경로와 병 증상

 

□ 벼 키다리병 감염경로

❍ 논에서 벼 줄기에 형성된 벼 키다리병 원인균의 포자가 출수기 무렵 바람에 날려 꽃으로 감염되고, 볍씨에서 월동하여 이듬해 감염된 볍씨에서 병이 발생함.

 

□ 벼 키다리병 증상

붙임 3

벼잎선충의 형태와 피해 증상

 

 

□ 벼잎선충 피해 조사 결과(2022년 기준)

❍ 전국 47개 시군, 1,597개 벼 포장 조사 결과 벼잎선충에 의해 피해를 받은 포장은 26.6%였으며, 품질 저하와 수량 감소가 예상되는 포장은 전체 포장의 1.6%로 조사되었음.

조사지역
조사시군
조사 포장 수
선충피해
검출 포장 수
피해 포장 수*
강원도
3
54
9(16.7%)
0(0%)
경기도
6
246
23(9.4%)
0(0%)
충청북도
5
135
18(13.3%)
0(0%)
충청남도
7
242
31(5.4%)
0(0%)
전라북도
6
205
86(42.0%)
8(3.9%)
전라남도
8
305
118(38.7%)
1(0.3%)
경상북도
6
212
46(21.7%)
0(0%)
경상남도
6
198
94(47.5%)
17(8.6%)
47
1,597
425(26.6%)
26(1.6%)

* 피해 포장: 30주당 5주 이상 선충피해증상 포장, 농가 자체 진단 가능, 자가채종 금지

 

벼잎선충의 형태

❍ 벼잎선충의 크기는 0.7mm 내외로 몸통이 가늘고 길며, 꼬리는 원뿔형으로 끝에 3∼4개의 돌기가 있음.

 

벼잎선충 피해 증상

 

❍ 벼잎의 끝부분이 흰색으로 변하면서 구부러지고 기형이 된 후 점점 회색으로 변함. 피해 본 벼는 완전미율과 천립중(낟알 천 개의 무게)이 감소하고 쌀 색이 변하거나 검은 점이 생겨 품질을 떨어뜨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