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상반기 R&D 투자 상위 1,000대 기업 R&D 투자액, 전년 대비 12.9% 증가한 22.7조원
2022.11.21 산업통상자원부
‘22년 상반기 R&D 투자 상위 1,000대
기업 R&D 투자액, 전년 대비 12.9% 증가한 22.7조원
|
- 산업부, KIAT 「기업 R&D 스코어 보드」 조사 결과 발표 -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원장 민병주, 이하 KIAT)은 국내 R&D 투자 상위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1년과 ‘22년 상반기 R&D 투자액과 ’22년 R&D 투자액 전망을 발표했다.
ㅇ 산업부는 KIAT와 함께 매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공시 상장기업 및 기타외감법인의 개별 감사보고서 및 반기보고서를 분석하여
ㅇ R&D 투자 상위 1,000대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현황에 대한 기초통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업 R&D 스코어 보드」를 발표하고 있다.
□ 국내 R&D 투자 상위 1,000대 기업 R&D 투자액은 지난 10년간 꾸준히 증가하여 ’21년 60조원(60.4조원, 전년 대비 5조원 8.9% 증가)을 돌파하였으며,
ㅇ 전년대비 R&D 투자액 증가율도 ‘20년 3.4%에서 ’21년 8.9%로 증가하여 지난 ‘13년 10.5%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 R&D 투자 상위 1,000대 기업의 R&D 투자액 및 증가율 추이 (단위 : 십억 원, %) >
![](https://blog.kakaocdn.net/dn/bgBmLz/btrRNBUPjzi/qhctJtZs1rJkKwxda309XK/img.png)
□ ’22년 상반기 1,000대 기업의 R&D투자는 22.7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조원(12.9%) 증가하였으며,
ㅇ 지난 3년간 1,000대 기업의 상반기 R&D 투자비중(35% 내외)을 고려하여 산출한 ‘22년 R&D 투자액의 경우 전년 대비 9.4% 증가(+5.7조원)한 66.1조원으로 추정되어, 증가추세가 보다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 R&D 투자 상위 1,000대 기업의 R&D 투자액 추이(단위: 조원, %) >
구분
|
|
’20
|
|
’21
|
|
’22 (전망)
|
’20 상반기
|
|
’21 상반기
|
|
’22 상반기
|
|
|
R&D 투자액
|
19.6
|
55.4
|
20.1
|
60.4
|
22.7
|
66.1
|
전년대비 증가율
|
+10.7
|
+3.4
|
+2.5
|
+8.9
|
+12.9
|
+9.4
|
* ’22 전망치는 ’20, ’21년도 ‘상반기/연도’(금액 비율)의 평균치를 적용하여 계산
* (자료) DART에 공시된 상반기별 R&D 투자 상위 1,000대 기업의 반기 검토보고서
□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21년 상위 1,000대 기업 R&D 투자액 52.9조원
으로 전체의 87.6%를 차지하며 가장 높았으며,
ㅇ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3.5조원),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1.5조원) 순으로 R&D 투자가 많았다.
구 분
|
제조업
|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
기 타
|
||||
’20
|
’21
|
’20
|
’21
|
’20
|
’21
|
’20
|
’21
|
|
R&D투자액
(조원)
|
49.4
|
52.9
|
2.9
|
3.5
|
1.2
|
1.5
|
1.9
|
2.5
|
비중(%)
|
89.2
|
87.6
|
5.2
|
5.8
|
2.2
|
2.5
|
3.4
|
4.1
|
□ 황수성 산업혁신성장실장은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등 대내외 기업 경영 불확실성 확대에도 코로나 19 이전 수준으로 기업의 R&D 투자 증가율이 회복한 것은 우리 경제의 혁신 성장에 매우 긍정적 요소”라고 밝히며,
ㅇ “앞으로도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R&D 투자에 임할 수 있도록 목표중심·도전적 R&D 확대, 사업화 촉진, 규제 개선 등 민간과 성과 중심의 산업기술 R&D 혁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참고1
|
|
2021년 R&D 투자 1,000대 기업 현황 인포그래픽
|
![](https://blog.kakaocdn.net/dn/bTSZAM/btrRJoCP0c8/JCkJ8pClCcYIG1pGrzbkf0/img.png)
참고2
|
|
최근 5년간 R&D 투자 1,000대 기업 현황 주요내용
|
(단위 : 개, 십억 원, %, %p)
구 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전년
대비
|
|
기업체 수
|
99명이하
|
109
|
124
|
122
|
141
|
160
|
13.48
|
100~299명
|
359
|
354
|
342
|
325
|
309
|
-4.92
|
|
300~999명
|
346
|
335
|
346
|
342
|
329
|
-3.80
|
|
1,000명이상
|
186
|
187
|
190
|
192
|
202
|
5.21
|
|
합계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
|
|
R&D
투자액
|
99명이하
|
605
|
629
|
736
|
991
|
1,378
|
39.05
|
100~299명
|
2,350
|
2,387
|
2,543
|
2,495
|
2,674
|
7.17
|
|
300~999명
|
3,433
|
3,752
|
4,240
|
4,571
|
4,454
|
-2.56
|
|
1,000명이상
|
39,647
|
42,868
|
46,124
|
47,382
|
51,849
|
9.43
|
|
합계
|
46,035
|
49,635
|
53,642
|
55,439
|
60,355
|
8.87
|
|
종업원수
|
99명이하
|
6,804
|
7,129
|
7,057
|
8,382
|
8,950
|
6.78
|
100~299명
|
68,747
|
67,680
|
64,952
|
63,201
|
59,706
|
-5.53
|
|
300~999명
|
188,615
|
184,537
|
188,416
|
186,525
|
177,780
|
-4.69
|
|
1,000명이상
|
980,343
|
989,700
|
986,953
|
994,304
|
1,032,931
|
3.88
|
|
합계
|
1,244,509
|
1,249,046
|
1,247,378
|
1,252,412
|
1,279,367
|
2.15
|
|
매출액
대비R&D
투자비중
|
99명이하
|
14.19
|
14.26
|
19.72
|
27.31
|
29.63
|
2.32%p
|
100~299명
|
5.77
|
5.71
|
6.53
|
5.83
|
6.47
|
0.64%p
|
|
300~999명
|
2.84
|
2.87
|
3.24
|
3.69
|
3.26
|
-0.43%p
|
|
1,000명이상
|
3.62
|
3.75
|
4.29
|
4.50
|
4.17
|
-0.33%p
|
|
합계
|
3.65
|
3.76
|
4.29
|
4.53
|
4.23
|
-0.30%p
|
자료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1,000대 R&D 투자 기업 스코어보드
참고3
|
|
최근 5년간 R&D 투자 1,000대 기업 업종별 R&D투자 현황
|
(단위 : 십억 원, %)
구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전년
대비
|
전산업
|
46,035
|
49,635
|
53,642
|
55,439
|
60,355
|
8.87
|
99명 이하
|
605
|
629
|
736
|
991
|
1,378
|
39.05
|
100~299명
|
2,350
|
2,387
|
2,543
|
2,495
|
2,674
|
7.17
|
300~999명
|
3,433
|
3,752
|
4,240
|
4,571
|
4,454
|
-2.56
|
1,000명 이상
|
39,647
|
42,868
|
46,124
|
47,382
|
51,849
|
9.43
|
A 농업, 임업 및 어업
|
13
|
18
|
20
|
23
|
22
|
-4.35
|
B 광업
|
-
|
-
|
-
|
-
|
-
|
|
C 제조업
|
41,349
|
44,597
|
47,862
|
49,385
|
52,869
|
7.05
|
10 식료품 제조업
|
193
|
208
|
241
|
223
|
259
|
16.14
|
11 음료 제조업
|
5
|
4
|
4
|
4
|
5
|
25.00
|
12 담배 제조업
|
16
|
20
|
47
|
50
|
73
|
46.00
|
13 섬유제품 제조업(의복제외)
|
3
|
92
|
106
|
98
|
108
|
10.20
|
14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33
|
38
|
37
|
18
|
19
|
5.56
|
15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74
|
68
|
73
|
83
|
85
|
2.41
|
16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가구제외)
|
-
|
-
|
-
|
-
|
-
|
|
1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4
|
4
|
4
|
5
|
6
|
20.00
|
1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
-
|
-
|
-
|
-
|
|
19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109
|
265
|
243
|
263
|
264
|
0.38
|
20 화합물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
|
2,107
|
2,103
|
2,273
|
2,313
|
2,119
|
-8.39
|
21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1,663
|
1,879
|
2,122
|
2,431
|
2,665
|
9.63
|
22 고무제품 및 프라스틱제품 제조업
|
342
|
431
|
490
|
441
|
438
|
-0.68
|
23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67
|
60
|
67
|
74
|
70
|
-5.41
|
24 제1차 금속 제조업
|
641
|
646
|
642
|
571
|
232
|
-59.37
|
25 금속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
|
147
|
97
|
147
|
147
|
132
|
-10.20
|
26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25,212
|
24,532
|
26,496
|
27,347
|
29,914
|
9.39
|
27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
362
|
645
|
825
|
853
|
984
|
15.36
|
28 전기장비 제조업
|
991
|
4,001
|
4,329
|
4,456
|
5,292
|
18.76
|
2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1,426
|
1,441
|
1,504
|
1,511
|
1,643
|
8.74
|
30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
7,280
|
7,554
|
7,657
|
7,841
|
7,903
|
0.79
|
3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663
|
485
|
538
|
640
|
637
|
-0.47
|
32 가구 제조업
|
-
|
-
|
-
|
-
|
-
|
|
33~34 기타 제품 제조업,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10
|
23
|
17
|
17
|
19
|
11.76
|
D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
708
|
753
|
768
|
720
|
734
|
1.94
|
E 하수 ·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
5
|
-
|
4
|
9
|
-
|
|
F 건설업
|
221
|
526
|
665
|
555
|
628
|
13.15
|
G 도매 및 소매업
|
244
|
307
|
384
|
394
|
431
|
9.39
|
H 운수업
|
9
|
-
|
-
|
6
|
48
|
700.00
|
I 숙박 및 음식점업
|
-
|
-
|
-
|
-
|
-
|
|
J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
2,464
|
2,531
|
2,683
|
2,942
|
3,462
|
17.68
|
K 금융 및 보험업
|
302
|
227
|
235
|
156
|
631
|
304.49
|
L 부동산 및 임대업
|
-
|
-
|
-
|
-
|
-
|
|
M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
685
|
646
|
993
|
1,224
|
1,500
|
22.55
|
N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
18
|
18
|
16
|
17
|
25
|
47.06
|
O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
-
|
-
|
-
|
-
|
-
|
|
P 교육 서비스업
|
8
|
13
|
11
|
9
|
6
|
-33.33
|
Q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
-
|
-
|
-
|
-
|
-
|
|
R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
-
|
-
|
-
|
-
|
-
|
|
S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
9
|
-
|
-
|
-
|
-
|
|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출산, 고령사회기본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11.22.) (1) | 2022.11.22 |
---|---|
2021년 매출 1천억원 넘는 벤처 739개…전년비(比) 16.7% 증가 (0) | 2022.11.22 |
보조금24로 시골 부모님의 혜택도 확인할 수 있어요 (1) | 2022.11.22 |
2022년도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고지 관련 주요내용입니다. (0) | 2022.11.22 |
2022년 종합부동산세, 12월 15일 까지 납부하세요 (1) | 2022.1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