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문도 갯바위 생태휴식제 시행 1년, 생태계 회복 중
2022.10.30 환경부
거문도 갯바위 생태휴식제 시행 1년, 생태계 회복 중
|
- 지역주민, 낚시어선단체 등과 한마음으로 거문도 전역 확대 -
|
□ 1년간 시행한 갯바위 생태휴식제의 생태계 회복 효과 확인
□ 11월 1일부터 3개월간 거문도 전 해안을 통제 구역으로 지정하고 주민, 낚시어선 단체 등과 합동 쓰레기 수거 및 오염원 제거 추진
|
□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국립공원공단(이사장 송형근)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거문도(전남 여수시 소재) 내에서 ‘갯바위 생태휴식제’를 지난해 9월부터 1년간 시범운영한 결과, 갯바위 오염도가 줄어들고 생태계가 회복 중이라고 밝혔다.
○ 이 같은 효과에 힘입어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11월 1일부터 거문도 전 해안으로 생태휴식제를 확대 시행*할 예정이다.
* ’22.11.1.~ 별도 해제 시까지(1개월 계도기간 포함)
□ 거문도 ‘갯바위 생태휴식제’ 시범운영은 이 일대 해안 지역을 대상으로 무분별한 낚시로 인해 오염․훼손이 심한 지역(휴식구간)의 갯바위를 통제하여 생태계를 회복시키고, 경미한 곳(체험구간)은 건전한 낚시 문화가 정착되도록 운영되었다.
○ 국립공원공단은 시범운영 기간 동안 지역 주민과 낚시어선단체 등이 참여하는 이해관계자* 협의체를 운영하면서, 해양쓰레기 수거(813kg), 폐납제거(272kg), 천공복원(180개) 및 무단출입에 대한 단속을 실시했다.
* 주민, 낚시어선단체(여수시, 고흥군), 여수시, 해경,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 등
○ 아울러 갯바위 오염도와 생태계 훼손여부 등을 수시로 살폈다.
□ 한편, 국립공원공단 소속 국립공원연구원은 이번 ‘갯바위 생태휴식제’에 대해 오염도 및 생태계건강성을 평가하고, 이 시범사업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 국립공원연구원 평가 결과, 갯바위 종합오염도*는 시범사업 시행 전후 10.3점에서 6.5점으로 3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폐납, 해양쓰레기, 생태계 훼손 등을 등급화한 점수(붙임2 참조)
○ 생태계건강성에서는 따개비 등 갯바위에 서식하는 해양생물 평균 서식밀도가 시행이후 단위면적당 개체수 5.54(개/㎡)에서 8.77(개/㎡)로 증가하는 등 생태계가 건강해진 것으로 드러났다.
□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환경부는 ‘갯바위 생태휴식제 이해관계자 협의체’와 합의를 거쳐 거문도 전 지역으로 11월 1일부터 생태휴식제 확대를 결정했다.
○ 거문도 생태휴식제 확대는 먼저, 내년 1월까지 3개월간 지역주민, 낚시어선단체, 시민단체, 해양경찰, 지자체 등과 함께 폐납 등 미처리 오염물질 정화활동을 시행하고, 내년 2월부터 일부 구간에서 주민들이 해양생물 체험구간(유어장* 등)을 운영할 예정이다.
* 체험학습이나 낚시 등 관광용 어장(수산업법 제65조 및 양식산업발전법 제55조)
○ 체험구간은 일정기간이 지나면 해양생물의 감소와 갯바위 오염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휴식 구간과 교차 운영될 예정이다.
○ 국립공원공단은 수중 생태계 오염도를 장기적으로 관측(모니터링)하고 자원봉사단체 등과 함께 수중오염원 제거 활동도 추진할 계획이다.
□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갯바위 생태휴식제가 오염도 감소 및 생태계 건강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 만큼 다른 해상·해안국립공원의 섬으로 점진적으로 확대 시행할 계획”라면서,
○ “자연공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기 위해 환경부와 협력하여 국립공원을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지역사회와 상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정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붙임 1. 거문도 갯바위 생태휴식제 대상지.
2. 갯바위 생태휴식제 시범사업 평가 결과.
3. 거문도 갯바위 생태휴식제 시범사업 추진실적.
4. 질의응답. 끝.
붙임 1
|
|
거문도 갯바위 생태휴식제 대상지
|
![](https://blog.kakaocdn.net/dn/xaBX7/btrPQMevu3J/GiqN4xIdlKuK3TNYslMD40/img.png)
붙임 2
|
|
갯바위 생태휴식제 시범사업 평가 결과
|
□ (갯바위 오염도) 오염도 평균 37% 감소(오염도 10.3 → 6.5, 37%↓)
구분
|
조사
지점
|
오염도
|
폐납
(개수/10㎡)
|
해양쓰레기
(개수/10㎡)
|
생태계훼손
(개수/10㎡)
|
||||||
오염도
|
점수
|
오염도
|
점수
|
||||||||
전
|
후
|
전
|
후
|
전
|
후
|
전
|
후
|
||||
전체평균
|
|
10.3
|
|
6.5
(37%↓)
|
11.1
|
0.1
|
8.2
|
1.1
|
43.4
|
15.0
|
|
휴식구간
|
평 균
|
|
10.5
|
|
6.2
|
12.0
|
0.2
|
8.4
|
0.0
|
39.7
|
13.5
|
서도1
|
보통
|
9.0
|
경미
|
3.0
|
0.0
|
0.0
|
14.0
|
0.0
|
10.0
|
2.0
|
|
서도2
|
심각
|
11.0
|
보통
|
7.0
|
13.0
|
0.0
|
6.0
|
0.0
|
17.0
|
17.0
|
|
서도3
|
심각
|
11.0
|
보통
|
7.0
|
16.0
|
0.0
|
0.0
|
0.0
|
12.0
|
11.0
|
|
서도4
|
심각
|
13.0
|
경미
|
3.0
|
14.0
|
0.0
|
13.0
|
0.0
|
40.0
|
5.0
|
|
서도5
|
심각
|
11.0
|
보통
|
7.0
|
23.0
|
0.0
|
5.0
|
0.0
|
50.0
|
13.0
|
|
서도6
|
심각
|
13.0
|
경미
|
5.0
|
10.0
|
0.0
|
28.0
|
0.0
|
60.0
|
9.0
|
|
서도7
|
보통
|
7.0
|
보통
|
7.0
|
0.0
|
0.0
|
0.0
|
0.0
|
22.0
|
13.0
|
|
서도8
|
심각
|
13.0
|
보통
|
7.0
|
7.0
|
0.0
|
38.0
|
0.0
|
50.0
|
10.0
|
|
서도9
|
심각
|
11.0
|
보통
|
7.0
|
30.0
|
0.0
|
0.0
|
0.0
|
80.0
|
18.0
|
|
서도10
|
보통
|
7.0
|
보통
|
7.0
|
2.0
|
2.0
|
0.0
|
0.0
|
46.0
|
20.0
|
|
서도11
|
보통
|
9.0
|
보통
|
7.0
|
7.0
|
0.0
|
0.0
|
0.0
|
40.0
|
14.0
|
|
서도12
|
심각
|
11.0
|
보통
|
7.0
|
17.0
|
0.0
|
5.0
|
0.0
|
46.0
|
22.0
|
|
서도13
|
심각
|
11.0
|
보통
|
7.0
|
17.0
|
0.0
|
0.0
|
0.0
|
43.0
|
22.0
|
|
체험구간
|
평 균
|
|
9.0
|
|
8.0
|
5.5
|
0.0
|
7.0
|
8.5
|
67.5
|
24.5
|
서도14
|
보통
|
9.0
|
보통
|
9.0
|
5.0
|
0.0
|
13.0
|
17.0
|
55.0
|
15.0
|
|
서도15
|
보통
|
9.0
|
보통
|
7.0
|
6.0
|
0.0
|
1.0
|
0.0
|
80.0
|
34.0
|
참고
|
|
오염도 산정 기준표
|
구분
|
상
|
중
|
하
|
||||||
기준
|
점수
|
기준
|
점수
|
기준
|
점수
|
||||
폐납
|
11개 이상
|
5
|
6~10개
|
3
|
0∼5개
|
1
|
|||
해양쓰레기
|
21개 이상
|
5
|
11∼20개
|
3
|
0∼10개
|
1
|
|||
생태계 훼손
|
10개 이상
|
5
|
6∼9개
|
3
|
0∼5개
|
1
|
|||
|
|
|
|
|
|
|
|||
오염도(P)
|
11점 이상(심각)
|
6∼10점(보통)
|
5점 이하(경미)
|
||||||
P = 폐납 등급 점수 + 해양쓰레기 등급 점수 + 생태계 훼손 등급 점수
|
□ (생태계 건강성) 해양생물 서식밀도 58% 증가, 출현종수는 시행 전‧후 유사
구 분
|
시행 초기(2021. 11.)
|
시행 말기(2022. 7.)
|
||||
전체
|
휴식구간
|
체험구간
|
전체
|
휴식구간
|
체험구간
|
|
출현종수(종수/㎡)
|
5.5
|
8
|
3
|
5.5
|
7.75
|
3.25
|
서식밀도(개체수/㎡)
|
5.54
|
8.8
|
2.27
|
8.77
(58%↑)
|
15.09
(71%↑)
|
2.45
(8%↑)
|
※ (조사기간) 2021.11. ~2022.7. / 국립공원연구원 조사
붙임 3
|
|
거문도 갯바위 생태휴식제 시범사업 추진실적
|
□ 갯바위 오염원 제거
구분
|
제거 횟수(회)
|
투입인원
(명)
|
폐납
|
해양낚시
쓰레기(kg)
|
비고
|
|
개수(개)
|
수거량(kg)
|
|||||
실적
|
17
|
117
|
4,053
|
272
|
813
|
|
□ 불법행위 관리
구분
|
순찰 횟수
(회)
|
투입인원
(명)
|
과태료 부과(건)
(’21.9.~현재)
|
비고
|
실적
|
29
|
207
|
33(서도지역 2, 그 외 지역 31)
|
|
□ 온‧오프라인 홍보
구분
|
언론보도
(회)
|
SNS
(회)
|
안내표지판 (현수막) 설치(개소)
|
FTV 자막홍보
(회)
|
홍보물 배부(매)
|
어선안전조업국(회)
|
비고
|
|
방송
|
문자
|
|||||||
실적
|
43
|
4
|
표지판 11
현수막 12
|
2,000
|
3,000
|
258
|
6,469
|
|
□ 상생협력 추진
구분
|
이해관계자
협의체 운영(회)
|
주민자율관리사업(회)
|
낚시단체 물품
(쓰레기 봉투) 지원(매)
|
비고
|
실적
|
6
|
15
|
4,500
|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코리아세일페스타 11월 1일 개막 (0) | 2022.11.01 |
---|---|
[부처합동] 정부합동으로 ‘식품안전’ 관련 공익침해행위 집중신고 기간 운영 (0) | 2022.11.01 |
인공지능, 디지털 혁신의료기기 의료현장 진입 기간 1/5로 단축 (0) | 2022.11.01 |
소·돼지 분뇨의 권역별 이동제한 조치 시행 (2) | 2022.11.01 |
동남아 방문 시 뎅기열 주의하세요! (11.1.화) (0) | 2022.1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