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방문 시 뎅기열 주의하세요! (11.1.화)
2022.11.01 질병관리청
동남아 방문 시 뎅기열 주의하세요!
|
주요 내용
□ 올해 베트남,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뎅기열 환자 발생 급증
○ 국내 유입된 뎅기열 환자는 2022.10월까지 59명으로 전년(‘21년 3명) 대비 급증
□ 동남아 지역 방문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입국 후 뎅기열 의심되면 의료기관에서 신속한 진단 및 치료 당부
|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최근 베트남 등 방문 후 뎅기열에 감염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동남아시아 출국을 준비하는 국민들에게 뎅기열에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주의를 당부하였다.
○ 뎅기열은 매년 전 세계적으로 100개 이상 국가에서 1억 명 이상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에 따르면 전 세계 뎅기열 발생이 국제교류 활성화 등으로 지난 20년 동안 8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올해는 동남아를 중심으로 뎅기열이 급증하고 있으며, 주요 국가별로는 2022년 9월 기준 베트남 224,771명, 필리핀 160,956명, 태국 19,484명, 인도네시아 94,355명이 발생 보고되었다.[붙임2 참조]
□ 국외 뎅기열 발생이 급증하는 상황과 더불어 최근 우리나라에서 해외방문이 활성화됨에 따라 위험 국가로부터 유입되는 뎅기열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 9월 기준 내국인 입국자수(법무부) : 2021년 795,175명 2022년 3,180,698명(300%증가)
○ 우리나라 뎅기열 환자는 매년 해외유입으로 지속 발생 중이며, 지난 2년간 해외방문 감소로 환자발생이 급감한 이후 올해 다시 증가 추세에 있다.
- 10월 31일 기준 총 59명 환자가 해외유입으로 신고되었으며, 추정감염국가는 베트남 21명, 필리핀 6명, 태국 6명, 인도네시아 6명, 인도 5명, 싱가포르 4명 순으로 베트남에서 가장 많은 환자가 유입되었다.
연도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10.*
|
환자수(명)
|
252
|
165
|
255
|
313
|
171
|
159
|
273
|
43
|
3
|
59
|
* 2022.10.31.신고보고 기준(잠정통계)
- 이 중 2명은 국립부산․김해공항검역소에서 수행 중인 「해외유입 모기매개감염병 조기발견 사업(7.20.~11.30.)」과 관련하여 입국자 중 유증상자 대상 스크리닝 검사를 통해 확인된 사례로 각각 베트남과 태국에서 유입되었다.
○ 최근 6년간(2017년~2022년 10월) 신고된 뎅기열 환자(708명) 중 동남아시아에서 감염된 사례(611명)가 전체의 86.3%를 차지하고 있어, 올해 뎅기열 유입국가 현황은 예년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뎅기열은 뎅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숲모기에 물려 감염되고, 3~14일의 잠복기를 거쳐 갑작스런 고열, 두통, 발진, 근육통 등 증상이 나타나며, 환자 중 약 5%는 중증 뎅기 감염증(뎅기쇼크증후군, 뎅기출혈열)으로 사망할 수 있다.
○ 뎅기열은 현재 예방백신 및 치료제가 없으므로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 만약 뎅기열 위험국가에서 모기물림 후 2주 이내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료진에게 최근 방문력을 알리고 신속한 진단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
□ 이에 질병관리청은 베트남 등 뎅기열 위험지역의 방문을 계획하고 있는 국민들에게 다음과 같은 예방수칙을 숙지해 줄 것을 각별히 당부하였다.
|
< 뎅기열 예방수칙 >
|
|
|
|
|
① 방문 전
- 방문지역별 주의해야 할 감염병 정보 확인하기
* 질병관리청 누리집(kdca.go.kr)→감염병→해외감염정보→국가별감염병예방정보
- 모기 예방법을 숙지하고 모기기피 용품* 및 상비약 준비하기
* 모기 기피제, 모기장, 모기향, 밝은색 긴팔 상의 및 긴 바지 등
② 방문 중
- 모기가 많이 있는 ‘풀 숲’ 및 ‘산 속’ 등은 가급적 피하기
- 외출 시 긴 팔 상의와 긴 바지를 착용하고, 모기 기피제 사용하기
- 모기는 어두운 색에 유인되므로, 활동 시 밝은 색 옷 착용하기
- 방충망 또는 모기장이 있고 냉방이 잘 되는 숙소에서 생활하기
③ 방문 후
- 귀국 후 2주 이내 의심증상(발열, 두통, 근육통, 관절통, 발진 등)이 발생하면
가까운 의료기관 방문하기
- 의료기관 방문 시 의료진에게 최근 해외 방문력을 알려주기
- 헌혈 보류기간(4주) 동안 헌혈을 금지하기
|
<붙임> 1. [홍보자료] 뎅기열 안내문
2. 뎅기열 국내·외 발생 현황
3. [카드뉴스] 뎅기열 바로알기
4. 뎅기열 개요
붙임 1
|
|
[홍보자료] 뎅기열 안내문
|

붙임 2
|
|
뎅기열 국내 ‧ 외 발생 현황
|
□ 국내 뎅기열 발생 현황 [2022년은 잠정통계이며, 10.31. 신고일 기준임]
○ 2000년 10월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된 이후, 매년 해외유입으로 환자 지속 발생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이전은 평균 200명 내·외로 발생

□ 국외 주요국가 뎅기열 발생 현황[자료출처 : ECDC, WHO(WPRO)]

○ 대부분 아시아 지역에서 전년 대비 뎅기열 발생 규모 급증
- (베트남) 2022년 38주차 11,472명, 누적 224,771명(사망 92명) 발생, 전년동기간 49,759명(사망 20명) 대비 351.7% 증가
- (필리핀) 2022년 37주차 362명, 누적 160,956명(사망 508명) 발생, 전년동기간 56,834명 대비 183.2% 증가
- (태국) 2022년 39주차 19,484명(사망없음) 발생, 전년동기간 13,669명(사망 6명) 대비 235.1% 증가
- (인도네시아) 2022년 39주차까지 94,355명 발생(사망 853명)
- (말레이시아) 2022년 38주차 1,533명, 누적 42,084명(사망 24명) 발생, 전년동기간 19,423명(사망 13명) 대비 116.7% 증가
- (싱가포르) 2022년 38주차 478명, 누적 27,761명 발생, 전년동기간 4,284명 대비 548% 증가
* 2022년 8월 혈청형 분포: DEN-1(2.0%), DEN-2(15.2%), DEN-3(77.0), DEN-4(5.9%)
- (라오스) 2022년 36주차 740명, 누적 24,255명 발생(사망 20명), 전년동기간 1,100명 대비 2,105% 증가
- (캄보디아) 2022년 36주차 7,229명(사망 13명), 치명률 0.2%
붙임 3
|
|
[카드뉴스] 뎅기열 바로알기
|
|
|
|
|
|
|
|
|
|
|
붙임 4
|
|
뎅기열 개요
|
구 분
|
내 용
|
병원체
|
◼ 뎅기 바이러스(Dengue virus)
- 4개 혈청형 : DEN-1, DEN-2, DEN-3, DEN-4
|
병원소
|
◼ 모기/사람
|
매개체
|
◼ 숲모기를 통해 전파
- 주로 이집트숲모기(Aedes aegypti)에 의해 주로 매개되나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에 의해서도 매개됨
※ 국내에서는 흰줄숲모기가 서식하나, 현재까지 국내 서식하는 흰줄숲모기 바이러스 미검출
|
전파경로
|
◼ 모기↔사람 : 이집트숲모기, 흰줄숲모기
◼ 사람↔사람 : 수혈, 성접촉, 태반, 모유 등
|
발생현황
|
◼ 국내에서는 2000년에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되었으며, 국내발생은 없으나 해외 유입 사례가 매년 200~300건 신고됨. 주요 추정감염지역은 필리핀,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인도,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임
◼ 열대와 아열대지방에 걸쳐 전 세계적 분포, 세계보건기구는 뎅기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매년 약 1억명의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
주요증상 및 임상경과
|
◼ 뎅기바이러스에 감염되어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불현성 감염자가 70~80%
◼ 급성 발열성 질환
- 주요증상 : 갑작스런 고열, 두통, 근육통, 관절통, 백혈구감소증, 혈소판감소증 등
◼ 중증 뎅기열(뎅기출혈열, 뎅기쇼크증후군 등)
- 성인보다 소아에서 주로 발생
- 주요증상 : 심한 복통, 지속적인 구토, 빠른 호흡, 잇몸출혈, 피로, 피가 섞인 구토 등
- 이전에 뎅기바이러스에 감염된자가 다른 혈청형에 재감염되면 중증 뎅기열로 진행하기 쉬움
- 혈장유출, 체액저류, 호흡곤란, 심한출혈, 장기부전 등의 합병증으로 사망에 이르기도 함
|
진 단
|
◼ 환자검체(혈액)에서 바이러스 분리 또는 유전자 검출
◼ 혈청학적 진단 : 특이 IgM 항체 양성, 회복기/급성기 IgG 항체가 4배이상 증가
|
치 료
|
◼ 대증치료, 출혈성 경향이 있으므로 수액 보충 필요
◼ 아스피린 등 출혈 위험을 증가시키는 약제 금지
◼ 환자를 조기 발견, 치료하여 중증발현을 막는 것이 필요
|
환자 관리
|
◼ 환자격리 : 혈액 및 체액격리(헌혈 금지)
◼ 접촉자격리 : 필요 없음
|
예 방
|
◼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
◼ 방충망, 모기장, 기피제 사용
◼ 긴소매, 긴바지를 입어 노출 부위 최소화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 디지털 혁신의료기기 의료현장 진입 기간 1/5로 단축 (0) | 2022.11.01 |
---|---|
소·돼지 분뇨의 권역별 이동제한 조치 시행 (2) | 2022.11.01 |
11.1.(화)부터 「국세고지서 배달 알림 서비스」 확대 시행 (1) | 2022.11.01 |
한 총리 “정부, 일반 시민들도 심리상담·치료 적극 지원” (0) | 2022.11.01 |
4대 기초노동질서 준수 확립을 위한 "4차 현장 예방점검의 날(10.31.~11.4.)" 운영 (0) | 2022.10.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