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24년 도로정비 15개 우수기관 선정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5. 2. 9.
반응형

'24년 도로정비 15개 우수기관 선정

지방도는충청남도, 특·광역시도는울산광역시, 시·군도는경남 거제시 등 최우수

2025.02.04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지난해(’24년) 각급 도로별 도로 포장 및 안전시설 정비 및 관리실태 등을 종합 평가*하여 15개 우수 도로관리청을 선정·발표했다.

 

* (관련근거) 「도로법」 제50조 및 「도로의 유지ㆍ보수 등에 관한 규칙」 제13조

* (평가기간) ‘24.11.25.∼12.06., (평가대상) 「도로법」 제10조에 따른 모든 도로

 

ㅇ 지난해 도로 정비 최우수 기관 충청남도(지방도), 울산광역시(특·광역시도), 경남 거제시(시·군도), 대전 대덕구(구도),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고속국도), 국토교통부 광주국토관리사무소(일반국도)이다.

 

□ 국토교통부는 매년 연간 2회(춘․추계) 도로정비기간을 지정해 전국 도로시설을 집중 점검하고 있다. 점검결과를 토대로 춘계에는 자체평가를 실시하고, 추계에는 내부 및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중앙 합동평가단의 종합평가를 실시한다.

 

ㅇ 추계 평가 시 여름철 집중호우 등으로 파손되거나 기능이 저하된 도로 우·배수시설물이나 비탈면, 도로파임 등의 적기 보수 여부와 겨울철 강설에 대비한 제설자재 및 장비 확보 상황 등 중점적으로 평가하며,

 

현장평가(70%)와 행정평가(30%)를 실시․합산하여 우수기관을 선정했다.

 

□ 이번에 최우수상을 수상한 충청남도포장도 보수 / 울산광역시는 낙석·산사태 위험지구 정비 / 경남 거제시는 배수시설 정비 / 대전 대덕구는 구조물 보수 등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최우수상을 수상한 6개 기관최우수 기관기를 수여하고, 최우수상을 포함해 우수상 및 장려상을 수상한 15개 기관의 근무자 26명에는 국토부 장관표창을 수여한다.

 

□ 국토교통부 유병수 도로관리과장은 “매년 2차례 시행하는 도로정비기간외에도 연중 지속적으로 도로포장, 안전시설물 등을 점검하고 철저히 정비하여, 국민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도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참 고

2024년 도로정비 평가 현황

 

□ 도로정비평가 개요

 

ㅇ (목적) 전국 도로의 기능유지 및 도로이용자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도로환경 제공을 위해 매년 추계도로정비 및 종합평가 시행*

 

* (근거) 「도로법」 제50조 및 「도로의 유지ㆍ보수 등에 관한 규칙」 제13조

 

ㅇ (정비기간) ‘24.9.25.~10.18.(24일간) ※ 국토부, 도공, 지자체 등 57개 도로관리기관

※ 【 참고 】 24년 추계 도로정비 평가 개요
ㅇ (평가기간) ‘24.11.25.∼12.06.(10일간)
ㅇ (대상) 고속국도 / 일반국도 / 특벽·광역시도 / 지방도 등 도로법상 도로
ㅇ (방법) 현장(70%)+행정평가(30%) * (현장) 포장, 안전시설물 등 10개 항목, (행정) 도로행정관리 등 2개
ㅇ (평가자) 국토부 도로관리과장을 반장으로 도공, 지자체, 민간전문가 합동평가
* 춘계 도로정비 평가는 도로관리청 자체 계획 수립 및 자체평가

 

□ 평가결과

 

지방도는 충남도, 특별광역시도는 울산광역시, 일반국도는 광주국토사무소 등이 최우수기관으로 선정

구 분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
일반국도
광주국토
포항국토
전주국토
지 방 도
충청남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특·광역시도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

시·군도
거제시(경남)
상주시(경북)
화순군(전남)
구도
대덕구(대전)
동구(울산)

고속국도
부산경남본부
대구경북본부

 

ㅇ 전반적으로 지난해 대비 도로포장 및 도로파임 관리, 도로청소상태 등 도로정비관리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남

 

(기관포상) 우승기(6) 및 국토교통부 장관 표창(15)

 

- 우승기(6개) : 도로 등급별 최우수상 기관

 

- 표창(15개) :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

 

(개인포상) 국토교통부 장관표창(26)

 

※ 국토관리사무소 유공자 개인표창은 장려상 이상 각 기관 국도관리원 최소 1인 이상 포함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