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월 소비자물가 동향
2025.02.05 기획재정부
1월 소비자물가는 2.2% 상승
|
-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하고 추세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1.9% 상승
|
<‘25.1월 주요 물가 지표>
(전년동월비, %)
|
총지수
|
식료품·에너지제외
|
농산물·석유류제외
|
생활물가지수
|
신선식품지수
|
‘24.12월 → ’25.1월
|
1.9 → 2.2
|
1.8 → 1.9
|
1.8 → 2.0
|
2.2 → 2.5
|
2.9 → 0.7
|
’25.1월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가격 상승폭 확대 등으로 전년동월비 2.2% 상승(12월 1.9%)하였다. 변동성이 높은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하고 추세적인 물가를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전년동월비 1.9%(12월 1.8%) 상승하면서 안정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가계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들로 구성된 생활물가의 경우,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세는 둔화되었으나, 석유류 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2.5%
(‘24.12월 2.2%) 상승하였다.
향후 물가는 당분간 국제유가 변동성, 이상기후 등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정부는 경각심을 갖고 물가안정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 주요 식품원료 할당관세, 농축수산물 비축·방출 등 먹거리 물가안정 노력을 지속하는 한편, 주요 품목별 물가동향을 지속 점검하고 가격 불안 품목에 대해서는 대응방안을 신속히 강구해나갈 계획이다.
<별첨> ‘25.1월 소비자물가동향 주요 내용
별첨
|
|
'25.1월 소비자물가 동향 주요 내용
|
1. 주요 내용
|
1 (소비자물가) 전년동월비 2.2% 상승 (’24.12월 1.9%)
(%)
|
‘23.12
|
‘24.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5.1
|
전년동월비
|
3.2
|
2.8
|
3.1
|
3.1
|
2.9
|
2.7
|
2.4
|
2.6
|
2.0
|
1.6
|
1.3
|
1.5
|
1.9
|
2.2
|
전월비
|
0.0
|
0.4
|
0.5
|
0.1
|
0.0
|
0.1
|
△0.2
|
0.3
|
0.4
|
0.1
|
0.0
|
△0.3
|
0.4
|
0.7
|
ㅇ 농축수산물 물가는 채소류 상승폭 둔화, 과일류 하락세 지속,
수산물 가격 상승폭 둔화 등으로 전년동월비 상승폭 축소(2.6→1.9%)
* 전년비 변화율(%) : <농산물> 0.6 (채소) 4.4 (과일) △2.6 <축산물> 3.7 <수산물> 2.6
ㅇ 석유류 물가는 국제유가·환율 상승, 작년 기저영향(’24.1월 전월비 △2.5%) 등으로 전년동월비 상승폭 확대(1.0→7.3%)
* 국제유가(두바이유, $/배럴) : (‘23.11)83.6 (12)77.3 (’24.1)78.9 / (’24.11)72.6 (12)73.2 (‘25.1)80.4
휘발유 가격(원/리터) : (‘23.11)1,684 (12)1,601 (’24.1)1,569 / (‘24.11)1,628 (12)1,654 (’25.1)1,709
ㅇ 개인서비스 물가는 여행비 등 외식제외 서비스 상승으로 전년동월비 상승폭 확대(2.9→3.2%)
* 개인서비스(%, 전년비) : (’24.1)3.5 (‘24.2)3.4 (3)3.1 (4)2.8 (5)2.8 (6)2.7 (7)2.9 (8)3.0 (9~12)2.9 (‘25.1)3.2
품목별 전년동월비 상승률 및 기여도
품목별 상승률(%)
|
전체
|
농 축
수산물
|
공업
제품
|
|
전기가스
수도
|
집세
|
공공
서비스
|
개인
서비스
|
|
|
|||
외식
|
외식
제외
|
||||||||||||
석유류
|
가공
식품
|
||||||||||||
12월
|
전년동월비
|
1.9
|
2.6
|
1.4
|
1.0
|
2.0
|
3.0
|
0.6
|
1.0
|
2.9
|
2.9
|
2.8
|
|
(기여도, %p)
|
|
0.2
|
0.5
|
0.0
|
0.2
|
0.1
|
0.1
|
0.1
|
1.0
|
0.4
|
0.6
|
||
1월
|
전년동월비
|
2.2
|
1.9
|
2.2
|
7.3
|
2.7
|
3.1
|
0.6
|
0.8
|
3.2
|
2.9
|
3.5
|
|
(기여도, %p)
|
|
0.2
|
0.7
|
0.3
|
0.2
|
0.1
|
0.1
|
0.1
|
1.1
|
0.4
|
0.7
|
![](https://blog.kakaocdn.net/dn/bA9izI/btsMbGOWKRQ/PMDbddCfP7Tgip1sAtHhmK/img.png)
2 (근원물가*) 안정 흐름이 계속되면서 전년동월비 1.9% 상승(’24.12월 1.8%)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로서,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변동분을 제외한 물가상승률로 458개 품목 중 식료품, 에너지 관련 품목을 제외한 309개 품목으로 작성
(전년동월비, %)
|
12
|
‘24.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5.1
|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
|
2.8
|
2.5
|
2.5
|
2.4
|
2.3
|
2.2
|
2.2
|
2.2
|
2.1
|
2.0
|
1.8
|
1.9
|
1.8
|
1.9
|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
|
3.1
|
2.6
|
2.6
|
2.4
|
2.3
|
2.0
|
2.0
|
2.1
|
1.9
|
1.8
|
1.7
|
1.8
|
1.8
|
2.0
|
3 (생활물가*) 석유류 가격 상승 등으로 전년동월비 2.5% 상승(‘24.12월 2.2%)
* 전체 품목 중 구입 빈도와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에 민감한 144개 품목으로 작성
(전년동월비, %)
|
12
|
‘24.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5.1
|
생활물가지수
|
3.7
|
3.4
|
3.7
|
3.8
|
3.6
|
3.1
|
2.8
|
3.0
|
2.1
|
1.5
|
1.2
|
1.6
|
2.2
|
2.5
|
4 (신선식품*) 신선채소 오름폭 둔화 등으로 전년동월비 0.7% 상승(’24.12월 2.9%)
* 신선어개(생선·해산물), 신선채소, 신선과실 등 계절·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
** 신선식품지수(전년동월비,%,’24.12→‘25.1월) : (신선과실)△2.5→△2.6 (신선채소)10.7→4.4 (신선어개)1.3→0.9
(전 월 비,%,’24.12→‘25.1월) : (신선과실)14.5→4.3 (신선채소)△2.9→4.5 (신선어개)2.1→0.5
(전년동월비, %)
|
12
|
‘24.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5.1
|
신선식품지수
|
14.5
|
14.4
|
20.0
|
19.5
|
19.1
|
17.3
|
11.7
|
7.7
|
3.2
|
3.4
|
1.6
|
0.4
|
2.9
|
0.7
|
2. 평가 및 대응
|
□ (평가) 1월 소비자물가는 농축수산물 상승폭은 축소됐으나, 석유류 가격 상승폭 확대 등으로 전년동월비 2.2% 상승
ㅇ 추세적 물가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1.9%로 안정 흐름 지속
< (참고) 주요국 소비자물가/근원물가 >
|
한국
|
미국
|
영국
|
일본
|
OECD
|
EU
|
|
’25.1월
|
’24.12월
|
’24.12월
|
’24.12월
|
’24.12월
|
’24.12월
|
’24.12월
|
|
소비자물가(%, 전년동월비)
|
2.2
|
1.9
|
2.9
|
3.5
|
3.6
|
4.7
|
2.7
|
근원물가(%, 전년동월비)
|
1.9
|
1.8
|
3.4
|
4.2
|
1.6
|
4.9
|
2.9
|
□ (대응) 향후 물가는 국제유가 변동성·이상기후 등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체감물가 안정 등 확고한 물가 안정기조 정착 노력 지속
ㅇ 주요 식품・사료원료(32종) 등에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농축수산물 비축・방출 등을 통해 먹거리 물가안정
ㅇ 주요 품목별 물가동향을 지속 점검하고, 가격불안 품목에 대해 대응방안 신속 강구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기술로 아시아 11개국 '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DB)' 구축 (0) | 2025.02.09 |
---|---|
㈜한국은거래소의전자상거래법위반행위제재 (0) | 2025.02.09 |
국고여객선 펀드 관리기관으로 세계로선박금융(주) 선정 (0) | 2025.02.03 |
산업부, 미국 신정부 주요 행정조치 대응을 위한 역량 결집 (0) | 2025.02.03 |
난민제도 시행 30년, 누적 난민신청 12만 건 상회 (0) | 2025.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