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농촌진흥청, 2025년 연구개발사업 신규 과제 공모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5. 1. 4.
반응형

농촌진흥청, 2025년 연구개발사업 신규 과제 공모

2025.01.03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2025년 농업연구개발사업 신규 과제 공모’를 1월 2일부터 2월 3일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농촌진흥청은 국정과제 성과 창출과 신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융복합 기술 개발, 지속 가능한 농업 실현과 농촌 현장 문제해결을 지원하기 위해 △생명 자원 보전‧활용 △생산기술 혁신 △식품 서비스 개발 △기후변화, 질병‧재해 대응 △혁신생태계 조성 5대 중점분야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중심으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기 위해 밀 자급률 도약 생산 소비 연계 핵심 기술 개발, 중점 관리 병해충 선제 대응 및 피해경감 기술 실용화, 농산부산물 에코(Eco) 순환 기술 개발 등 12개 사업 131과제(연구비 590억 500만 원)를 공모한다.

 

대학, 정부출연연구기관, 국립연구소, 지방자치단체, 산업체 등 국공립 또는 민간기관 연구자면 누구나 응모할 수 있다. 온라인 평가와 발표평가를 통해 연구과제를 선발하며, 전자 협약을 거쳐 4월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지원 서식과 절차는 1월 2일(목)부터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http://www.iris.go.kr)과 농촌진흥청 누리집에 게시한다. 연구개발계획서는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을 통해 접수하면 된다.

 

 

또한, 응모예정자를 대상으로 1월 7일 에이티(aT)센터에서 신규 과제 설명회를 진행한다. 설명회에서는 세부 및 내역 사업별 신규 과제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질의응답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연구관리과 문규철 과장은 “농업의 신성장동력 확충과 농촌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역량 있는 연구기관과의 협업과 개발 기술의 신속한 현장 보급이 중요하다.”라며, “농업연구개발과제 공모에 연구 역량과 기술력을 갖춘 대학, 출연연구원, 지자체, 산업체, 농업인 단체 등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붙임. 농촌진흥청, 2025년도 연구개발사업 공모 주요 내용

붙임

농촌진흥청, 2025년도 연구개발사업 공모 주요 내용

□ 공모 규모: 12개 사업 131과제, 59,005백만 원

 
사업명
과제수
연구비
(백만원)
5대 중점분야
1. 농생명 마이크로바이옴 혁신 기술 기반 구축(신규)
7
4,000
① 생명자원 보전·활용
2. 신품종지역적응연구(신규내역포함)
37
14,669
3. 밀자급률 도약 생산소비연계 핵심기술 개발(신규)
9
4,400
② 생산기술 혁신
4. 노지 스마트농업 활용 모델 개발(신규)
3
3,750
5. 현장 맞춤형 밭농업기계 고도화
5
2,740
6. 농업빅데이터 수집 및 생산성 향상 모델 개발
4
677
7. 농산부산물 Eco 순환기술 개발(신규)
6
5,000
③ 식품·서비스 개발,
8. 중점관리 병해충 선제대응 및 피해경감기술 실용화(신규)
22
7,900
④ 기후변화, 질병·재해대응
9. 원예작물 수급안정을 위한 이상기상 대응 기술 고도화(신규)
10
6,000
10. 신농업기후변화 대응체계 구축
13
3,360
11.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농업분야 대응 강화 기술
2
385
12. 농업 정책 지원 기술 개발



- 염소 신산업화 경쟁력 강화 기술 개발(신규)
4
2,600
⑤ 혁신생태계 조성
- 꿀벌 강건성 연구
4
1,470
- 디지털기반 농촌공간 재생기술개발
3
454
- 다자간 자유무역 협정대응 수출농업 경쟁력 강화 기술 개발
2
1,600
131
59,005

 

□ 2025년 중점분야별 신규과제 주요 내용

① 생명자원 보전·활용

(농생명 마이크로바이옴 혁신 기술 기반 구축) 농생명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베이스 공공서비스 개발 및 분양자원 뱅크 구축, AI기반 작물 스트레스 제어, 토양 양분 이용 효율, 한우, 자돈 등 마이크로바이옴 조절 기술개발 * 신규사업

- 예산: 총사업비 199.9억원(’25∼’28), ’25년 40억

- 과제 공모: 7과제 40억

* 농생명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 및 자원제공 서비스 구축 2과제, 작물·가축 생산성 향상 마이크로바이옴 조절 기술 개발 5과제

(신품종지역적응연구) 작목별(꿀벌, 벼, 콩, 두류, 마늘·양파, 포도 등) 안정 수급을 위한 신품종 지역적응 연구, 내수 및 수출 용도별 맞춤형 장립종 품종개발, 한국형 장립종 벼 안정생산 및 규모화 재배기술 개발

 

- 예산: ’25년 205.3억원

- 과제 공모: 37과제 146억원

* 신품종 개발 공동연구 33과제, 장립종 벼 기반 쌀 산업혁신 프로젝트 4과제

② 생산기술 혁신

(밀자급률 도약 생산소비연계 핵심기술 개발) 밀 2모작 확대를 위한 완효성 비료 시비기술 및 밀 중심 작부체계 개발, 국산밀 품질 안정화를 위한 단백질 및 전분 특성 개량, 식사 대용 빵 가공 적성평가 및 제품개발, 품질 균일성을 위한 수확 후 저장·유통 품질관리 기술개발 * 신규사업

- 예산: 총사업비 278.6억원(’25∼’29), ’25년 44억

- 과제 공모: 9과제 44억

* 밀 2모작 확대 장애요인 극복기술 개발 5과제, 국산밀 소비 촉진을 위한 품질제고 기반 기술개발 4과제

(노지 스마트농업 활용 모델 개발) 논 이모작 재배(벼+밀, 콩, 마늘, 양파 등), 노지 밭작물(마늘, 양파, 배추 등) 및 노지 과수(사과, 배, 감귤 등)의 스마트영농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 신규사업

- 예산: 총사업비 187.5억원(’25∼’28), ’25년 37.5억

- 과제 공모: 3과제 37.5억

* 노지 스마트 영농 통합 솔루션 개발 3과제

(현장 맞춤형 밭농업기계 고도화) 차속 제동제어 소형 자주식 콩 수확기계 개발, 고성능·고효율 무·콩 균일 깊이 파종기 개발, 자주식 고무가 복합수화기 개발

- 예산: 총사업비 147.2억원(’23∼’27), ’25년 44.4억

- 과제 공모: 5과제 27.4억

* 현장 맞춤형 다목적 밭 농업기계 개발 5과제

 

(농업빅데이터 수집 및 생산성 향상 모델 개발) 수집 빅데이터 활용 스마트농업 기반 구축을 위한 시설원예, 노지, 과수 분야 생산향상 모델, 수확량 예측 모델 등 빅데이터, AI 기반 스마트 농업기술 개발

- 예산: 14.2억원(’25∼’27)

- 과제 공모: 4과제 6.77억

* 농업빅데이터 활용 모델 및 인공지능 개발 4과제

③ 식품·서비스 개발 6

(농산부산물 Eco 순환기술 개발) 농산부산물 원료의 안정적 공급 모델 연구, 농산부산물의 통합정보 구축 연구, 친환경 소재 기술 개발, 과실 부산물 Zero-Waste 기반 다용도 소재 기술개발 * 신규사업

- 예산: 총사업비 316.6억원(’25∼’29), ’25년 50억

- 과제 공모: 6과제 50억

* 농산부산물 원료화 기반 구축 3과제, 농산부산물 소재화 기반 구축 3과제

④ 기후변화, 질병·재해 대응

(중점관리 병해충 선제대응 및 피해경감기술 실용화) 화상병 방제용 합성물질 현장 실용화 및 방제체계 구축, 농업현장 문제 바이러스병 방제제 선발 및 방제기술 개발, 예찰·예측 데이터 자동분석 및 방제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개선 * 신규사업

- 예산: 총사업비 497.6억원(’25∼’29), ’25년 79억

- 과제 공모: 22과제 79억

 

* 과수화상병 등 피해경감 개발 기술 실용화 6과제, 고위험 병해충 확산 방지 기술개발 11과제, 병해충 디지털 예찰·예측 기술개발 5과제

(원예작물 수급안정을 위한 이상기상 대응 기술 고도화) 저일조 피해 경감을 위한 시설재배 작형·작목별 기술개발, 과수 저온 피해 경감을 위한 예측 모델 개발 등 준고랭지 여름배추 작황 관측 기술 확립 및 예측 체계 구축 * 신규사업

 

- 예산: 총사업비 380억원(’25∼’29), ’25년 60억

- 과제 공모: 10과제 60억

 

* 이상기상 대응 원예작물 안정생산 기술개발 6과제, 준고랭지 여름배추 안정 공급체계 구축 4과제

(신농업기후변화 대응체계 구축) AR6 기후전망 기반의 농업 생태계 기후·이상기상 변화량 영향평가, 생육시기 변화에 따른 잡곡의 재배기술 재설정, 온실가스 저감 가축분뇨 자원화 기술 개발 등

- 예산: 총사업비 1,868억원(’20∼’27), ’25년 238.8억

- 과제 공모: 13과제 33.6억

* 농업부문생산환경변동예측및평가 2과제, 기후적응형농축산재배사양기술개발 2과제, 농업기상재해피해저감기술개발 5과제, 기후변화완화및저탄소농업기술개발 4과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농업분야 대응 강화 기술) 돈사 암모니아 배출 제어를 위한 소규모 농가형 혐기소화 기술개발, 미세먼지가 농업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영향평가 연구

- 예산: 총사업비 192.5억원(’25∼’29), ’25년 35억

- 과제 공모: 2과제 3.85억

 

* 농업분야 미세먼지 발생 피해경감 및 저감기술 개발 2과제

⑤ 혁신생태계 조성 * 농업정책지원기술개발사업

(염소 신산업화 경쟁력 강화 기술 개발) 재래흑염소 기반 실용축 개발 및 우수형질 발굴, 염소 번식효율 개선 및 현장 적용기술 개발 등 품질 기준 및 가공기술 개발 * 신규내역사업

- 과제 공모: 4과제 26억

 

* 염소 신산업 경쟁력 강화 기술개발 4과제

(꿀벌 강건성 연구) 꿀벌 전주기 적정 사육법 개발 및 표준화, 꿀벌 사육환경 빅데이터 구축 및 사양관리 자동화 시스템 개발 등 AI 기반 난방제 해충 발생 모니터링 및 꿀벌 피해경감기술 개발

- 과제 공모: 4과제 14.7억

 

* 꿀벌 강건성 연구 4과제

(디지털기반 농촌공간 재생기술개발) 농촌특화지구별 공간관리 및 운영지침 개발 등 농촌공간계획 플랫폼 대국민 서비스 강화

- 과제 공모: 3과제 4.54억

 

* 디지털 기반 농촌공간 재생기술 개발 3과제

(다자간 자유무역 협정대응 수출농업 경쟁력 강화 기술 개발) 인공환경 기반 고품질 딸기 생육제어 기술개발 및 밀식다단 재배의 시공간 효율 극대화

- 과제 공모: 2과제 16억

* 다자간 자유 무역협정 대응 수출농업 경쟁력 강화기술 개발 2과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