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2023년 4/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4. 3. 2.
반응형

2023년 4/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2024.02.29 기획재정부

‘23.4/4분기 가계소득양호한 고용흐름 지속사회안전망 확충 등으로 근로소득(+1.5%)·사업소득(+1.6%)·이전소득(+17.7%)이 모두 증가하며 총소득+3.9% 증가하였으며, 실질소득+0.5% 증가하였다.

 

* 총소득 증감률(전년동기비, %): (‘22.4/4)4.1 (’23.1/4)4.7 (2/4)△0.8 (3/4)3.4 (4/4)3.9

실질소득 증감률(전년동기비, %): (‘22.4/4)△1.0 (‘23.1/4)0.1 (2/4)△3.9 (3/4)0.2 (4/4)0.5

** 항목별 소득(만원): (근로)316.7<+1.5%> (사업)103.5<+1.6%> (이전)67.1<+17.7%>

 

취업자 증가, 국민·기초연금 수급액 상승 등으로 근로소득·이전소득증가하여 모든 분위에서 총소득증가하였다. 다만, 1분위·5분위의 경우, 원자재 등 사업비용 증가 등으로 사업소득 감소하였다.

 

* 분위별 소득 증감률(%): (전체)+3.9 (1분위)+4.5 (2)+3.9 (3)+4.7 (4)+3.8 (5)+3.6

 

소비지출은 오락·문화, 주거·수도·광열, 보건 등 중심으로 증가(+5.1%)하였으나, 흑자액은 소폭 증가(+0.1%)하였다.

 

* 흑자액 = 처분가능소득 – 소비지출, 처분가능소득 = 총소득 – 비소비지출

 

소득 5분위배율5.30배로 전년동기대비 하락(△0.23배p)하였다. 다만, 공식적인 소득분배 개선여부는 가계금융복지조사(연간지표)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5분위배율 : (‘21.4/4)5.71 (’22.4/4)5.53 (‘23.4/4)5.30

 

정부는 소득·분배가 지속 개선될 수 있도록 성장과 사회이동성 선순환 구현을 위해 지속 노력하는 한편, 물가 등 민생안정에도 총력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 상세한 분석은 별첨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별첨 1

’23.4/4분기 가계동향 상세 분석

 

1

주요 동향

 

전체 가구소득
 

 

 

(총소득)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02.4만원, 전년동기대비 +3.9% 증가

 

ㅇ 물가 변동의 영향을 제거한 실질소득+0.5% 증가

 

(소득항목별) 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전소득 모두 증가

 

* 항목별 소득(만원): (근로)316.7<+1.5%> (사업)103.5<+1.6%> (이전)67.1<+17.7%>

 

(근로소득) 취업자 증가, 임금 상승 등 영향으로 증가

 

* 취업자 증감(전년동기비, 만명) : (’22.4/4)60.4 (’23.1/4)39.7 (2/4)34.6 (3/4)26.3 (4/4)30.3

** 전체 임금상승률(전년동기비, %): (‘22.4/4)4.1 (’23.1/4)2.0 (2/4)2.9 (3/4)2.7 (‘23.10월)4.4 (11)3.6

 

(사업소득) 원자재값, 이자 등 사업비용 증가에도 소매업 숙박·음식업의 소폭 개선 영향 등으로 소폭 증가

 

* 생산지수 증감률(전년비, %): (서비스업)2.5 (소매업)1.0 (숙박·음식업)0.8

 

(이전소득) 국민연금 수급액 상승(+5.1%), 기초생활보장제도 보장성 강화 등 사회안전망 확충 등으로 이전소득 큰 폭 증가

 

* 생계·의료급여 재산기준 완화(+4.8만가구), 기준 중위소득 인상(4인가구, +5.47%),

기초연금 인상(’22년 30.8만원→’23년 32.3만원)

 

분위별 소득

 

 

모든 분위에서 소득이 증가하였으며, 1분위 증가율이 5분위 증가율 상회

 

* 분위별 소득 증감률(전년동기비, %): (전체)+3.9 (1분위)+4.5 (2)+3.9 (3)+4.7 (4)+3.8 (5)+3.6

 

(1분위) 사업소득(△7.4%)감소하였으나, 근로자가구 비중 증가, 기초연금 인상 등으로 근로소득(+1.6%)·이전소득(+9.0%)이 증가하며 총소득 증가(+4.5%)

 

(5분위) 자영자 가구 비중 감소로 사업소득(△1.1%)소폭 감소하였으나, 근로소득(+1.7%)·이전소득(+37.9%) 증가총소득 증가(+3.6%)

 

상용직 중심취업자 증가 임금 상승 등에 따른 근로소득 증가 공적연금 수급가구 증가, 부모급여·양육수당 증가공적이전소득 증가에 기인

 

* 상용직 증감(전년동기비, 만명): (’22.4/4)68.4 (’23.1/4)51.4 (2/4)53.4 (3/4)44.7 (4/4)41.6

** 상용직 임금 증감률(전년동기비, %): (’22.4/4)4.3 (’23.1/4)2.4 (2/4)3.4 (3/4)3.0 (‘23.10월)4.7 (11)3.8

 

지출·가계수지
 

 

 

(처분가능소득) 이자비용(+20.0%) 증가 등으로 비소비지출 증가(+5.6%)하였으나 총소득 증가로 처분가능소득은 전년동기대비 증가(+3.5%)

 

※ 처분가능소득 = 총소득 – 비소비지출(조세, 연금지출, 사회보험료 등)

* 분위별 처분가능소득 증감률(%): (전체)+3.5 (1분위)+4.0 (2)+5.0 (3)+4.1 (4)+4.2 (5)+2.5

 

(소비지출)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 283.3만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1% 증가(실질 +1.6%)

 

ㅇ 국내·외여행이 증가하고, 물가 하락세 정체 등으로 생계비가 상승하여 오락·문화, 주거·수도·광열 등에서 지출 증가

 

* 지출 증감률(전년비, %): (오락·문화)+12.3 (주거·수도·광열)+9.5

 

(가계수지) 흑자액 121만원으로 전년동기대비 +0.1% 증가하였고,

평균소비성향 70.1%로 전년동기대비 +1.0%p 증가

 

* 흑자액 = 처분가능소득 – 소비지출, 평균소비성향 = (소비지출 / 처분가능소득)×100

 

적자가구 비율24.7%로 전년동기대비 △0.1%p 감소

 

* 적자가구 비율 =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큰 가구의 비율(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0)

 

소득분배

 

(5분위배율)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 집계한 소득 5분위배율

5.30배로 전년동기대비 하락(△0.23배p)

 

※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 (시장소득 + 공적이전소득 - 공적이전지출) /

*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5분위배율 : (‘21.4/4)5.71 (’22.4/4)5.53 (‘23.4/4)5.30

 

2

평가 및 대응방향
□ (평가) 총소득 증가, 적자가구 비율 감소 등 가계소득 여건 개선

 

‘23.4분기 총소득은 취업자 수의 견조한 증가, 공적연금 인상, 기초생보 보장성 강화 등 사회안전망 확충 등으로 증가

 

* 총소득 증감률(전년동기비, %): (‘22.4/4)4.1 (’23.1/4)4.7 (2/4)△0.8 (3/4)3.4 (4/4)3.9

 

적자가구 비율소비지출(+5.1%)·비소비지출(+5.6%) 증가에도 불구하고, 총소득 증가 등으로 소폭 감소

 

* 적자가구 비율 증감(전년동기비, %p): (‘22.4/4)0.4 (’23.1/4)3.2 (2/4)0.2 (3/4)△0.7 (4/4)△0.1

** 소비지출 증감률(전년동기비, %): (’22.4/4)5.9 (‘23.1/4)11.5 (2/4)2.7 (3/4)3.9 (4/4)5.1

*** 비소비지출 증감률(전년동기비, %): (‘22.4/4)8.1 (‘23.1/4)10.2 (2/4)8.3 (3/4)4.3 (4/4)5.6

 

다만, 주거·연료비 증가, 여행 등 여가생활 관련 수요지속되면서 주거·수도·광열, 오락·문화 등 분야 지출은 높은 수준의 증가세 유지

 

□ (대응방향) 소득·분배가 지속 개선될 수 있도록 성장과 사회이동성의 선순환 구현 노력, 물가 등 민생안정에도 총력 대응

 

양질의 일자리 창출 중산층 확대를 위해 경제활동 확대, 사회이동성 제고 등 다양한 대책을 순차적으로 마련해 나갈 계획

 

* 여성 경제활동 확대방안(3월), 사회이동성 개선방안(4월), 중소기업 성장사다리 강화방안(5월) 등

 

ㅇ 유류세 인하 연장(~4월), 공공요금 상반기 동결 기조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물가 안정을 위해 범부처 역량집중

 

ㅇ 아울러, 경기회복세가 민간을 중심으로 더욱 확산될 수 있도록 내수·투자·수출경제 활력 제고 노력도 강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