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 1형 당뇨 환자의 정밀 기기 구입 부담 1/10 수준으로 완화
2023.12.28 보건복지부

2024년 3월부터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1형 당뇨환자*의 경우 의료비 부담이 커 구입이 어려웠던 정밀 인슐린펌프 등 당뇨관리기기**를 사용하여 저혈당 위험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소아ㆍ청소년 1형 당뇨환자(1형 당뇨환자 3만명 중 10% 해당 3천명) : 매일 인슐린 사용이 필요하나, 스스로 혈당 관리가 어려워 저혈당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정밀 인슐린펌프 지원 필요
** 당뇨관리기기 : 인슐린펌프, 전극 등
보건복지부는 12월 28일(목) 오후 2시에 2023년 제30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이하 ‘건정심’, 위원장 : 박민수 제2차관)를 개최하였다.
건정심은 이번 회의에서 매일 인슐린 사용이 필요하나, 스스로 혈당 관리가 어려운 소아ㆍ청소년 1형 당뇨병 환자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저혈당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정밀 인슐린자동주입기(이하 ‘인슐린펌프’) 지원 확대를 논의하였다.
이번 건정심 논의를 통해 당뇨관리기기를 기능별 세분화하고 급여 기준액을 신설하며, 본인부담률을 낮추어(30% → 10%), 기존 380만 원이 넘게 들던 경제적 부담을 45만 원 수준으로 경감할 예정이다.
정밀 인슐린 펌프의 구성품인 인슐린펌프, 전극, 소모성 재료를 각각 기능별 세분화하고, 해당 구성품의 급여 기준액을 신설·증액한다.
구성품 중 인슐린펌프와 전극은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1형 당뇨환자의 본인부담률을 기존 30%에서 10%로 낮춘다.
<정밀 인슐린펌프, 전극, 소모성 재료 세분화 및 기준액 신설>
구성품
|
현행 기준액
|
기능별 세분화 및 기준액 신설 증액
|
인슐린펌프
|
기본형 170만 원/5년
|
▪(기준액 신설) 센서 연동형 250만 원, 복합폐쇄회로형 450만 원
|
전극
|
기본형 10,000원/1일
|
▪(기준액 신설) 센서 연동형, 복합폐쇄회로형 11,000원/1일
|
소모성재료
|
기본형 2,500원/1일
|
▪(기준액 신설) 복합폐쇄회로형 4,500원/1일
|
< 인슐린펌프, 전극 본인부담률 하향 조정 (現 30% → 10%, 경감 20%) >
구 분
|
현행
|
개선(안)
|
|
성인
|
19세 미만
|
||
인슐린펌프, 전극
|
30%
|
30%
|
10%
|
정밀 당뇨관리기기를 사용하게 되면, 그간 인슐린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1형 당뇨환자 특성상 저혈당 위험으로 불안했던 소아ㆍ청소년 1형당뇨 환자의 보호자는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등 소아ㆍ청소년 1형 당뇨병 관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붙임> 당뇨병 유형 및 현황
붙임
|
|
당뇨병 유형 및 현황
|
□ 당뇨병 유형별 특성
|
제1형 당뇨병
|
제2형 당뇨병
|
구분
|
췌장 베타세포 파괴에 의한 인슐린 결핍으로 발생한 당뇨병
|
인슐린 분비 및 작용의 결함에 의해 발생한 당뇨병
|
발병연령
|
소아 및 청소년기에 주로 발병
|
일반적으로 40세 이후 발병
|
체중
|
주로 마른 체격
|
일반적으로 과체중
|
증상
|
갑자기 나타남
|
증상이 없거나 서서히 나타남
|
인슐린
|
생산되지 않음
|
소량분비 또는 작용이 제대로 되지 않음
|
치료
|
매일 인슐린 주사 치료
|
식사요법, 운동 조절 후 조절되지 않으면 약물 치료(혈당강하제)
|
○ 소아ㆍ청소년 1형 당뇨병 환자 : 평생 완치되지 않고, 매일 인슐린 주사기 필요하며, 스스로 혈당 관리가 어려워 기기에 대한 의존도 높음
□ 유형별·연령별 당뇨병 현황
’23.6.30.기준(단위: 명)
환자 유형
|
전체 환자등록 수
|
유효 환자등록 수*
|
||
계
|
19세 미만
|
19세 이상
|
||
계
|
527,294
|
431,834
(100%)
|
5,694
(1%)
|
426,756
(99%)
|
제1형 당뇨환자
|
36,248
|
30,378
(100%)
|
3,013
(10%)
|
27,365
(90%)
|
제2형 당뇨환자
|
491,046
|
402,072
(100%)
|
2,681
(1%)
|
399,391
(99%)
|
임신성 당뇨환자**
|
-
|
(10,175)
|
-
|
-
|
* 전체 환자등록 수에서 사망 등으로 등록 해지된 자 제외
** 임신성 당뇨환자는 환자등록 절차 제외(2023년도 실 수진자수 기재)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도급 지킴이… 근로자 임금체불 방지 효과 ‘톡톡’ (0) | 2023.12.30 |
---|---|
국세청, 인적용역 소득자 환급금 1.5조 원 찾아줬다 (0) | 2023.12.30 |
(취업심사과) 내년 퇴직공직자 취업심사 대상기관 2만 3,259개 (0) | 2023.12.29 |
2024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 정기 고시 (0) | 2023.12.29 |
인공지능(AI)-저작권 안내서 발표로 시장의 불확실성 해소하고, 안무·건축 등 ‘저작권 사각지대’ 없앤다 (0) | 2023.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