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인공지능이 회의록 작성하고, 회의 분위기까지 파악한다_행정안전부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3. 8. 29.
반응형

인공지능이 회의록 작성하고, 회의 분위기까지 파악한다

2023.08.28 행정안전부

 

□ 자동회의록 작성 등 공공부문에 다양한 인공지능 기반 업무지원 서비스 도입이 이루어진다.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 통합데이터분석센터는 8월 29일(화), 3월부터 운영되고 있는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이하 분석시스템)에 ‘인공지능(AI)기반 업무지원 서비스’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은 공무원과 공공기관 종사자들에게 맞춤형 분석도구와 분석환경을 제공하고 다양한 데이터 분석모델 제공하기 위해 구축되었으며, 가입자와 이용자 규모가 11만 명에 이를 만큼 공공부문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 인공지능(AI)기반 업무지원 서비스는 중앙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에 자동회의록 작성과 소셜데이터 분석을 통한 미래 이슈 조기 감지 기능을 수행한다.

 

□ 우선, 인공지능(AI)기반의 음성인식, 텍스트 분석과 이미지 스캐닝 기술을 적용한 문자인식 서비스가 도입된다.

○ 영상과 음성파일을 입력하면 화자를 자동으로 구분하여 회의록을 작성하고, 텍스트 분석과 연계하여 회의에서 많이 언급된 단어, 긍정어 부정어 등 감성분석을 통해 회의의 전반적 분위기까지 시각화시킬 수 있다.

 

 

□ 기존 분석시스템에서 제공해온 소셜데이터 분석 서비스도 고도화된다.

○ 뉴스, 블로그 게시판 등에서 추출한 소셜데이터를 분석하여 빈출단어를 보여주는데 그치지 않고 단어별 언급량의 증가 추세를 통해 향후 이슈가 될 수 있는 신호를 조기에 감지하여 제공하는 ‘미래신호 분석서비스’도 제공된다.

 

□ 분석에 필요한 자원의 규모도 양적, 질적으로 확대된다.

○ 개별 기관단위로 제공하고 있는 전문분석환경 제공 규모를 기존 10개 기관에서 50개 기관으로 대폭 확대하고,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분석, 모델 개발과 배포를 일괄 지원할 수 있는 분석환경이 제공된다.

 

□ 행정안전부는 내년 3월까지 진행될 분석시스템 확대 구축을 통해 업무에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인공지능(AI)기반 서비스를 추가하고 데이터 분석지원을 위해 제공되는 분석자원 규모도 크게 확대할 계획이다.

○ 이를 통해 일하는 방식 개선은 물론 데이터기반 행정으로 국민이 체감하는 정책효과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정선용 정부혁신조직실장은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의 범위를 확대하여 공공부문에서 데이터의 분석과 활용이 자연스럽게 확산되는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라며, “현장 활용도가 높은 최신 인공지능(AI)기술을 적극 접목하여 공공기관에서 데이터에 기반한 업무수행이 조직 문화로 정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 확대구축 사업 주요내용

□ 사업 배경

「데이터기반행정법」 제18조에 따라 행정‧공공기관의 데이터 제공‧연계 및 공동활용, 데이터 분석 등을 지원하는 범정부 공통시스템 구축 필요

- 중앙·지자체·공공기관이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별도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 고성능 분석자원을 공동활용할 수 있는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을 ’22년부터 단계적으로 구축

□ 추진 내용

추진 방향

▪ 행정·공공기관의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인 정책수립을 지원하기 위하여 분석시스템을 보유하지 않은 기관 및 사용자가 별도 비용없이 고성능의 분석자원 및 분석 역량에 따른 맞춤형 분석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축

- 데이터 전처리 자동화, AutoML을 통한 최적의 알고리즘 자동 도출 등 최신 AI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 SQL부터 NoSQL, 비정형데이터 등다양한 데이터 연계‧처리 등 지원

단계별 추진 사항

 

- 수요기관과 사용자의 역량 및 활용 목적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맞춤형 분석환경(GPU, R, Python, 시각화 등) 및 분석모델(표준분석, 비정형 분석 등) 단계적 확대

구분

기존(‘혜안’)
기초환경 조성
(1단계, ‘23.3.)
분석자원 확대 및
서비스 고도화
(2단계, ‘24.3.)
서비스 대상
공무원
(중앙부처,지자체)
공공기관
(중앙부처,지자체,공공기관)
공공기관
(중앙부처,지자체,공공기관)
기술기반
레거시 환경
클라우드 환경
클라우드 환경
분석환경
제공
개인단위 제공
10명
100명
200명
기관단위 제공
-
10개기관
50개기관
빅데이터
R, 시각화
R, 파이썬, AI(GPU), 시각화 도구
R, 파이썬, AI(GPU), 시각화 도구, AutoML, Zero-Code 환경 제공
분석지원
서비스
소셜분석
키워드 입력하면
분석결과 제공
로그인만하면 사용자와
연관된 소셜분석 자동제공
소셜분석 고도화
(소셜기반 미래이슈 감지 등)
자동분석
민원분석, 관광분석 등 8종
CCTV 교통량 분석 등 11종
14종
표준분석
공공시설물 입지 등 44종
소상공인 디지털전환 등 47종
50종
AI 분석
-
-
자동회의록, OCR 등
AI 기반 서비스
시각화
-
-
웹기반 시각화

 

□ 주요 사업내용

데이터 전처리‧분석, 모델 개발‧배포(테스트) 등을 일괄 지원할 수 있는 토탈 분석지원 환경 제공 및 분석환경 제공규모 확대

- 데이터 전처리 자동화, 다양한 알고리즘 동시 적용 및 최적의 알고리즘 자동 도출 등 최신 AI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환경 제공

- SQL, NoSQL, 비정형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 연계 및 처리, 웹 기반 시각화 개발 및 공유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분석환경 마련

※ 분석 인프라 확대(기관단위 분석환경 10개 → 50개)규모에 따른 분석환경 확대·제공

 

분석지원 서비스 다양화

- AI 기반의 음성인식·이미지 스캔 기술 적용으로 영상, 음성,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텍스트 데이터 추출 및 회의록 작성 등 서비스 제공

※ 텍스트 분석과 연계하여 긍·부정 등 감성분석, 언급된 단어 빈도 등 텍스트 분석 제공

- 이용자가 데이터에 대한 시각화 대시보드를 편리하게 개발 및 활용할 수 있도록 웹 기반 상시 시각화 플랫폼 서비스 제공

 

소셜분석 서비스 고도화

- 소셜데이터뉴스·블로그 등 활용, 자연어 처리 기반의 키워드 추출 및 흐름 분석을 통한 국민 관심‧이슈사항 등 미래신호를 조기감지, 미래신호 분석 서비스* 제공

* 문제가 될 수 있는 이슈에 대한 사전 제공으로 미래이슈 선제적 대응(정책마련 등) 기반 제공

- 머신러닝 기반 학습모델 활용을 통한 감성분석(긍부정 분류 포함 세부감성 분류) 서비스 고도화

 

데이터 통합검색체계 확대 및 활용기반 고도화

- 국가공간정보포털, 통계데이터센터 및 지역별 빅데이터 플랫폼 등 데이터 플랫폼과 연계를 통한 데이터 통합검색체계 확대

- 상용 하둡 플랫폼을 오픈소스 기반 하둡 플랫폼으로 재구성, 효율적이고 유연한 데이터 연계 및 활용기반 확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