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국제인구이동통계
2023.07.13 통계청
2022년 국제인구이동통계
|
|
목 차
|
|
|
|
|
□ 2022년 국제인구이동통계(요약)···1
□ 2022년 국제인구이동통계 결과···3
1. 국제이동자 수, 국제순이동···3
2. 성․연령별 국제이동···5
3. 내국인 성․연령별 국제이동···7
4. 외국인 성․연령별 국제이동···9
5. 외국인 국적별 국제이동···11
6. 외국인 체류자격별 국제이동···13
7. 월별 국제이동···18
□ 통계표···20
◇ 부 록
◎ 국제인구이동통계 개요···40
|
2022년 국제인구이동통계(요약)
통계(요약) 인구동향(요약)
|
국제순이동(입국-출국)은 8만 8천 명 순유입, 전년도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전환
|
◯ 체류기간 90일 초과 총이동자(입국자+출국자)는 112만 4천 명으로, 전년대비 23만 7천 명(26.8%) 증가
- 입국자 60만 6천 명, 전년대비 19만 6천 명(47.7%) 증가
- 출국자 51만 8천 명, 전년대비 4만 2천 명(8.7%) 증가
- 국제순이동(입국-출국)은 8만 8천 명 순유입, 전년도 순유출(-6만 6천 명)에서 순유입으로 전환
|

내국인 입국(1.7%) 및 출국(28.3%) 증가, 전년도에 이어 2년 연속 순유출
|
◯ 전년대비 내국인 입국은 3천 명(1.7%) 증가, 출국은 6만 명(28.3%) 증가
- 순이동은 8만 명 순유출로, 전년대비 순유출 5만 7천 명 증가
- 모든 연령대에서 순유출되고, 20대 순유출 규모(-3만 8천 명)가 가장 큼
|

외국인 입국 증가(87.2%) 및 출국 감소(-7.1%), 전년도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전환
|
◯ 전년대비 외국인 입국은 19만 2천 명(87.2%) 증가, 출국은 1만 9천 명(-7.1%) 감소
- 순이동은 16만 8천 명 순유입으로, 전년도 순유출(-4만 3천 명)에서 순유입으로 전환
- 모든 연령대에서 순유입되고, 20대 순유입 규모(9만 2천 명)가 가장 큼
|

중국, 베트남, 태국 국적 입국자가 외국인 입국자의 43.9%를 차지
|
◯ 외국인 입국은 중국(9만 5천 명), 베트남(5만 2천 명), 태국(3만 5천 명)이 43.9%를 차지, 전년대비 베트남, 태국, 네팔 순으로 증가
◯ 외국인 출국은 중국(7만 명), 베트남(3만 4천 명), 태국(1만 7천 명)이 49.7%를 차지, 전년대비 중국, 몽골, 러시아(연방) 순으로 감소
◯ 외국인 입국자의 체류자격별 구성비는 취업(33.4%), 유학․일반연수(21.5%), 단기(21.4%), 영주․결혼이민 등(12.7%) 순
- 전년대비 취업(7만 1천 명, 105.5%), 단기(6만 5천 명, 279.3%), 유학․일반연수(2만 5천 명, 39.7%) 순으로 증가
|

2022년 국제인구이동통계 결과
|
1. 국제이동자 수, 국제순이동
국제순이동(입국-출국)은 8만 8천 명 순유입, 전년도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전환
|
◯ 2022년 총이동자*는 112만 4천 명으로 전년대비 23만 7천 명(26.8%) 증가함.
* 체류기간 90일을 초과한 입국자와 출국자
- 입국자 60만 6천 명, 전년대비 19만 6천 명(47.7%) 증가함.
- 출국자 51만 8천 명, 전년대비 4만 2천 명(8.7%) 증가함.
◯ 내국인 입국자는 19만 3천 명으로 전년대비 3천 명(1.7%) 증가하였고, 출국자는 27만 3천 명으로 전년대비 6만 명(28.3%) 증가하였음.
◯ 외국인 입국자는 41만 3천 명으로 전년대비 19만 2천 명(87.2%) 증가하였고, 출국자는 24만 5천 명으로 전년대비 1만 9천 명(-7.1%) 감소하였음.
◯ 국제순이동(입국-출국)은 8만 8천 명 순유입, 전년도 6만 6천 명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전환됨.
- 내국인은 8만 명 순유출, 전년대비 순유출 5만 7천 명 증가함.
- 외국인은 16만 8천 명 순유입, 전년도 순유출 4만 3천 명에서 순유입으로 전환됨.


[표 1] 국제이동 추이, 2000~2022년
|
|||||||||||||
(단위: 천 명, %)
|
|||||||||||||
연 도
|
총이동1)
|
입 국
|
출 국
|
순이동2)
|
|||||||||
계
|
내국인
|
외국인
|
계
|
내국인
|
외국인
|
계
|
내국인
|
외국인
|
계
|
내국인
|
외국인
|
||
2000
|
734
|
473
|
262
|
371
|
198
|
173
|
363
|
274
|
89
|
8
|
-76
|
84
|
|
2001
|
780
|
507
|
273
|
374
|
210
|
164
|
406
|
297
|
109
|
-32
|
-87
|
55
|
|
2002
|
790
|
518
|
272
|
387
|
228
|
159
|
403
|
290
|
113
|
-16
|
-62
|
46
|
|
2003
|
851
|
528
|
323
|
404
|
236
|
169
|
447
|
293
|
154
|
-42
|
-57
|
15
|
|
2004
|
894
|
565
|
329
|
423
|
244
|
179
|
471
|
321
|
151
|
-49
|
-77
|
28
|
|
2005
|
1,155
|
637
|
518
|
530
|
277
|
254
|
625
|
360
|
265
|
-95
|
-84
|
-11
|
|
2006
|
1,180
|
703
|
477
|
614
|
311
|
303
|
566
|
392
|
174
|
48
|
-81
|
129
|
|
2007
|
1,183
|
731
|
452
|
630
|
330
|
300
|
553
|
401
|
152
|
78
|
-71
|
148
|
|
2008
|
1,262
|
750
|
512
|
659
|
356
|
302
|
603
|
393
|
210
|
55
|
-37
|
92
|
|
2009
|
1,163
|
697
|
466
|
592
|
359
|
233
|
571
|
338
|
233
|
20
|
21
|
-1
|
|
2010
|
1,182
|
693
|
489
|
632
|
339
|
293
|
550
|
354
|
196
|
82
|
-15
|
97
|
|
2011
|
1,226
|
701
|
525
|
658
|
351
|
307
|
568
|
350
|
218
|
91
|
1
|
90
|
|
2012
|
1,279
|
689
|
590
|
643
|
343
|
300
|
636
|
346
|
290
|
7
|
-4
|
10
|
|
2013
|
1,307
|
679
|
629
|
696
|
336
|
360
|
611
|
343
|
268
|
85
|
-7
|
92
|
|
2014
|
1,329
|
651
|
678
|
735
|
328
|
407
|
594
|
323
|
271
|
142
|
5
|
137
|
|
2015
|
1,306
|
632
|
674
|
684
|
311
|
373
|
622
|
321
|
301
|
61
|
-10
|
72
|
|
2016
|
1,353
|
626
|
727
|
714
|
312
|
402
|
639
|
314
|
325
|
75
|
-2
|
77
|
|
2017
|
1,409
|
608
|
801
|
758
|
305
|
453
|
651
|
303
|
349
|
107
|
3
|
104
|
|
2018
|
1,480
|
620
|
860
|
818
|
323
|
495
|
662
|
297
|
365
|
156
|
26
|
130
|
|
2019
|
1,467
|
603
|
864
|
749
|
311
|
438
|
717
|
292
|
426
|
32
|
19
|
13
|
|
2020
|
1,234
|
639
|
595
|
673
|
440
|
233
|
560
|
199
|
362
|
113
|
241
|
-128
|
|
2021
|
887
|
403
|
484
|
410
|
190
|
221
|
476
|
213
|
263
|
-66
|
-23
|
-43
|
|
2022
|
1,124
|
467
|
658
|
606
|
193
|
413
|
518
|
273
|
245
|
88
|
-80
|
168
|
|
전년
|
증 감
|
237
|
64
|
174
|
196
|
3
|
192
|
42
|
60
|
-19
|
154
|
-57
|
211
|
대비
|
증감률
|
26.8
|
15.8
|
35.9
|
47.7
|
1.7
|
87.2
|
8.7
|
28.3
|
-7.1
|
-
|
-
|
-
|
1) 총이동 = 입국자 + 출국자
2) 순이동 = 입국자 - 출국자
|
2. 성․연령별 국제이동
총이동은 남자가 여자보다 많으며, 20대(36만 5천 명), 30대, 40대 순
|
◯ 성별 총이동자는 남자가 60만 4천 명(53.8%), 여자가 52만 명(46.2%)으로 남자가 8만 5천 명 더 많음.
- 입국자 성비*는 122.5명으로 전년대비 8.9명 증가하였고, 출국자 성비는 109.4명으로 전년대비 10.3명 감소하였음.
* 여자 1백 명당 남자 수
- 국제순이동은 남자는 6만 3천 명 순유입, 여자는 2만 5천 명 순유입되었고, 남자와 여자 모두 전년도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전환됨.
◯ 연령별 총이동자는 20대(36만 5천 명)가 가장 많으며, 30대(24만 2천 명), 40대(14만 9천 명), 50대(11만 7천 명) 순임.
- 입국은 전년대비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하였고, 출국은 전년대비 30대 및 5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하였음.
- 입국자 중위연령은 30.6세로 전년대비 2.9세 낮아졌고, 출국자 중위연령은 32.7세로 전년대비 1.2세 낮아짐.
- 연령별 순이동은 10대, 20대 및 30대 연령대에서 순유입됨.
- 전년대비 10대는 순유입 증가하였고, 20대 및 30대는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전환, 40대 이상 연령대는 순유출 감소하였음.

3. 내국인 성․연령별 국제이동
내국인 남자와 여자 모두 모든 연령대에서 순유출
|
◯ 내국인 총이동자는 남자가 24만 3천 명(52.1%), 여자가 22만 3천 명(47.9%)임.
- 전년대비 남자는 1만 8천 명, 여자는 4만 5천 명 각각 증가함.
◯ 내국인 입국은 19만 3천 명으로 20대(4만 9천 명)가 가장 많고, 30대(3만 4천 명), 40대(3만 2천 명), 50대(2만 3천 명) 순임.
- 전년대비 20대 및 60세 이상 연령대에서 증가, 20대(1만 1천 명), 60세 이상(4천 명) 순으로 증가함.
- 입국자 성비는 116.2명으로 전년대비 23.1명 감소함.
- 입국자 중위연령은 34.0세로 전년대비 2.1세 낮아짐.
◯ 내국인 출국은 27만 3천 명으로 20대(8만 7천 명)가 가장 많고, 30대(4만 5천 명), 40대(3만 9천 명), 10세 미만(3만 명) 순임.
- 전년대비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 20대(2만 8천 명), 10세 미만(8천 명), 60세 이상(6천 명) 순으로 증가함.
- 출국자 성비는 103.9명으로 전년대비 12.1명 감소함.
- 출국자 중위연령은 29.1세로 전년대비 1.9세 낮아짐.
◯ 내국인 국제순이동은 남자 3만 6천 명, 여자 4만 5천 명 각각 순유출, 모든 연령대에서 순유출됨.
- 전년대비 남자 3만 2천 명, 여자 2만 5천 명 순유출이 각각 증가함.
- 연령별 순유출 규모는 20대(-3만 8천 명), 10세 미만(-1만 4천 명), 30대(-1만 2천 명) 순임.

4. 외국인 성․연령별 국제이동
외국인 입국은 20대(16만 명)가 가장 많고, 30대, 40대 순
|
◯ 외국인 총이동자는 남자 36만 1천 명(54.9%), 여자 29만 6천 명(45.1%)임.
- 전년대비 남자는 10만 8천 명, 여자는 6만 5천 명 각각 증가함.
◯ 외국인 입국은 20대가 16만 명으로 가장 많고, 30대(9만 9천 명), 40대(4만 2천 명), 50대(3만 6천 명) 순임.
- 전년대비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 20대(8만 6천 명), 30대(5만 8천 명), 40대(1만 6천 명), 10대(1만 4천 명) 순으로 증가함.
- 입국자 성비는 125.6명으로 전년대비 30.0명 증가함.
- 입국자 중위연령은 29.7세로 전년대비 1.7세 낮아짐.
◯ 외국인 출국은 20대가 6만 9천 명으로 가장 많고, 30대(6만 4천 명), 40대(3만 6천 명), 50대(3만 5천 명) 순임.
- 전년대비 10세 미만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감소, 50대(-5천 명), 30대(-5천 명), 20대(-5천 명), 40대(-3천 명) 순으로 감소함.
- 출국자 성비는 115.9명으로 전년대비 6.9명 감소함.
- 출국자 중위연령은 35.4세로 전년과 동일함.
◯ 외국인 국제순이동은 남자 9만 9천 명, 여자 7만 명 각각 순유입, 모든 연령대에서 순유입됨.
- 순유입은 20대(9만 2천 명), 30대(3만 5천 명), 10대(2만 9천 명) 순으로 많음.
- 전년대비 10대 및 20대는 순유입 증가, 10세 미만 및 30대 이상은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전환됨.

5. 외국인 국적별 국제이동
중국, 베트남, 태국 국적 입국자가 외국인 입국자의 43.9%를 차지
|
◯ 국적별 입국자는 중국(9만 5천 명), 베트남(5만 2천 명), 태국(3만 5천 명) 순이며, 상위 3개 국가 입국자가 전체 외국인 입국자의 43.9%를 차지함.
- 전년대비 입국은 베트남(3만 4천 명), 태국(3만 명), 네팔(1만 5천 명) 순으로 증가함.
- 입국자 상위 10개국 중 입국자 성비는 인도네시아(734.3명)와 네팔(548.7명)이 높고, 미국(65.4명)과 태국(65.4명)이 낮음.
- 입국자 상위 10개국 중 입국자 중위연령은 중국(36.2세)이 가장 높고, 카자흐스탄(26.1세)이 가장 낮음.
◯ 국적별 출국자는 중국(7만 명), 베트남(3만 4천 명), 태국(1만 7천 명) 순이며, 상위 3개 국가 출국자가 전체 외국인 출국자의 49.7%를 차지함.
- 전년대비 출국은 중국(-4만 7천 명), 몽골(-5천 명), 러시아(연방)(-3천 명) 순으로 감소함.
- 출국자 상위 10개국 중 출국자 성비는 인도네시아(376.9명)와 캄보디아(224.0명)가 높고, 일본(30.5명)과 미국(80.5명)이 낮음.
- 출국자 상위 10개국 중 출국자 중위연령은 중국(43.5세)이 가장 높고, 일본(24.7세)이 가장 낮음.
◯ 순유입은 중국(2만 5천 명), 태국(1만 7천 명), 베트남(1만 7천 명) 순으로 많음.
- 전년대비 순유입은 베트남(1만 7천 명), 카자흐스탄(1만 명), 우즈베키스탄(8천 명) 순으로 증가함.

[표 5] 외국인 국적별 국제이동 상위 10개국, 2020~2022년
|
||||||||||||||
(단위: 천 명, 세, 여자 1백 명당 명, 전년대비)
|
||||||||||||||
【입 국】
|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국적
|
입국자수
|
국적
|
입국자수
|
국적
|
입국자수
|
|
중위연령
|
|
성비
|
|||||
증감
|
증감
|
|||||||||||||
전체
|
233
|
전체
|
221
|
전체
|
413
|
192
|
29.7
|
-1.7
|
125.6
|
|||||
중국
|
96
|
중국
|
95
|
중국
|
95
|
0
|
36.2
|
-4.9
|
86.9
|
|||||
베트남
|
28
|
베트남
|
17
|
베트남
|
52
|
34
|
30.7
|
7.9
|
118.7
|
|||||
미국
|
21
|
미국
|
17
|
태국
|
35
|
30
|
32.0
|
1.9
|
65.4
|
|||||
태국
|
9
|
우즈베키스탄
|
13
|
우즈베키스탄
|
22
|
9
|
29.4
|
-2.8
|
210.7
|
|||||
우즈베키스탄
|
8
|
러시아(연방)
|
7
|
미국
|
21
|
4
|
28.8
|
-0.2
|
65.4
|
|||||
몽골
|
7
|
일본
|
6
|
인도네시아
|
17
|
14
|
26.6
|
-1.3
|
734.3
|
|||||
러시아(연방)
|
7
|
카자흐스탄
|
6
|
네팔
|
16
|
15
|
28.8
|
-0.8
|
548.7
|
|||||
일본
|
5
|
태국
|
5
|
카자흐스탄
|
16
|
10
|
26.1
|
-3.7
|
155.6
|
|||||
캐나다
|
4
|
캄보디아
|
5
|
필리핀
|
14
|
12
|
33.6
|
0.3
|
268.8
|
|||||
카자흐스탄
|
4
|
몽골
|
4
|
러시아(연방)
|
12
|
5
|
30.1
|
-2.6
|
102.2
|
|||||
【출 국】
|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국적
|
출국자수
|
국적
|
출국자수
|
국적
|
출국자수
|
|
중위연령
|
|
성비
|
|||||
증감
|
증감
|
|||||||||||||
전체
|
362
|
전체
|
263
|
전체
|
245
|
-19
|
35.4
|
0.0
|
115.9
|
|||||
중국
|
171
|
중국
|
117
|
중국
|
70
|
-47
|
43.5
|
8.1
|
101.8
|
|||||
베트남
|
23
|
베트남
|
17
|
베트남
|
34
|
17
|
41.8
|
6.4
|
96.5
|
|||||
태국
|
22
|
미국
|
16
|
태국
|
17
|
3
|
35.5
|
0.1
|
93.7
|
|||||
우즈베키스탄
|
14
|
태국
|
14
|
미국
|
17
|
1
|
35.4
|
-0.1
|
80.5
|
|||||
미국
|
14
|
우즈베키스탄
|
11
|
우즈베키스탄
|
12
|
1
|
33.9
|
-1.5
|
196.5
|
|||||
러시아(연방)
|
10
|
몽골
|
10
|
필리핀
|
8
|
3
|
36.1
|
0.6
|
202.9
|
|||||
몽골
|
9
|
러시아(연방)
|
9
|
인도네시아
|
6
|
0
|
31.2
|
-4.3
|
376.9
|
|||||
일본
|
8
|
인도네시아
|
6
|
러시아(연방)
|
6
|
-3
|
36.5
|
1.0
|
98.7
|
|||||
캄보디아
|
8
|
카자흐스탄
|
5
|
일본
|
6
|
1
|
24.7
|
-10.7
|
30.5
|
|||||
인도네시아
|
8
|
필리핀
|
4
|
캄보디아
|
5
|
1
|
31.7
|
-3.7
|
224.0
|
|||||
【순이동】
|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국적
|
순이동
|
국적
|
순이동
|
국적
|
순이동
|
증감
|
||||||||
전체
|
-128
|
전체
|
-43
|
전체
|
168
|
211
|
||||||||
순유입 상위 5개국
|
||||||||||||||
미국
|
8
|
우즈베키스탄
|
2
|
중국
|
25
|
47
|
||||||||
베트남
|
5
|
일본
|
2
|
태국
|
17
|
27
|
||||||||
영국
|
0
|
카자흐스탄
|
1
|
베트남
|
17
|
17
|
||||||||
캐나다
|
0
|
미국
|
1
|
카자흐스탄
|
11
|
10
|
||||||||
시리아
|
0
|
키르기스스탄
|
1
|
네팔
|
11
|
14
|
||||||||
순유출 상위 5개국
|
||||||||||||||
중국
|
-74
|
중국
|
-22
|
이집트
|
-0
|
0
|
||||||||
태국
|
-13
|
태국
|
-9
|
카메룬
|
-0
|
-0
|
||||||||
우즈베키스탄
|
-6
|
몽골
|
-6
|
벨기에
|
-0
|
-0
|
||||||||
캄보디아
|
-5
|
네팔
|
-3
|
포르투갈
|
-0
|
0
|
||||||||
필리핀
|
-5
|
인도네시아
|
-3
|
그리스
|
-0
|
0
|
6. 외국인 체류자격별 국제이동
취업(33.4%)이 가장 많고, 유학․일반연수(21.5%), 단기(21.4%) 순
|
◯ 외국인의 입국 당시 체류자격은 취업(33.4%)이 가장 많고, 유학․일반연수(21.5%), 단기(21.4%), 영주․결혼이민 등(12.7%) 순임.
◯ 유학․일반연수 입국자는 8만 9천 명으로, 전년대비 2만 5천 명(39.7%) 증가함.
- 유학 입국 1만 9천 명(48.2%), 일반연수 입국 7천 명(26.5%) 증가함.
◯ 단기 입국자는 8만 8천 명으로, 전년대비 6만 5천 명(279.3%) 증가함.
- 사증면제 입국 4만 2천 명(6,163.5%), 단기방문 입국 1만 5천 명(92.6%) 증가함.
◯ 영주․결혼이민 등 입국자는 5만 3천 명으로, 전년대비 2만 2천 명(74.7%) 증가함.
◯ 취업 입국자는 13만 8천 명으로, 전년대비 7만 1천 명(105.5%) 증가함.
- 비전문취업 입국 7만 5천 명(638.6%) 증가함.
◯ 재외동포 입국자는 4만 명으로, 전년대비 6천 명(18.8%) 증가함.
◯ 체류자격별 입국자 성비는 취업이 431.1명으로 가장 높고, 영주․결혼이민 등이 54.0명으로 가장 낮음.

[표 6] 외국인 체류자격별 입국자 추이, 2020~2022년
|
||||||||||||||
(단위: 천 명, %, 여자 1백 명당 명)
|
||||||||||||||
구분
|
체류자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전년대비
|
|||||||||
계
|
구성비
|
성비
|
계
|
구성비
|
성비
|
계
|
구성비
|
성비
|
증감
|
증감률
|
||||
전체
|
계
|
|
233
|
100.0
|
96.3
|
221
|
100.0
|
95.6
|
413
|
100.0
|
125.6
|
192
|
87.2
|
|
유학․ 일반연수
|
계
|
|
45
|
19.2
|
66.7
|
64
|
28.8
|
60.1
|
89
|
21.5
|
58.8
|
25
|
39.7
|
|
유학
|
D2
|
28
|
12.2
|
68.6
|
39
|
17.5
|
62.6
|
57
|
13.9
|
61.6
|
19
|
48.2
|
||
일반연수1)
|
D4
|
16
|
7.0
|
63.5
|
25
|
11.3
|
56.5
|
32
|
7.6
|
54.0
|
7
|
26.5
|
||
단기
|
계
|
|
58
|
24.9
|
90.2
|
23
|
10.6
|
95.6
|
88
|
21.4
|
103.2
|
65
|
279.3
|
|
사증면제
|
B1
|
12
|
5.2
|
60.1
|
1
|
0.3
|
104.8
|
43
|
10.4
|
92.2
|
42
|
6,163.5
|
||
관광통과
|
B2
|
15
|
6.5
|
106.0
|
7
|
3.0
|
86.7
|
15
|
3.5
|
86.4
|
8
|
118.4
|
||
단기방문
|
C3
|
31
|
13.1
|
97.5
|
16
|
7.2
|
99.2
|
31
|
7.4
|
131.5
|
15
|
92.6
|
||
영주․ 결혼
이민 등
|
계
|
|
42
|
18.0
|
47.7
|
30
|
13.6
|
49.6
|
53
|
12.7
|
54.0
|
22
|
74.7
|
|
영주
|
F5
|
6
|
2.8
|
77.0
|
6
|
2.5
|
76.1
|
5
|
1.2
|
76.7
|
-1
|
-13.1
|
||
결혼이민2)
|
F6
|
14
|
5.9
|
18.9
|
8
|
3.8
|
25.3
|
10
|
2.4
|
20.7
|
2
|
19.4
|
||
방문동거 등3)
|
22
|
9.3
|
65.1
|
16
|
7.4
|
57.1
|
38
|
9.2
|
63.1
|
22
|
132.8
|
|||
취
업
|
|
계
|
|
52
|
22.4
|
243.8
|
67
|
30.4
|
196.6
|
138
|
33.4
|
431.1
|
71
|
105.5
|
전문
인력
4)
|
소계
|
|
8
|
3.6
|
110.6
|
9
|
4.2
|
93.5
|
11
|
2.7
|
106.3
|
2
|
20.7
|
|
회화지도
|
E2
|
4
|
1.5
|
44.0
|
4
|
2.0
|
36.0
|
5
|
1.2
|
36.5
|
0
|
8.4
|
||
특정활동
|
E7
|
3
|
1.2
|
216.6
|
2
|
1.1
|
253.7
|
4
|
0.9
|
303.6
|
1
|
51.9
|
||
예술흥행
|
E6
|
1
|
0.3
|
101.4
|
1
|
0.5
|
100.2
|
1
|
0.3
|
80.2
|
0
|
30.9
|
||
기타
|
|
1
|
0.5
|
441.0
|
1
|
0.6
|
374.1
|
1
|
0.3
|
577.5
|
-0
|
-2.5
|
||
비전문인력
|
소계
|
|
38
|
16.4
|
257.6
|
52
|
23.5
|
198.6
|
112
|
27.1
|
541.5
|
60
|
116.2
|
|
비전문취업
|
E9
|
11
|
4.6
|
900.4
|
12
|
5.3
|
671.2
|
87
|
21.1
|
1,134.7
|
75
|
638.6
|
||
방문취업
|
H2
|
28
|
11.9
|
186.5
|
40
|
18.1
|
152.9
|
25
|
6.0
|
138.7
|
-15
|
-38.0
|
||
단기취업 등5)
|
|
6
|
2.4
|
996.2
|
6
|
2.8
|
1,048.1
|
15
|
3.6
|
374.6
|
9
|
142.4
|
||
재외
동포
|
재외동포
|
F4
|
31
|
13.4
|
94.5
|
33
|
15.1
|
92.1
|
40
|
9.6
|
88.7
|
6
|
18.8
|
|
기타6)
|
|
|
5
|
2.2
|
176.4
|
3
|
1.4
|
195.0
|
6
|
1.4
|
122.0
|
3
|
81.5
|
|
1) 일반연수는 한국어연수(D41), 외국어연수(D47)를 포함
2) 결혼이민은 2011년부터 거주(F2)에서 별도 체류자격(F6)으로 분리
3) 방문동거 등은 방문동거(F1), 거주(F2), 동반(F3)을 모두 포함
4) 전문인력은 E1~E7을 모두 포함하고 그 중 상위 3개 체류자격을 표시
5) 단기취업 등은 단기취업(C4), 기술연수(D3), 기업투자(D8), 계절근로(E8), 선원취업(E10)을 포함
6) 기타는 그 외 모든 체류자격과 미상 포함
|
중국은 유학․일반연수, 베트남은 영주․결혼이민 등, 태국은 단기 체류자격 입국이 많아
|
◯ 주요국 입국자 체류자격별 구성비를 보면
- 중국은 유학․일반연수(33.0%), 취업(21.3%), 재외동포(20.6%) 순으로 높으며, 전년대비 유학․일반연수는 7.4%p 증가하고 취업은 15.5%p 감소함.
- 베트남은 영주․결혼이민 등(34.5%), 유학․일반연수(27.3%), 취업(27.1%) 순으로 높으며, 전년대비 영주․결혼이민 등은 22.4%p 증가하고 유학․일반연수는 29.0%p 감소함.
- 태국은 단기(79.1%), 취업(15.4%), 영주․결혼이민 등(3.2%) 순으로 높으며, 전년대비 단기는 59.1%p 증가하고 취업은 43.6%p 감소함.
- 우즈베키스탄은 취업(43.3%), 유학․일반연수(19.3%), 영주․결혼이민 등(17.3%) 순으로 높으며, 전년대비 유학․일반연수는 3.6%p 증가하고 취업은 3.6%p 감소함.

[표 7] 주요국 체류자격별 입국자 추이, 2020~2022년
|
|||||||||||||||
(단위: 천 명, %, %p, 전년대비)
|
|||||||||||||||
연도
|
국적
|
계
|
|
||||||||||||
유학ㆍ일반연수
|
단기
|
영주ㆍ
결혼이민 등
|
취업
|
재외동포
|
기 타
|
||||||||||
|
구성비
|
|
구성비
|
|
구성비
|
|
구성비
|
|
구성비
|
|
구성비
|
||||
2020
|
중국
|
96
|
20
|
20.9
|
16
|
16.8
|
15
|
15.1
|
27
|
27.6
|
18
|
19.1
|
0
|
0.5
|
|
베트남
|
28
|
8
|
29.8
|
4
|
14.5
|
14
|
49.1
|
2
|
6.2
|
0
|
0.0
|
0
|
0.4
|
||
태국
|
9
|
0
|
3.6
|
7
|
78.7
|
1
|
6.9
|
1
|
10.2
|
0
|
0.0
|
0
|
0.5
|
||
우즈베키스탄
|
8
|
1
|
17.5
|
1
|
10.0
|
1
|
17.3
|
3
|
41.3
|
1
|
13.1
|
0
|
0.9
|
||
2021
|
중국
|
95
|
24
|
25.6
|
6
|
5.9
|
12
|
12.7
|
35
|
36.8
|
18
|
18.7
|
0
|
0.3
|
|
베트남
|
17
|
10
|
56.3
|
3
|
16.7
|
2
|
12.0
|
3
|
14.6
|
0
|
0.0
|
0
|
0.3
|
||
태국
|
5
|
1
|
10.1
|
1
|
20.1
|
1
|
10.3
|
3
|
59.0
|
0
|
0.0
|
0
|
0.5
|
||
우즈베키스탄
|
13
|
2
|
15.7
|
0
|
2.2
|
2
|
17.4
|
6
|
47.0
|
2
|
17.3
|
0
|
0.4
|
||
2022
|
중국
|
95
|
31
|
33.0
|
11
|
11.7
|
13
|
13.2
|
20
|
21.3
|
20
|
20.6
|
0
|
0.3
|
|
베트남
|
52
|
14
|
27.3
|
6
|
10.9
|
18
|
34.5
|
14
|
27.1
|
0
|
0.0
|
0
|
0.2
|
||
태국
|
35
|
1
|
2.2
|
27
|
79.1
|
1
|
3.2
|
5
|
15.4
|
0
|
0.0
|
0
|
0.1
|
||
우즈베키스탄
|
22
|
4
|
19.3
|
1
|
3.5
|
4
|
17.3
|
10
|
43.3
|
3
|
15.6
|
0
|
1.0
|
||
|
증감
|
중국
|
0
|
7
|
7.4
|
6
|
5.8
|
0
|
0.4
|
-15
|
-15.5
|
2
|
1.9
|
-0
|
-0.0
|
베트남
|
34
|
4
|
-29.0
|
3
|
-5.8
|
16
|
22.4
|
11
|
12.5
|
0
|
0.0
|
0
|
-0.1
|
||
태국
|
30
|
0
|
-7.9
|
26
|
59.1
|
1
|
-7.1
|
2
|
-43.6
|
0
|
0.0
|
0
|
-0.4
|
||
우즈베키스탄
|
9
|
2
|
3.6
|
0
|
1.3
|
2
|
-0.1
|
3
|
-3.6
|
1
|
-1.7
|
0
|
0.6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기 비상문 안전강화 대책’ 당정협의회 개최 (0) | 2023.07.14 |
---|---|
전세사기피해지원위원회 총 320건 피해자결정 (0) | 2023.07.14 |
돌발 해충 ‘다색줄풍뎅이’, 발견 즉시 신고해 주세요 (0) | 2023.07.13 |
카카오와 전통시장 디지털 전환을 위한 협력 체계 구축 (0) | 2023.07.13 |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 관련 피해자 1분의 유가족 대상 판결금 지급 (0) | 2023.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