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2022년 국제인구이동통계_통계청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3. 7. 13.
반응형

2022년 국제인구이동통계

2023.07.13 통계청

2022년 국제인구이동통계

 

 


목 차





2022년 국제인구이동통계(요약)···1

2022년 국제인구이동통계 결과···3

1. 국제이동자 수, 국제순이동···3
2. 성․연령별 국제이동···5
3. 내국인 성․연령별 국제이동···7
4. 외국인 성․연령별 국제이동···9
5. 외국인 국적별 국제이동···11
6. 외국인 체류자격별 국제이동···13
7. 월별 국제이동···18



통계표···20

◇ 부 록
◎ 국제인구이동통계 개요···40

2022년 국제인구이동통계(요약)
통계(요약) 인구동향(요약)

 

 

국제순이동(입국-출국)88천 명 순유입, 전년도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전환
◯ 체류기간 90일 초과 총이동자(입국자+출국자)1124천 명으로, 전년대비 237천 명(26.8%) 증가

- 입국자 606천 명, 전년대비 196천 명(47.7%) 증가

- 출국자 518천 명, 전년대비 42천 명(8.7%) 증가

- 국제순이동(입국-출국)88천 명 순유입, 전년도 순유출(-66천 명)에서 순유입으로 전환

 

내국인 입국(1.7%) 및 출국(28.3%) 증가, 전년도에 이어 2년 연속 순유출
◯ 전년대비 내국인 입국은 3천 명(1.7%) 증가, 출국은 6만 명(28.3%) 증가

- 순이동은 8만 명 순유출로, 전년대비 순유출 57천 명 증가

- 모든 연령대에서 순유출되고, 20대 순유출 규모(-38천 명)가 가장 큼

 

외국인 입국 증가(87.2%) 및 출국 감소(-7.1%), 전년도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전환
◯ 전년대비 외국인 입국은 192천 명(87.2%) 증가, 출국은 19천 명(-7.1%) 감소

- 순이동은 168천 명 순유입으로, 전년도 순유출(-43천 명)에서 순유입으로 전환

- 모든 연령대에서 순유입되고, 20대 순유입 규모(92천 명)가 가장 큼

 

중국, 베트남, 태국 국적 입국자가 외국인 입국자의 43.9%를 차지
◯ 외국인 입국은 중국(95천 명), 베트남(52천 명), 태국(35천 명)43.9%를 차지, 전년대비 베트남, 태국, 네팔 순으로 증가

◯ 외국인 출국은 중국(7만 명), 베트남(34천 명), 태국(17천 명)49.7%를 차지, 전년대비 중국, 몽골, 러시아(연방) 순으로 감소

◯ 외국인 입국자의 체류자격별 구성비는 취업(33.4%), 유학․일반연수(21.5%), 단기(21.4%), 영주․결혼이민 등(12.7%)

- 전년대비 취업(71천 명, 105.5%), 단기(65천 명, 279.3%), 유학․일반연수(25천 명, 39.7%) 순으로 증가

 

2022년 국제인구이동통계 결과

 

 

 

1. 국제이동자 수, 국제순이동

국제순이동(입국-출국)88천 명 순유입, 전년도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전환

 

◯ 2022년 총이동자*는 112만 4천 명으로 전년대비 23만 7천 명(26.8%) 증가함.

 

* 체류기간 90일을 초과한 입국자와 출국자

 

- 입국자 60만 6천 명, 전년대비 19만 6천 명(47.7%) 증가함.

 

- 출국자 51만 8천 명, 전년대비 4만 2천 명(8.7%) 증가함.

 

◯ 내국인 입국자는 19만 3천 명으로 전년대비 3천 명(1.7%) 증가하였고, 출국자는 27만 3천 명으로 전년대비 6만 명(28.3%) 증가하였음.

 

◯ 외국인 입국자는 41만 3천 명으로 전년대비 19만 2천 명(87.2%) 증가하였고, 출국자는 24만 5천 명으로 전년대비 1만 9천 명(-7.1%) 감소하였음.

 

◯ 국제순이동(입국-출국)은 8만 8천 명 순유입, 전년도 6만 6천 명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전환됨.

 

- 내국인은 8만 명 순유출, 전년대비 순유출 5만 7천 명 증가함.

 

- 외국인은 16만 8천 명 순유입, 전년도 순유출 4만 3천 명에서 순유입으로 전환됨.

 

 

[표 1] 국제이동 추이, 2000~2022년
(단위: 천 명, %)
연 도
총이동1)
입 국
출 국
순이동2)
내국인
외국인
내국인
외국인
내국인
외국인
내국인
외국인
2000
734
473
262
371
198
173
363
274
89
8
-76
84
2001
780
507
273
374
210
164
406
297
109
-32
-87
55
2002
790
518
272
387
228
159
403
290
113
-16
-62
46
2003
851
528
323
404
236
169
447
293
154
-42
-57
15
2004
894
565
329
423
244
179
471
321
151
-49
-77
28
2005
1,155
637
518
530
277
254
625
360
265
-95
-84
-11
2006
1,180
703
477
614
311
303
566
392
174
48
-81
129
2007
1,183
731
452
630
330
300
553
401
152
78
-71
148
2008
1,262
750
512
659
356
302
603
393
210
55
-37
92
2009
1,163
697
466
592
359
233
571
338
233
20
21
-1
2010
1,182
693
489
632
339
293
550
354
196
82
-15
97
2011
1,226
701
525
658
351
307
568
350
218
91
1
90
2012
1,279
689
590
643
343
300
636
346
290
7
-4
10
2013
1,307
679
629
696
336
360
611
343
268
85
-7
92
2014
1,329
651
678
735
328
407
594
323
271
142
5
137
2015
1,306
632
674
684
311
373
622
321
301
61
-10
72
2016
1,353
626
727
714
312
402
639
314
325
75
-2
77
2017
1,409
608
801
758
305
453
651
303
349
107
3
104
2018
1,480
620
860
818
323
495
662
297
365
156
26
130
2019
1,467
603
864
749
311
438
717
292
426
32
19
13
2020
1,234
639
595
673
440
233
560
199
362
113
241
-128
2021
887
403
484
410
190
221
476
213
263
-66
-23
-43
2022
1,124
467
658
606
193
413
518
273
245
88
-80
168
전년
증 감
237
64
174
196
3
192
42
60
-19
154
-57
211
대비
증감률
26.8
15.8
35.9
47.7
1.7
87.2
8.7
28.3
-7.1
 -
- 
- 
1) 총이동 = 입국자 + 출국자
2) 순이동 = 입국자 - 출국자

 

2. 성․연령별 국제이동

총이동은 남자가 여자보다 많으며, 20(365천 명), 30, 40대 순

 

◯ 성별 총이동자는 남자가 60만 4천 명(53.8%), 여자가 52만 명(46.2%)으로 남자가 8만 5천 명 더 많음.

 

- 입국자 성비*는 122.5명으로 전년대비 8.9명 증가하였고, 출국자 성비는 109.4명으로 전년대비 10.3명 감소하였음.

 

* 여자 1백 명당 남자 수

 

- 국제순이동은 남자는 6만 3천 명 순유입, 여자는 2만 5천 명 순유입되었고, 남자와 여자 모두 전년도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전환됨.

 

◯ 연령별 총이동자는 20대(36만 5천 명)가 가장 많으며, 30대(24만 2천 명), 40대(14만 9천 명), 50대(11만 7천 명) 순임.

 

- 입국은 전년대비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하였고, 출국은 전년대비 30대 및 5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하였음.

 

- 입국자 중위연령은 30.6세로 전년대비 2.9세 낮아졌고, 출국자 중위연령은 32.7세로 전년대비 1.2세 낮아짐.

 

- 연령별 순이동은 10대, 20대 및 30대 연령대에서 순유입됨.

 

- 전년대비 10대는 순유입 증가하였고, 20대 및 30대는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전환, 40대 이상 연령대는 순유출 감소하였음.

 

 

 

 

 

3. 내국인 성․연령별 국제이동

내국인 남자와 여자 모두 모든 연령대에서 순유출

 

◯ 내국인 총이동자는 남자가 24만 3천 명(52.1%), 여자가 22만 3천 명(47.9%)임.

 

- 전년대비 남자는 1만 8천 명, 여자는 4만 5천 명 각각 증가함.

 

◯ 내국인 입국은 19만 3천 명으로 20대(4만 9천 명)가 가장 많고, 30대(3만 4천 명), 40대(3만 2천 명), 50대(2만 3천 명) 순임.

 

- 전년대비 20대 및 60세 이상 연령대에서 증가, 20대(1만 1천 명), 60세 이상(4천 명) 순으로 증가함.

 

- 입국자 성비는 116.2명으로 전년대비 23.1명 감소함.

 

- 입국자 중위연령은 34.0세로 전년대비 2.1세 낮아짐.

 

◯ 내국인 출국은 27만 3천 명으로 20대(8만 7천 명)가 가장 많고, 30대(4만 5천 명), 40대(3만 9천 명), 10세 미만(3만 명) 순임.

 

- 전년대비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 20대(2만 8천 명), 10세 미만(8천 명), 60세 이상(6천 명) 순으로 증가함.

 

- 출국자 성비는 103.9명으로 전년대비 12.1명 감소함.

 

- 출국자 중위연령은 29.1세로 전년대비 1.9세 낮아짐.

 

◯ 내국인 국제순이동은 남자 3만 6천 명, 여자 4만 5천 명 각각 순유출, 모든 연령대에서 순유출됨.

 

- 전년대비 남자 3만 2천 명, 여자 2만 5천 명 순유출이 각각 증가함.

 

- 연령별 순유출 규모는 20대(-3만 8천 명), 10세 미만(-1만 4천 명), 30대(-1만 2천 명) 순임.

 

 

 

4. 외국인 성․연령별 국제이동

외국인 입국은 20(16만 명)가 가장 많고, 30, 40대 순

 

◯ 외국인 총이동자는 남자 36만 1천 명(54.9%), 여자 29만 6천 명(45.1%)임.

 

- 전년대비 남자는 10만 8천 명, 여자는 6만 5천 명 각각 증가함.

 

◯ 외국인 입국은 20대가 16만 명으로 가장 많고, 30대(9만 9천 명), 40대(4만 2천 명), 50대(3만 6천 명) 순임.

 

- 전년대비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 20대(8만 6천 명), 30대(5만 8천 명), 40대(1만 6천 명), 10대(1만 4천 명) 순으로 증가함.

 

- 입국자 성비는 125.6명으로 전년대비 30.0명 증가함.

 

- 입국자 중위연령은 29.7세로 전년대비 1.7세 낮아짐.

 

◯ 외국인 출국은 20대가 6만 9천 명으로 가장 많고, 30대(6만 4천 명), 40대(3만 6천 명), 50대(3만 5천 명) 순임.

 

- 전년대비 10세 미만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감소, 50대(-5천 명), 30대(-5천 명), 20대(-5천 명), 40대(-3천 명) 순으로 감소함.

 

- 출국자 성비는 115.9명으로 전년대비 6.9명 감소함.

 

- 출국자 중위연령은 35.4세로 전년과 동일함.

 

◯ 외국인 국제순이동은 남자 9만 9천 명, 여자 7만 명 각각 순유입, 모든 연령대에서 순유입됨.

 

- 순유입은 20대(9만 2천 명), 30대(3만 5천 명), 10대(2만 9천 명) 순으로 많음.

 

- 전년대비 10대 및 20대는 순유입 증가, 10세 미만 및 30대 이상은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전환됨.

 

 

 

5. 외국인 국적별 국제이동

중국, 베트남, 태국 국적 입국자가 외국인 입국자의 43.9%를 차지

 

◯ 국적별 입국자는 중국(9만 5천 명), 베트남(5만 2천 명), 태국(3만 5천 명) 순이며, 상위 3개 국가 입국자가 전체 외국인 입국자의 43.9%를 차지함.

 

- 전년대비 입국은 베트남(3만 4천 명), 태국(3만 명), 네팔(1만 5천 명) 순으로 증가함.

 

- 입국자 상위 10개국 중 입국자 성비는 인도네시아(734.3명)와 네팔(548.7명)이 높고, 미국(65.4명)과 태국(65.4명)이 낮음.

 

- 입국자 상위 10개국 중 입국자 중위연령은 중국(36.2세)이 가장 높고, 카자흐스탄(26.1세)이 가장 낮음.

 

◯ 국적별 출국자는 중국(7만 명), 베트남(3만 4천 명), 태국(1만 7천 명) 순이며, 상위 3개 국가 출국자가 전체 외국인 출국자의 49.7%를 차지함.

 

- 전년대비 출국은 중국(-4만 7천 명), 몽골(-5천 명), 러시아(연방)(-3천 명) 순으로 감소함.

 

- 출국자 상위 10개국 중 출국자 성비는 인도네시아(376.9명)와 캄보디아(224.0명)가 높고, 일본(30.5명)과 미국(80.5명)이 낮음.

 

- 출국자 상위 10개국 중 출국자 중위연령은 중국(43.5세)이 가장 높고, 일본(24.7세)이 가장 낮음.

 

◯ 순유입은 중국(2만 5천 명), 태국(1만 7천 명), 베트남(1만 7천 명) 순으로 많음.

 

- 전년대비 순유입은 베트남(1만 7천 명), 카자흐스탄(1만 명), 우즈베키스탄(8천 명) 순으로 증가함.

 

 

[표 5] 외국인 국적별 국제이동 상위 10개국, 2020~2022년
(단위: 천 명, 세, 여자 1백 명당 명, 전년대비)
【입 국】
2020년
2021년
2022년
국적
입국자수
국적
입국자수
국적
입국자수

중위연령

성비
증감
증감
전체
233
전체
221
전체
413
192
29.7
-1.7
125.6
중국
96
중국
95
중국
95
0
36.2
-4.9
86.9
베트남
28
베트남
17
베트남
52
34
30.7
7.9
118.7
미국
21
미국
17
태국
35
30
32.0
1.9
65.4
태국
9
우즈베키스탄
13
우즈베키스탄
22
9
29.4
-2.8
210.7
우즈베키스탄
8
러시아(연방)
7
미국
21
4
28.8
-0.2
65.4
몽골
7
일본
6
인도네시아
17
14
26.6
-1.3
734.3
러시아(연방)
7
카자흐스탄
6
네팔
16
15
28.8
-0.8
548.7
일본
5
태국
5
카자흐스탄
16
10
26.1
-3.7
155.6
캐나다
4
캄보디아
5
필리핀
14
12
33.6
0.3
268.8
카자흐스탄
4
몽골
4
러시아(연방)
12
5
30.1
-2.6
102.2
【출 국】
2020년
2021년
2022년
국적
출국자수
국적
출국자수
국적
출국자수

중위연령

성비
증감
증감
전체
362
전체
263
전체
245
-19
35.4
0.0
115.9
중국
171
중국
117
중국
70
-47
43.5
8.1
101.8
베트남
23
베트남
17
베트남
34
17
41.8
6.4
96.5
태국
22
미국
16
태국
17
3
35.5
0.1
93.7
우즈베키스탄
14
태국
14
미국
17
1
35.4
-0.1
80.5
미국
14
우즈베키스탄
11
우즈베키스탄
12
1
33.9
-1.5
196.5
러시아(연방)
10
몽골
10
필리핀
8
3
36.1
0.6
202.9
몽골
9
러시아(연방)
9
인도네시아
6
0
31.2
-4.3
376.9
일본
8
인도네시아
6
러시아(연방)
6
-3
36.5
1.0
98.7
캄보디아
8
카자흐스탄
5
일본
6
1
24.7
-10.7
30.5
인도네시아
8
필리핀
4
캄보디아
5
1
31.7
-3.7
224.0
【순이동】
2020년
2021년
2022년
국적
순이동
국적
순이동
국적
순이동
증감
전체
-128
전체
-43
전체
168
211
순유입 상위 5개국
미국
8
우즈베키스탄
2
중국
25
47
베트남
5
일본
2
태국
17
27
영국
0
카자흐스탄
1
베트남
17
17
캐나다
0
미국
1
카자흐스탄
11
10
시리아
0
키르기스스탄
1
네팔
11
14
순유출 상위 5개국
중국
-74
중국
-22
이집트
-0
0
태국
-13
태국
-9
카메룬
-0
-0
우즈베키스탄
-6
몽골
-6
벨기에
-0
-0
캄보디아
-5
네팔
-3
포르투갈
-0
0
필리핀
-5
인도네시아
-3
그리스
-0
0

 

6. 외국인 체류자격별 국제이동

취업(33.4%)이 가장 많고, 유학․일반연수(21.5%), 단기(21.4%)

 

◯ 외국인의 입국 당시 체류자격은 취업(33.4%)이 가장 많고, 유학․일반연수(21.5%), 단기(21.4%), 영주․결혼이민 등(12.7%) 순임.

 

◯ 유학․일반연수 입국자는 8만 9천 명으로, 전년대비 2만 5천 명(39.7%) 증가함.

 

- 유학 입국 1만 9천 명(48.2%), 일반연수 입국 7천 명(26.5%) 증가함.

 

◯ 단기 입국자는 8만 8천 명으로, 전년대비 6만 5천 명(279.3%) 증가함.

 

- 사증면제 입국 4만 2천 명(6,163.5%), 단기방문 입국 1만 5천 명(92.6%) 증가함.

 

◯ 영주․결혼이민 등 입국자는 5만 3천 명으로, 전년대비 2만 2천 명(74.7%) 증가함.

 

◯ 취업 입국자는 13만 8천 명으로, 전년대비 7만 1천 명(105.5%) 증가함.

 

- 비전문취업 입국 7만 5천 명(638.6%) 증가함.

 

◯ 재외동포 입국자는 4만 명으로, 전년대비 6천 명(18.8%) 증가함.

 

◯ 체류자격별 입국자 성비는 취업이 431.1명으로 가장 높고, 영주․결혼이민 등이 54.0명으로 가장 낮음.

 

 

[표 6] 외국인 체류자격별 입국자 추이, 2020~2022년
(단위: 천 명, %, 여자 1백 명당 명)
구분
체류자격
2020년
2021년
2022년
전년대비
구성비
성비
구성비
성비
구성비
성비
증감
증감률
전체

233
100.0
96.3
221
100.0
95.6
413
100.0
125.6
192
87.2
유학․ 일반연수

45
19.2
66.7
64
28.8
60.1
89
21.5
58.8
25
39.7
유학
D2
28
12.2
68.6
39
17.5
62.6
57
13.9
61.6
19
48.2
일반연수1)
D4
16
7.0
63.5
25
11.3
56.5
32
7.6
54.0
7
26.5
단기

58
24.9
90.2
23
10.6
95.6
88
21.4
103.2
65
279.3
사증면제
B1
12
5.2
60.1
1
0.3
104.8
43
10.4
92.2
42
6,163.5
관광통과
B2
15
6.5
106.0
7
3.0
86.7
15
3.5
86.4
8
118.4
단기방문
C3
31
13.1
97.5
16
7.2
99.2
31
7.4
131.5
15
92.6
영주․ 결혼
이민 등

42
18.0
47.7
30
13.6
49.6
53
12.7
54.0
22
74.7
영주
F5
6
2.8
77.0
6
2.5
76.1
5
1.2
76.7
-1
-13.1
결혼이민2)
F6
14
5.9
18.9
8
3.8
25.3
10
2.4
20.7
2
19.4
방문동거 등3)
22
9.3
65.1
16
7.4
57.1
38
9.2
63.1
22
132.8


52
22.4
243.8
67
30.4
196.6
138
33.4
431.1
71
105.5
전문
인력
4)
소계

8
3.6
110.6
9
4.2
93.5
11
2.7
106.3
2
20.7
회화지도
E2
4
1.5
44.0
4
2.0
36.0
5
1.2
36.5
0
8.4
특정활동
E7
3
1.2
216.6
2
1.1
253.7
4
0.9
303.6
1
51.9
예술흥행
E6
1
0.3
101.4
1
0.5
100.2
1
0.3
80.2
0
30.9
기타

1
0.5
441.0
1
0.6
374.1
1
0.3
577.5
-0
-2.5
비전문인력
소계

38
16.4
257.6
52
23.5
198.6
112
27.1
541.5
60
116.2
비전문취업
E9
11
4.6
900.4
12
5.3
671.2
87
21.1
1,134.7
75
638.6
방문취업
H2
28
11.9
186.5
40
18.1
152.9
25
6.0
138.7
-15
-38.0
단기취업 등5)

6
2.4
996.2
6
2.8
1,048.1
15
3.6
374.6
9
142.4
재외
동포
재외동포
F4
31
13.4
94.5
33
15.1
92.1
40
9.6
88.7
6
18.8
기타6)


5
2.2
176.4
3
1.4
195.0
6
1.4
122.0
3
81.5
1) 일반연수는 한국어연수(D41), 외국어연수(D47)를 포함
2) 결혼이민은 2011년부터 거주(F2)에서 별도 체류자격(F6)으로 분리
3) 방문동거 등은 방문동거(F1), 거주(F2), 동반(F3)을 모두 포함
4) 전문인력은 E1~E7을 모두 포함하고 그 중 상위 3개 체류자격을 표시
5) 단기취업 등은 단기취업(C4), 기술연수(D3), 기업투자(D8), 계절근로(E8), 선원취업(E10)을 포함
6) 기타는 그 외 모든 체류자격과 미상 포함
중국은 유학․일반연수, 베트남은 영주․결혼이민 등, 태국은 단기 체류자격 입국이 많아

 

 

◯ 주요국 입국자 체류자격별 구성비를 보면

 

- 중국은 유학․일반연수(33.0%), 취업(21.3%), 재외동포(20.6%) 순으로 높으며, 전년대비 유학․일반연수는 7.4%p 증가하고 취업은 15.5%p 감소함.

 

- 베트남은 영주․결혼이민 등(34.5%), 유학․일반연수(27.3%), 취업(27.1%) 순으로 높으며, 전년대비 영주․결혼이민 등은 22.4%p 증가하고 유학․일반연수는 29.0%p 감소함.

 

- 태국은 단기(79.1%), 취업(15.4%), 영주․결혼이민 등(3.2%) 순으로 높으며, 전년대비 단기는 59.1%p 증가하고 취업은 43.6%p 감소함.

 

- 우즈베키스탄은 취업(43.3%), 유학․일반연수(19.3%), 영주․결혼이민 등(17.3%) 순으로 높으며, 전년대비 유학․일반연수는 3.6%p 증가하고 취업은 3.6%p 감소함.

 

 

 

[표 7] 주요국 체류자격별 입국자 추이, 2020~2022년
(단위: 천 명, %, %p, 전년대비)
연도
국적

유학ㆍ일반연수
단기
영주ㆍ
결혼이민 등
취업
재외동포
기 타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2020
중국
96
20
20.9
16
16.8
15
15.1
27
27.6
18
19.1
0
0.5
베트남
28
8
29.8
4
14.5
14
49.1
2
6.2
0
0.0
0
0.4
태국
9
0
3.6
7
78.7
1
6.9
1
10.2
0
0.0
0
0.5
우즈베키스탄
8
1
17.5
1
10.0
1
17.3
3
41.3
1
13.1
0
0.9
2021
중국
95
24
25.6
6
5.9
12
12.7
35
36.8
18
18.7
0
0.3
베트남
17
10
56.3
3
16.7
2
12.0
3
14.6
0
0.0
0
0.3
태국
5
1
10.1
1
20.1
1
10.3
3
59.0
0
0.0
0
0.5
우즈베키스탄
13
2
15.7
0
2.2
2
17.4
6
47.0
2
17.3
0
0.4
2022
중국
95
31
33.0
11
11.7
13
13.2
20
21.3
20
20.6
0
0.3
베트남
52
14
27.3
6
10.9
18
34.5
14
27.1
0
0.0
0
0.2
태국
35
1
2.2
27
79.1
1
3.2
5
15.4
0
0.0
0
0.1
우즈베키스탄
22
4
19.3
1
3.5
4
17.3
10
43.3
3
15.6
0
1.0

증감
중국
0
7
7.4
6
5.8
0
0.4
-15
-15.5
2
1.9
-0
-0.0
베트남
34
4
-29.0
3
-5.8
16
22.4
11
12.5
0
0.0
0
-0.1
태국
30
0
-7.9
26
59.1
1
-7.1
2
-43.6
0
0.0
0
-0.4
우즈베키스탄
9
2
3.6
0
1.3
2
-0.1
3
-3.6
1
-1.7
0
0.6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