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활동 보호 강화를 위한 국회 공개토론회(포럼) 개최
2023.05.22 교육부
교육활동 보호 강화를 위한 국회 공개토론회(포럼) 개최
|
- 생활지도권 법제화의 의미,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에 따른 대응 방안 등 논의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이태규 의원(국회 교육위원회 여당 간사), 대한교육법학회, 한국교육개발원과 함께 교육활동 보호 강화를 위한 국회 공개토론회(포럼)를 5월 23일(화),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한다.
교육부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을 통한 교원의 학생생활지도권 법제화*(2022.12.27.)에 따라 지난 3월 관련 고시를 개정하여 교원의 정당한 생활지도에 불응해 의도적으로 교육활동을 방해하는 행위를 새로운 침해행위로 규정하였다.
* 「초·중등교육법」 제20조의2(학교의 장 및 교원의 학생생활지도) 학교의 장과 교원은 학생의 인권을 보호하고 교원의 교육활동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법령과 학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학생을 지도할 수 있다.
이에 이번 토론회에는 교원단체․노조, 학계, 언론계, 정부 등 각계각층에서 참여하여, 6월 말에 시행 예정인 교원의 학생생활지도권 법제화의 의미를 확인하고, 교육활동 침해 증가*, 교사에 대한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로 인한 교육활동 위축 문제 등의 해결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대한교육법학회 이덕난 회장(국회입법조사처)의 기조 발제를 시작으로 교원단체․노조에서는 교육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과 교사 대상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 실태 및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발표하고, 학계 전문가들은 교육활동 지도 전반에 대해 제도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 [교육활동 침해 심의 건수] (2019) 2,662건 → (2020) 1,197건 → (2021) 2,269건 → (2022) 3,035건
교육부는 토론회 이후에도 모든 학생의 학습권 보장을 위해 학부모·교원 대상 설문조사 실시, 간담회 개최 등 지속해서 현장 의견을 수렴하고,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교육활동 보호와 아동학대 예방 간에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장상윤 교육부차관은 “교사의 학생생활지도권 법제화는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에 대응할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라고 강조하며, 교원이 수업 혁신의 주체로서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국회와 협력하여 지속해서 제도개선 해나가겠다.”라고 밝힐 예정이다.
【붙임】 1. 교육활동 보호 국회 공개토론회(포럼) 개요
2. 교육활동 보호 국회 공개토론회(포럼) 웹포스터
3. 교육활동 침해 현황
붙임 1
|
|
교육활동 보호 국회 공개토론회(포럼) 개요
|
□ 추진 배경
◦ 수업혁신의 주체인 교원의 교육활동 전념 여건 조성을 위해 교사의 학생생활지도권 법제화의 의미 탐색 등 교육활동 보호방안 논의
□ 포럼 개요
◦ (일시) ’23. 5. 23.(화) 10:00~12:40
◦ (장소) 국회의원회관 제2소희의실
◦ (주요내용) 교육활동 보호 강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 (공동주최) 교육부, 이태규 국회의원, KEDI, 대한교육법학회
◦ (참석자) 교육부 차관, 이태규 국회의원, KEDI 원장(류방란), 대한교육법학회장(이덕난), 교원단체․노조, 시․도교육청 등 약 100명 (예정)
□ 주요 일정
순서/시간
|
주요 내용
|
||
1부 개회식
(10:00~10:30)
|
◦ 개회 및 인사말
- 이태규 국회의원, 교육부차관, KEDI 원장, 대한교육법학회장
◦ 참석자 소개 및 기념 촬영
|
1부 사회
김동희 보좌관
|
|
2부
(10:30~
11:40)
|
기조
강연
|
◦(기조발제) 이덕난 회장(대한교육법학회)
- 교육활동 보호 강화와 학생생활지도권 법제화의 과제
|
2부 좌장 박신욱 교수
(경상국립대)
|
사례 및 주제
발표
|
◦(사례발표1) 손덕제 부회장(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교육현장의 애로사항 및 제안
|
||
◦(사례발표2) 원주현 실장(교사노동조합연맹)
- 교육현장의 애로사항 및 제안
|
|||
◦(주제발표1) 김성기 교수(협성대학교)
- 생활지도 법제화의 의미 및 교육활동 보호에 미치는 영향
|
|||
◦(주제발표2) 전제상 교수(공주교육대학교)
- 통시적 변화에 따른 교육활동 보호 제도 정책의 개관 및 개선방안
|
|||
3부 종합토론
(11:40~12:40)
|
◦ 종합 토론
- 황준성(한국교육개발원 본부장)
- 전윤경 교사(대한교육법학회 학술이사)
- 박현갑 논설위원(서울신문)
- 김학추(우송중학교 교장)
- 김민석 교원지원국장(전국교직원노동조합 국장)
- 최보영 과장(교육부 교원정책과)
|
3부 좌장
고전 부총장
(제주대)
|
※ 세부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붙임 2
|
|
교육활동 보호 국회 공개토론회(포럼) 웹포스터
|
붙임 3
|
|
교육활동 침해 현황 (최근 4년간)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교육활동 실태조사 결과)
|
□ 연도별 침해 현황
(단위: 건)
구분
|
2019
|
2020
|
2021
|
2022
|
침해 심의 건수
|
2,662
|
1,197
|
2,269
|
3,035
|
□ 학교급별 교육활동 침해 현황
(단위: 건)
학년도
|
초
|
중
|
고
|
기타
|
합계
|
||||||||||
학생
|
학부모 등
|
계
|
학생
|
학부모 등
|
계
|
학생
|
학부모 등
|
계
|
학생
|
학부모 등
|
계
|
학생
|
학부모 등
|
계
|
|
2019
|
185
|
102
|
287
|
1,394
|
77
|
1,471
|
856
|
48
|
904
|
-
|
-
|
-
|
2,435
|
227
|
2,662
|
2020
|
50
|
44
|
94
|
488
|
36
|
524
|
543
|
36
|
579
|
-
|
-
|
-
|
1,081
|
116
|
1,197
|
2021
|
149
|
67
|
216
|
1,158
|
64
|
1,222
|
767
|
36
|
803
|
24
|
4
|
28
|
2,098
|
171
|
2,269
|
학년도
|
유
|
초
|
중
|
고
|
특수
|
각종
|
기타
|
합계
|
||||||||||||||||
학생
|
학부모 등
|
계
|
학생
|
학부모 등
|
계
|
학생
|
학부모 등
|
계
|
학생
|
학부모 등
|
계
|
학생
|
학부모 등
|
계
|
학생
|
학부모 등
|
계
|
학생
|
학부모 등
|
계
|
학생
|
학부모 등
|
계
|
|
2022
|
0
|
5
|
5
|
202
|
85
|
287
|
1,791
|
71
|
1,862
|
807
|
38
|
845
|
29
|
3
|
32
|
4
|
0
|
4
|
0
|
0
|
0
|
2,833
|
202
|
3,035
|
※ 2021학년도부터 기타(특수학교 포함) 추가
※ 2022학년도부터 유치원 추가 및 특수, 각종 등 세분화하여 조사
□ 침해유형 및 침해 대상별 현황
(단위: 건)
학
년
도
|
침해
대상
|
상해
폭행
|
협박
|
모욕 명예 훼손
|
손괴
|
성폭력 범죄
|
정보통신망 이용 불법정보 유통
|
공무 및 업무 방해
|
성적 굴욕감 혐오감 일으키는 행위
|
정당한 교육활동을 반복적으로 부당하게 간섭
|
교원의 영상 무단 합성 배포
|
기타
|
합계
|
2019
|
학생
|
240
(9.9%)
|
82
(3.4%)
|
1,345
(55.2%)
|
14
(0.6%)
|
24
(1.0%)
|
28
(1.1%)
|
126
(5.2%)
|
205
(8.4%)
|
238
(9.8%)
|
-
|
133
(5.5%)
|
2,302
(100%)
|
학부모등
|
8
(3.5%)
|
21
(9.3%)
|
112
(49.3%)
|
1
(0.4%)
|
0
(0.0%)
|
6
(2.6%)
|
16
(7.0%)
|
1
(0.4%)
|
42
(18.5%)
|
-
|
20
(8.8%)
|
207
(100%)
|
|
2020
|
학생
|
106
(9.8%)
|
38
(3.5%)
|
622
(57.5%)
|
12
(1.1%)
|
30
(2.8%)
|
23
(2.1%)
|
69
(6.4%)
|
107
(9.9%)
|
34
(3.1%)
|
-
|
40
(3.7%)
|
1081
(100%)
|
학부모등
|
7
(6.0%)
|
10
(8.6%)
|
46
(39.7%)
|
0
(0.0%)
|
1
(0.9%)
|
4
(3.4%)
|
6
(5.2%)
|
3
(2.6%)
|
33
(28.4%)
|
-
|
6
(5.2%)
|
116
(100%)
|
|
2021
|
학생
|
231
(11.0%)
|
60
(2.9%)
|
1,203
(57.3%)
|
19
(0.9%)
|
65
(3.1%)
|
67
(3.2%)
|
80
(3.8%)
|
200
(9.5%)
|
93
(4.4%)
|
-
|
80
(3.8%)
|
2,098
(100%)
|
학부모등
|
8
(4.7%)
|
19
(11.1%)
|
68
(39.8%)
|
3
(1.8%)
|
1
(0.6%)
|
3
(1.8%)
|
15
(8.8%)
|
7
(4.1%)
|
29
(17.0%)
|
-
|
18
(10.5%)
|
171
(100%)
|
|
2022
|
학생
|
347
(12.2%)
|
108
(3.8%)
|
1,611
(56.9%)
|
20
(0.7%)
|
107
(3.8%)
|
51
(1.8%)
|
139
(4.9%)
|
221
(7.8%)
|
96
(3.4%)
|
7
(0.2%)
|
126
(4.4%)
|
2,833
(100%)
|
학부모등
|
14
(6.9%)
|
24
(11.9%)
|
75
(37.1%)
|
0
(0.0%)
|
1
(0.5%)
|
5
(2.5%)
|
25
(12.4%)
|
2
(1.0%)
|
45
(22.3%)
|
0
(0.0%)
|
11
(5.4%)
|
202
(100%)
|
※ 2022학년도 2학기부터 침해유형에 ‘교원의 영상 무단 합성 배포’를 추가하여 조사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사기 특별법, 국회 법안소위 통과 (0) | 2023.05.23 |
---|---|
국립공원의 아름다운 자연에서 다양한 문화행사를 즐겨보세요 (0) | 2023.05.23 |
우수 기술 보유한 중소·중견기업의 기술평가비용 전액 지원 (0) | 2023.05.22 |
호우와 태풍 풍수해보험으로 미리 대비하세요 (0) | 2023.05.22 |
국가자격시험 응시 기회 넓히는 8개 법률 개정안 국회 제출 (0) | 2023.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