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도 강소기업 27,790개소 선정
2023.05.04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는 2023년도 올해의 강소기업 27,790개를 선정해 발표했다. 전년에 비해 11,135개가 늘었고, 2년 연속 선정된 기업은 13,331개다. 추천받은 우수기업 및 신청기업은 전년보다 1,727개가 늘어난 49,036개로서 매년 강소기업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강소기업은 청년이 믿고 도전할 수 있는 우수한 중소·중견기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12년부터 고용노동부가 ‘중앙부처·공공기관·지자체 등에서 추천한 우수기업(추천기업 브랜드)’과 ‘자발적으로 신청한 기업’ 중에서 임금체불·산업재해 여부, 신용평가등급, 향락업 등 제외업종을 고려하여 매년 선정*하고 있다.
* 선정절차 : 추천기업 취합 및 신청기업 접수(3월) → 고용보험법상 우선지원 대상기업 여부 확인(4월 초) → 선정기준(임금체불 등 6개 결격요건) 확인(4월 중) → 선정 공고(4.28.)
기업 규모 면에서 20인 이하 기업이 39.4%로 가장 많았고, 21~50인 이하 기업(38.4%), 51~100인 이하 기업(13.3%) 순이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비율이 62.8%, 그밖에 도소매업 12.1%, 정보통신업 10.7%,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6.2% 순으로 많았다. 지역별로는 비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제외)에 소재한 기업이 43.1%로, 비수도권 기업 비율이 전년에 비해 소폭 증가했다('22, 42.4% → '23, 43.1%).
강소기업은 5월부터 1년간 청년워크넷에 기업정보를 게재할 수 있고 채용지원을 받을 수 있다. 그밖에 신용보증기금 보증 우대, 일학습병행 학습기업 선정 우대, 폭염재난예방 대책설비 우선지원, 국세청 정기 세무조사 선정 제외 우대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붙임 1 참조).
강소기업 선정결과는 고용노동부 누리집(www.moel.go.kr) ‘공지사항’ 또는 청년워크넷(www.work.go.kr/jobyoung)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청년워크넷에서는 6월부터 선정서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고용노동부는 강소기업 선정기준에서 더 나아가 청년친화적 근로 여건을 갖춘 기업을 청년친화강소기업으로 선정하여 추가 혜택을 부여할 계획이다. 청년친화강소기업 신청공고는 8월 고용노동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올해 선정된 강소기업에는 신청 관련 정보를 별도 안내할 예정이다.
붙임 1. 강소기업 혜택
붙임 2. 2023년도 강소기업 세부 현황
붙임 3. 2023년도 강소기업 추천기업 브랜드
붙임 1
|
1
|
강소기업 혜택
|
구분
|
지원사업
|
'23년도 강소기업 지원내용
|
채용지원
|
채용지원 서비스
|
청년구직자에게 기본적 기업정보 제공
→ 청년워크넷(www.work.go.kr/jobyoung)
|
기업홍보
|
청년워크넷 내 기업 정보 제공
|
강소기업 선정 시 선정서 온라인 발급
→ 청년워크넷(www.work.go.kr/jobyoung)
|
재정금융우대
|
청년 일자리 지원사업 금융 우대
|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서 발급 시 보증 우대
- 보증기간 최장 11년, 보증비율 100%, 보증료 0.2%p 이상 차감
*고용노동부-신용보증기금-신한은행간 청년일자리지원을 위한 MOU 체결, 청년고용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에 대한 대출 및 보증 우대
|
고위험개선사업 지원금 우대
|
상시근로자 50인 미만 사업장 중 사망사고 등 고위험개선요인 개선 시 최대 4천만원 지원(일반 사업장의 경우 3천만원 지원)
→ 클린사업장조성지원누리집(https://clean.kosha.or.kr)
|
|
선정선발우대
|
일학습병행 학습기업 선정 우대
|
일학습병행 학습기업 선정 기본요건(근로자 50인 이상) 예외 사유 포함
- 청년친화강소기업/강소기업의 경우, 5인 이상 기업까지 예외 적용
→ 일학습병행 블로그(https://blog.naver.com/run-learn)
|
폭염재난예방 대책설비 우선지원
|
청년친화강소기업/강소기업 사업장은 ‘폭염재난예방 대책설비 보조지원’ 우선지원 대상 선정기준(100점 만점)에 가점 2점 반영
→ 산업안전보건공단 누리집(www.kosha.go.kr)
|
|
고용창출장려금·고용안정장려금 등 지원우대
|
지원대상 선정 시 청년친화강소기업/강소기업 우대(가점 부여, 수시)
→ 고용보험 누리집(www.ei.go.kr)
|
|
세무조사 우대
|
정기 세무조사 선정 제외 우대(일자리창출 우수기업)
|
일자리창출 우수기업(일자리창출계획서를 제출하고 계획대로 전년대비 상시근로자 수(2~3%이상)를 증가시킨 기업)
- 강소기업의 경우 청년근로자 고용여부와 관계없이 상기근로자 수 계산방법에 따라 증가된 고용인원 1명을 2명으로 계산
→ 국세청 누리집(www.nts.go.kr)
|
붙임 2
|
1
|
2023년도 강소기업 세부 현황
|
□ (총괄) 총 27,790개소로 전년 대비 66.9%(11,135개소) 증가, 추천기업 브랜드 수는 57개로 3개 증가(2개 삭제, 5개 신규반영)
□ (규모별 현황) 20인 이하 기업이 39.4%로 가장 많고, 21~50인 이하 (38.4%), 51~100인 이하(13.3%) 순으로 많아, 예년과 유사한 비율 유지
20인 이하
|
21~50인 이하
|
51~100인 이하
|
101~200인 이하
|
201인 초과
|
계
|
10,937
(39.4%)
|
10,669
(38.4%)
|
3,707
(13.3%)
|
1,636
(5.9%)
|
841
(3%)
|
27,790
(100.0%)
|
□ (업종별 현황) 제조업 비율이 62.8%이고, 그밖에 도·소매업 12.1%, 정보통신업 10.7% 순으로 많았으며, 예년과 유사한 비율 유지
제조업
|
도․소매업
|
정보
통신업
|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
건설업
|
기타
|
계
|
17,465
(62.8%)
|
3,352
(12.1%)
|
2,963
(10.7%)
|
1,720
(6.2%)
|
471
(1.7%)
|
1,812
(6.5%)
|
27,790
(100.0%)
|
□ (지역별 현황) 비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제외) 소재 기업이 43.1%로, 비수도권 기업 비율이 전년에 비해 0.7%p 증가
서울
|
경기․인천
|
부산.울산.
경남
|
대전․충청․
세종
|
대구․경북
|
광주․호남
|
강원권
|
제주
|
계
|
5,324
(19.2%)
|
10,486
(37.7%)
|
4,532
(16.3%)
|
3,230
(11.6%)
|
1,663
(6%)
|
1,909
(6.9%)
|
481
(1.7%)
|
165
(0.6%)
|
27,790
(100.0%)
|
붙임 3
|
1
|
2023년도 강소기업 추천기업 브랜드
|
연번
|
추천기업 브랜드명
|
추천기관
|
연번
|
추천기업 브랜드명
|
추천기관
|
1
|
대한민국일자리으뜸기업
|
고용부
|
30
|
유망중소기업
|
대전
|
2
|
노사문화우수기업
|
고용부
|
31
|
좋은일터인증기업
|
대전
|
3
|
근무혁신 우수기업
|
고용부
|
32
|
매출의탑
|
대전
|
4
|
이달의 기능한국인
|
고용부
|
33
|
고용친화기업
|
대구
|
5
|
사회적기업
|
고용부
|
34
|
일자리창출우수기업
|
울산
|
6
|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기업
|
고용부
|
35
|
우수기업
|
세종
|
7
|
남녀고용평등우수기업
|
고용부
|
36
|
유망중소기업
|
세종
|
8
|
우리지역청년희망이음기업
|
산업부
|
37
|
스타기업
|
세종
|
9
|
세계일류상품생산기업
|
산업부
|
38
|
유망중소기업
|
경기
|
10
|
인재육성형중소기업
|
중기부
|
39
|
백년기업
|
강원
|
11
|
이노비즈
|
중기부
|
40
|
유망중소기업
|
강원
|
12
|
메인비즈
|
중기부
|
41
|
고용우수기업
|
충북
|
13
|
월드클래스300
|
산업부
|
42
|
글로벌강소기업
|
충남
|
14
|
월드클래스플러스
|
산업부
|
43
|
유망중소기업
|
충남
|
15
|
코스닥라이징스타기업
|
한국거래소
|
44
|
경북PRIDE기업
|
경북
|
16
|
신보스타기업
|
신용보증기금
|
45
|
경북스타기업
|
경북
|
17
|
최고일자리기업
|
신용보증기금
|
46
|
청년일자리창출 우수기업
|
경북
|
18
|
글로벌방산강소기업
|
방위사업청
|
47
|
고용우수기업
|
경남
|
19
|
한국형히든챔피언
육성프로그램
|
한국수출입은행
|
48
|
경남형청년친화기업
|
경남
|
20
|
서울형강소기업
|
서울
|
49
|
청년동행일자리우수기업
|
제주
|
21
|
전략산업선도기업
|
부산
|
50
|
가족친화인증기업
|
여가부
|
22
|
고용우수기업
|
부산
|
51
|
병역지정업체
|
병무청
|
23
|
향토기업
|
부산
|
52
|
여가친화기업
|
문체부
|
24
|
유망중소기업
|
인천
|
53
|
혁신리딩기업
|
신용보증기금
|
25
|
중견성장사다리기업
|
인천
|
54
|
방산혁신기업100
|
방위사업청
|
26
|
비전기업
|
인천
|
55
|
울산 지역스타기업
|
울산
|
27
|
일자리우수기업
|
광주
|
56
|
울산 지역혁신 선도기업
|
울산
|
28
|
명품강소기업
|
광주
|
57
|
모범장수기업
|
울산
|
29
|
PRE-명품강소기업
|
광주
|
-
|
-
|
-
|
※ 추천기업 브랜드 : 중앙행정기관, 공공기관, 지자체 등에서 고용노동부에 추천한 우수기업 사례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의 달 대비 건강기능식품 제조·판매업체 점검...2곳 적발 (0) | 2023.05.04 |
---|---|
부모급여, 4월 25일 약 27만 명에게 지급 (1) | 2023.05.04 |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220개 수출업체 무역기술장벽 대응지원 서비스 받는다 (0) | 2023.05.04 |
대학 연구의 등불, 램프(LAMP) 사업이 밝힌다 (1) | 2023.05.03 |
상습체불사업주<연 3개월분 이상 체불> 신용제재, 정부지원 제한한다. (0) | 2023.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