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 백년시장을 역사와 문화의 복합공간으로 육성 추진
2023.04.07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 백년시장을 역사와 문화의 복합공간으로 육성 추진
|
- 100년 이상 된 전통시장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지원 방안 마련
- 정부, 상인, 민간이 합심하여 세계적인 전통시장으로 키울 계획
|
백년을 넘은 전통시장이 역사와 문화의 복합공간으로 재탄생된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는 4.7(금), 서울 광장시장에서 조주현 차관 주재로 백년시장 상인과의 간담회를 열고, 100년 이상 영업 중인 전통시장(이하 백년시장)이 세계인이 즐겨 찾는 명품시장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백년시장 발전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발표하였다.
이번 정책 추진방향 발표와 간담회는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4월 1일, 서문시장 100주년 기념식 축사에서 언급한 “전통시장을 복합문화공간으로 발전시키겠다”는 상인들과의 약속에 대한 이행 조치 일환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네 가지 추진전략을 통해 백년시장을 세계적인 시장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첫째, 능력 있는 상인을 육성한다.
상인들이 스스로 변화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상인대학 등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혁신역량을 강화하고, 협동조합 설립 등 조직화를 통해 공동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둘째, 백년시장을 하나의 역사·문화공간으로 만든다.
해외 유명 전통시장처럼 백년시장이 그 자체로 하나의 문화상품이 될 수 있도록 백년시장의 역사를 스토리로 만들고, 시장만의 볼거리·먹거리와 K-푸드, K-컬처를 연계한 팔도 관광상품을 개발한다.
셋째, 디지털 전환을 촉진한다.
국내·외 각지에서 백년시장의 자체 브랜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온라인 플랫폼 입점과 글로벌 배송 시스템을 구축하고, 배송 로봇 등 디지털 신기술 이용이 가능한 스마트 시장으로 탈바꿈한다.
마지막으로 주변 상권과 상생한다.
백년시장과 주변 상권이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상인, 지역민, 상권 전문가가 함께하는 지역발전 상생협의체를 만들고, 로컬크리에이터 등을 활용해 지역 상권 활성화 계획 수립을 지원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백년시장을 명실상부한 최고의 명품시장으로 만들기 위해 줄탁동시(啐啄同時)*의 마음으로 상인의 변화 노력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 수단을 대폭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 줄탁동시(啐啄同時) : 병아리가 알에서 깨어나기 위해서는 어미 닭이 밖에서 쪼고 병아리가 안에서 쪼며 서로 도와야 일이 순조롭게 완성됨을 의미
조주현 차관은 “오늘 발표한 정책 추진방향을 기초로 현장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수렴하여 지원 대상, 선정 방식 등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마련해 올해 7월경 발표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참고 1
|
|
“백년시장 발전 프로젝트”계획I(안)
|
Ⅰ. 추진 배경
□ 우리 전통시장은 사회 구성원 간의 생활 속에서 물물 거래 및 만남의 장소로서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되어 주기적․정기적으로 개설
□ 세계 유명 시장이나 남대문시장, 서문시장 등 역사가 깊은 전통시장이 혁신을 통해 전 세계인이 찾는 시장으로 발전했듯이,
◦ 서민경제의 근간이자 우리 문화유산으로서 가치가 높은 백년 이상 된 전통시장을 혁신하여 K-컬처의 한 축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음
Ⅱ. 백년전통시장 현황
□ 전통시장(오일장, 상설시장 등) 개설 이후 100년 이상 영업이 지속되고 있는 전통시장은 전국 58곳(수도권 5곳, 지방 53곳)*으로,
* 가장 오래된 전통시장은 경남 밀양의 ‘밀양 아리랑시장’으로 조선 성종 10년 개장하였으며, 지역별로 수도권 5곳, 중부권 13곳, 영남 20곳, 호남 20곳임
◦ 대부분이 지역 특산품 및 먹거리 기반의 농·수산물을 판매하고 있고, 전체 절반인 29곳이 과거와 같은 5일장 형태로 운영되고 있음
Ⅲ. 세부추진계획(안)
□ 상인 조직화를 통한 자생력 확보
◦ 자발적으로 공동 사업을 발굴하고 추진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들고, 이를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상인회 역량 강화 지원
* 소상공인협업활성화지원사업을 통해 협동조합 설립을 지원하여 자체 수익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시장경영패키지지원사업을 통해 상인교육 지원
◦ `명문장수기업`, `백년가게` 등 유서 깊은 기업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인증제를 시장에 도입하고 ‘현판수여’, 특집방송제작 등 지원
□ 민간이 주도하는 전통시장 활성화
◦ 지자체, 대학, 대기업 등이 참여하는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시장을 하나의 문화상품으로 만드는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도록 지원
* 시장 관련 인물, 역사적 사건을 스토리로 만들고, `예산시장 = 백종원 시장`처럼 브랜드화하거나, K-푸드, K-컬쳐와 결합할 수 있는 테마 발굴, 확산하는 계획
◦ 1년 단위 단기 사업이 아닌 2~3년간 다년도 사업 방식을 도입해 선정된 시장의 획기적 변화 유도
□ 정부와 지자체 간 연계, 민간 투자를 통한 종합적인 지원
◦ 정부(중소벤처기업부+각 부처)와 지자체 사업을 연계하여 시설현대화 등 하드웨어와 특성화시장육성사업 등 소프트웨어 부분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고,
◦ KT, 카카오 등 투자를 유도하여 전통시장에 디지털을 접목하고 한진, 쿠팡 등 유통 대기업과 협업을 통해 비대면 거래를 활성화
◦ 국내 소비자 및 해외 관광객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방송 및 SNS 등을 통한 홍보 진행
* (국내) KBS `6시 내고향` 방송, 기획 기사, 팸투어 추진 등
(해외) 아리랑 TV, 항공사 및 여행사 등을 활용한 홍보 진행
참고 2
|
|
백년 전통시장 현황(총 58곳)
|
지역
|
시장명
|
개설연도*
|
시장규모
|
|||
점포수(개)
|
매출액
(천원, 일평균)
|
고객 수
(명, 일평균)
|
||||
서울
|
종로구
|
광장시장
|
1905
|
1733
|
406,000
|
50387
|
서울
|
중구
|
남대문시장
|
1608
|
5400
|
967,750
|
64691
|
부산
|
해운대구
|
해운대전통시장
|
1910
|
126
|
79,900
|
6,163
|
대구
|
중구
|
서문시장
|
1922
|
3793
|
680,000
|
61,469
|
대구
|
중구
|
약령시장
|
1658
|
215
|
27,250
|
1,981
|
대구
|
달성군
|
현풍도깨비시장
|
1918
|
105
|
48,000
|
4,942
|
대구
|
달성군
|
화원시장
|
1914
|
36
|
6,200
|
1,058
|
인천
|
중구
|
신포시장
|
1833
|
160
|
48,780
|
6,149
|
광주
|
서구
|
양동시장
|
1910
|
275
|
158,940
|
11835
|
광주
|
광산구
|
1913송정역시장
(송정역전매일시장)
|
1913
|
72
|
13,970
|
1849
|
대전
|
유성구
|
유성5일장
|
1916
|
-
|
-
|
-
|
경기
|
수원시
|
영동시장
|
1919
|
305
|
151,270
|
10806
|
경기
|
오산시
|
오산오색시장
|
1914
|
408
|
70,670
|
9467
|
충북
|
음성군
|
음성전통시장
|
1770
|
310
|
85,470
|
8462
|
충남
|
천안시
|
천안중앙시장
|
1918
|
505
|
221,630
|
21293
|
충남
|
천안시
|
병천시장
|
1918
|
350
|
64,720
|
6862
|
충남
|
천안시
|
성환이화시장
|
1914
|
150
|
48,250
|
4471
|
충남
|
공주시
|
정산시장
|
1919
|
78
|
14,420
|
2180
|
충남
|
논산시
|
강경젓갈시장
|
1900
|
140
|
40,090
|
2,800
|
충남
|
논산시
|
연산전통시장
|
1911
|
67
|
7,200
|
1,022
|
충남
|
당진시
|
신평시장
|
1915
|
-
|
-
|
-
|
충남
|
부여군
|
부여시장
|
1916
|
300
|
67,400
|
5,100
|
충남
|
부여군
|
부여 새시장
|
1916
|
99
|
8,790
|
886
|
충남
|
예산군
|
덕산시장
|
1887
|
120
|
26,770
|
3423
|
충남
|
태안군
|
태안동부시장
|
1918
|
144
|
22,990
|
2340
|
전북
|
전주시
|
전주남부시장
|
1905
|
484
|
108,380
|
13,568
|
전북
|
군산시
|
군산공설시장
|
1918
|
285
|
75,770
|
5,329
|
전북
|
익산시
|
익산남부시장
|
1914
|
58
|
9,100
|
1,618
|
전북
|
익산시
|
함열시장
|
1902
|
33
|
3,950
|
851
|
전북
|
정읍시
|
샘고을시장
|
1914
|
345
|
79,470
|
7,070
|
전북
|
정읍시
|
신태인시장
|
1917
|
68
|
7,460
|
1,062
|
전북
|
김제시
|
김제전통시장
|
1900
|
84
|
32,190
|
3,258
|
전북
|
진안군
|
진안고원시장
|
1918
|
160
|
25,500
|
3,157
|
전북
|
무주군
|
무주반딧불시장
|
1915
|
247
|
129,770
|
10,797
|
전남
|
나주시
|
다시5일시장
|
1920
|
28
|
4,490
|
508
|
전남
|
담양군
|
담양시장
|
1917
|
-
|
-
|
-
|
전남
|
담양군
|
창평전통시장
|
1919
|
118
|
29,490
|
3550
|
전남
|
고흥군
|
고흥전통시장
|
1915
|
156
|
37,700
|
5077
|
전남
|
화순군
|
능주전통시장
|
1923
|
68
|
41,780
|
3508
|
전남
|
함평군
|
나산시장
|
1907
|
15
|
4,250
|
778
|
전남
|
함평군
|
함평시장
|
1903
|
-
|
-
|
-
|
경북
|
안동시
|
운산공설시장
|
1914
|
-
|
-
|
-
|
경북
|
안동시
|
풍산시장
|
1917
|
113
|
23,210
|
2,334
|
경북
|
의성군
|
봉양시장
|
1921
|
54
|
12,540
|
1,373
|
경북
|
청송군
|
부남시장
|
1921
|
72
|
4,430
|
669
|
경북
|
청송군
|
청송시장
|
1920
|
38
|
9,020
|
1,202
|
경북
|
청송군
|
도평시장
|
1921
|
46
|
5,690
|
860
|
경북
|
영양군
|
영양시장
|
1918
|
110
|
7,670
|
1,519
|
경북
|
영덕군
|
강구시장
|
1919
|
202
|
17,760
|
2,302
|
경북
|
청도군
|
청도공설시장
|
1912
|
384
|
45,680
|
6,960
|
경북
|
칠곡군
|
약목시장
|
1914
|
-
|
-
|
-
|
경북
|
예천군
|
예천시장
|
1914
|
132
|
3,626
|
3,148
|
경북
|
예천군
|
용궁시장
|
1915
|
45
|
7,840
|
1,082
|
경남
|
진주시
|
진주중앙시장
|
1884
|
430
|
305,530
|
21,855
|
경남
|
밀양시
|
밀양아리랑시장
|
1479
|
110
|
6,950
|
967
|
경남
|
하동군
|
화개장터
|
1726
|
76
|
18,020
|
2,053
|
제주
|
제주시
|
세화오일시장
|
1912
|
191
|
74,570
|
7,284
|
제주
|
제주시
|
함덕오일시장
|
1907
|
49
|
24,010
|
2,497
|
* 개설 연도는 문헌(조선왕조실록 등) 및 상인회 관계자를 통한 확인
** 5일장의 경우 정확한 매출 및 고객 수 파악이 어려움
참고 3
|
|
백년 전통시장 발전 프로젝트 방향
|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앱 하나로 택시부터 항공까지 예약·결제…12월 시범서비스 (0) | 2023.04.08 |
---|---|
민관합동 배터리 산업 IRA 활용 전략 발표 (0) | 2023.04.08 |
위탁개발 최대규모 ‘용사의 집’ 준공 (0) | 2023.04.08 |
농식품부, ‘농촌여행 청년기획가’ 출범식 개최 (0) | 2023.04.08 |
임시정부수립기념일 계기 만들기 체험교실 운영 (2) | 2023.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