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 광고비 조사 결과 발표
2023.01.1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년 국내 방송통신 광고비는 15조 5,174억 원 규모
|
- 과기정통부, 방송통신 광고비 조사 결과 발표 -
- 방송 4조 531억 원, 온라인 8조 36억 원 등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사장 이백만, 이하 ‘코바코’)는 2021년도 국내 방송통신광고 시장 현황과 2022~2023년 전망을 담은 「2022 방송통신 광고비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국내 방송통신 광고시장 현황 및 변화 양상을 파악하여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2014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국가승인 통계조사(통계청승인, 제920021호)로서, 국내 소재 매체사를 대상으로 매체별·광고유형별 광고비 현황 및 전망과 광고업무 종사자 현황을 조사한다.

2021년 기준 국내 방송통신광고비는 15조 5,174억 원으로, 전년(’20년, 14조 1,203억원) 대비 9.9% 증가하였다. 조사 대상 사업체는 2022년*에는 광고비 증가율이 1.6%에 그칠 것이라고 응답하여, 성장률이 크게 둔화될 전망이다.
※ 2021년에는 2020년 코로나로 인해 정체한 매출의 기저효과로 인해 크게 증가하였으며, 2022년에는 성장률이 다시 둔화될 것으로 전망
< 방송통신 광고비 현황 및 전망 > (단위 : 억 원)
|
|||||
구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e
|
광고비
|
13조 7,559
|
14조 4,269
|
14조 1,203
|
15조 5,174
|
15조 7,678
|
(전년대비)
|
(+7.9%)
|
(+4.9%)
|
(-2.1%)
|
(+9.9%)
|
(+1.6%)
|
※ 2022년 광고비는 조사 대상 사업체가 응답한 예상 광고비로, 경제상황 등에 따라 실제 광고비는 달라질 수 있음
매체별로 보면 △ 온라인 광고비가 8조 36억 원으로 전체 중 가장 많은 51.6%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 방송 광고가 4조 531억 원으로 26.1%, △ 인쇄 광고가 2조 208억 원으로 13%, △ 옥외 광고가 9,302억 원으로 6%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매체별 광고매출액 추이 > (단위: 억 원)
|
||||||
구분
|
총 광고비
|
방송광고
|
인쇄광고
|
온라인광고
|
옥외광고
|
기타광고
|
2020년
|
14조 1,203
|
3조 4,841
|
1조 9,201
|
7조 5,284
|
8,358
|
3,520
|
2021년
|
15조 5,174
|
4조 531
|
2조 208
|
8조 36
|
9,302
|
5,097
|
증감률
|
+9.9%
|
+16.3%
|
+5.2%
|
+6.3%
|
+11.3%
|
+44.8%
|
◇ 방송 광고
|
2021년 방송 광고비는 4조 531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사 대상 사업체는 2022년에는 4.7% 상승을 예측하였다.
< 방송 광고비 및 증감률 추이 > (단위: 억 원)
|
|||||
구 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e
|
광고비
|
3조 9,318
|
3조 7,710
|
3조 4,841
|
4조 531
|
4조 2,424
|
(전년대비)
|
(-0.5%)
|
(-4.1%)
|
(-7.6%)
|
(+16.3%)
|
(+4.7%)
|
※ 2022년 광고비는 조사 대상 사업체가 응답한 예상 광고비로, 경제상황 등에 따라 실제 광고비는 달라질 수 있음
사업자별로는 △ 지상파 티브이(1조 3,597억 원, +22.9%), △ 방송채널사용사업자(2조 1,824억 원, +15.4%), △ 아이피티브이(1,071억 원, +4.4%), △ 라디오(2,598억 원, +11.5%) 등 방송 사업자 대부분의 광고비가 증가하였다.
특히, 지상파티브이의 경우 코로나 회복에 따른 기업의 마케팅 증가와 중간광고 도입(’21.7월), 도쿄 올림픽 특수 등이 맞물려 성장(+22.9%)하였으며 방송채널사용사업자도 국내 콘텐츠 경쟁력 강화 등으로 인해 증가한(+15.4%) 모습을 보였다.
반면, △ 종합유선방송사업자(1,090억 원, -4.8%), △ 위성방송(330억 원, -0.7%), △ DMB(22억 원, -14.9%) 광고비는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방송 매체별 광고비 규모 현황>
|
|||||
매체구분
|
광고비(억 원)
|
2020년 대비
2021년 증감률(%)
|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방
송
|
지상파티브이
|
12,447
|
11,066
|
13,597
|
+22.9
|
라디오
|
2,085
|
2,330
|
2,598
|
+11.5
|
|
지상파디엠비
|
23
|
26
|
22
|
-14.9
|
|
방송채널사용사업자
|
20,021
|
18,917
|
21,824
|
+15.4
|
|
아이피티브이
|
1,243
|
1,025
|
1,071
|
+4.4
|
|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1,391
|
1,145
|
1,090
|
-4.8
|
|
위성방송
|
500
|
332
|
330
|
-0.7
|
◇ 온라인 광고
|
2021년 온라인 광고비는 8조 36억원으로 전년 대비 6.3% 증가하였다. 매년 높은 성장률을 유지하며 가파르게 성장해 왔으나(’18년 19.7%↑ ⇒ ’19년 14.1%↑ ⇒ ’20년 15.4%↑), 증가율이 둔화된 모습을 보였다.
< 온라인 광고비 및 증감률 추이 > (단위: 억 원)
|
|||||
구 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e
|
온라인
|
5조 7,172
|
6조 5,219
|
7조 5,284
|
8조 36
|
8조 227
|
(전년대비)
|
(+19.7%)
|
(+14.1%)
|
(+15.4%)
|
(+6.3%)
|
(+0.2%)
|
※ 2022년 광고비는 조사 대상 사업체가 응답한 예상 광고비로, 경제상황 등에 따라 실제 광고비는 달라질 수 있음
매체별로는 △ 모바일 광고비가 전년 대비 9.4% 증가한 6조 2,239억원, △ 컴퓨터 광고비는 3.2% 감소한 1조 7,797억원이며, 점유율은 모바일 77.8%, PC 22.2%로 조사되었다.
< 온라인 매체별 광고비 규모 현황>
|
|||||
매체구분
|
광고비(억 원)
|
2020년 대비
2021년 증감률(%)
|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온
라
인
|
컴퓨터
|
18,716
|
18,394
|
17,797
|
-3.2
|
모바일
|
46,503
|
56,890
|
62,239
|
9.4
|
|
소 계
|
65,219
|
75,284
|
80,036
|
6.3
|
◇ 인쇄·옥외·기타 광고 등
|
인쇄 광고비는 2021년 2조 208억원으로 전년 대비 5.2% 증가했으며, 전년 대비 신문(1조 7,081억 원, +7.2%)은 증가한 반면, 잡지(3,127억 원, -4.3%)는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옥외 광고비는 9,302억원으로 전년 대비 11.3% 증가했으며, 인쇄형(6,368억원, +5.4%), 디지털사이니지(2,934억원, +26.8%) 모두 증가하였다.
그 외 생활, 취업정보 등 기타 광고비는 5,097억원으로 전년 대비 4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인쇄·옥외 등 광고비 및 증감률 추이 > (단위: 억원)
|
|||||
구 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e
|
인쇄
|
2조 3,480
|
2조 3,730
|
1조 9,201
|
2조 208
|
1조 9,753
|
(전년대비)
|
(+1.6%)
|
(+1.1%)
|
(-19.1%)
|
(+5.2%)
|
(-2.3%)
|
옥외
|
1조 3,299
|
1조 2,568
|
8,358
|
9,302
|
9,819
|
(전년대비)
|
(+1.8%)
|
(-5.5%)
|
(-33.5%)
|
(+11.3%)
|
(+5.6%)
|
기타
|
4,290
|
5,042
|
3,520
|
5,097
|
5,454
|
(전년대비)
|
(+4.1%)
|
(+17.5%)
|
(-30.2%)
|
(+44.8%)
|
(+7.0%)
|
※ 2022년 광고비는 조사 대상 사업체가 응답한 예상 광고비로, 경제상황 등에 따라 실제 광고비는 달라질 수 있음
한편, 2021년 국내 광고업무 종사자 수는 총 24,616명으로 신문·잡지 등 인쇄광고 시장의 종사자가 전체 종사자의 49.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방송통신 광고비 조사 보고서는 과기정통부 누리집(www.msit.go.kr), 코바코 방송통신광고통계시스템(adstat.kobaco.co.kr)에서 이용할 수 있다.
붙임: 2022 방송통신광고비 조사 세부내용
붙임
|
|
방송통신광고비 조사 세부내용(표)
|
매체구분
|
광고비 (억 원)
|
증감률 (%)
|
||||
2020
|
2021
|
2022(e)
|
’20대비
’21년
|
’21대비
’22년
|
||
방
송
|
지상파티브이
|
11,066
|
13,597
|
13,822
|
+22.9
|
+1.7
|
라디오
|
2,330
|
2,598
|
2,542
|
+11.5
|
-2.2
|
|
지상파디엠비
|
26
|
22
|
23
|
-14.9
|
+3.1
|
|
방송채널사용사업자
|
18,917
|
21,824
|
23,544
|
+15.4
|
+7.9
|
|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1,145
|
1,090
|
1,103
|
-4.8
|
+1.1
|
|
아이피티브이
|
1,025
|
1,071
|
1,069
|
+4.4
|
-0.2
|
|
위성방송
|
332
|
330
|
323
|
-0.7
|
-2.0
|
|
소 계
|
34,841
|
40,531
|
42,424
|
+16.3
|
+4.7
|
|
온
라
인
|
컴퓨터
|
18,394
|
17,797
|
15,467
|
-3.2
|
-13.1
|
모바일
|
56,890
|
62,239
|
64,762
|
+9.4
|
+4.1
|
|
소 계
|
75,284
|
80,036
|
80,227
|
+6.3
|
+0.2
|
|
인쇄
|
신문
|
15,934
|
17,081
|
16,603
|
+7.2
|
-2.8
|
잡지
|
3,267
|
3,127
|
3,150
|
-4.3
|
+0.7
|
|
소 계
|
19,201
|
20,208
|
19,753
|
+5.2
|
-2.3
|
|
옥
외
|
전자광고판
|
2,314
|
2,934
|
3,318
|
+26.8
|
+13.1
|
인쇄형
|
6,044
|
6,368
|
6,501
|
+5.4
|
+2.1
|
|
소 계
|
8,358
|
9,302
|
9,819
|
+11.3
|
+5.6
|
|
기타
|
생활정보
|
1,437
|
1,413
|
1,704
|
-1.7
|
+20.6
|
취업정보
|
935
|
2,458
|
2,473
|
+162.9
|
+0.6
|
|
디엠
|
718
|
718
|
734
|
+0.1
|
+2.2
|
|
방송제작사
|
430
|
508
|
544
|
+18.3
|
+7.0
|
|
소 계
|
3,520
|
5,097
|
5,455
|
+44.8
|
+7.0
|
|
총 계
|
141,203
|
155,174
|
157,678
|
+9.9
|
+1.6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 혁신의 성공방정식, AI 중심으로 새로 쓴다 (0) | 2023.01.13 |
---|---|
우수직업훈련기관에서도 “중장년 새출발 카운슬링”을 실시합니다 (1) | 2023.01.13 |
여성기업 판로역량강화 지원(2023년 여성기업육성사업 통합 공고) (0) | 2023.01.12 |
일시적 2주택자 처분기한 연장_기획재정부 (0) | 2023.01.12 |
전략적 조달을 통한 ‘경제 재도약’ 뒷받침 (1) | 2023.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