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행정 통계로 본 2022년 11월 노동시장 동향
|
2022년 11월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495만 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1만 9천명(+2.2%) 증가하였다.
▸ 고용보험 상시가입자수 증감(천명): (’22.7)431→ (8)427→ (9)378→ (10)352→ (11)319

산업별로는 보건복지(+71천명), 제조업(+67천명), 출판영상통신(+58천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43천명), 숙박음식(+43천명) 등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제조업은 생산 및 수출 감소 등 어려운 여건에도 전자통신, 금속가공, 식료품, 기계장비 등을 중심으로 2021년 1월이후 증가 지속 중이며, 서비스업도 비대면 수요 증가와 대면활동 정상화 등으로 대부분 업종에서 증가하였다.
▸ 제조업 가입자수 증감(천명): (’22.7)79→ (8)78→ (9)74→ (10)72→ (11)67
▸ 서비스업 가입자수 증감(천명): (’22.7)318→ (8)315→ (9)272→ (10)251→ (11)226
다만, 사회복지업, 제조업, 도소매(무점포소매업, 편의점) 등 대부분 업종에서 증가폭이 둔화되고, 공공행정은 큰 폭으로 감소 지속하면서 전체 가입자 증가폭도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11월 중 구직급여 신규신청자는 8만 6천명으로 공공행정(-3천명),
제조업(-1천명) 등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3천명(-3.3%) 감소하였다.
▸구직급여신규신청자수 증감(천명): (’22.7)-7→ (8)-3→ (9)2→ (10)-2→ (11)-3
구직급여 지급자는 51만 4천명으로 2만 3천명(-4.3%) 감소하였고,
지급액은 7,970억원으로 254억원(-3.1%) 감소하였으며, 지급 건수당
지급액은 약 139만원으로 전년동월대비 0.6% 증가하였다.
Ⅰ
|
고용보험 가입자수 현황
|
|
1. 제조업
|
□ (전체) 제조업 가입자수는 369만 5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만 7천명 증가하면서 2021년 1월 이후 23개월 연속 증가
ㅇ 경기둔화, 생산 및 수출 감소 등 어려운 여건에도 가입자수 증가 지속
▸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수 증감(천명): (‘22.7)79→ (8)78→ (9)74→ (10)72→ (11)67

□ (중분류) 전자통신, 금속가공, 식료품, 기계장비 등을 중심으로 대부분 증가 지속하였고, 의복·모피, 섬유는 감소

ㅇ <식료품 > 도시락, 반조리식품 등에 대한 꾸준한 수요로 증가 지속
▸식료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9.1→ (8)10.0→ (9)9.6→ (10)9.1→ (11)8.4
기타식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5.5→ (8)6.0→ (9)6.0→ (10)5.8→ (11)5.1
ㅇ <섬유제품↓><의복·모피↓> 원부자재, 물류비 상승,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 위축 등으로 감소 지속
▸섬유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0.9→ (8)-1.1→ (9)-1.3→ (10)-1.5→ (11)-2.0
직물및직조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0.1→ (8)-0.2→ (9)-0.3→ (10)-0.4→ (11)-0.8
기타섬유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0.6→ (8)-0.6→ (9)-0.7→ (10)-0.5→ (11)-0.6
▸의복,모피 제조업 증감(천명): (‘22.7)-1.2→ (8)-1.1→ (9)-1.2→ (10)-1.1→ (11)-1.1
봉제의복 제조업 증감(천명): (’22.7)-1.1→ (8)-1.0→ (9)-1.0→ (10)-1.1→ (11)-1.0
※ 의류 재고지수(계절조정): (’21.10)102.1, (‘22.8)108.6→ (9p)109.6→ (10p)106.0
※ 봉제의복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1.10)76.3, (‘22.8)79.0→ (9p)71.4→ (10p)67.7
ㅇ <화학제품 > 이차전지 소재, 특수가스 등 첨단소재 중심으로 증가 지속하고 있으나, 일부 사업장 산업분류 변경 영향으로 증가폭 둔화
▸화학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7.6→ (8)6.4→ (9)6.1→ (10)6.0→ (11)3.9
기초화학물질 제조업 증감(천명): (‘22.7)2.5→ (8)2.2→ (9)2.3→ (10)2.4→ (11)2.3
기타 화학제품 제조업(천명): (’22.7)2.2→ (8)2.1→ (9)1.9→ (10)1.9→ (11)0.4
※ 화학제품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1.10)114.8, (‘22.8)100.8→ (9p)99.1→ (10p)98.6
* ‘22.11월 ’화학제품‘ 제조업의 일부사업장이 ’금속가공‘ 제조업으로 산업분류 변경(-2천명)
ㅇ <의약품 ><의료·정밀기기 > 수출 감소 확대, 경쟁 심화에 따른 의약품 가격 하락 압박 등 어려움이 있으나 내수 호조 등에 힘입어 증가 지속
▸의약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2.2→ (8)2.0→ (9)2.1→ (10)2.0→ (11)2.2
※ 의약품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1.10)160.9, (’22.8)175.9→ (9p)182.9→ (10p)164.5
▸의료,정밀기기 제조업 증감(천명): (‘22.7)3.6→ (8)3.8→ (9)3.2→ (10)3.0→ (11)3.0
의료용기기 제조업 증감(천명): (’22.7)2.0→ (8)2.2→ (9)2.3→ (10)2.2→ (11)2.1
정밀기기 제조업 증감(천명): (‘22.7)1.9→ (8)1.8→ (9)1.9→ (10)1.9→ (11)2.3
※ 의료,정밀기기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1.10)147.3, (‘22.8)152.6→ (9p)162.8→ (10p)153.7
※ 바이오헬스 수출액 증감률(%): (‘21.11)-0.5, (’22.9)-4.8→ (10)-18.7→ (11)-27.3

ㅇ <고무, 플라스틱 > 자동차, 전자통신 등 전방산업 업황 호조에 따른 중간재 수요로 플라스틱제품 중심으로 증가 지속
▸고무,플라스틱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5.1→ (8)4.5→ (9)4.1→ (10)3.8→ (11)3.1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4.4→ (8)4.0→ (9)3.5→ (10)3.3→ (11)2.6
※ 플라스틱제품 생산지수(계절조정): (’21.10)89.0, (‘22.8)87.6→ (9p)84.8→ (10p)84.6
ㅇ <전기장비 ><기계장비 > 전기장비는 일·이차전지를 중심으로 증가 지속, 기계장비는 인프라 투자 확대에 힘입어 증가 지속
▸전기장비 제조업 증감(천명): (‘22.7)8.9→ (8)8.4→ (9)8.0→ (10)5.9→ (11)3.9
일차·이차전지 제조업 증감(천명): (‘22.7)4.8→ (8)5.1→ (9)5.3→ (10)3.5→ (11)3.8
가정용기기 제조업 증감(천명): (‘22.7)1.4→ (8)0.5→ (9)0.3→ (10)-0.1→ (11)-0.6
▸기계장비 제조업 증감(천명): (‘22.7)9.0→ (8)9.0→ (9)10.2→ (10)8.5→ (11)7.1
일반목적용 기계 제조업 증감(천명): (‘22.7)5.2→ (8)5.3→ (9)5.5→ (10)5.1→ (11)4.5
특수목적용 기계 제조업 증감(천명): (‘22.7)3.8→ (8)3.8→ (9)4.7→ (10)3.3→ (11)2.6
※ 기계 설비투자지수(계절조정): (‘21.10)122.6, (’22.8)143.2→ (9p)134.1→ (10p)136.7
* ‘21.12월 ’기계장비‘ 제조업의 일부사업장이 ’전자통신‘ 제조업으로 산업분류 변경(-1천명)
’기계장비‘ 일부사업장이 ’협회 및 단체, 수리업‘ 으로 산업분류 변경(-0.7천명)
ㅇ <전자·통신 > 고급 가전 및 디지털 전환(데이타센터 등)에 따른 수요로 반도체, 전자부품, 통신, 영상 및 음향기기 등을 중심으로 증가 지속
▸전자통신 제조업 증감(천명): (‘22.7)15.4→ (8)15.9→ (9)14.2→ (10)16.5→ (11)15.4
반도체 제조업 증감(천명): (‘22.7)3.1→ (8)3.3→ (9)3.6→ (10)3.8→ (11)3.7
※ 반도체 수출액 증감률(%): (‘21.11)40.0, (’22.9)-5.6→ (10)-17.4→ (11)-29.8
전자부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2.9→ (8)3.0→ (9)2.4→ (10)1.9→ (11)1.6
통신 및 방송장비 제조업 증감(천명): (‘22.7)4.7→ (8)5.0→ (9)4.7→ (10)4.8→ (11)3.7
영상 및 음향기기 제조업 증감(천명): (‘22.7)4.7→ (8)4.7→ (9)3.5→ (10)6.0→ (11)6.7
* ‘22.2월 ’기계장비‘ 제조업의 일부사업장이 ’전자통신‘ 제조업으로 산업분류 변경(+1.1천명)
* ‘22.2월 ’전자통신(전자부품)‘ 제조업의 일부사업장이 ’연구개발업‘으로 산업분류 변경(-1.2천명)
ㅇ <1차 금속 > 수출감소, 전방수요(건설 등) 위축 등 어려운 여건에도 증가 유지
▸1차 금속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5.0→ (8)5.3→ (9)2.3→ (10)2.3→ (11)2.2
※ 1차 철강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1.10)94.9, (‘22.8)91.0→ (9p)71.6→ (10p)71.1
※ 철강제품 수출액 증감률(%): (‘21.11)45.7, (’22.9)-21.2→ (10)-20.7→ (11)-10.6
ㅇ <금속가공 > 글로벌 인프라 투자, 제조업 중간재(자동차, 전자부품, 기계장비) 등 금속가공 수요에 힘입어 증가 지속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9.6→ (8)10.1→ (9)10.2→ (10)10.5→ (11)11.6
구조용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2.7→ (8)2.9→ (9)2.9→ (10)3.0→ (11)2.8
기타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6.8→ (8)7.0→ (9)7.1→ (10)7.4→ (11)7.0
※ 금속가공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1.10)72.5, (‘22.8)72.7→ (9p)72.9→ (10p)69.5
* ‘22.11월 ’화학제품‘ 제조업의 일부사업장이 ’금속가공‘ 제조업으로 산업분류 변경(+2천명)
ㅇ <기타운송장비 > 원자재가격 상승, 지속적인 구인난 등 어려움이 있으나 선박 건조량 증가에 힘입어 증가, 조선업은 회복 중이나 감소 지속
▸기타운송장비 제조업 증감(천명): (’22.7)-0.8→ (8)-0.7→ (9)0.0→ (10)0.3→ (11)0.5
선박및보트건조업 증감(천명): (‘22.7)-1.5→ (8)-1.3→ (9)-0.6→ (10)-0.3→ (11)-0.1
※ 선박및보트건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1.10)56.2, (‘22.8)59.9→ (9p)58.7→ (10p)64.1
※ 선박 수주량(만CGT): (’21년 上)1,084→ (’21년 下)657→ (’22년 上)979
ㅇ <자동차 > 차량용 반도체 수급 상황 개선, 전동화 부품 사업 확장 등 자동차부품을 중심으로 증가폭 확대
▸자동차 제조업 증감(천명): (‘22.7)1.3→ (8)1.2→ (9)2.3→ (10)1.8→ (11)4.5
완성차 제조업 증감(천명): (‘22.7)0.8→ (8)1.0→ (9)1.1→ (10)0.3→ (11)-0.2
자동차부품 제조업 증감(천명): (‘22.7)0.4→ (8)0.3→ (9)1.2→ (10)1.5→ (11)4.7
※ 자동차 생산지수(계절조정): (‘21.10)82.4, (‘22.8)108.2→ (9p)104.7→ (10p)97.1
※ 자동차 수출액 증감률(%): (‘21.11)3.3, (’22.9)34.3→ (10)28.4→ (11)31.0
전기차 수출액 증감률(%): (‘21.11)51.6, (’22.9)22.3→ (10)14.5→ (11)25.3

2-2. 서비스업
|
□ (전체) 서비스업 가입자수 1,033만 2천명, 전년동월대비 22만 6천명 증가
▸ 서비스업 가입자수 증감(천명): (’22.7)318→ (8)315→ (9)272→ (10)251→ (11)226
ㅇ 서비스업 가입자는 증가폭 둔화되고 있으며,
- 보건복지는 올해 조기 착수한 노인일자리사업이 종료되면서 증가폭 둔화,도소매는 무점포 소매업, 편의점 등을 중심으로 증가폭 둔화,
- 공공행정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확대되었던 직접일자리사업 축소로 감소 지속
<주요 서비스업 고용보험 가입자수 증감(천명, 전년동월대비)>
구 분
|
’20.11월
|
’21.11월
|
’22.7월
|
’22.8월
|
’22.9월
|
’22.10월
|
’22.11월p)
|
|
서비스업 증감
|
411
|
210
|
318
|
315
|
272
|
251
|
226
|
|
|
도소매
|
5
|
46
|
24
|
18
|
15
|
9
|
4
|
|
운수업
|
-9
|
-4
|
13
|
12
|
12
|
12
|
13
|
|
숙박음식
|
-23
|
-3
|
40
|
45
|
45
|
46
|
43
|
|
출판,통신,정보
|
33
|
60
|
65
|
65
|
62
|
61
|
58
|
|
금융보험
|
3
|
5
|
3
|
3
|
2
|
3
|
4
|
|
부동산임대
|
6
|
7
|
6
|
6
|
5
|
8
|
5
|
|
전문과학기술
|
63
|
43
|
48
|
48
|
47
|
47
|
43
|
|
사업서비스
|
-5
|
5
|
28
|
28
|
21
|
19
|
18
|
|
공공행정
|
205
|
-129
|
-32
|
-26
|
-47
|
-55
|
-46
|
|
교육서비스
|
24
|
52
|
24
|
20
|
19
|
12
|
9
|
|
보건복지
|
103
|
117
|
84
|
82
|
80
|
79
|
71
|
|
예술,스포츠
|
-3
|
5
|
11
|
12
|
10
|
9
|
7
|
|
협회,개인서비스
|
3
|
3
|
1
|
1
|
1
|
-1
|
-2
|
□ (중분류) 소매업이 이번달들어 감소 전환된 가운데, 사회복지업, 교육서비스 등 대부분 업종에서 증가폭 둔화
ㅇ <도매업 > 음식료품 및 담배, 기계장비 및 관련 물품 도매업 등을
중심으로 증가 지속
▸도매업 증감(천명): (‘22.7)8.4→ (8)6.2→ (9)7.7→ (10)5.7→ (11)5.5
음식료품및담배 도매업 증감(천명): (’22.7)2.1→ (8)1.8→ (9)2.6→ (10)2.4→ (11)2.7
기계장비및관련물품 도매업 증감(천명): (’22.7)2.6→ (8)2.1→ (9)2.1→ (10)1.6→ (11)1.4
- <소매업↓> 무점포 소매업(온라인쇼핑) 감소폭 확대, 편의점 증가폭 축소 등으로 이번달들어 감소로 전환
▸소매업 증감(천명): (‘22.7)15.3→ (8)11.7→ (9)7.3→ (10)3.4→ (11)-0.9
무점포 소매업 증감(천명): (‘22.7)5.1→ (8)2.8→ (9)0.8→ (10)-1.1→ (11)-2.5
종합 소매업 증감(천명): (‘22.7)7.1→ (8)6.0→ (9)4.0→ (10)2.1→ (11)0.6
백화점 증감(천명): (‘22.7)-2.2→ (8)-2.2→ (9)-2.1→ (10)-3.6→ (11)-3.7
체인화 편의점 증감(천명): (‘22.7)8.5→ (8)7.9→ (9)6.4→ (10)5.4→ (11)3.8
ㅇ <육상운송업↓> 택시 등 중심으로 감소폭 둔화세
▸육상운송·파이프라인운송업 증감(천명): (‘22.7)-3.6→ (8)-3.9→ (9)-3.3→ (10)-2.2→ (11)-1.8
택시 증감(천명): (‘22.7)-5.5→ (8)-5.5→ (9)-4.9→ (10)-4.0→ (11)-3.7
시외버스 증감(천명): (‘22.7)-1.3→ (8)-1.3→ (9)-1.2→ (10)-1.1→ (11)-0.9
- <항공운송업↓> 해외여행 수요 급증에도 국제선 여객수가 코로나 이전 대비 크게 낮은 수준(’19.10월대비 34.3% 수준)이며, 운항 정상화에 필요한 인력은 휴직인원 복직으로 충원하고 있어 감소 지속
▸항공운송업 증감(천명): (‘22.7)-0.9→ (8)-0.8→ (9)-0.8→ (10)-0.6→ (11)-0.5
※ 10월 국제선 여객수(천명): (’19)7,352→ (’20)196→ (’21)310→ (’22)2,523
- <창고·운송관련서비스업 > 물류대행서비스 확장 등으로 증가 지속
▸창고·운송관련 증감(천명): (‘22.7)17.7→ (8)16.5→ (9)15.4→ (10)14.9→ (11)14.6
항공 및 육상 화물취급업 증감(천명): (‘22.7)12.8→ (8)11.8→ (9)10.9→ (10)10.0→ (11)9.1
ㅇ <숙박업 ><음식·음료업 > 대면활동 정상화 등으로 증가 지속
▸숙박업 증감(천명): (‘22.7)3.9→ (8)3.9→ (9)4.4→ (10)4.5→ (11)4.6
※ 숙박업 생산지수(계절조정) : (’21.10)80.0→ (’22.8)105.1→ (9p)103.3→ (10p)95.6
※ 11월 숙박업 가입자수(천명): (’19)79→ (’20)72→ (’21)72→ (’22)76
▸음식·음료업 증감(천명): (’22.7)36.1→ (8)40.8→ (9)40.6→ (10)41.6→ (11)38.0
음식점업 증감(천명): (‘22.7)23.4→ (8)26.5→ (9)26.3→ (10)27.6→ (11)25.3
주점및비알콜음료점업 증감(천명): (‘22.7)12.7→ (8)14.3→ (9)14.3→ (10)14.0→ (11)12.7
※ 음식점업 생산지수(계절조정) : (’21.10)88.1→ (’22.8)94.8→ (9p)98.3→ (10p)98.4
※ 11월 음식점업 가입자수(천명): (’19)520→ (’20)499→ (’21)489→ (’22)515
ㅇ <금융업 > 자산운용회사, 신용조합 등을 중심으로 증가세
▸금융업 증감(천명): (‘22.7)1.8→ (8)1.5→ (9)1.3→ (10)1.9→ (11)2.3
은행 및 저축기관 증감(천명): (‘22.7)-0.5→ (8)-1.2→ (9)-1.3→ (10)-1.3→ (11)-0.5
투자기관 증감(천명): (‘22.7)1.3→ (8)1.3→ (9)1.4→ (10)1.4→ (11)1.3
기타금융업 증감(천명): (‘22.7)1.1→ (8)1.4→ (9)1.3→ (10)1.8→ (11)1.5
- <금융보험서비스 > 손해사정, 금융지원 서비스업 등 중심으로 증가 지속
▸금융 및 보험관련서비스업 증감(천명): (’22.7)3.4→ (8)3.0→ (9)2.7→ (10)2.4→ (11)2.2
ㅇ <출판업 ><컴퓨터프로그래밍,시스템통합및관리 ><정보서비스업 >
비대면 서비스 수요 증가, 클라우드 이용 확대, 보안 솔루션 도입 확대 등으로 소프트웨어 관련 업종 증가 지속
▸출판업 증감(천명): (‘22.7)39.9→ (8)39.0→ (9)38.6→ (10)38.5→ (11)37.1
소프트웨어개발및공급 증감(천명): (’22.7)39.7→ (8)38.8→ (9)38.2→ (10)37.4→ (11)36.0
▸컴퓨터프로그래밍,시스템통합및관리업 증감(천명): (‘22.7)6.3→ (8)6.7→ (9)6.5→ (10)6.4→ (11)6.3
▸정보서비스업 증감(천명): (‘22.7)9.8→ (8)9.7→ (9)8.4→ (10)8.4→ (11)7.8
- <영상·오디오기록물제작배급업 > 영화·방송·광고 제작업 등에서 증가를 지속하는 가운데, 영화관운영업 기저효과 등으로 증가 지속
▸영상·오디오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 증감(천명): (‘22.7)8.5→ (8)8.4→ (9)7.5→ (10)6.4→ (11)6.0
영화관운영업 증감(천명): (‘22.7)4.3→ (8)4.5→ (9)3.6→ (10)2.7→ (11)2.0
ㅇ <연구개발업 ><전문서비스업 ><건축기술 및 기타과학기술 > 기타공학, 약학 연구개발업, 기타산업 회사본부, 건축설계 관련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증가 지속
▸연구개발업 증감(천명): (‘22.7)10.7→ (8)11.4→ (9)11.2→ (10)11.2→ (11)11.0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개발업 증감(천명): (‘22.7)9.2→ (8)9.6→ (9)9.5→ (10)9.3→ (11)9.0
* ‘22.2월 ’전자통신(전자부품)‘ 제조업의 일부사업장이 ’연구개발업‘으로 산업분류 변경(+1.2천명)
▸전문서비스업 증감(천명): (‘22.7)13.2→ (8)12.8→ (9)12.7→ (10)12.9→ (11)10.5
기타산업회사본부 증감(천명): (‘22.7)2.2→ (8)2.7→ (9)2.1→ (10)2.6→ (11)2.1
광고대행업 증감(천명): (‘22.7)2.5→ (8)2.2→ (9)2.4→ (10)1.9→ (11)1.9
경영컨설팅업 증감(천명): (‘22.7)3.5→ (8)3.0→ (9)2.6→ (10)2.3→ (11)1.7
▸건축및기타과학기술서비스업 증감(천명): (‘22.7)21.8→ (8)21.4→ (9)21.0→ (10)20.8→ (11)19.9

ㅇ <공공행정↓> 코로나19 대응 등을 위해 확대하였던 직접일자리 규모 축소로 감소 지속. 다만, 고용보험 가입자수는 코로나 이전보다 더 많음
▸공공행정 증감(천명) : (‘22.7)-32.3→ (8)-25.7→ (9)-47.3→ (10)-54.5→ (11)-46.5
※ 11월 공공행정 가입자수(천명): (’19)381→ (’20)586→ (’21)457→ (’22)411
ㅇ <교육서비스업 > 대학교 및 기타 교육기관(스포츠 교육기관, 직원훈련기관) 등에서 감소하면서 증가폭 둔화
▸교육서비스업 증감(천명): (‘22.7)23.9→ (8)20.1→ (9)18.8→ (10)12.3→ (11)9.1
초등교육기관 증감(천명): (‘22.7)6.5→ (8)4.9→ (9)4.6→ (10)3.8→ (11)4.1
중등교육기관 증감(천명): (‘22.7)7.2→ (8)6.3→ (9)5.7→ (10)4.6→ (11)5.0
고등교육기관 증감(천명): (‘22.7)-0.9→ (8)-0.8→ (9)-1.8→ (10)-1.6→ (11)-2.5
기타교육기관 증감(천명): (‘22.7)4.3→ (8)2.9→ (9)4.5→ (10)0.1→ (11)-1.9
ㅇ <보건업 ><사회복지업 > 보건·돌봄·사회복지 수요 등으로 증가 지속하나, 올해 조기 착수한 노인일자리사업이 종료되면서 사회복지업은 증가폭 둔화
▸보건업 증감(천명) : (‘22.7)24.0→ (8)23.7→ (9)24.3→ (10)24.3→ (11)26.1
병원 증감(천명): (‘22.7)7.7→ (8)7.7→ (9)8.8→ (10)8.5→ (11)9.8
의원 증감(천명): (‘22.7)16.4→ (8)16.1→ (9)16.2→ (10)16.7→ (11)16.6
▸사회복지업 증감(천명) : (‘22.7)59.6→ (8)58.5→ (9)55.4→ (10)55.0→ (11)45.1
비거주복지시설 증감(천명): (‘22.7)46.9→ (8)46.4→ (9)43.5→ (10)42.9→ (11)34.8
ㅇ <사업시설 관리 및 조경 서비스업 > 건축물 일반 청소업 중심으로 증가폭 둔화
▸사업시설관리및조경서비스업 증감(천명): (‘22.7)6.2→ (8)6.5→ (9)5.9→ (10)6.0→ (11)3.9
- <사업지원서비스업 > 코로나 일상회복으로 여행업은 증가세이며,
인력공급업 등을 중심으로 증가 지속
* ‘22.2월 사업장 산업분류 변경(사업시설 유지관리 → 경비, 경호 및 탐정업 이동, +1.1천명)
* ‘22.11월 사업장 산업분류 변경(부동산업 → 경비, 경호 및 탐정업 이동, +1.6천명)
▸사업지원서비스업 증감(천명): (‘22.7)21.6→ (8)21.6→ (9)14.8→ (10)13.5→ (11)13.6
인력공급 및 고용알선업 증감(천명): (‘22.7)11.4→ (8)11.9→ (9)7.2→ (10)6.7→ (11)6.6
경비, 경호및탐정업 증감(천명): (‘22.7)3.5→ (8)3.4→ (9)3.1→ (10)2.8→ (11)4.8
기타 사업지원서비스업 증감(천명): (‘22.7)6.7→ (8)5.7→ (9)3.8→ (10)3.0→ (11)1.1
여행사및기타여행보조서비스업 증감(천명): (‘22.7)0.0→ (8)0.5→ (9)0.8→ (10)1.0→ (11)1.2
ㅇ <협회 및 단체↓> 전문가 단체, 시민운동 단체 등을 중심으로 감소
▸협회 및 단체 증감(천명): (‘22.7)1.3→ (8)0.5→ (9)0.2→ (10)-1.7→ (11)-2.5
산업 및 전문가 단체 증감(천명): (‘22.7)0.1→ (8)-0.1→ (9)-0.3→ (10)-1.0→ (11)-1.3
기타협회 및 단체 증감(천명): (‘22.7)1.0→ (8)0.5→ (9)0.4→ (10)-0.9→ (11)-1.3
3. 인적속성
|
□ (성별) 남성 가입자는 833만 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4만 8천명 증가,
여성 가입자는 662만 1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7만 1천명 증가
▸ 남성 가입자수 증감(천명): (‘22.7)199→ (8)196→ (9)176→ (10)164→ (11)148
▸ 여성 가입자수 증감(천명): (‘22.7)232→ (8)231→ (9)202→ (10)187→ (11)171
□ (연령별) 30대(+12천명), 40대(+40천명), 50대(+102천명), 60세이상(+194천명) 증가하였고, 29세이하(-29천명)는 감소
ㅇ 29세이하 감소는 지속적인 인구 감소 및 도소매(-20천명), 사업서비스(-11천명), 보건복지(-10천명), 공공행정(-9천명) 등 감소에 기인
▸ 29세이하 가입자수 증감(천명): (‘22.7)18→ (8)13→ (9)-9→ (10)-17→ (11)-29

<연령별 고용보험 가입자수(천명, %, 전년동월대비)>
|
’20.11월
|
’21.11월
|
’22.7월
|
’22.8월
|
’22.9월
|
’22.10월
|
’22.11월p)
|
29세 이하
|
2,461
|
2,505
|
2,523
|
2,520
|
2,493
|
2,485
|
2,475
|
(증감)
|
17
|
44
|
18
|
13
|
-9
|
-17
|
-29
|
(증감률)
|
(0.7)
|
(1.8)
|
(0.7)
|
(0.5)
|
(-0.3)
|
(-0.7)
|
(-1.2)
|
30대
|
3,360
|
3,369
|
3,360
|
3,362
|
3,371
|
3,378
|
3,381
|
(증감)
|
-50
|
9
|
16
|
17
|
16
|
12
|
12
|
(증감률)
|
(-1.5)
|
(0.3)
|
(0.5)
|
(0.5)
|
(0.5)
|
(0.4)
|
(0.4)
|
40대
|
3,526
|
3,551
|
3,570
|
3,571
|
3,581
|
3,588
|
3,591
|
(증감)
|
50
|
25
|
51
|
50
|
45
|
43
|
40
|
(증감률)
|
(1.4)
|
(0.7)
|
(1.4)
|
(1.4)
|
(1.3)
|
(1.2)
|
(1.1)
|
50대
|
3,019
|
3,137
|
3,197
|
3,209
|
3,223
|
3,233
|
3,239
|
(증감)
|
128
|
118
|
140
|
135
|
123
|
110
|
102
|
(증감률)
|
(4.4)
|
(3.9)
|
(4.6)
|
(4.4)
|
(4.0)
|
(3.5)
|
(3.2)
|
60세 이상
|
1,933
|
2,072
|
2,174
|
2,201
|
2,227
|
2,256
|
2,266
|
(증감)
|
249
|
139
|
207
|
211
|
203
|
204
|
194
|
(증감률)
|
(14.8)
|
(7.2)
|
(10.5)
|
(10.6)
|
(10.0)
|
(9.9)
|
(9.4)
|
4. 사업장 규모
|
□ 300인 미만은 22만 8천명 증가, 300인 이상은 9만명 증가
ㅇ 300인 미만은 보건복지(+55천명), 숙박음식(+39천명), 출판영상통신(+36천명), 300인 이상은 제조업(+33천명), 출판영상통신(+22천명) 등 중심으로 증가

<규모별 고용보험 가입자수(천명, %, 전년동월대비)>
|
’20.11월
|
’21.11월
|
’22.7월
|
’22.8월
|
’22.9월
|
’22.10월
|
’22.11월p)
|
|
전산업
|
300인 미만
|
10,152
|
10,531
|
10,654
|
10,683
|
10,716
|
10,748
|
10,759
|
(증감)
|
181
|
379
|
316
|
300
|
280
|
262
|
228
|
|
(증감률)
|
(1.8)
|
(3.7)
|
(3.1)
|
(2.9)
|
(2.7)
|
(2.5)
|
(2.2)
|
|
300인 이상
|
4,147
|
4,103
|
4,171
|
4,180
|
4,180
|
4,192
|
4,193
|
|
(증감)
|
213
|
-44
|
115
|
127
|
98
|
90
|
90
|
|
(증감률)
|
(5.4)
|
(-1.1)
|
(2.8)
|
(3.1)
|
(2.4)
|
(2.2)
|
(2.2)
|
|
제조업
|
300인 미만
|
2,447
|
2,516
|
2,534
|
2,534
|
2,539
|
2,541
|
2,550
|
(증감)
|
-31
|
69
|
43
|
41
|
38
|
35
|
34
|
|
(증감률)
|
(-1.3)
|
(2.8)
|
(1.7)
|
(1.6)
|
(1.5)
|
(1.4)
|
(1.4)
|
|
300인 이상
|
1,088
|
1,112
|
1,140
|
1,142
|
1,144
|
1,146
|
1,145
|
|
(증감)
|
-3
|
24
|
36
|
37
|
36
|
37
|
33
|
|
(증감률)
|
(-0.3)
|
(2.2)
|
(3.3)
|
(3.4)
|
(3.2)
|
(3.4)
|
(3.0)
|
|
서비스업
|
300인 미만
|
7,005
|
7,287
|
7,373
|
7,401
|
7,428
|
7,456
|
7,460
|
(증감)
|
198
|
282
|
247
|
233
|
217
|
202
|
173
|
|
(증감률)
|
(2.9)
|
(4.0)
|
(3.5)
|
(3.3)
|
(3.0)
|
(2.8)
|
(2.4)
|
|
300인 이상
|
2,891
|
2,819
|
2,855
|
2,862
|
2,860
|
2,870
|
2,872
|
|
(증감)
|
213
|
-72
|
70
|
82
|
55
|
49
|
53
|
|
(증감률)
|
(8.0)
|
(-2.5)
|
(2.5)
|
(2.9)
|
(2.0)
|
(1.7)
|
(1.9)
|
* 서비스업: 표준산업분류상 A.농림어업, B.광업, C.제조업, D.전기,가스, F.건설업을 제외한 전산업
Ⅱ
|
구직급여 신청 및 지급 현황 <5쪽 ‘이용시 유의사항’ 참고>
|
|
□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수(8만 6천명)는 전년동월대비 3천명(-3.3%) 감소
ㅇ 산업별로는 공공행정(-3천명), 제조업(-1천명) 등에서 주로 감소
□ 전체 구직급여 지급자는 51만 4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만 3천명(-4.3%) 감소하였고, 지급액은 7,970억원으로 254억원(-3.1%) 감소
ㅇ 구직급여 지급자에게 구직급여가 1회 지급될 때 지급액인 지급건수당 지급액은 약 139만원으로 전년동월대비 0.6% 증가
<구직급여 신청・지급 현황(천명, %, 전년동월대비)>
|
’20.11월
|
’21.11월
|
’22.7월
|
’22.8월
|
’22.9월
|
’22.10월
|
’22.11월p)
|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
|
90
|
89
|
100
|
81
|
81
|
77
|
86
|
(증감)
|
-
|
-1
|
-7
|
-3
|
2
|
-2
|
-3
|
(증감률)
|
-
|
(-1.3)
|
(-6.3)
|
(-3.8)
|
(2.7)
|
(-2.2)
|
(-3.3)
|
구직급여 지급자
|
606
|
537
|
613
|
603
|
571
|
535
|
514
|
(증감)
|
-
|
-68
|
-66
|
-44
|
-41
|
-30
|
-23
|
(증감률)
|
-
|
(-11.3)
|
(-9.7)
|
(-6.7)
|
(-6.6)
|
(-5.3)
|
(-4.3)
|
지급건수
|
651
|
596
|
650
|
685
|
649
|
582
|
574
|
(증감)
|
-
|
-55
|
-86
|
-34
|
-46
|
-42
|
-22
|
(증감률)
|
-
|
(-8.5)
|
(-11.7)
|
(-4.7)
|
(-6.7)
|
(-6.7)
|
(-3.7)
|
구직급여 지급액(억원)
|
9,138
|
8,224
|
9,136
|
9,863
|
9,261
|
8,188
|
7,970
|
(증감)
|
-
|
-913
|
-1,257
|
-508
|
-492
|
-689
|
-254
|
(증감률)
|
-
|
(-10.0)
|
(-12.1)
|
(-4.9)
|
(-5.0)
|
(-7.8)
|
(-3.1)
|
지급건수당 지급액(천원)
|
1,403
|
1,380
|
1,405
|
1,440
|
1,427
|
1,406
|
1,388
|
(증감)
|
-
|
-24
|
-7
|
-3
|
24
|
-16
|
8
|
(증감률)
|
-
|
(-1.7)
|
(-0.5)
|
(-0.2)
|
(1.7)
|
(-1.1)
|
(0.6)
|
1인당 지급액(천원)
|
1,509
|
1,531
|
1,490
|
1,636
|
1,621
|
1,531
|
1,551
|
(증감)
|
-
|
22
|
-41
|
32
|
27
|
-41
|
20
|
(증감률)
|
-
|
(1.4)
|
(-2.7)
|
(2.0)
|
(1.7)
|
(-2.6)
|
(1.3)
|
주1) 구직급여 통계는 임금근로자 기준으로 작성(일용근로자 포함, 자영업자 제외), 1인당 지급액은 전체 지급액을 지급자수로 나눈 값이며, 지급건수당 지급액은 지급자에게 구직급여가 1회 지급될 때의 평균 지급액임(지급자는 1주∼4주 범위 내에서 지정된 실업인정일에 구직급여를 지급 받으므로, 월 2회 구직급여를 지급 받는 경우도 있음)
2) ‘19.10.1부터 구직급여 지급요건, 지급수준, 지급기간 등이 변경되어, 기존 구직급여 신청·지급현황 통계와 시계열 단절이 발생하므로 ’19.10월∼‘21.6월 통계수치의 전년동월대비 비교는 부적절
※ 첨부(통계표) :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22.11월 기준)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방학 선물, 「디지털 새싹* 캠프」가 열립니다. (0) | 2022.12.14 |
---|---|
과기정통부, 국산 인공지능반도체를 활용한 ‘케이-클라우드’ 추진방안 발표 (0) | 2022.12.14 |
14일부터 ’23년 표준지·표준주택 공시가격(안) 열람 (0) | 2022.12.14 |
2022년 11월 자동차산업 동향(잠정) (1) | 2022.12.13 |
2022년 『대한민국 패션대상』개최 (1) | 2022.1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