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1월 자동차산업 동향(잠정)
2022.12.12 산업통상자원부
2022년 11월 자동차산업 동향(잠정)
|
- 4개월 연속 생산, 내수, 수출 모두 증가 -
- 車수출액(54억 달러), 전기․수소차 수출액(8억 달러) 모두 최고치 경신 -
- 부품기업의 애로해소와 미래 경쟁력 확보 지원 강화 -
|
【총괄】
|
□ ‘22년 11월 자동차산업은 생산 25.4%, 내수 8.4%, 수출 25% (수출액 31%) 모두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
ㅇ 생산․내수․수출 모두 공급망 불안은 지속되고 있지만 전년보다 개선된 車반도체 수급 상황으로 올해 8월 이후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
* 생산대수(만대) : (8월) 28.5 → (9월) 30.8 → (10월) 32.8 → (11월) 38.0
내수판매대수(만대) : (8월) 13.2 → (9월) 14.0 → (10월) 14.4 → (11월) 15.6
수출량(만대)/금액(억 달러) : (8월) 16.7/41.2 → (9월) 19.5/47.9 → (10월) 20.8/49.2 → (11월) 21.9/54.0
ㅇ 특히, 올해 1~11월 누적 수출 실적은 주요국의 금리 인상,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 등 하방 요인에도 불구하고 물량․금액 모두 전년도 연간 실적을 뛰어넘음
* 수출 실적(‘21년 → ’22.1~11월) : (물량) 204만대 → 208만대, (금액) 465억 달러 → 487억 달러
【 ‘22년 11월 자동차산업 실적 (단위 : 대, 백만 달러, %) 】
구 분
|
’22.11월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22.1-11月
|
전년동기비(%)
|
|
생 산
|
379,797
|
15.7
|
25.4
|
3,403,660
|
8.3
|
|
내 수
|
155,942
|
8.0
|
8.4
|
1,523,083
|
△3.1
|
|
|
국산차
|
126,730
|
6.9
|
2.8
|
1,253,612
|
△3.5
|
수입차
|
29,212
|
13.3
|
41.9
|
269,471
|
△1.2
|
|
수 출
|
219,489
|
5.7
|
25.0
|
2,084,582
|
12.3
|
|
|
수출금액
|
5,398
|
9.8
|
31.0
|
48,703
|
15.3
|
부품수출금액
|
1,857
|
0.9
|
0.8
|
21,344
|
3.3
|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무역협회
□ ‘22.11월 자동차 부품 수출은 車반도체 수급 상황 개선에 따른 완성차 업계의 생산 확대로 전년동월 대비 0.8% 증가한 18.6억 달러 기록
* ‘22.11월 자동차부품 지역별 잠정 수출(백만달러, 전년동월比): 북미(600, +10.3%), EU(333, +2.2%), 기타유럽(79, △56.8%), 중동(62, △4.1%), 중남미(251, +40.8%), 아프리카(4, △26.1%), 오세아니아(9, +15.3%), 아시아(520, △2.6%)
□ 수출 외에 그간 금리 인상, 원자재 인플레이션 등에 따른 부품업계 영향 점검을 위해 상장 부품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 등을 분석한 결과,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부정적 영향이 일부 가시화 조짐
* 상장 부품기업 83개사(大 4, 中堅 68, 中小 11)의 공시자료 기준
ㅇ (매출액) ‘22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6.2% 증가
-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은 대기업은 12.9%,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은 각각 17.2%, 17.9%로 증가하여 외형적 지표는 개선
【 자동차 부품기업 매출액 】
(단위 : 억원, %)
구 분
|
‘22년
|
전년동기비 증감(%)
|
|||
1Q
|
2Q
|
3Q
|
누적(1~3분기)
|
누적(1~3분기)
|
|
대기업
|
39,465
|
40,573
|
44,916
|
124,954
|
12.9
|
중견기업
|
133,720
|
145,874
|
153,498
|
433,092
|
17.2
|
중소기업
|
2,272
|
2,518
|
2,750
|
7,540
|
17.9
|
계
|
175,457
|
188,965
|
201,164
|
565,586
|
16.2
|
ㅇ (영업이익) ‘22년 3분기 누적 영업이익률은 2.9%로 전년동기대비 0.2%p 감소
- 전년동기대비 3분기 누적 영업이익액은 대기업은 4.5%, 중견기업은 12.2% 증가한 반면, 중소기업은 2분기 적자에 따라 △7.4% 감소
- 3분기 누적 영업이익률은 대기업이 3.6%, 중견기업이 2.7%이며, 중소기업은 1.2%로 전년동기대비 소폭 감소했고 기업규모별 격차가 존재
- 이는 환율효과, 전년도 생산차질에 따른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3高 현상 등으로 원가 부담이 중소기업 중심으로 가중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 가능
【 자동차 부품기업 영업이익 】
(단위 : 억원, %)
구 분
|
‘22년
|
전년동기비 증감(%)
|
||||
1Q
|
2Q
|
3Q
|
누적(1~3분기)
|
누적(1~3분기)
|
||
대기업
|
1,496
|
1,358
|
1,582
|
4,436
|
4.5
|
|
|
|
|||||
|
이익률(%)
|
3.8
|
3.3
|
3.5
|
3.6
|
△0.2%p
|
중견기업
|
2,354
|
4,551
|
4,926
|
11,831
|
12.2
|
|
|
|
|||||
|
이익률(%)
|
1.8
|
3.1
|
3.2
|
2.7
|
△0.2%p
|
중소기업
|
15
|
△45
|
117
|
87
|
△7.4
|
|
|
|
|||||
|
이익률(%)
|
0.7
|
△1.8
|
4.3
|
1.2
|
△0.3%p
|
계
|
3,865
|
5,864
|
6,625
|
16,354
|
9.8
|
|
|
|
|||||
|
이익률(%)
|
2.2
|
3.1
|
3.3
|
2.9
|
△0.2%p
|
□ 자동차 부품기업들은 생존을 위한 경영여건 개선과 함께, 전기차 등 미래차 시장에 대비한 경쟁력 확보가 중요한 시점임
ㅇ 산업부는 그간 부품업계 간담회* 등을 통해 자금, 기술, 정보, 인력 등과 관련한 현장 애로를 청취하고 해소방안들을 중기부, 금융위 등과 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부품기업 지원방안」을 구체화할 계획
* 개최일자 : 7.22, 7.27, 11.10, 11.23, 11.25
ㅇ 아울러,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미래차 산업 전환 관련 법안들에 우리 부품업계의 다양한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도록 의견을 수렴하여 국회 및 관계부처와 협의 추진
【자동차】
|
□ (생산) 전년보다 개선된 車반도체 수급 상황으로 전년동월 대비 25.4% 증가한 379,797대를 생산하여 7개월 연속 플러스
* 월별 생산증감률(%): (4월) △5.3 → (5월) +19.8 → (6월) +0.8 → (7월) +9.0
→ (8월) +21.2 → (9월) +34.1 → (10월) +24.4 → (11월) +25.4
ㅇ 또한, 11월 자동차 생산량은 전체 생산의 85%를 차지하는 현대차․기아의 연중 최대 생산 실적에 힘입어 올해 중 최고치 기록

ㅇ 중형3社도 모두 생산량이 증가*하였는데, 한국지엠은 전년동월 車반도체로 인한 휴업과 주력 수출 차종의 역대 최대 생산**으로 2배 이상 증가
* 업체별 생산증감률(%): 현대 +16.7, 기아 +25.9, GM +108.5, 쌍용 +36.8, 르노 +33.7
** 트레일블레이저의 ‘22.11월 생산량(20,382대)은 최초로 2만대 돌파
□ (내수) 전체 내수판매는 전년동월 대비 8.4% 증가한 155,942대로 국산․수입차 모두 연중 최고 판매 실적을 달성하며 4개월 연속 증가세 시현
ㅇ 베스트 셀링카(승용) TOP 5는 모두 국산차가 차지

- (국산차) 생산량 확대와 친환경차 판매호조에 힘입어 전년동월 대비 2.8% 증가한 126,730대
- (수입차) 車반도체 수급난 기저효과*로 전년동월 대비 41.9% 증가한 29,212대를 판매하여 국산차보다 크게 증가
* ‘21.11월은 작년 중 月판매량이 가장 크게 급감했던 시기(20,585대, △29.2%)
□ (수출) 물량은 전년동월 대비 25% 증가한 219,489대, 금액은 31% 증가한 54억 달러로 물량과 금액 모두 5개월 연속 두 자릿수로 증가
ㅇ (물량) 車반도체 수급 개선에 따른 생산 확대로 완성차社 모두 전년동월 대비 수출량이 증가하여 ‘19.11월 이후 3년 만에 20만대 연속 상회
* 업체별 수출증감률(%) : 현대 +13.6, 기아 +24.5, GM +132.7, 쌍용 +94.3, 르노 +0.3
- 차종별로는 소형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였고, 그 중 SUV 차종은 주력 모델 중심으로 수출호조가 지속되어 수출 모델 TOP5 중 4개 차지
* 차종별 수출증감률(%) : 경형 +20.0, 소형 △2.0, 중형 +64.3, 대형 +29.2, SUV +28.0
ㅇ (금액) 최대 자동차 수출 시장인 미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역으로 수출이 증가하여 11월 車수출액은 종전 최고치(’22.7월, 51.4억 달러) 경신
* ‘22.11월 지역별 잠정 수출(백만달러, 전년동월比): 북미(2,634, +51%), EU(788, +6.3%), 기타유럽(358, △26.2%), 중동(481, +14.1%), 중남미(214, +22.8%), 아프리카(66, +27.8%), 오세아니아(372, +68.5%), 아시아(479, +73.2%)
- 올해 1~11월 車 수출액은 487억 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14년 484억 달러)를 추월하여 연간 수출액은 처음으로 500억 달러 돌파 예상

【친환경차】
|
□ (종합) 내수는 전년동월 대비 25.8% 증가한 42,604대, 수출은 14.8% 증가한 50,042대로 내수․수출 모두 역대 동월(11月) 간 최고 실적 달성

□ (내수) 하이브리드차의 최고 판매 실적에 힘입어 친환경차 내수 판매는 10개월 연속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22.9월, 41,585대) 경신
* 연료별 판매대수(전년동월比) : 하이브리드차 24,892대(+15.3), 전기차 15,403대(+45.3),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1,213대(+47.9), 수소차 1,096대(+26.7)
ㅇ 하이브리드차는 인기모델(쏘렌토,스포티지 등)의 수요 지속과 신차 출시 효과(XM3)로 전년동월 대비 15.3% 증가하여 친환경차 내수 판매를 견인
* 판매량(전년동월比) : 쏘렌토 4,926대(+105.4%), 스포티지 2,312대(+21.2%), XM3 1,262대 등
ㅇ 국산․수입차 모두 全 차종 판매가 증가하여 국산 친환경차는 전년동월 대비 22.3% 증가한 30,213대, 수입 친환경차는 35.1% 증가한 12,391대 판매
* 국산차 연료별 판매량(전년동월比) : 하이브리드차 17,279대(+11.3%), 전기차 11,838대(+42.5%), 수소차 1,096대(+26.7%)
* 수입차 연료별 판매량(전년동월比) : 하이브리드차 7,613대(+25.8%), 전기차 3,565대(+55.3%),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1,213대(+47.9)
□ (수출) 물량은 전년동월 대비 14.8% 증가한 50,042대, 금액은 20.3% 증가한 14.9억 달러로 물량과 금액 모두 23개월 연속 증가세 기록
ㅇ (물량)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판매 호조가 친환경차 수출 증가를 견인하며 친환경차는 전체 자동차 수출의 22.8% 차지
* 연료별 수출량(전년동월比) : 하이브리드차 24,054대(+8.2%), 전기차 22,341대(+27.4%),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3,604대(△4.0%), 수소차 43대(△46.9%)
- 특히, 전기차는 기존 인기 모델*의 수출 호조 지속에 힘입어 종전 최고치(’22.7월, 20,706대)를 경신하며 역대 최고 실적 달성
* 모델별 수출량(전년동월比): 아이오닉5 8,289대(+20.1%), EV6 5,736대(+120.0%) 등
- ‘22.1~11월 친환경차 누적 수출대수(49.8만대)는 수소를 제외한 모든 차종이 전년도 연간 실적을 뛰어넘어 50만대 돌파를 목전에 둔 상황
* 연료별 수출량(‘21년 → ’22.1~11월) : (하이브리드차) 21만대 → 26만대, (전기차) 15만대 → 19만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3.8만대 → 4.1만대, (수소차) 0.1만대 → 0.04만대
ㅇ (금액) 月 수출액 최초 10억 달러 돌파(‘21.9월) 이후, 15개월 연속 10억 달러를 상회하며 종전 최고치(’22.7월, 14.7억 달러) 경신
- 연료별로는 전기․수소차(8.2억 달러)가 최고치(‘22.10월, 7.3억 달러)를 경신하며 최초로 8억 달러를 돌파, 친환경차 수출액 증가에 기여
* 연료별 수출액(전년동월比): 하이브리드차 5.5억 달러(+12.7%), 전기·수소차 8.2억 달러(+31%),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1.2억 달러(△3.2%)
【붙 임】1~4. 11월 자동차 생산, 내수, 수출, 친환경차 동향
5~6. 11월 업체별 자동차 및 승용차 판매 현황
참고 1
|
|
11월 자동차 생산 동향
|
□ (종합) 전년도 반도체 수급 차질로 생산이 저조했던 중형3사 생산이 대폭 증가하여 전년동월 대비 25.4% 증가한 379,797대 생산
ㅇ (현대) 아이오닉6, 신형 그랜저 출시 효과로 지난달에 이어 연중 최대 생산량을 경신하며 전년동월 대비 16.7% 증가한 171,240대
ㅇ (기아) 대기 수요가 많은 카니발, 쏘렌토, 스포티지의 생산이 확대되며 전년동월 대비 25.9% 증가한 151,934대
ㅇ (한국지엠) 트레일블레이저의 생산이 증가(20,382대 +198.5%)하여 전년동월 대비 108.5% 증가한 25,166대
* 부평2공장 : 11월 26일부로 잠정 가동중단, 트랙스 단종
ㅇ (쌍용) 반도체 부족으로 1일간(11.28) 휴업 실시하여 전월 대비 5.2% 감소하였지만, 전년동월 대비로는 36.8% 증가한 11,810대
ㅇ (르노코리아) QM6, XM3의 국내외 판매 호조가 지속되며 전년동월 대비 33.7% 증가한 18,758대
< ’22. 11월 업체별 생산 현황 >
(단위 : 대, %)
구 분
|
’22. 11월
|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22. 1-11월
|
전년동기비
|
점유율
|
||||||
합 계
|
379,797
|
100.0
|
15.7
|
25.4
|
3,403,660
|
8.3
|
현 대
|
171,240
|
45.1
|
9.4
|
16.7
|
1,561,698
|
6.5
|
기 아
|
151,934
|
40.0
|
28.1
|
25.9
|
1,325,542
|
4.4
|
한국지엠
|
25,166
|
6.6
|
4.2
|
108.5
|
239,556
|
12.5
|
쌍 용
|
11,810
|
3.1
|
△5.2
|
36.8
|
105,974
|
45.1
|
르노코리아
|
18,758
|
4.9
|
20.7
|
33.7
|
162,046
|
43.0
|
타타대우
|
889
|
0.2
|
2.7
|
△2.5
|
8,844
|
9.6
|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참고 2
|
|
11월 자동차 내수 판매 동향
|
□ (종합) 국산차, 수입차 모두 연중 최대 판매량을 기록하여 전년동월 대비 8.4% 증가한 155,942대 판매
ㅇ (현대) 신차 판매호조(아이오닉6, 그랜저 등)에도 불구하고 화물연대 운송거부로 인도가 일부 지연되어 전년동월 대비 1.8% 감소한 60,926대 판매
ㅇ (기아) 카니발(7,565대), 쏘렌토(6,656대), 스포티지(5,762대) 등 주력 SUV 모델의 출고 확대로 전년동월 대비 13.4% 증가한 52,200대
ㅇ (한국지엠) 트레일블레이저의 수출 물량 증가로 인해 내수는 전년동월 대비 21.4% 감소한 2,057대
ㅇ (쌍용) 반도체 부족으로 일부 생산 차질이 발생했지만 토레스(3,677대), 렉스턴스포츠(1,528대)의 판매호조로 전년동월 대비 2.3% 증가한 6,421대
ㅇ (르노코리아) XM3 하이브리드(1,262대)의 판매 호조는 지속되나 판매 차종의 감소(5종→3종)로 전년동월 대비 9.4% 감소한 5,553대
ㅇ (수입차) 벤츠(7,734대, +118.2%), BMW(7,209대, +72.8%), 볼보(2,615대, +98.6%) 등의 판매 증가로 전년동월 대비 41.9% 증가한 29,212대 기록
< ’22. 11월 업체별 내수판매 현황 >
(단위 : 대, %)
구 분
|
’22. 11월
|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22. 1-11월
|
전년동기비
|
점유율
|
||||||
합 계
|
155,942
|
-
|
8.0
|
8.4
|
1,263,445
|
△3.1
|
현 대
|
60,926
|
39.1
|
0.3
|
△1.8
|
618,497
|
△6.4
|
기 아
|
52,200
|
33.5
|
21.3
|
13.4
|
490,532
|
0.7
|
한국지엠
|
2,057
|
1.3
|
△49.5
|
△21.4
|
35,399
|
△31.6
|
쌍 용
|
6,421
|
4.1
|
△18.2
|
2.3
|
63,146
|
24.9
|
르노코리아
|
5,553
|
3.6
|
28.0
|
△9.4
|
49,378
|
△8.4
|
타타대우
|
285
|
0.2
|
△48.6
|
△63.1
|
6,493
|
2.7
|
수입차
|
29,212
|
18.7
|
13.3
|
41.9
|
269,471
|
△1.2
|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 한국지엠·르노코리아 수입 판매차는 해당 브랜드 판매실적에 포함
참고 3
|
|
11월 자동차 수출 동향
|
□ (종합) 전년도 기저효과와 더불어 소형 SUV(코나, 니로 등)와 전기차 수출 호조가 지속되어 전년동월 대비 25% 증가한 219,489대 수출
ㅇ (현대) 코나 실적(19,060대)이 연간 최대치를 기록하며 전년동월 대비 13.6% 증가한 93,406대 수출, 제네시스는 70.5% 증가한 7,378대
ㅇ (기아) 니로(11,402대), EV6(5,736대) 등의 친환경차 해외 판매 호조로 전년동월 대비 24.5% 증가한 86,000대
ㅇ (한국지엠) 트레일블레이저(18,333대)가 지난 달에 이어 연간 최대 수출 실적을 갱신하며 전년동월 대비 132.7% 증가한 23,196대
ㅇ (쌍용) 호주, 헝가리 등지로 코란도(1,824대), 렉스턴 스포츠(1,298대) 수출이 확대되며 전년동월 대비 94.3% 증가한 4,801대
ㅇ (르노코리아) XM3(9,432대), QM6(2,338대) 수출 호조가 지속되며 전년동월 대비 0.3% 증가한 11,780대
< ’22. 11월 업체별 수출 현황 >
(단위 : 대, %)
구 분
|
’22. 11월
|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22. 1-11월
|
전년동기비
|
점유율
|
||||||
합 계
|
219,489
|
100.0
|
5.7
|
25.0
|
2,084,582
|
12.3
|
현 대
|
93,406
|
42.6
|
4.1
|
13.6
|
904,517
|
9.0
|
기 아
|
86,000
|
39.2
|
15.2
|
24.5
|
817,611
|
7.2
|
한국지엠
|
23,196
|
10.6
|
2.0
|
132.7
|
208,122
|
21.0
|
쌍 용
|
4,801
|
2.2
|
△9.5
|
94.3
|
41,420
|
67.0
|
르노코리아
|
11,780
|
5.4
|
△21.0
|
0.3
|
110,586
|
67.3
|
타타대우
|
306
|
0.1
|
14.6
|
140.9
|
2,326
|
56.4
|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참고 4
|
|
11월 친환경 자동차 동향(내수/수출)
|
□ (내수) 친환경차 판매는 전년동월 대비 25.8% 증가한 42,604대를 기록하며 10개월 연속 증가세 시현
ㅇ 연말 전기차 보조금 소진 영향으로 전기차의 전월 대비 판매가 17.6% 감소한 반면,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의 판매는 증가
< ’22. 11월 친환경차 차종별 내수 현황 >
(단위 : 대, %)
구 분
|
’22. 11월
|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22. 1-11월
|
전년동기비
|
점유율
|
||||||
합 계
|
42,604
|
100.0
|
9.2
|
25.8
|
406,634
|
28.3
|
하이브리드
|
24,892
|
58.4
|
36.2
|
15.3
|
233,518
|
16.6
|
전기차
|
15,403
|
36.2
|
△17.6
|
45.3
|
151,322
|
68.2
|
플러그인하이브리드
|
1,213
|
2.8
|
27.1
|
47.9
|
12,076
|
△35.3
|
수소차
|
1,096
|
2.6
|
△0.5
|
26.7
|
9,718
|
18.4
|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 (수출) 물량은 전년동월 대비 14.8% 증가한 50,042대, 금액은 20.3% 증가한 14.9억 달러로 물량과 금액 모두 23개월 연속 증가세 기록
ㅇ (물량)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판매 호조가 친환경차 수출 증가를 견인하며 친환경차는 전체 자동차 수출의 22.8% 차지
ㅇ (금액) 月 수출액 최초 10억 달러 돌파(‘21.9월) 이후, 15개월 연속 10억 달러를 상회하며 종전 최고치(’22.7월, 14.7억 달러) 경신
* 연료별 수출액(전년동월比): 하이브리드차 5.5억 달러(+12.7%), 전기·수소차 8.2억 달러(+31%),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1.2억 달러(△3.2%)
< ’22. 11월 친환경차 차종별 수출 현황 >
(단위 : 대, %)
구 분
|
’22. 11월
|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22. 1-11월
|
전년동기비
|
점유율
|
||||||
합 계
|
50,042
|
100.0
|
△4.6
|
14.8
|
498,279
|
38.0
|
하이브리드
|
24,054
|
48.1
|
△18.3
|
8.2
|
263,661
|
37.6
|
전기차
|
22,341
|
44.6
|
12.6
|
27.4
|
193,647
|
44.3
|
플러그인하이브리드
|
3,604
|
7.2
|
17.5
|
△4.0
|
40,612
|
18.4
|
수소차
|
43
|
0.1
|
△53.8
|
△46.9
|
359
|
△65.0
|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참고 5
|
|
11월 업체별 자동차 국내 판매 현황
|
(단위 : 대, %)
구 분
|
’22. 11월
|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22. 1-11월
|
전년동기비
|
점유율
|
||||||
합 계
|
155,942
|
100
|
8.0
|
8.4
|
1,523,083
|
△3.1
|
현대
|
60,926
|
39.1
|
0.3
|
△1.8
|
618,497
|
△6.4
|
기아
|
52,200
|
33.5
|
21.3
|
13.4
|
490,532
|
0.7
|
Mercedes-Benz
|
7,734
|
5.0
|
0.2
|
118.2
|
71,525
|
3.1
|
BMW
|
7,209
|
4.6
|
6.7
|
72.8
|
71,713
|
16.7
|
쌍용
|
6,421
|
4.1
|
△18.2
|
2.3
|
63,146
|
24.9
|
르노코리아
|
5,553
|
3.6
|
28.0
|
△9.4
|
49,378
|
△8.4
|
Volvo
|
2,615
|
1.7
|
362.0
|
98.6
|
12,618
|
△7.5
|
한국지엠
|
2,057
|
1.3
|
△49.5
|
△21.4
|
35,399
|
△31.6
|
Volkswagen
|
1,943
|
1.2
|
74.4
|
113.5
|
13,113
|
△2.5
|
Audi
|
1,667
|
1.1
|
△36.8
|
△37.8
|
18,761
|
△11.7
|
Tesla
|
1,334
|
0.9
|
22133.3
|
△12.6
|
14,372
|
△19.3
|
MINI
|
1,227
|
0.8
|
100.2
|
66.3
|
10,253
|
△1.5
|
Porsche
|
963
|
0.6
|
30.7
|
116.9
|
7,978
|
△2.3
|
Lexus
|
831
|
0.5
|
6.4
|
△4.0
|
6,534
|
△27.4
|
Jeep
|
599
|
0.4
|
△21.9
|
△7.8
|
6,593
|
△29.5
|
Ford
|
530
|
0.3
|
241.9
|
△33.8
|
4,736
|
△18.5
|
Toyota
|
467
|
0.3
|
△3.1
|
△22.2
|
5,819
|
△1.9
|
Land Rover
|
401
|
0.3
|
21.9
|
14.2
|
2,788
|
△4.1
|
타타대우
|
285
|
0.2
|
△48.6
|
△63.1
|
6,493
|
2.7
|
Lincoln
|
245
|
0.2
|
337.5
|
△27.1
|
2,425
|
△25.0
|
Polestar
|
179
|
0.1
|
△28.1
|
-
|
2,623
|
-
|
Honda
|
149
|
0.1
|
△45.4
|
△69.2
|
2,962
|
△27.0
|
Peugeot
|
138
|
0.1
|
△54.9
|
△26.6
|
1,862
|
△11.5
|
Cadillac
|
100
|
0.1
|
35.1
|
127.3
|
838
|
△11.6
|
Bentley
|
55
|
0.0
|
△26.7
|
△41.5
|
746
|
54.1
|
Lamborghini
|
45
|
0.0
|
△15.1
|
650.0
|
356
|
10.2
|
Maserati
|
31
|
0.0
|
55.0
|
△59.2
|
522
|
△28.5
|
Rolls-Royce
|
22
|
0.0
|
120.0
|
22.2
|
219
|
3.8
|
DS
|
10
|
0.0
|
66.7
|
-
|
83
|
-
|
Jaguar
|
6
|
0.0
|
100.0
|
△60.0
|
160
|
△47.4
|
Citroen
|
0
|
0.0
|
-
|
△100.0
|
39
|
△93.1
|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참고 6
|
|
11월 업체별 승용차 국내 판매 현황
|
(단위 : 대, %)
구 분
|
’22. 11월
|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22. 1-11월
|
전년동기비
|
점유율
|
||||||
합 계
|
136,263
|
100
|
11.6
|
9.9
|
1,312,414
|
△3.6
|
현대
|
47,969
|
35.2
|
5.4
|
△2.9
|
478,731
|
△7.6
|
기아
|
45,864
|
33.7
|
24.6
|
14.9
|
427,123
|
△0.6
|
Mercedes-Benz
|
7,734
|
5.7
|
0.2
|
118.2
|
71,525
|
3.1
|
BMW
|
7,209
|
5.3
|
6.7
|
72.8
|
71,713
|
16.7
|
쌍용
|
6,421
|
4.7
|
△18.2
|
2.3
|
63,146
|
24.9
|
르노코리아
|
5,452
|
4.0
|
35.6
|
△7.6
|
48,377
|
△8.4
|
Volvo
|
2,615
|
1.9
|
362.0
|
98.6
|
12,618
|
△7.5
|
한국지엠
|
2,057
|
1.5
|
△49.5
|
△21.4
|
35,399
|
△26.7
|
Volkswagen
|
1,943
|
1.4
|
74.4
|
113.5
|
13,113
|
△2.5
|
Audi
|
1,667
|
1.2
|
△36.8
|
△37.8
|
18,761
|
△11.7
|
Tesla
|
1,334
|
1.0
|
22133.3
|
△12.6
|
14,372
|
△19.3
|
MINI
|
1,227
|
0.9
|
100.2
|
66.3
|
10,253
|
△1.5
|
Porsche
|
963
|
0.7
|
30.7
|
116.9
|
7,978
|
△2.3
|
Lexus
|
831
|
0.6
|
6.4
|
△4.0
|
6,534
|
△27.4
|
Jeep
|
599
|
0.4
|
△21.9
|
△7.8
|
6,593
|
△29.5
|
Ford
|
530
|
0.4
|
241.9
|
△33.8
|
4,736
|
△18.5
|
Toyota
|
467
|
0.3
|
△3.1
|
△22.2
|
5,819
|
△1.9
|
Land Rover
|
401
|
0.3
|
21.9
|
14.2
|
2,788
|
△4.1
|
Lincoln
|
245
|
0.2
|
337.5
|
△27.1
|
2,425
|
△25.0
|
Polestar
|
179
|
0.1
|
△28.1
|
-
|
2,623
|
-
|
Honda
|
149
|
0.1
|
△45.4
|
△69.2
|
2,962
|
△27.0
|
Peugeot
|
138
|
0.1
|
△54.9
|
△26.6
|
1,862
|
△11.5
|
Cadillac
|
100
|
0.1
|
35.1
|
127.3
|
838
|
△11.6
|
Bentley
|
55
|
0.0
|
△26.7
|
△41.5
|
746
|
54.1
|
Lamborghini
|
45
|
0.0
|
△15.1
|
650.0
|
356
|
10.2
|
Maserati
|
31
|
0.0
|
55.0
|
△59.2
|
522
|
△28.5
|
Rolls-Royce
|
22
|
0.0
|
120.0
|
22.2
|
219
|
3.8
|
DS
|
10
|
0.0
|
66.7
|
-
|
83
|
-
|
Jaguar
|
6
|
0.0
|
100.0
|
△60.0
|
160
|
△47.4
|
Citroen
|
0
|
0.0
|
-
|
△100.0
|
39
|
△93.1
|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용행정 통계로 본 2022년 11월 노동시장 동향 (0) | 2022.12.14 |
---|---|
14일부터 ’23년 표준지·표준주택 공시가격(안) 열람 (0) | 2022.12.14 |
2022년 『대한민국 패션대상』개최 (1) | 2022.12.13 |
한국, 항공용 액체수소 연료탱크 국제표준화 추진 (0) | 2022.12.13 |
2022년도 하도급거래 실태조사 결과 발표 (0) | 2022.1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