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유행 2년차, 건강수준 개선 중이나 유행 이전으로 회복은 안 돼
2022.11.24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유행 2년차, 건강수준 개선 중이나,
유행 이전으로 회복은 안 돼
|
- 국민건강영양조사 2021년 결과 발표 -
|
주요 내용
○ (만성질환) 비만, 당뇨병 유병률 소폭 감소,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 증가
○ (건강행태) 남자 흡연율, 음주율 감소, 남녀 모두 신체활동 실천율 증가
○ (영양) 식품 및 영양소 섭취는 코로나19 유행 동안 큰 변화 없음
|
□ 질병관리청(백경란 청장)은 11월 25일(금)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3차년도(2021) 결과발표회」를 개최하여, 우리 국민의 주요 만성질환 유병 및 건강행태에 관한 2021년 통계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국민건강증진법」 제16조에 근거하여 우리 국민의 건강과 영양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으며, 조사 결과는 국가 건강정책 수립 및 평가를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 흡연, 음주, 영양, 만성질환 등 250여 개 보건지표를 산출하는 대표적인 건강통계조사로, 1998년에 도입하여 매년 만 1세 이상 약 1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붙임1 참고)
|
1
|
|
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주요 결과
|
만성질환
|
□ 성인(19세 이상) 비만, 당뇨병 유병률은 소폭 감소하고,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증가하였다.
![](https://blog.kakaocdn.net/dn/bpCuXe/btrRYw7tiy2/peDEXcIl5tXQY4vyFrFXl0/img.png)
○ 비만 유병률은 ’21년 남자 46.3%, 여자 26.9%로 남녀 모두 ’20년 대비 감소하였으나, 남자는 40대(↑7.0%p), 여자는 30대(↑3.0%p)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 당뇨병 유병률은 ’21년 남자 12.8%, 여자 7.8%로 ’20년 대비 소폭 감소하였고, 고혈압 유병률은 ’21년 남자 25.2%, 여자 17.1%이었다.
○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21년 남자 21.5%, 여자 20.3%이며, 남녀 모두 ’20년 대비 증가(↑1.0%p 이상)하였고, 50대에서 큰 폭으로 증가(↑7.0%p, ↑6.6%p)하였다.
○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인지율, 치료율은 남녀 모두 개선되었으나 치료자 중 조절률은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은 개선, 당뇨병은 변화가 없었다.
![](https://blog.kakaocdn.net/dn/Lq156/btrRXfTc6Ib/5LR6kgBGoKXp43tc2lkwK1/img.png)
건강행태
|
□ 흡연‧음주율은 남자에서 감소하였고, 신체활동 실천율은 남녀 모두 증가하였다.
○ 현재흡연율(궐련 기준)은 ’21년 남자 31.3%로 ’20년 대비 감소(↓2.7%p)하였으나, 여자는 6.9%로 큰 변화가 없었다.
- 담배제품을 하나라도 사용한 담배제품 현재사용률은 ’21년 남자 36.7%, 여자 8.5%로 ’20년 대비 남자는 감소(↓2.0%p) 경향이었다.
- 간접흡연 노출률(직장·가정·공공장소 실내)은 지속 감소하였으며, 특히 공공장소 실내에서 감소(↓4.5%p)가 뚜렷하였다.
![](https://blog.kakaocdn.net/dn/bSCVpI/btrRXbwqWYy/pHrAX1FkfHapfJ3KkvKk1K/img.png)
○ 고위험음주율은 ’21년 남자 19.7%, 여자 6.9%로, ’20년 대비 남자는 감소(↓1.9%p)하였으나, 여자는 유사하였다.
- 월간폭음률도 ’21년 남자 47.0%, 여자 24.1%로, ’20년 대비 남자는 큰 폭으로 감소(↓4.9%p)하였다.
○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은 ’21년 남자 50.2%, 여자 45.4%로. ’20년 대비 남녀 모두 소폭 증가(↑1.9%p, ↑2.4%p)하였다.
- 근력운동 실천율(남자 32.9%, 여자 17.6%)은 남녀 모두 ’20년과 비슷했다.
○ 우울감경험률*은 ’21년 11.3%로 ’19년 대비 소폭 증가(↑1.1%p)하였고, 남녀 모두 30대에서 크게 증가(↑5.2%p, ↑5.8%p)하였다.
* 우울감 경험 문항은 2년 주기 순환조사로 홀수년에 조사됨
![](https://blog.kakaocdn.net/dn/bwT8G3/btrRY43VBof/BQb82npdGckMkigyp2Rly1/img.png)
식생활과 영양
|
□ 외식률의 감소는 지속되었으나,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은 전년과 유사하였다.
○ 하루 1회 이상 외식*률은 ’21년 남자 31.4%, 여자 19.4%로 남자에서 ’20년 대비 4.7%p 감소하였다.
* 외식: 음식업소 음식, 급식 등 가정에서 조리하지 않은 음식 섭취
- 음식업소에서 음식 섭취*는 남녀 모두 ’21년에도 감소가 지속되었으나 가정에서 포장, 배달 음식**을 섭취한 분율은 증가하였다.
* 남 ’19년 46.5%→’20년 39.8%→’21년 31.8%, 여 ’19년 39.0%→’20년 32.3%→’21년 24.5%
** 남 ’19년 16.4%→’20년 20.7%→’21년 23.1%, 여 ’19년 18.6%→’20년 22.0%→’21년 22.7%
○ 대부분 식품군 섭취량은 ’20년 대비 큰 변화가 없으나, 남자 주류 섭취량은 ’20년 대비 34.6g 감소(139g→104g)하였다.
○ 남자의 에너지 섭취량은 전년 대비 감소(↓58kcal)하였고, 지방을 통한 에너지 섭취 분율도 감소(↓0.7%p)하였다.
![](https://blog.kakaocdn.net/dn/BRe7i/btrRXaxxIWN/vnDzAwJHjfJPXx3LwjJkp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RJvRq/btrRXuo3RWG/caiwjYOteTPs4lWytaT1z0/img.png)
2
|
|
코로나19 유행 이후 건강수준 변화
|
□ 코로나19 유행 1년차(2020년)에 음주, 신체활동 등 건강행태와 비만, 당뇨병 등 만성질환이 악화된 이후, 유행 2년차(2021년)에는 다소 개선되었으나, 유행 이전(2019년)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다.
○ 연령별로는 특히, 남자 40대에서 코로나19 유행 2년 동안 비만과 당뇨병 유병률이, 여자 3, 40대는 고위험 음주율, 비만,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이 지속 증가하였다.
-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다른 만성질환과 다르게 남녀 모두에서 코로나19 유행 2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 반면, 현재흡연율은 코로나19 유행 2년 동안 남자에서 지속적으로 개선되었으며, 특히 30대에서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 식품 및 영양소 섭취는 코로나19 유행 2년 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
□ 소득수준별, 지역별로 코로나19 유행 이후 건강수준의 차이가 나타났다.
○ 소득수준별 건강수준은 코로나19 유행 2년 동안 남녀 모두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 여자 비만 유병률에서 상-하 그룹 간 격차가 더 커졌으며, 현재 흡연율과 당뇨병 유병률은 소득수준별 격차가 유지되었다.
○ 지역별로는 남자 비만 유병률에서 동-읍‧면 간 격차가 더 커졌으며, 남녀 모두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의 격차는 코로나19 유행 이후에도 큰 변화가 없었다.
<성‧연령별 만성질환 유병률 및 건강행태(%, 19세이상)>
|
||||||||||||||||
성ㆍ연령
만성질환
건강행태
|
남자
|
여자
|
||||||||||||||
19+†
|
19-29
|
30-39
|
40-49
|
50-59
|
60-69
|
70+
|
19+†
|
19-29
|
30-39
|
40-49
|
50-59
|
60-69
|
70+
|
|||
비만
유병률
|
’19
|
41.8
|
37.3
|
46.4
|
45.0
|
43.4
|
39.9
|
30.4
|
25.0
|
16.5
|
21.6
|
25.8
|
29.6
|
34.9
|
37.0
|
|
’20
|
48.0
|
41.5
|
58.2
|
50.7
|
48.1
|
44.0
|
31.9
|
27.7
|
22.8
|
22.7
|
26.8
|
32.4
|
38.4
|
37.8
|
||
’21
|
46.3
|
40.0
|
51.4
|
57.7
|
41.9
|
41.0
|
29.2
|
26.9
|
15.9
|
25.7
|
27.2
|
31.6
|
40.3
|
36.6
|
||
‘20-’19 차이1)
|
6.2
|
4.2
|
11.8
|
5.7
|
4.7
|
4.1
|
1.5
|
2.7
|
6.3
|
1.1
|
1.0
|
2.8
|
3.5
|
0.8
|
||
‘21-’20 차이2)
|
-1.7
|
-1.5
|
-6.8
|
7.0
|
-6.2
|
-3.0
|
-2.7
|
-0.8
|
-6.9
|
3.0
|
0.4
|
-0.8
|
1.9
|
-1.2
|
||
‘21-’19 차이3)
|
4.5
|
2.7
|
5.0
|
12.7
|
-1.5
|
1.1
|
-1.2
|
1.9
|
-0.6
|
4.1
|
1.4
|
2.0
|
5.4
|
-0.4
|
||
당뇨병
유병률
|
’19
|
11.1
|
1.1**
|
3.1*
|
11.5
|
18.9
|
27.2
|
30.0
|
8.0
|
2.5*
|
2.3*
|
4.7
|
9.7
|
21.4
|
31.6
|
|
’20
|
13.0
|
0.6**
|
5.9
|
14.1
|
23.8
|
28.8
|
28.7
|
8.2
|
0.8**
|
2.7*
|
3.7*
|
14.3
|
21.6
|
33.5
|
||
’21
|
12.8
|
0.4
|
5.0
|
14.3
|
21.7
|
28.8
|
33.8
|
7.8
|
0.6
|
2.0
|
6.8
|
10.1
|
20.9
|
30.4
|
||
‘20-’19 차이
|
1.9
|
-0.5
|
2.8
|
2.6
|
4.9
|
1.6
|
-1.3
|
0.2
|
-1.7
|
0.4
|
-1.0
|
4.6
|
0.2
|
1.9
|
||
‘21-’20 차이
|
-0.2
|
-0.2
|
-0.9
|
0.2
|
-2.1
|
0.0
|
5.1
|
-0.4
|
-0.2
|
-0.7
|
3.1
|
-4.2
|
-0.7
|
-3.1
|
||
‘21-’19 차이
|
1.7
|
-0.7
|
1.9
|
2.8
|
2.8
|
1.6
|
3.8
|
-0.2
|
-1.9
|
-0.3
|
2.1
|
0.4
|
-0.5
|
-1.2
|
||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
|
’19
|
17.0
|
3.3*
|
12.5
|
20.4
|
26.0
|
32.2
|
25.0
|
18.9
|
4.5*
|
7.2
|
12.3
|
36.4
|
52.5
|
42.2
|
|
’20
|
20.2
|
5.3
|
12.7
|
28.2
|
27.2
|
35.4
|
32.4
|
18.8
|
5.0
|
8.2
|
13.8
|
31.7
|
48.0
|
46.0
|
||
’21
|
21.5
|
3.4
|
18.6
|
26.9
|
34.2
|
33.2
|
29.8
|
20.3
|
4.8
|
9.5
|
15.0
|
38.3
|
50.2
|
44.6
|
||
‘20-’19 차이
|
3.2
|
2.0
|
0.2
|
7.8
|
1.2
|
3.2
|
7.4
|
-0.1
|
0.5
|
1.0
|
1.5
|
-4.7
|
-4.5
|
3.8
|
||
‘21-’20 차이
|
1.3
|
-1.9
|
5.9
|
-1.3
|
7.0
|
-2.2
|
-2.6
|
1.5
|
-0.2
|
1.3
|
1.2
|
6.6
|
2.2
|
-1.4
|
||
‘21-’19 차이
|
4.5
|
0.1
|
6.1
|
6.5
|
8.2
|
1.0
|
4.8
|
1.4
|
0.3
|
2.3
|
2.7
|
1.9
|
-2.3
|
2.4
|
||
현재
흡연율
|
’19
|
35.7
|
37.8
|
39.2
|
37.9
|
36.7
|
30.1
|
17.0
|
6.7
|
10.2
|
7.2
|
6.5
|
4.2
|
4.4*
|
2.5
|
|
’20
|
34.0
|
32.0
|
35.8
|
41.5
|
36.5
|
27.3
|
15.0
|
6.6
|
10.9
|
8.8
|
5.7
|
2.0*
|
4.3*
|
1.7*
|
||
’21
|
31.3
|
32.1
|
28.7
|
37.3
|
35.5
|
27.3
|
15.6
|
6.9
|
11.4
|
7.9
|
6.9
|
3.6
|
3.5
|
1.2*
|
||
‘20-’19 차이
|
-1.7
|
-5.8
|
-3.4
|
3.6
|
-0.2
|
-2.8
|
-2.0
|
-0.1
|
0.7
|
1.6
|
-0.8
|
-2.2
|
-0.1
|
-0.8
|
||
‘21-’20 차이
|
-2.7
|
0.1
|
-7.1
|
-4.2
|
-1.0
|
0.0
|
0.6
|
0.3
|
0.5
|
-0.9
|
1.2
|
1.6
|
-0.8
|
-0.5
|
||
‘21-’19 차이
|
-4.4
|
-5.7
|
-10.5
|
-0.6
|
-1.2
|
-2.8
|
-1.4
|
0.2
|
1.2
|
0.7
|
0.4
|
-0.6
|
-0.9
|
-1.3
|
||
고위험
음주율
|
’19
|
18.6
|
13.1
|
19.0
|
23.2
|
24.0
|
17.7
|
10.5
|
6.5
|
9.0
|
8.1
|
7.2
|
4.0
|
3.5*
|
0.8*
|
|
’20
|
21.6
|
14.3
|
23.3
|
30.1
|
24.3
|
21.2
|
7.9
|
6.3
|
8.3
|
9.1
|
7.3
|
3.5
|
1.0*
|
0.3**
|
||
’21
|
19.7
|
16.0
|
20.3
|
24.3
|
24.2
|
18.2
|
8.3
|
6.9
|
9.5
|
10.3
|
8.0
|
3.3
|
0.5**
|
0.4**
|
||
‘20-’19 차이
|
3.0
|
1.2
|
4.3
|
6.9
|
0.3
|
3.5
|
-2.6
|
-0.2
|
-0.7
|
1.0
|
0.1
|
-0.5
|
-2.5
|
-0.5
|
||
‘21-’20 차이
|
-1.9
|
1.7
|
-3.0
|
-5.8
|
-0.1
|
-3.0
|
0.4
|
0.6
|
1.2
|
1.2
|
0.7
|
-0.2
|
-0.5
|
0.1
|
||
‘21-’19 차이
|
1.1
|
2.9
|
1.3
|
1.1
|
0.2
|
0.5
|
-2.2
|
0.4
|
0.5
|
2.2
|
0.8
|
-0.7
|
-3.0
|
-0.4
|
||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
|
’19
|
52.6
|
68.4
|
58.5
|
47.8
|
40.9
|
44.4
|
32.9
|
42.7
|
55.1
|
39.0
|
42.9
|
41.9
|
34.5
|
28.6
|
|
’20
|
48.3
|
61.8
|
49.0
|
44.0
|
40.3
|
44.4
|
38.8
|
43.0
|
53.5
|
45.1
|
41.7
|
39.5
|
36.8
|
22.3
|
||
’21
|
50.2
|
67.5
|
52.9
|
49.3
|
40.6
|
36.1
|
28.3
|
45.4
|
54.2
|
48.9
|
45.9
|
40.8
|
41.1
|
19.4
|
||
‘20-’19 차이
|
-4.3
|
-6.6
|
-9.5
|
-3.8
|
-0.6
|
0.0
|
5.9
|
0.3
|
-1.6
|
6.1
|
-1.2
|
-2.4
|
2.3
|
-6.3
|
||
‘21-’20 차이
|
1.9
|
5.7
|
3.9
|
5.3
|
0.3
|
-8.3
|
-10.5
|
2.4
|
0.7
|
3.8
|
4.2
|
1.3
|
4.3
|
-2.9
|
||
‘21-’19 차이
|
-2.4
|
-0.9
|
-5.6
|
1.5
|
-0.3
|
-8.3
|
-4.6
|
2.7
|
-0.9
|
9.9
|
3.0
|
-1.1
|
6.6
|
-9.2
|
||
*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 25-50%, ** 50%이상, †19세 이상 표준화%
1) 코로나19 유행 1년차(’20년)와 유행 전(’19년) 간 결과 차이(%p)
2) 코로나19 유행 2년차(’21년)와 1년차(’20년) 간 결과 차이(%p)
3) 코로나19 유행 2년차(’21년)와 유행 전(’19년) 간 결과 차이(%p)
: 악화, : 개선
|
<소득수준별 만성질환 유병률 및 건강행태(표준화%, 19세이상)>
|
|||||||||||||
성ㆍ소득수준
만성질환
건강행태
|
남자
|
여자
|
|||||||||||
하
|
중하
|
중
|
중상
|
상
|
차이
(하-상)
|
하
|
중하
|
중
|
중상
|
상
|
차이
(하-상)
|
||
비만
유병률
|
’19
|
42.5
|
40.2
|
42.8
|
43.5
|
39.1
|
3.4
|
28.7
|
25.9
|
24.3
|
21.8
|
23.7
|
5.0
|
’20
|
50.2
|
46.9
|
50.0
|
48.4
|
44.6
|
5.6
|
29.9
|
32.3
|
28.6
|
27.0
|
21.1
|
8.8
|
|
’21
|
46.8
|
45.5
|
44.8
|
45.8
|
48.1
|
1.3
|
32.6
|
29.3
|
27.9
|
22.4
|
21.9
|
10.7
|
|
당뇨병
유병률
|
’19
|
11.5
|
12.5
|
11.0
|
10.2
|
10.6
|
0.9
|
9.7
|
8.2
|
7.3
|
7.2
|
7.3
|
2.4
|
’20
|
17.3
|
13.6
|
11.9
|
11.7
|
10.6
|
6.7
|
11.8
|
9.0
|
9.2
|
6.0
|
5.8
|
6.0
|
|
’21
|
15.4
|
13.3
|
12.9
|
12.5
|
10.3
|
5.1
|
10.0
|
9.8
|
6.5
|
7.2
|
6.0
|
4.0
|
|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
|
’19
|
15.2
|
17.1
|
17.9
|
17.8
|
16.9
|
1.7
|
18.0
|
20.4
|
18.1
|
19.7
|
18.4
|
0.4
|
’20
|
21.8
|
19.5
|
17.5
|
19.6
|
22.7
|
0.9
|
17.3
|
19.1
|
20.0
|
17.8
|
19.8
|
2.5
|
|
’21
|
19.9
|
23.3
|
21.0
|
22.7
|
21.2
|
1.3
|
21.7
|
19.1
|
19.1
|
21.6
|
20.1
|
1.6
|
|
현재 흡연율
|
’19
|
42.7
|
36.2
|
38.3
|
36.1
|
25.9
|
16.8
|
13.0
|
6.5
|
7.9
|
4.5
|
1.8*
|
11.2
|
’20
|
34.9
|
37.3
|
34.1
|
32.4
|
31.5
|
3.4
|
12.1
|
9.1
|
5.3
|
4.8*
|
2.4*
|
9.7
|
|
’21
|
33.4
|
40.6
|
28.3
|
29.7
|
24.4
|
9.0
|
9.4
|
10.9
|
6.4
|
5.6*
|
2.6*
|
6.8
|
|
고위험 음주율
|
’19
|
17.8
|
23.5
|
16.9
|
17.5
|
17.8
|
0.0
|
10.6
|
6.2
|
7.7
|
4.1
|
4.6*
|
6.0
|
’20
|
17.9
|
20.7
|
23.8
|
20.3
|
25.6
|
7.7
|
8.4
|
8.4
|
6.2
|
5.5
|
3.2*
|
5.2
|
|
’21
|
15.3
|
24.6
|
19.5
|
21.6
|
17.8
|
2.5
|
9.0
|
6.9*
|
8.0
|
5.0
|
5.8
|
3.2
|
|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
|
’19
|
48.6
|
51.2
|
50.8
|
58.1
|
54.3
|
5.7
|
40.4
|
41.7
|
43.3
|
43.3
|
43.8
|
3.4
|
’20
|
44.3
|
47.0
|
47.9
|
48.2
|
53.9
|
9.6
|
38.8
|
43.2
|
43.9
|
45.5
|
43.3
|
4.5
|
|
’21
|
45.8
|
50.4
|
49.6
|
47.6
|
58.5
|
12.7
|
39.7
|
44.5
|
44.1
|
47.4
|
50.8
|
11.1
|
|
*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 25-50%, ** 50%이상
: 악화, : 변동
|
<지역별 만성질환 유병률 및 건강행태(표준화%, 19세이상)>
|
|||||||
성ㆍ지역
만성질환
건강행태
|
남자
|
여자
|
|||||
동
|
읍‧면
|
차이
(동-읍‧면)
|
동
|
읍‧면
|
차이
(동-읍‧면)
|
||
비만
유병률
|
’19
|
41.5
|
43.9
|
2.4
|
23.8
|
33.6
|
9.8
|
’20
|
47.8
|
49.6
|
1.8
|
27.6
|
28.3
|
0.7
|
|
’21
|
45.3
|
54.3
|
9.0
|
26.6
|
29.6
|
3.0
|
|
당뇨병
유병률
|
’19
|
10.5
|
14.2
|
3.7
|
7.6
|
10.9
|
3.3
|
’20
|
13.0
|
13.3
|
0.3
|
7.9
|
9.8
|
1.9
|
|
’21
|
12.8
|
13.0
|
0.2
|
7.3
|
11.5
|
4.2
|
|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
|
’19
|
17.1
|
15.5
|
1.6
|
19.1
|
18.0
|
1.1
|
’20
|
20.6
|
18.2
|
2.4
|
19.8
|
13.3
|
6.5
|
|
’21
|
21.8
|
20.0
|
1.8
|
20.7
|
18.0
|
2.7
|
|
현재 흡연율
|
’19
|
35.4
|
36.4
|
1.0
|
6.9
|
4.9
|
2.0
|
’20
|
34.0
|
33.8
|
0.2
|
7.1
|
3.1
|
4.0
|
|
’21
|
31.3
|
29.0
|
2.3
|
7.1
|
4.8
|
2.3
|
|
고위험 음주율
|
’19
|
17.9
|
22.4
|
4.5
|
6.4
|
7.7
|
1.3
|
’20
|
21.3
|
23.5
|
2.2
|
6.4
|
5.1
|
1.3
|
|
’21
|
20.1
|
16.6
|
3.5
|
6.9
|
6.5
|
0.4
|
|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
|
’19
|
53.9
|
45.5
|
8.4
|
44.5
|
33.6
|
10.9
|
’20
|
49.5
|
41.7
|
7.8
|
45.0
|
29.7
|
15.3
|
|
’21
|
51.4
|
44.0
|
7.4
|
46.4
|
40.2
|
6.2
|
|
*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 25-50%, ** 50%이상
: 악화, : 변동
|
3
|
|
조사 결과의 의의
|
□ 질병관리청 백경란 청장은 “2021년은 코로나19 유행 2년 차를 지낸 시기로 코로나19 유행이 지속되면서 우리 국민의 건강수준에 변화가 있었다.”고 하였다.
○ “흡연 지표는 코로나19 유행 중에도 지속 개선되고 있지만, 만성질환의 경우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지속 증가하였다.”고 밝히며,
- “비만은 소폭 감소하고, 신체활동은 증가하였으나 코로나19 유행 이전으로 아직 회복되지는 않았다.”고 강조하였다.
- “특히, 남녀 3, 40대의 비만,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이 증가하여, 만성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조사감시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 아울러 “’23년부터 국가 건강정책 근거 마련을 위한 ‘건강정보이해력’ 조사를 추가하고, 조사 편의성 향상을 위해 일부 설문조사 항목은 인터넷으로 참여하는 등 사회환경 변화에 맞춰 조사체계 발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 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대한 상세 보고서는 ’22년 12월에 발간하며,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에 원시자료와 함께 공개할 예정이다.
*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 바로가기 : http://knhanes.kdca.go.kr
<붙임> 1. 국민건강영양조사 개요
2. 제8기 3차년도(2021)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발표회 일정
<별첨>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3차년도(2021) 주요 결과
붙임 1
|
|
국민건강영양조사 개요
|
□ 사업목적
○『국민건강증진법』(제16조)에 근거해 국민의 건강·영양 수준 파악
- 흡연, 음주, 신체활동, 정신건강 등 건강위험행태와 영양섭취 수준
- 고혈압, 당뇨병, 호흡기질환, 골질환, 구강질환 등에 대한 유병 현황
○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효과 모니터링 지표 산출
-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만성질환 및 건강생활실천 목표지표 산출
- WHO, OECD 등에서 요구하는 국가비교 보건지표 제공
□ 추진경과
○ ’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도입, ’05년까지 3년마다 국민건강통계 생산
※국민건강영양조사 제1∼3기(1998, 2001, 2005)는 3년 주기 단기간 조사
○ ’07년부터 연중조사체계로 개편, 매년 국가건강통계 생산
○ ’08년 이동검진차량 도입 이후 전문학회와 협력하여 구강질환, 안질환, 이비인후질환, 호흡기질환 등 공동조사 실시
○ ’20년 9월 질병관리청 개청으로 조사수행업무 권역 질병대응센터로 이관
□ 조사내용
○ (대상) 매년 192개 조사구, 4,800가구, 1세 이상 가구원 약 1만명
○ (방법) 전문조사수행팀에 의한 면접 및 건강검진, 연중조사
○ (항목) 건강행태(흡연, 음주, 신체활동 등), 영양섭취, 만성질환 등 약 500개
구분
|
조사영역
|
비고
|
검진
|
비만,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간질환, 신장질환, 빈혈, 구강질환, 안질환, 이비인후질환, 근력 등
|
이동검진차량內 조사
|
건강
설문
|
흡연, 음주, 신체활동, 비만 및 체중조절, 정신건강, 안전의식, 이환, 의료이용, 활동제한 및 삶의질, 손상, 교육 및 경제활동 등
|
|
영양
|
음식 및 식품섭취내용, 식생활행태, 영양지식, 식이보충제, 식품안정성 등
|
가구방문조사
|
※ 제8기 3차년도(2021) 기준
붙임 2
|
|
제8기 3차년도(2021)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발표회 일정
|
![](https://blog.kakaocdn.net/dn/nE7bh/btrRX2eqQgs/eVHYNxSmnfgzPrhCO6z5Sk/img.png)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철수산물 등 최대 40% 할인…수산대전 연말이벤트전 (1) | 2022.11.25 |
---|---|
2022년 경쟁제한적 규제 개선방안 발표 (0) | 2022.11.24 |
온실가스 줄이면 혜택 준다… 배출권거래제 개선방안 공개 (0) | 2022.11.24 |
벤츠·기아·테슬라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총 6개사 43개 차종 62,967대)_국토교통부 (0) | 2022.11.24 |
미래 디자인 트렌드를 보여주는디자인코리아 2022개막_산업통상자원부 (1) | 2022.1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