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2022년 사회조사 결과(가족, 교육과 훈련, 건강, 범죄와 안전, 생활환경)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2. 11. 17.
반응형

2022년 사회조사 결과(가족, 교육과 훈련, 건강, 범죄와 안전, 생활환경)

2022.11.16 통계청

첨부파일

2022년 사회조사 결과 보도자료.hwpx

2022년 사회조사 결과 통계표.xlsx

2022년 사회조사 결과 [요약]

 

가족

 

 

◇ 전반적인 가족 관계 만족도는 64.5%로 2년 전보다 증가함
◇ 10명 중 6명은 가사 공평 분담 견해에 공감, 현실은 2명만이 공평하게 분담
◇ 13세 이상 인구 2명 중 1명은 결혼을 해야 한다고, 10명 중 7명은 결혼하지 않더라도 같이 살 수 있다고 생각함

 

ㅇ 전반적인 가족 관계 만족도는 64.5% 2년 전보다 5.7%p 증가함 (8쪽)

 

- 가족관계 만족도는 모든(배우자, 자녀, 자기·배우자 부모) 관계에서 2년 전보다 증가함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64.7%로 2년 전보다 2.2%p 증가하였으나, 실제로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하는 경우는 20% 남짓 수준임 (9쪽)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은 50.0%로 2년 전보다 1.2%p 감소함 (12쪽)

 

- 결혼을 하지 않는 이유는 결혼자금이 부족해서가 28.7%로 가장 크고, 다음은 고용상태가 불안정해서(14.6%),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3.6%) 순임

 

ㅇ 남녀가 결혼을 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65.2%로 2년 전보다 5.5%p 증가했으며, ‘12년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음 (14쪽)

* (’12) 45.9% → (’14) 46.6% → (’16) 48.0% → (’18) 56.4% → (’20) 59.7% → (’22) 65.2%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34.7%로, 2년 전보다 4.0%p 증가했으며, ‘12년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음 (14쪽)

 

* (’12) 22.4% → (’14) 22.5% → (’16) 24.2% → (’18) 30.3% → (’20) 30.7% → (’22) 34.7%

 

교육과 훈련

 

◇ 학교생활에 만족하는 중·고등학생의 비중은 2년 전보다 8.2%p 감소한 51.1%임
◇ 13세 이상 인구 10명 중 6명은 본인이 원하는 단계까지 학교교육을 받았다고 생각함
◇ 자녀 교육비가 부담스럽다는 응답은 2년 전보다 6.4%p 감소한 57.7%임

 

ㅇ 전반적인 학교생활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한 중․고등학교 재학생의 비중은 51.1%로 2년 전보다 8.2%p 감소함 (17쪽)

 

ㅇ 중․고등학교 재학생이 공부하는 이유는 미래의 나를 위해 필요해서(79.7%)가 가장 높고, 못하면 부끄럽기 때문에(32.5%), 재미있어서(19.0%), 하지 않으면 혼나거나 벌을 받아서(14.4%) 순임 (18쪽)

 

 본인이 원하는 단계까지 학교 교육을 받았다는 사람의 비중은 60.9%로 2년 전보다 4.8%p 증가함 (20쪽)

 

- 원하는 단계까지 교육을 받지 못한 가장 주된 이유로 절반 이상이 경제적 형편(54.6%)이라고 응답하였으며, 2년 전보다 3.3%p 감소함

 

 

 자녀 교육비가 가정 경제에 부담이 된다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은 57.7%로 2년 전보다 6.4%p 감소하였음 (24쪽)

 

ㅇ 지난 1년 동안 인터넷(모바일) 등 정보 통신망으로 교육을 받거나 훈련에 참여한 사람의 비중은 39.6%로 2년 전보다 1.5%p 감소함 (27쪽)

 

< 온라인 매체를 이용한 학습(학습 경험 있음) >

(단위 : %)


13세 이상
13~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세 이상
2020년
41.1
90.9
64.4
50.8
47.4
32.0
10.1
2022년
39.6
84.3
63.8
48.0
44.0
34.5
11.3
분야
1순위
직장(45.1)
학업(89.8)
시험(46.9)
직장(60.4)
직장(63.4)
직장(63.0)
직장(45.0)
2순위
인문(37.7)
어학(40.6)
학업(46.6)
인문(35.0)
인문(41.9)
인문(39.3)
인문(44.2)
3순위
학업(33.4)
인문(32.4)
인문(36.3)
시험(31.4)
시험(23.7)
시험(22.0)
정보화(18.3)

 

건강

 

 

◇ 13세 이상 인구 2명 중 1명은 자신의 건강 상태가 좋다고 생각함
◇ 적정 수면, 규칙적 운동, 정기 건강검진 실천율은 2년 전보다 증가함
◇ 의료서비스 만족도는 도시 지역은 병원, 농어촌 지역은 보건소가 가장 높음
◇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는 44.9%로 2년 전보다 5.6%p 감소함

 

ㅇ 전반적으로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해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은 53.1%로 2년 전보다 2.7%p 증가함 (28쪽)

 

 적정 수면, 규칙적 운동, 정기 건강검진을 실천하는 사람은 2년 전보다 증가하였으나, 아침 식사하기는 감소함 (29쪽)

 

* 적정 수면 : (’20년) 80.1% → (’22년) 80.5% * 정기 건강검진 : (’20년) 80.7% → (’22년) 85.1%

* 규칙적 운동 : (’20년) 40.9% → (’22년) 45.5% * 아침 식사하기 : (’20년) 64.8% → (’22년) 64.2%

 

ㅇ 지난 1년 동안 주로 이용한 의료서비스 중 도시 지역에서는 병원(63.2%), 농어촌 지역에서는 보건소(76.0%)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음 (31쪽)

 

ㅇ 전반적인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는 44.9%로 2년 전보다 5.6%p 감소함 (32쪽)

 

- 2년 전보다 가정생활과 직장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는 각각 6.1%p, 5.9%p 감소한 반면, 학교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는 0.4%p 증가함

 

ㅇ 평소 암에 걸릴까 봐 두렵다는 사람의 비중은 35.5%로 2년 전보다 2.0%p 감소함 (34쪽)

 

 활동 제약 상태*에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중은 6.6%로 2년 전보다 0.4%p 감소함 (35쪽)

 

* 건강상의 문제로 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상당히 어렵거나 전혀 할 수 없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중

 

 

범죄와 안전

 

◇ 우리 사회가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은 33.3%로 2년 전보다 증가함
◇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불안 요인은 신종질병, 국가 안보, 범죄 발생 순임
◇ 13세 이상 인구 3명 중 1명은 야간 보행 시 불안하다고 느낌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안전에 대하여 안전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33.3%로 2년 전보다 1.5%p 증가함 (36쪽)

 

- 국가 안보, 먹거리 위생, 식량안보, 자연재해 등에서는 안전하다는 응답이, 정보 보안, 신종질병, 개인 정보 유출 등에서는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았음

 

 사회의 가장 큰 불안 요인으로는 신종질병이 21.0%로 가장 높고, 다음은 국가 안보(14.5%), 범죄 발생(13.9%), 경제적 위험(13.3%) 순임 (38쪽)

 

- 신종질병 및 경제적 위험 요인으로 응답한 비중은 2년 전보다 각각 11.8%p, 1.6%p 감소한 반면, 다른 요인들은 2년 전보다 증가함

 

 밤에 혼자 걸을 때 불안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3명 중 1명 꼴인 29.6%이며, 특히 여자(44.0%)가 남자(15.1%)보다 야간 보행 시 불안감을 더 느끼고 있음 (39쪽)

 

- 야간 보행이 불안한 이유는 신문, 뉴스 등에서 사건, 사고 접함(41.4%)이 가장 많고, 인적이 드묾(27.4%), 가로등, CCTV 등 안전시설 부족(19.5%) 순임

 

ㅇ 공공질서 준수 수준은 모든 부문에서 2년 전보다 향상되었으며, 차례 지키기, 교통약자 보호석 지키기, 보행 질서 순으로 높음 (40쪽)

 

 

생활환경

 

◇ 현재 살고 있는 지역의 생활환경이 좋다고 느끼는 사람이 2년 전보다 증가함
◇ 13세 이상 인구 5명 중 3명이 미세먼지에 대하여 불안함을 느끼고 있음
◇ 13세 이상 인구 2명 중 1명은 환경보호를 위한 비용 부담에 찬성함
◇ 친환경 운전 습관 중 급출발·급제동하지 않기를 가장 노력함

 

 현재 살고 있는 지역의 전반적인 생활환경이 좋다고 체감하는 사람의 비중은 49.7%로 2년 전보다 4.0%p 증가함 (41쪽)

 

- 환경이 좋다고 느끼는 정도는 녹지환경이 59.1%로 가장 높고, 다음은 빛 공해(46.8%), 대기(42.3%), 하천(41.1%) 순으로 높으며, 2년 전보다 모두 증가함

 

< 현재 체감 환경 ‘좋다’ 비중 >

(단위 : %)


전반적인 생활환경
녹지환경
빛 공해
대기
하천
토양
소음·진동
2020년
45.7
58.7
45.3
38.2
37.7
36.7
35.7
2022년
49.7
59.1
46.8
42.3
41.1
40.2
36.6

 

 환경 문제 중 사람들이 불안감을 느끼는 부문은 미세먼지(64.6%), 기후변화(45.9%), 방사능(43.4%), 유해 화학물질(42.5%) 등의 순으로 나타남 (43쪽)

 

 

 환경오염 방지 노력은 재활용품 분리 배출하기가 93.3%로 가장 높고, 다음은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85.3%), 가정 내 대기전력 줄이기(77.2%) 순으로 높음 (44쪽)

 

 환경보호를 위하여 세금(부담금 등 포함)을 내는 것에 대하여 찬성한다는 사람의 비율은 50.1%로 2년 전 50.5%보다 0.4%p 감소함 (45쪽)

 

* 환경보호 비용 부담「찬성」(%) : (’14) 36.8 → (’16) 36.2 → (’18) 50.1 → (’20) 50.5 → (’22) 50.1

 

ㅇ 자동차를 운전하는 사람들은 평소에 급출발·급제동하지 않기(94.1%), 불필요한 공회전 최소화하기(93.2%), 정속 주행 유지하기(92.5%) 순으로 친환경 운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46쪽)

 

코로나19

 

◇ 코로나19 방역 수칙 준수와 관련하여 타인보다 스스로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
◇ 13세 이상 인구 10명 중 3명은 코로나19로 일상생활에서 우울감을 느낌
◇ 19세 이상 취업자 중 전문관리직과 사무직의 재택근무 비중이 높음
◇ 18세 이하 인구 10명 중 9명은 원격수업을 경험함
◇ 가장 긍정적 변화는 방역 · 위생 활동 강화, 향후 가속될 변화는 배달 · 배송을 통한 소비증가

 

◦ 코로나19 발생 기간 동안 자신과 타인이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하기 등의 방역 수칙을 잘 지켰다는 사람은 각각 99.1%, 95.4%로 전년보다 각각 0.1%p, 3.0%p 증가함 (47쪽) 

 

◦ 코로나19로 일상생활에서 우울감을 느낀다는 사람의 비중은 30.3%로 느끼지 않는다는 사람(34.7%)보다 4.4%p 더 낮음 (48쪽)

 

- 일상생활에서 우울감을 느끼는 이유는 감염에 대한 불안감이 49.6%로 가장 높고, 다음은 모임 자제 등으로 인한 관계 단절, 소통 감소(18.4%), 여행, 외출 자제로 인한 갑갑함(14.2%) 순임

 

 19세 이상 취업자 중 지난 1년 동안 재택근무를 한 사람은 17.7%로 전년보다 1.1%p 증가했으며, 코로나19 때문이라고 응답한 비중은 85.6%이며, 재택근무 경험률은 전문관리직과 사무직(32.8%), 서비스판매직(9.6%) 순임 (49쪽)

 

- 재택근무 경험자 중 재택근무가 효율적이지 않았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중은 35.2%로 전년보다 8.0%p 감소하였으며, 그 주된 이유는 재택근무로 처리가 어려운 일이라서(47.8%)가 가장 높음

 

 18세 이하 인구 중 지난 1년 동안 학교 현장 수업을 대체하는 원격수업을 받은 사람은 88.5%로 전년보다 3.5%p 감소하였으며, 이 중 59.1%는 원격수업이 효과적이지 않았다고 응답함 (50쪽)

 

- 원격수업이 효과적이지 않은 이유로 학습 이외의 활동을 하게 되는 등 학습에 집중할 수 없으므로(22.5%)가 가장 높고, 다음은 수업 내용이나 구성이 미흡(18.5%), 학교의 원격수업 환경이 미비(16.9%) 순임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중 전년보다 3.5%p 증가한 손 씻기 등 방역·위생 활동 강화를 가장 긍정적(95.4%)으로 평가하였고, 전년보다 7.1%p 감소한 온라인 학습의 확산을 가장 부정적(43.4%)으로 평가하였음 (51쪽) 

 

- 향후에 변화가 가속될 변화로는 배달·배송을 통한 소비 증가(18.4%)가 가장 높음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