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공공, 엔터테인먼트 및 문화 분야 메타버스 서비스 국제표준화 첫발
2022.11.04 산업통상자원부
교육, 공공, 엔터테인 및 문화 분야 메타버스 서비스 국제표준화 첫발
|
- 국표원,「민관 공동 메타버스서비스표준화 포럼」발족 -
|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상훈)은 2022년 11월 4일 교육, 공공, 엔터테인먼트 및 문화 분야 메타버스 전문가와 함께 인터콘티넨탈 코엑스에서 「메타버스서비스표준화 포럼」을 출범하고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ㅇ 포럼은 산학연 전문가의 표준화 활동 환경을 마련하고, 메타버스 서비스 분야의 국제표준화를 적극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 전 세계적 비대면 디지털 경제 확산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메타버스 서비스가 창출되고 관심도 높지만, 국제 표준화는 이제 출발점에 있다.
ㅇ 이에 국가기술표준원은 ‘메타버스를 활용한 서비스’를 미래 유망 산업으로 선정하고, 관련 시장 활성화 및 고품질 서비스 제공 지원을 위해 산학연이 참여하는 포럼을 설립하여 교육, 공공, 엔터테인먼트 및 문화 분야 국제표준화를 중점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 포럼 발족과 더불어 이날 행사에서 메타버스 서비스의 국내외 사례 발표, 표준화 연계 방안 등 향후 표준 개발 방향과 전략을 모색하는 세미나도 개최하였으며, 산학연 참여자들은 실제 시장에서 사업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메타버스 서비스 분야 표준화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ㅇ 유콘크리에이티브 강종진 대표는 글로벌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한 사례 발표를 통해 국내 메타버스 서비스와의 차이를 소개하며, 글로벌 생태계를 따라가기 위한 표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ㅇ 포디비전 심현보 대표는 의료분야 3D기반 메타버스 활용 유형과 헬스케어 분야 메타버스 서비스를 위한 실감형 핵심 기술을 소개하고 의료용 메타버스 서비스의 향후 전망에 대해 발표하였다.
ㅇ Microsoft코리아의 함상범 전무는 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메타버스 유즈케이스와 MS사의 메타버스 파트너십에 대해 발표하고, MSF*의 구성 및 설립목적과 메타버스 기술표준 트렌드 등을 소개하였다.
* Metaverse Standards Forum(메타버스표준포럼): 메타버스 기술발전을 위한 글로벌 협의체(MS, Meta, 소니, 엔비디아 등 30여 개 글로벌 기업 참여)
□ 오광해 국가기술표준원 표준정책국장은 “향후 확대될 메타버스 서비스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우리기술과 서비스의 국제표준화가 필수”라고 강조하고,
ㅇ “유망신성장 분야인 메타버스 서비스 산업의 연구개발 성과가 표준화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R&D 표준화 연계 전략을 구체화하고 정책지원을 확대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메타버스 서비스 표준화포럼」 오픈 세미나 개최 계획(안)
|
1. 행사 개요
□ 목적
ㅇ 국내 ‘메타버스 서비스 산업’의 발전 및 ‘국제표준 선점’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 일시·장소
ㅇ `22.11.04(금) 10:00~12:00, 인터콘티넨탈 서울 코엑스(알레그레룸, B1)
□ 참석자
ㅇ (국표원) 오광해 표준정책국장, (표준협회) 박병욱 전무,
(포럼) 이명원 포럼회장(수원대) 등 50명 내외
□ 주요내용
ㅇ ①포럼설립 경과 및 운영계획 보고, ②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분야 주요 이슈 공유 및 사례 발표
2. 행사 진행안
시간
|
내용
|
비고
|
10:00~10:05(`5)
|
축사
|
표준국장
|
10:05~10:10(`5)
|
환영사
|
KSA 전무
|
10:10~10:20(`10)
|
메타버스서비스포럼 경과보고
|
사무국장
|
10:20~10:40(`20)
|
(주제강연) 메타버스 서비스의 미래와 표준화
|
이명원 포럼회장
|
10:40~10:55(`15)
|
(발표1) 메타버스 글로벌 서비스와 국내 서비스 비교
|
강종진 대표
(유콘크리에이티브)
|
10:55~11:10(`15)
|
(발표2) 메타버스 기반의 공공서비스 현황 및 과제
|
김범준 부사장
(유니원)
|
11:10~11:25(`15)
|
(발표3) 메타버스와 관광서비스 산업
|
전창대 대표
(더픽트)
|
11:25~11:40(`15)
|
(발표4) 메타버스 서비스 활용사례(의료)
|
심현보 대표
(포디비전)
|
11:40~12:00(`20)
|
(발표5) 메타버스와 상호호환성
|
함상범 전무
(Microsoft)
|
12:00
|
폐회
|
사무국
|
참고2
|
|
메타버스기반 서비스표준화 포럼 참가 전문가 명단
|
No.
|
분과
|
성명
|
직위
|
소속
|
비고
|
1
|
회장
|
이명원
|
교수
|
수원대
|
JTC1 SC24 의장
|
2
|
교육
|
강종진
|
대표
|
유콘크리에이티브
|
위원장
|
3
|
김은숙
|
책임연구원
|
KTR
|
|
|
4
|
조용상
|
부사장
|
아이스크림에듀
|
|
|
5
|
신성욱
|
부장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
|
6
|
조영임
|
교수
|
가천대학교
|
|
|
7
|
박기현
|
부사장
|
테크빌교육
|
|
|
8
|
박경규
|
부장
|
KT
|
|
|
9
|
공공
|
고병인
|
원장
|
중앙경영연구원
|
위원장
|
10
|
최요철
|
회장
|
차세대융합콘텐츠산업협회
|
|
|
11
|
배영식
|
대표
|
후본
|
|
|
12
|
홍성우
|
부장
|
KB증권
|
|
|
13
|
이성현
|
대표
|
플라잉마운틴
|
|
|
14
|
한태인
|
교수
|
방송통신대학교
|
|
|
15
|
백형택
|
팀장
|
로봇산업진흥원
|
|
|
16
|
방지호
|
센터장
|
KTC
|
|
|
17
|
엔터
|
이재홍
|
교수
|
숭실대학교
|
위원장
|
18
|
안종배
|
회장
|
국제미래학회
|
|
|
19
|
전창대
|
대표
|
더픽트
|
|
|
20
|
홍재원
|
교수
|
경상대
|
|
|
21
|
옥경영
|
교수
|
숙명여대
|
|
|
22
|
최진선
|
연구교수
|
연세대학교
|
|
|
23
|
박종필
|
시니어매니저
|
케이뱅크
|
|
|
24
|
최정윤
|
책임연구원
|
KTR
|
|
|
25
|
문화
|
황희곤
|
교수
|
한림국제대학원
|
위원장
|
26
|
한진오
|
상무
|
이오컨벡스
|
|
|
27
|
나서정
|
대표
|
크리스앤파트너스
|
|
|
28
|
이충권
|
본부장
|
이즈피엠피
|
|
|
29
|
이화봉
|
컨벤션팀
|
코엑스
|
|
|
30
|
진선미
|
사무국장
|
PCO협회
|
|
|
31
|
김길래
|
연구소장
|
마이스매트릭스
|
|
|
32
|
기반
조성
|
최운호
|
초빙교수
|
서강대
|
|
33
|
양인석
|
기술이사
|
VDE
|
|
|
34
|
김용진
|
부사장
|
큐버
|
|
|
35
|
강현국
|
교수
|
고려대학교
|
|
|
36
|
사무국
|
정규희
|
센터장
|
한국표준협회
|
사무국장
|
37
|
공순덕
|
위원
|
|
||
38
|
이유미
|
연구원
|
|
||
39
|
남정현
|
연구원
|
|
||
40
|
김형윤
|
연구원
|
|
* 회장, 분과위원장 등 임의 지정
** 기반조성에 회장, 분과위원장, 사무국장, 분과위원장, 정부담당관 등 추가하여 운영위원회 운영
참고3
|
|
메타버스 서비스표준화 포럼
|
□ 조직 구성
|
|
메타버스서비스표준화포럼
|
|
|
|
||||||
회장 : 이명원 교수
|
|||||||||||
|
|
|
|
|
|
|
|
|
|
||
운영위원회
|
|
|
|
|
|
||||||
분과 신설 및 폐지 결정
메타버스 서비스표준화 아이템 우선순위 도출
포럼 정관 수정 등 의사결정 등
|
|
|
사무국(한국표준협회)
|
||||||||
|
|
|
|
사무국장 : KSA 표준R&D센터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교육 분과
|
|
공공 분과
|
|
엔터테인먼트 분과
|
|
문화 분과
|
|||||
위원장 : 강종진 대표
|
위원장 : 고병인 원장
|
위원장 : 이재홍 교수
|
위원장 : 황희곤 교수
|
||||||||
에듀테크, 정규교육, 직업체험 등
|
공공(약자배려) 직업실습, 안전·재난 대비,
의료, 공공메타버스, 업무용-회의포럼 등
|
게임(개발, 행사운영 등), 스포츠(골프 등), 홈GYM 등
엔터 콘텐츠 서비스
|
전시, 관광, MICE(컨벤션, 숙박 등) 등
|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규제에 꽁꽁 묶인 산(山) 팔아 10년 동안 연금 받자 (1) | 2022.11.06 |
---|---|
산업기술 R&D 전략기획단 기능·조직 전면 개편하여, 명실상부한 “산업기술 R&D 전략 싱크탱크”로 거듭난다 (0) | 2022.11.06 |
벤처투자 생태계 조성을 위한 세제지원 방안 마련_기획재정부 (0) | 2022.11.06 |
재선충병 방제 청정지역 전환 사례 및 향후 감소대책 논의 (0) | 2022.11.06 |
2022년 민간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이자지원 사업 변경 공고 (0) | 2022.1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