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9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2022.10.31 고용노동부
’22.9월 사업체노동력조사 주요 결과
|
|
고용부문(’22.9월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
|
◈ ’22.9월 종사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431천명 증가
ㅇ 사업체 종사자 수는 19,376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31천명 증가, ’21.3월 이후 증가 지속
* 종사자수 증감(천명): (’21.9)+262⇒ (’22.6)+431→ (7)+426→ (8)+470→ (9)+431
◈ 공공행정 등을 제외한 대부분 산업에서 종사자 수 증가
ㅇ 돌봄‧의료서비스, 디지털전환 수요 등으로 보건‧사회복지업, 전문‧과학‧기술업, 정보통신업 등에서 견조한 증가 지속, 코로나19 일상회복 등으로 숙박‧음식점업, 사업시설‧지원‧임대업 등 대면서비스업도 증가 지속
* 숙박‧음식점업 증감(천명) : (’21.9)-13⇒ (’22.6)+72→ (7)+84→ (8)+84→ (9)+72
사업시설‧지원‧임대업 증감(천명): (’21.9)-10⇒ (’22.6)+19→ (7)+22→ (8)+27→ (9)+25
ㅇ 제조업은 ’21.5월 이후 증가 지속
* 제조업 증감(천명): (’21.9)+26⇒ (’22.6)+48→ (7)+44→ (8)+57→ (9)+58
ㅇ 다만, 공공행정, 금융‧보험업 등은 전년동월대비 감소
* 코로나19 고용위기 대응 등으로 확대됐던 일자리사업 축소, 디지털금융 확산 등의 영향
|
근로실태부문(’22.8월 기준, 상용 1인 이상 사업체)
|
◈ ’22.8월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 근로시간은 전년보다 증가
ㅇ (’22.1~8월 누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837천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4% 증가, 근로시간은 158.0시간으로 2.8시간(-1.7%) 감소
* 임금총액 증가는 제조업, 금융‧보험업, 전문‧과학‧기술업 등에서 특별급여가 증가한 영향
근로시간 감소는 전년동기대비 월력상 근로일수 2일 감소, 코로나19(오미크론) 확진자 급증 등의 영향
- 1~8월 물가수준(+5.0%)을 반영한 실질임금(3,586천원)은 0.5% 증가
ㅇ (’22.8월)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702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5.1% 증가, 근로시간은 162.9시간으로 3.7시간(+2.3%) 증가
* 임금총액 증가는 정액급여(+4.6%), 초과급여(+5.2%), 특별급여(+13.9%) 증가 영향
근로시간 증가는 전년동월대비 월력상 근로일수 1일 증가(21→22일) 등 영향
|
<1> 고용 부문(’22.9월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
□ (’22.9월말 종사자) 사업체 종사자 수는 19,376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31천명 증가, ’21.3월 이후 증가 지속
|
▪고용행정통계 피보험자수 증감(천명) : (’21.9)+390⇒ (’22.6)+475→ (7)+431→ (8)+427→ (9)+378
▪경제활동인구조사 취업자수 증감(천명): (’21.9)+671⇒ (’22.6)+841→ (7)+826→ (8)+807→ (9)+707
▪사업체노동력조사 종사자수 증감(천명): (’21.9)+262⇒ (’22.6)+431→ (7)+426→ (8)+470→ (9)+431
|
|
ㅇ (종사상지위) 전년동월대비 상용근로자 278천명 증가, 임시일용근로자 179천명 증가, 기타종사자 25천명 감소
* 상용근로자는 보건‧사회복지업, 전문‧과학‧기술업, 정보통신업 등에서 증가
임시일용근로자는 숙박‧음식점업, 건설업, 제조업 등에서 증가
▸상용근로자 증감(천명) : (‘21.9)+168⇒ (‘22.6)+282→ (7)+275→ (8)+280→ (9)+278
▸임시일용근로자 증감(천명): (‘21.9) +89⇒ (‘22.6)+183→ (7)+188→ (8)+209→ (9)+179
▸기타종사자 증감(천명) : (‘21.9) +6⇒ (‘22.6) -34→ (7) -37→ (8) -19→ (9) -25
ㅇ (산업) 보건‧사회복지업, 전문‧과학‧기술업, 정보통신업은 견조한 증가를 지속하고 있고, 코로나19로 고용충격이 컸던 숙박‧음식점업, 사업시설‧지원‧임대업 등을 포함한 대부분 산업에서 증가
- 제조업은 ’21.5월 이후 17개월 연속 증가
▸보건‧사회복지업 증감(천명) : (‘21.9)+118⇒ (‘22.6)+107→ (7) +92→ (8) +92→ (9) +85
▸숙박‧음식점업 증감(천명) : (‘21.9) -13⇒ (‘22.6) +72→ (7) +84→ (8) +84→ (9) +72
▸전문‧과학‧기술업 증감(천명) : (‘21.9) +48⇒ (‘22.6) +61→ (7) +61→ (8) +62→ (9) +64
▸제조업 증감(천명) : (‘21.9) +26⇒ (‘22.6) +48→ (7) +44→ (8) +57→ (9) +58
▸사업시설‧지원‧임대업 증감(천명) : (‘21.9) -10⇒ (‘22.6) +19→ (7) +22→ (8) +27→ (9) +25
- 공공행정, 금융‧보험업 등은 전년동월대비 감소
* 코로나19 고용위기 대응 등으로 확대됐던 일자리사업 축소, 디지털금융 확산 등의 영향
ㅇ (규모) 300인 미만은 전년동월대비 392천명, 300인 이상은 39천명 증가
* ’22.7∼9월 증감(천명): (∼29인) +391→ +410→ +390 (30∼299인) -5→ 0→ +2 (300인∼) +40→ +60→ +39
□ (’22.9월 입·이직) 입직자는 30천명 증가, 이직자는 63천명 증가
ㅇ (입직) 채용(+40천명)은 증가, 전입·복직 등이 포함된 기타입직(-10천명)은 감소
- 채용은 숙박‧음식점업, 제조업, 건설업 등에서 증가하였고,
기타입직은 운수‧창고업, 숙박‧음식점업 등에서 감소
▸채용 증감(천명) : (‘21.9) +38⇒ (‘22.6) -21→ (7) +10→ (8) +53→ (9) +40
▸기타입직 증감(천명) : (‘21.9) -54⇒ (‘22.6) -8→ (7) -25→ (8) +8→ (9) -10
ㅇ (이직) 자발적이직(+49천명)과 비자발적이직(+19천명)은 증가, 전출‧휴업·휴직 등이 포함된 기타이직(-5천명)은 감소
▸자발적이직 증감(천명) : (‘21.9) +8⇒ (‘22.6)+34→ (7)+14→ (8)+38→ (9)+49
▸비자발적이직 증감(천명): (‘21.9) -7⇒ (‘22.6) +1→ (7) 0→ (8) +3→ (9)+19
▸기타이직 증감(천명) : (‘21.9) -55⇒ (‘22.6) -10→ (7) -28→ (8) -5→ (9) -5
<2> 근로실태 부문(’22.8월 기준, 상용 1인 이상 사업체)
□ (’22.1∼8월 누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837천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4% 증가, 근로시간은 158.0시간으로 2.8시간(-1.7%) 감소
* 임금총액 증가는 제조업, 금융‧보험업, 전문‧과학‧기술업 등에서 특별급여가 증가한 영향
근로시간 감소는 전년동기대비 월력상 근로일수 2일 감소, 코로나19(오미크론) 확진자 급증 등의 영향
ㅇ (실질임금) 물가수준(1~8월 +5.0%)을 반영한 실질임금(3,586천원)은 0.5% 증가
□ (’22.8월 임금)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702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5.1% 증가
* 임금상승률(%): (’21.8) 4.2 ⇒ (’22.3) 6.4→ (4) 2.7→ (5) 5.1→ (6) 4.9→ (7) 4.0→ (8) 5.1
ㅇ (종사상지위) 상용(3,917천원) 5.5% 증가, 임시일용(1,719천원) 2.4% 증가
* <상용> 명절상여금 지급시기 변경 등으로 전년대비 임금상승률 확대(4.4%→5.5%)
└ 정액급여(+4.6%), 초과급여(+5.2%), 특별급여(+13.9%) 증가
<임시일용> 숙박‧음식점업, 사업시설‧지원‧임대업 등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이 낮은 산업의 임시일용근로자 증가 등으로 전년에 비해 임금상승률이 둔화(3.2%→2.4%)
ㅇ (규모) 300인 미만(3,384천원) 5.9% 증가, 300인 이상(5,306천원) 2.7% 증가
* 전반적으로 명절시기 변경으로 분산 지급된 명절상여금이 임금 상승에 영향을 미쳤으며, 300인 이상은 전문‧과학‧기술업 등에서 특별급여가 증가한 전년도 기저효과 등으로 임금상승률이 전년보다 둔화
□ (’22.8월 근로시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62.9시간으로 전년보다 3.7시간 증가
*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른 월력상 근로일수가 전년동월대비 1일 증가(21→22일)
** 월력상 근로일수 1일 증가에도 근로시간이 3.7시간 증가한 것은 코로나19 확진자 증가, 동 규정의 적용대상 확대(‘22.1월, 5~29인 사업체 적용) 등의 영향
ㅇ (종사상지위) 상용(169.8시간) 4.5시간 증가, 임시일용(99.7시간) 0.2시간 감소
* <상용> 월력상 근로일수 증감에 영향을 받는 편으로 전년대비 월력상 근로일수 1일 증가 영향
<임시일용> 근로시간이 짧은 임시일용 증가 등으로 사업시설·지원·임대업, 보건·사회복지업 등에서 근로시간이 감소한 영향
ㅇ (규모) 300인 미만(162.6시간)은 3.5시간 증가, 300인 이상(164.6시간)은 4.8시간 증가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중립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0) | 2022.11.01 |
---|---|
2022년 10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 발표_교육부 (1) | 2022.11.01 |
22년 9월 주요유통업체 매출동향 (0) | 2022.11.01 |
2022 코리아세일페스타 11월 1일 개막 (0) | 2022.11.01 |
[부처합동] 정부합동으로 ‘식품안전’ 관련 공익침해행위 집중신고 기간 운영 (0) | 2022.1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