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0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 발표
2022.10.31 교육부
2022년 10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 발표
|
|
□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2022년 10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를 10월 31일(월) 발표한다.
ㅇ 이번 10월 공시에서는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 학생 규모별 강좌 수, 사립대학 수익용 기본재산 및 법정부담금, 기숙사 운영, 실험·실습실 안전관리 등의 정보를 대학알리미를 통해 공시하고, 4년제 일반 및 교육대학 194개교 및 전문대학 133개교에 대한 분석 결과를 공개한다.
|
2022년 대학정보공시 개요
|
|
|
|
|
◦ (법적 근거) 「교육관련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특례법」 및 같은 법 시행령
◦ (대상) 총 413개교(대학 223개교, 전문대학 145개교, 대학원대학 45개교)
◦ (내용) 학교, 학생, 교원, 재정 등 14개 분야, 65개 항목, 104개 세부항목
◦ (공시 시기) 항목별 정기(4월, 6월, 8월, 10월) 및 수시 공시
|
□ 2022년 10월 일반 및 교육대학 194개교의 공시 항목별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
ㅇ 2022년 2학기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은 65.9%로 2021년 2학기(66.3%)보다 0.4%p 감소하였으며, 강사의 강의 담당 비율은 20.7%로 2021년 2학기(21.4%) 보다 0.7%p 감소했다.
*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 = 전임교원이 담당하는 강의 학점 수 / 총 개설 강의 학점 수
- 국공립대학은 63.0%로 전년(63.1%)보다 0.1%p, 사립대학은 66.8%로 전년(67.4%)보다 0.6%p 감소했다.
- 수도권대학은 61.4%로 전년(61.3%)보다 0.1%p 증가했고, 비수도권대학은 68.9%로 전년(69.7%)보다 0.8%p 감소했다.
![](https://blog.kakaocdn.net/dn/Z6989/btrPWUDRGla/Ok1BVly4Q0ljw4zHwykUHK/img.png)
2 학생 규모별 강좌 수
◦ 2022년 2학기 강좌 수는 286,192개로 나타났으며, 20명 이하의 소규모 강좌 비율은 42.3%로 2021년 2학기(42.4%)보다 0.1%p 감소했다.
< 2학기 학생 규모별 강좌 수 비율>
|
|
30명 이하
|
31~50명
|
51~100명
|
101명 이상
|
20명 이하
|
|||||
2022년 2학기(%)
|
42.3
|
64.9
|
25.0
|
9.0
|
1.1
|
2021년 2학기(%)
|
42.4
|
64.7
|
24.8
|
9.4
|
1.1
|
차이(%p)
|
△0.1
|
0.2
|
0.2
|
△0.4
|
0.0
|
- 국공립대학은 39.7%로 전년(39.2%)보다 0.5%p 증가했고, 사립대학은 43.0%로 전년(43.4%)보다 0.4%p 감소했다.
- 수도권대학은 41.5%로 전년(41.7%)보다 0.2%p, 비수도권대학은 42.7%로 전년(42.9%)보다 0.2%p 감소했다.
3 사립대학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 및 법정부담금 부담 현황
ㅇ 2022년 사립대학 법인이 보유한 수익용 기본재산*은 11.1조 원으로 전년(10.3조 원)보다 약 0.8조 원 증가했으며, 확보율**은 87.1%로 전년(81.8%)보다 5.3%p 상승했다.
* 사립학교 법인이 수익을 창출하여 학교운영에 필요한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보유하는 재산
**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 = 학교법인이 보유하고 있는 수익용 기본재산의 평가액 총합(보유액) / 「대학설립·운영기준」에 규정된 기준액 × 100
- 수도권 대학의 확보율은 97.9%로 전년(90.7%)보다 7.2%p, 비수도권 대학은 71.9%로 전년(68.9%)보다 3.0%p 증가했다.
ㅇ 2021년 사립대학 법인의 법정부담금* 부담액은 3,202억 원으로 전년(3,518억 원)보다 316억 원 감소했고, 부담률은 49.7%로 전년(53.9%)보다 4.2%p 감소했다.
* 사학연금(퇴직수당 포함) 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재·고용보험
- 수도권 대학의 부담율은 55.2%로 전년(56.9%)보다 1.7%p, 비수도권대학은 42.4%로 전년(49.7%)보다 7.3%p 감소했다.
![](https://blog.kakaocdn.net/dn/rBXst/btrPXt0yjD6/bjoSd05hZrsdwjl5GnycBk/img.png)
4 기숙사 수용 현황 및 기숙사비 납부제도 현황
ㅇ 2022년 재학생 수 대비 기숙사 수용가능 인원의 비율을 나타내는 기숙사 수용률은 23.1%로, 전년(22.4%)보다 0.7%p 증가했다.
- 국‧공립대학는 27.5%로 전년(27.0%)보다 0.5%p, 사립대학은 21.7%로 전년(20.9%)보다 0.8%p 증가했다.
- 수도권대학은 18.4%로 전년(18.0%)보다 0.4%p, 비수도권대학은 26.7%로 전년(25.8%)보다 0.9%p 증가했다.
ㅇ 2022년 기숙사비 납부제도 현황*을 보면, 카드납부 가능 기숙사는 48개(18.9%), 현금분할납부 가능 기숙사는 71개(28.0%), 현금으로만 일시 납부해야 하는 기숙사는 162개(63.8%)였다.
* 254개 기숙사 대상 조사(직영, 민자, 한국사학진흥재단 운영 행복(공공)기숙사 및 글로벌 교류센터)
※ 27개 기숙사(10.6%)는 카드납부 제도와 현금분할납부 제도를 모두 실시
![](https://blog.kakaocdn.net/dn/lYi8w/btrP3L6rusk/upwjJXMJKiMYvik9n7Kc4K/img.png)
5 실험·실습실(연구실 등) 안전관리 현황
ㅇ 2021년 이공계 및 비이공계 분야 실험·실습실 안전 환경 평가 결과, 1·2등급은 94.2%(37,743개)로 전년 93.8%(36,887개)보다 0.4%p 증가했다.
- 3등급은 5.8%(2,322개)로 전년 6.2%(2,423개)보다 0.4%p 감소했으며, 4·5등급을 받은 실험‧실습실은 없었다.
ㅇ 2021년 이공계 분야 사고 건수는 136건으로 전년(142건)보다 6건(△4.2%), 비이공계 분야 사고 건수는 23건으로 전년(36건)보다 13건(△36.1%) 감소했다.
* 실험·실습 활동 중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제23조에 따라 3일 이상의 치료가 필요한 발생한 사고 건수
![](https://blog.kakaocdn.net/dn/X9NuJ/btrP2pXmoax/AF8JIp1D3tOOOUQ6Eh0NJ0/img.png)
6 폭력예방교육(성희롱·성매매·성폭력·가정폭력) 현황
ㅇ 2021년 대학의 폭력예방교육 실시 현황을 보면, 모든 유형별로 의무 교육 대상자에게 교육을 실시한 대학은 190개교(97.9%)로 나타났다.
- 대학 기관장이 4개 교육 유형을 모두 이수한 대학은 190개교(97.9%)이다.
- 대학 교직원의 교육 이수율*은 79.4%로 전년(73.8%)보다 5.6%p 증가했으며, 대학(원) 재학생의 교육 이수율은 52.9%로 전년(42.6%)보다 10.3%p 증가했다.
* 교육 이수율 = 교육 참여 인원 / 교육 대상 인원 × 100
< 폭력(성희롱·성매매·성폭력·가정폭력) 예방교육 개요 >
ㅇ 양성평등기본법 등 근거 법률에 따라 대학 기관장은 교직원 및 학생을 대상으로 폭력 예방교육을 실시하여야 함(주관: 여성가족부)
|
|||||
|
성희롱 예방교육
|
성매매 예방교육
|
성폭력 예방교육
|
가정폭력 예방교육
|
|
근거법률
|
양성평등기본법
|
성매매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
성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
|
의무 교육
대상
|
교·직원
|
○
|
○
|
○
|
○
|
학생
|
×
|
×
|
○
|
○
|
|
□ 2022년 10월 전문대학 133개교의 10월 공시 항목별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
ㅇ 2022년 2학기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은 49.9%로 2021년 2학기(50.3%)보다 0.4%p 감소하였으며, 강사의 강의 담당 비율은 19.4%로 2021년 2학기(20.2%) 보다 0.8%p 감소했다.
- 국공립대학은 38.3%로 전년(37.9%)보다 0.4%p 증가했고, 사립대학은 50.2%로 전년(50.6%)보다 0.4%p 감소했다.
- 수도권대학은 50.0%로 전년(50.3%)보다 0.3%p 감소했고, 비수도권대학은 49.9%로 전년(50.2%)보다 0.3%p 감소했다.
![](https://blog.kakaocdn.net/dn/cN9Jvb/btrP3BbTWzV/9G3lmnMT1L6OKVeLWGK7gk/img.png)
2 학생 규모별 강좌 수
ㅇ 2022년 2학기 20명 이하의 소규모 강좌 비율은 40.4%로 2021년 2학기(37.8%)보다 2.6%p 상승했다.
< 2학기 학생 규모별 강좌 수 비율>
|
|
30명 이하
|
31~50명
|
51~100명
|
101명 이상
|
20명 이하
|
|||||
2022년 2학기(%)
|
40.4
|
71.7
|
25.9
|
2.2
|
0.2
|
2021년 2학기(%)
|
37.8
|
71.7
|
26.1
|
2.0
|
0.2
|
차이(%p)
|
2.6
|
0.0
|
△0.2
|
0.2
|
0.0
|
- 국공립대학은 64.1%로 전년(58.1%)보다 6.0%p 증가했고 사립대학은 39.9%로 전년(37.3%)보다 2.6%p 증가했다.
- 수도권대학은 39.1%로 전년(37.4%)보다 1.7%p 증가했고, 비수도권대학은 41.4%로 전년(38.1%)보다 3.3%p 증가했다.
3 사립대학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 및 법정부담금 부담 현황
ㅇ 2022년 사립대학 법인이 보유한 수익용 기본재산*은 2.3조 원으로 전년(2.4조 원)보다 약 0.1조 원 감소했으며, 확보율**은 101.4%로 전년(101.2%)보다 0.2%p 증가했다.
* 사립학교 법인이 수익을 창출하여 학교운영에 필요한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보유하는 재산
**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 = 학교법인이 보유하고 있는 수익용 기본재산의 평가액 총합(보유액) / 「대학설립·운영기준」에 규정된 기준액 × 100
- 수도권 대학 확보율은 93.0%로 전년(90.1%)보다 2.9%p 증가했고, 비수도권 대학은 109.6%로 전년(112.2%)보다 2.6%p 감소했다.
ㅇ 2021년 사립대학 법인의 법정부담금* 부담액은 231억 원으로 전년(249억 원)보다 18억 원 감소했고, 법정부담금 부담률은 17.2%로 전년(19.2%)보다 2.0%p 하락했다.
* 사학연금(퇴직수당 포함) 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재·고용보험
- 수도권 대학 부담율은 20.5%로 전년(22.0%)보다 1.5%p 하락, 비수도권 대학은 14.5%로 전년(16.8%)보다 2.3%p 하락했다.
![](https://blog.kakaocdn.net/dn/k509g/btrPZbyB85E/9WxwehI0AGDrDyKvmLxzNk/img.png)
4 기숙사 수용 현황 및 기숙사비 납부제도 현황
ㅇ 2022년 재학생 수 대비 기숙사 수용가능 인원의 비율을 나타내는 기숙사 수용률은 17.1%로, 전년(15.9%)보다 1.2%p 상승했다.
- 국공립대학은 58.6%로 전년(53.0%)보다 5.6%p 증가했고 사립대학은 16.4%로 전년(15.3%)보다 1.1%p 증가했다.
- 수도권대학은 7.8%로 전년(7.4%)보다 0.4%p 증가했고, 비수도권대학은 24.7%로 전년(22.7%)보다 2.0%p 증가했다.
ㅇ 2022년 기숙사비 납부제도 현황*을 보면, 카드납부 가능 기숙사는 13개(10.3%), 현금분할납부 가능 기숙사는 19개(15.1%), 현금으로만 일시 납부해야 하는 기숙사는 99개(78.6%)였다.
* 126개 기숙사 대상 조사(직영, 민자, 한국사학진흥재단 운영 행복(공공)기숙사)
※ 5개 기숙사(4.0%)는 카드납부제도와 현금분할납부제도를 모두 실시
![](https://blog.kakaocdn.net/dn/bUiFzC/btrP4xmiQii/DmuxnvbArZ2oEcXMG4EaVk/img.png)
5 실험·실습실(연구실 등) 안전관리 현황
ㅇ 2021년 이공계, 비이공계 분야 실험·실습실 안전 환경 평가 결과, 1·2등급은 99.0%(7,121개)로 전년 98.6%(6,912개)보다 0.4%p 증가했다.
- 3등급은 1.0%(69개)로 전년 1.4%(100개)보다 0.4%p 감소했으며, 4·5등급을 받은 실험‧실습실은 없었다.
ㅇ 2021년 이공계분야 실험·실습실 사고 건수*는 38건으로 전년(32건)보다 6건(18.8%) 증가했으며, 비이공계분야 실험‧실습실 사고 건수는 7건으로 전년(5건)보다 2건(40.0%) 증가했다.
* 실험·실습 활동 중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제23조에 따라 3일 이상의 치료가 필요한 발생한 사고 건수
![](https://blog.kakaocdn.net/dn/bNfNfM/btrP3khcph6/cXaMg5lmOyGQePlh8VEzD0/img.png)
6 폭력예방교육(성희롱·성매매·성폭력·가정폭력) 현황
ㅇ 2021년 폭력예방교육 실시 현황을 보면, 모든 유형별로 의무 교육 대상자에게 교육을 실시한 전문대학은 128개교(96.2%)로 나타났다.
- 기관장이 4개 교육 유형을 모두 이수한 전문대학은 129개교(97.0%)이다.
- 전문대학 교직원의 교육 이수율*은 86.2%로 전년(83.0%)보다 3.2%p 증가했으며, 재학생의 교육 이수율은 66.8%로 전년(60.8%)보다 6.0%p 증가했다.
* 교육 이수율 = 교육 참여 인원 / 교육 대상 인원
□ 대학별 세부적인 공시자료는 10월 31일(월) 6시부터 대학알리미 누리집(academyinfo.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붙임】1. 2022년 10월 대학정보공시 일반 및 교육대학 주요내용(요약)
2. 2022년 10월 대학정보공시 전문대학 주요내용 분석(요약)
붙임1
|
|
2022년 10월 대학정보공시 일반 및 교육대학 주요내용(요약)
|
1 전임교원 강의 담당비율
◆자료기준일: ‘22.10.1.
|
(단위: 학점, %, %p)
|
|||||||||
구분
|
2022년 2학기
|
2021년 2학기
|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 증감(A-B)
|
|||||||
전임교원
담당 학점(A)
|
비전임교원
담당 학점
|
|
전임교원
담당 학점(B)
|
비전임교원
담당 학점
|
|
|||||
강사
|
강사
|
|||||||||
전체(194개교)
|
452,070
|
234,365
|
141,735
|
464,628
|
235,892
|
149,783
|
△0.4
|
|||
65.9
|
34.1
|
20.7
|
66.3
|
33.7
|
21.4
|
|||||
설립
|
국․공립
(39개교)
|
104,856
|
61,635
|
47,142
|
106,121
|
62,147
|
47,347
|
△0.1
|
||
63.0
|
37.0
|
28.3
|
63.1
|
36.9
|
28.1
|
|||||
사립
(155개교)
|
347,214
|
172,730
|
94,593
|
358,507
|
173,745
|
102,437
|
△0.6
|
|||
66.8
|
33.2
|
18.2
|
67.4
|
32.6
|
19.2
|
|||||
소재지
|
수도권
(73개교)
|
169,718
|
106,714
|
62,664
|
171,047
|
107,992
|
65,016
|
0.1
|
||
61.4
|
38.6
|
22.7
|
61.3
|
38.7
|
23.3
|
|||||
비수도권
(121개교)
|
282,352
|
127,651
|
79,071
|
293,581
|
127,900
|
84,767
|
△0.8
|
|||
68.9
|
31.1
|
19.3
|
69.7
|
30.3
|
20.1
|
2 학생 규모별 강좌 수
◆자료기준일: ‘22.10.1.
|
(단위: 개(강좌), %)
|
|||||||||||||
구분
|
2022년 2학기
|
2021년 2학기
|
||||||||||||
30명 이하
|
31~50명
|
51~100
명
|
101명
이상
|
합계
|
30명 이하
|
31~50명
|
51~100
명
|
101명
이상
|
합계
|
|||||
20명
이하
|
|
20명
이하
|
|
|||||||||||
전체(194개교)
|
120,947
|
185,652
|
71,568
|
25,699
|
3,273
|
286,192
|
125,147
|
190,836
|
72,982
|
27,844
|
3,273
|
294,935
|
||
42.3
|
64.9
|
25.0
|
9.0
|
1.1
|
42.4
|
64.7
|
24.8
|
9.4
|
1.1
|
|||||
설립
|
국․공립
(39개교)
|
26,975
|
45,537
|
17,032
|
4,635
|
668
|
67,872
|
26,798
|
45,639
|
17,306
|
4,671
|
702
|
68,318
|
|
39.7
|
67.1
|
25.1
|
6.8
|
1.0
|
39.2
|
66.8
|
25.3
|
6.9
|
1.0
|
|||||
사립
(155개교)
|
93,972
|
140,115
|
54,536
|
21,064
|
2,605
|
218,320
|
98,349
|
145,197
|
55,676
|
23,173
|
2,571
|
226,617
|
||
43.0
|
64.2
|
25.0
|
9.6
|
1.2
|
43.4
|
64.1
|
24.6
|
10.2
|
1.1
|
|||||
소재지
|
수도권
(73개교)
|
46,260
|
69,923
|
27,445
|
12,300
|
1,691
|
111,359
|
47,163
|
70,549
|
27,406
|
13,483
|
1,787
|
113,225
|
|
41.5
|
62.8
|
24.7
|
11.0
|
1.5
|
41.7
|
62.3
|
24.2
|
11.9
|
1.6
|
|||||
비수도권
(121개교)
|
74,687
|
115,729
|
44,123
|
13,399
|
1,582
|
174,833
|
77,984
|
120,287
|
45,576
|
14,361
|
1,486
|
181,710
|
||
42.7
|
66.2
|
25.2
|
7.7
|
0.9
|
42.9
|
66.2
|
25.1
|
7.9
|
0.8
|
3 사립대학 수익용 기본재산 및 법정부담금 부담 현황
< 사립대학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 현황 >
◆자료기준일 : 보유액(‘22.4.1.), 기준액(‘21 회계연도)
|
(단위: 억원, %, %p)
|
||||||
구분
|
2022년
|
2021년
|
증감
|
||||
보유액
|
기준액
|
확보율1」
|
보유액
|
기준액
|
확보율
|
||
전체
(155개교)2
|
111,347.6
|
127,847.4
|
87.1
|
102,689.8
|
125,484.0
|
81.8
|
5.3
|
수도권
(65개교)
|
73,193.8
|
74,761.8
|
97.9
|
67,479.3
|
74,388.8
|
90.7
|
7.2
|
비수도권
(90개교)
|
38,153.7
|
53,085.6
|
71.9
|
35,210.6
|
51,095.3
|
68.9
|
3.0
|
* 주 1.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 = 보유액 / 기준액
2. 분교(5개교)는 본교에 통합
3. 가톨릭관동대·인천가톨릭대, 인하대·한국항공대는 동일 법인으로 통합공시,
미결산대학(한국국제대) 제외
|
< 사립대학 법정부담금 부담 현황 >
◆자료기준일 : ‘21 회계연도
|
(단위: 억원, %, %p)
|
||||||
구분
|
2021년
|
2020년
|
부담률 증감
(A-B)
|
||||
법정부담금
부담액
|
법정부담금
기준액
|
법정부담금
부담률(A)1」
|
법정부담금
부담액
|
법정부담금
기준액
|
법정부담금
부담률(B)
|
||
전체
(155개교)2」
|
3,202
|
6,437
|
49.7
|
3,518
|
6,529
|
53.9
|
△4.2
|
수도권
(65개교)
|
2,036
|
3,690
|
55.2
|
2,166
|
3,808
|
56.9
|
△1.7
|
비수도권
(90개교)
|
1,165
|
2,747
|
42.4
|
1,352
|
2,721
|
49.7
|
△7.3
|
* 주 1. 법정부담금 부담률 = 법정부담금 부담액 / 법정부담금 기준액
2. 분교(5개교)는 본교에 통합, 미결산대학(한국국제대) 제외
3. 법정부담금 유형 : 사학연금(퇴직수당 포함) 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재·고용보험
|
4 기숙사 현황
< 기숙사 수용 현황 >
◆자료기준일 : ‘22.4.1.
|
(단위: 명, %, %p)
|
|||||||
구분
|
2022년
|
2021년
|
수용률증감
(A-B)
|
|||||
수용가능
인원
|
재학생 수1」
|
수용(가능)률2」
(A)
|
수용가능
인원
|
재학생 수
|
수용(가능)률
(B)
|
|||
전체(194개교)
|
352,625
|
1,526,951
|
23.1
|
350,634
|
1,565,305
|
22.4
|
0.7
|
|
설립
|
국․공립
(39개교)
|
100,871
|
366,838
|
27.5
|
101,648
|
375,916
|
27.0
|
0.5
|
사립
(155개교)
|
251,754
|
1,160,113
|
21.7
|
248,986
|
1,189,389
|
20.9
|
0.8
|
|
소재지
|
수도권
(73개교)
|
122,715
|
666,417
|
18.4
|
121,359
|
675,534
|
18.0
|
0.4
|
비수도권
(121개교)
|
229,910
|
860,534
|
26.7
|
229,275
|
889,771
|
25.8
|
0.9
|
|
* 주 1. 학부(주간+야간) 및 대학원(주간) 재학생 수(4.1. 기준)
2. 기숙사 수용률 = 수용가능 인원 / 재학생 수 × 100
|
< 기숙사비 납부제도 >
◆자료기준일: ’22.4.1.
|
(단위: 개, %)
|
|||||||||
구분
|
카드납부 실시
|
현금분할납부 실시
|
||||||||
직영
|
민자
|
행복
기숙사
|
합계1」
|
직영
|
민자
|
행복
기숙사
|
합계
|
|||
전체(194개교)2
|
27
|
21
|
-
|
48
|
42
|
24
|
5
|
71
|
||
14.5
|
42.9
|
-
|
18.9
|
22.6
|
49.0
|
26.3
|
28.0
|
|||
설립
|
국․공립
(39개교)
|
19
|
18
|
-
|
37
|
16
|
16
|
0
|
32
|
|
52.8
|
52.9
|
-
|
52.9
|
44.4
|
47.1
|
0.0
|
45.7
|
|||
사립
(155개교)
|
8
|
3
|
-
|
11
|
26
|
8
|
5
|
39
|
||
5.3
|
20.0
|
-
|
6.0
|
17.3
|
53.3
|
26.3
|
21.2
|
|||
소재지
|
수도권
(73개교)
|
5
|
5
|
-
|
10
|
18
|
8
|
2
|
28
|
|
7.1
|
27.8
|
-
|
10.2
|
25.7
|
44.4
|
20.0
|
28.6
|
|||
비수도권
(121개교)
|
22
|
16
|
-
|
38
|
24
|
16
|
3
|
43
|
||
19.0
|
51.6
|
-
|
24.4
|
20.7
|
51.6
|
33.3
|
27.6
|
|||
* 주 1. 총 기숙사 수 254개(직영 186개, 민자 49개, 행복 19개)
- 직영기숙사, 민자기숙사, 사학진흥재단에서 지원하는 행복(공공)기숙사 및 글로벌 교류센터를 대상으로 조사
2. 본교와 캠퍼스가 상이할 경우, 실시 여부가 1개 이상이면 실시로 포함하여 작성
3. 비율은 유형별 기숙사 중 해당 납부제도를 실시하는 기숙사의 비율(예 : 직영 기숙사 186개 중 카드 납부를 실시하는 기숙사는 27개로서, 전체 직영 기숙사의 14.5%)
|
5 실험·실습실(연구실 등) 안전관리 현황
<실험·실습실(연구실 등)1」 안전등급 현황>
◆자료기준일: 2021학년도
|
(단위: 개, %)
|
|||||||||||||
구분
|
2021년
|
2020년
|
||||||||||||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5등급
|
합계
|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5등급
|
합계
|
|||
전체(194개교)
|
17,692
|
20,051
|
2,322
|
-
|
-
|
40,065
|
15,294
|
21,593
|
2,423
|
-
|
-
|
39,310
|
||
44.2
|
50.0
|
5.8
|
-
|
-
|
100.0
|
38.9
|
54.9
|
6.2
|
-
|
-
|
100.0
|
|||
설립
|
국․공립
(39개교)
|
6,746
|
7,679
|
759
|
-
|
-
|
15,184
|
4,900
|
8,820
|
968
|
-
|
-
|
14,688
|
|
44.4
|
50.6
|
5.0
|
-
|
-
|
100.0
|
33.4
|
60.0
|
6.6
|
-
|
-
|
100.0
|
|||
사립
(155개교)
|
10,946
|
12,372
|
1,563
|
-
|
-
|
24,881
|
10,394
|
12,773
|
1,455
|
-
|
-
|
24,622
|
||
44.0
|
49.7
|
6.3
|
-
|
-
|
100.0
|
42.2
|
51.9
|
5.9
|
-
|
-
|
100.0
|
|||
소재지
|
수도권
(73개교)
|
6,158
|
9,409
|
1,470
|
-
|
-
|
17,037
|
5,603
|
9,225
|
1,558
|
-
|
-
|
16,386
|
|
36.2
|
55.2
|
8.6
|
-
|
-
|
100.0
|
34.2
|
56.3
|
9.5
|
-
|
-
|
100.0
|
|||
비수도권
(121개교)
|
11,534
|
10,642
|
852
|
-
|
-
|
23,028
|
9,691
|
12,368
|
865
|
-
|
-
|
22,924
|
||
50.1
|
46.2
|
3.7
|
-
|
-
|
100.0
|
42.3
|
53.9
|
3.8
|
-
|
-
|
100.0
|
|||
* 주 1. 실험·실습실 = 이공계 분야 실험·실습실 + 비이공계 분야 실험·실습실
|
<분야별 실험·실습실 사고1」 건수>
◆자료기준일: 2021학년도
|
(단위 : 개, 건)
|
||||||
구분
|
이공계 분야
|
비이공계 분야
|
|||||
2021년
|
2020년
|
전년대비증감
(A-B)
|
2021년
|
2020년
|
전년대비
증감
(C-D)
|
||
사고건수(A)
|
사고건수(B)
|
사고건수(C)
|
사고건수(D)
|
||||
전체(194개교)
|
136
|
142
|
△6
|
23
|
36
|
△13
|
|
설립
|
국․공립
(39개교)
|
49
|
66
|
△17
|
6
|
6
|
0
|
사립
(155개교)
|
87
|
76
|
11
|
17
|
30
|
△13
|
|
소재지
|
수도권
(73개교)
|
72
|
69
|
3
|
12
|
19
|
△7
|
비수도권
(121개교)
|
64
|
73
|
△9
|
11
|
17
|
△6
|
|
* 주 1. 실험·실습 활동 중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제23조에 따라 3일 이상의 치료가 필요한 발생한 사고 건수
|
6 폭력예방교육 현황
<기관장1」 교육 이수 현황>
◆자료기준일: ‘21.1.1.∼12.31.
|
(단위 : 개교)
|
||||||
구분
|
설립구분
|
소재지
|
기관장 이수
|
||||
국·공립
(39개교)
|
사립
(155개교)
|
수도권
(73개교)
|
비수도권
(121개교)
|
계(194개교)
|
|||
교육 유형별
|
성희롱
|
38
|
152
|
73
|
117
|
190
|
|
성매매
|
38
|
152
|
73
|
117
|
190
|
||
성폭력
|
38
|
153
|
73
|
118
|
191
|
||
가정폭력
|
38
|
153
|
73
|
118
|
191
|
||
* 주 1. 기관장은 교육 참석 여부를 조사하며, 분교 및 캠퍼스의 경우 기관장 업무를 수행하는 자의 참석 여부를 조사
|
<폭력예방교육 이수율>
◆자료기준일: ‘21.1.1.∼12.31.
|
(단위: %)
|
|||||||||||||
구분
|
국·공립(39개교)
|
사립(155개교)
|
계(194개교)
|
|||||||||||
|
재학생1」
|
|
재학생
|
|
재학생
|
|||||||||
교원
|
직원
|
교직원
|
교원
|
직원
|
교직원
|
교원
|
직원
|
교직원
|
||||||
전체(194개교)
|
75.7
|
84.2
|
78.7
|
43.5
|
77.1
|
86.3
|
79.7
|
55.9
|
76.7
|
85.6
|
79.4
|
52.9
|
||
교육 유형별
|
성희롱
|
76.1
|
85.0
|
79.2
|
-
|
77.4
|
86.5
|
80.0
|
-
|
77.1
|
86.0
|
79.8
|
-
|
|
성매매
|
75.6
|
83.9
|
78.5
|
-
|
76.9
|
85.9
|
79.4
|
-
|
76.5
|
85.3
|
79.2
|
-
|
||
성폭력
|
75.7
|
84.2
|
78.7
|
43.7
|
77.2
|
86.5
|
79.8
|
56.3
|
76.8
|
85.8
|
79.5
|
53.2
|
||
가정폭력
|
75.4
|
83.7
|
78.3
|
43.3
|
76.9
|
86.3
|
79.5
|
55.6
|
76.5
|
85.4
|
79.2
|
52.6
|
||
* 주 1. 대학 및 대학원생은 성폭력 및 가정폭력 예방교육 의무 교육 대상으로, 성희롱 및 성매매 예방교육의 이수율은 미산출
|
붙임2
|
|
2022년 10월 대학정보공시 전문대학 주요내용(요약)
|
1 전임교원 강의 담당비율
◆자료기준일: ‘22.10.1.
|
(단위: 학점, %, %p)
|
|||||||||
구분
|
2022년 2학기
|
2021년 2학기
|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 증감(A-B)
|
|||||||
전임교원
담당 학점(A)
|
비전임교원
담당 학점
|
|
전임교원
담당 학점(B)
|
비전임교원
담당 학점
|
|
|||||
강사
|
강사
|
|||||||||
전체(133개교)
|
131,301
|
131,573
|
50,916
|
136,978
|
135,568
|
55,161
|
△0.4
|
|||
49.9
|
50.1
|
19.4
|
50.3
|
49.7
|
20.2
|
|||||
설립
|
국․공립
(8개교)
|
2,453
|
3,950
|
2,272
|
2,372
|
3,891
|
2,339
|
0.4
|
||
38.3
|
61.7
|
35.5
|
37.9
|
62.1
|
37.3
|
|||||
사립
(125개교)
|
128,848
|
127,623
|
48,644
|
134,606
|
131,677
|
52,822
|
△0.4
|
|||
50.2
|
49.8
|
19.0
|
50.6
|
49.4
|
19.8
|
|||||
소재지
|
수도권
(43개교)
|
58,608
|
58,516
|
23,029
|
61,151
|
60,366
|
25,600
|
△0.3
|
||
50.0
|
50.0
|
19.7
|
50.3
|
49.7
|
21.1
|
|||||
비수도권
(90개교)
|
72,693
|
73,057
|
27,887
|
75,827
|
75,201
|
29,561
|
△0.3
|
|||
49.9
|
50.1
|
19.1
|
50.2
|
49.8
|
19.6
|
2 학생 규모별 강좌 수
◆자료기준일: ‘22.10.1.
|
(단위: 개(강좌), %)
|
|||||||||||||
구분
|
2022년 2학기
|
2021년 2학기
|
||||||||||||
30명 이하
|
31~50명
|
51~100
명
|
101명
이상
|
합계
|
30명 이하
|
31~50명
|
51~100
명
|
101명
이상
|
합계
|
|||||
20명
이하
|
|
20명
이하
|
|
|||||||||||
전체(133개교)
|
44,928
|
79,701
|
28,721
|
2,398
|
276
|
111,096
|
43,346
|
82,182
|
29,937
|
2,353
|
203
|
114,675
|
||
40.4
|
71.7
|
25.9
|
2.2
|
0.2
|
37.8
|
71.7
|
26.1
|
2.0
|
0.2
|
|||||
설립
|
국․공립
(8개교)
|
1,586
|
2,275
|
189
|
10
|
2
|
2,476
|
1,466
|
2,295
|
225
|
4
|
1
|
2,525
|
|
64.1
|
91.9
|
7.6
|
0.4
|
0.1
|
58.1
|
90.9
|
8.9
|
0.2
|
0.0
|
|||||
사립
(125개교)
|
43,342
|
77,426
|
28,532
|
2,388
|
274
|
108,620
|
41,880
|
79,887
|
29,712
|
2,349
|
202
|
112,150
|
||
39.9
|
71.3
|
26.3
|
2.2
|
0.2
|
37.3
|
71.2
|
26.5
|
2.1
|
0.2
|
|||||
소재지
|
수도권
(43개교)
|
18,652
|
35,213
|
11,578
|
738
|
123
|
47,652
|
18,476
|
36,778
|
11,816
|
777
|
78
|
49,449
|
|
39.1
|
73.9
|
24.3
|
1.5
|
0.3
|
37.4
|
74.4
|
23.9
|
1.6
|
0.1
|
|||||
비수도권
(90개교)
|
26,276
|
44,488
|
17,143
|
1,660
|
153
|
63,444
|
24,870
|
45,404
|
18,121
|
1,576
|
125
|
65,226
|
||
41.4
|
70.1
|
27
|
2.6
|
0.3
|
38.1
|
69.6
|
27.8
|
2.4
|
0.2
|
3 사립대학 수익용 기본재산 및 법정부담금 부담 현황
< 사립대학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 현황 >
◆자료기준일 : 보유액(‘22.4.1.), 기준액(‘21 회계연도)
|
(단위: 억원, %, %p)
|
||||||
구분
|
2022년
|
2021년
|
증감
|
||||
보유액
|
기준액
|
확보율1」
|
보유액
|
기준액
|
확보율
|
||
전체
(124개교)2
|
22,859
|
22,548
|
101.4
|
23,709
|
23,430
|
101.2
|
0.2
|
수도권
(42개교)
|
10,402
|
11,183
|
93.0
|
10,479
|
11,635
|
90.1
|
2.9
|
비수도권
(82개교)
|
12,457
|
11,365
|
109.6
|
13,230
|
11,796
|
112.2
|
△2.6
|
* 주 1.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 = 보유액 / 기준액 × 100
2. 동일 법인 통합공시, 미결산대학(광양보건대) 제외
|
< 사립대학 법정부담금 부담 현황 >
◆자료기준일 : ‘21 회계연도
|
(단위: 억원, %, %p)
|
||||||
구분
|
2021년
|
2020년
|
부담률증감
(A-B)
|
||||
법정부담금
부담액
|
법정부담금기준액
|
법정부담금부담률(A)1」
|
법정부담금부담액
|
법정부담금기준액
|
법정부담금부담률(B)
|
||
전체
(124개교)2
|
231
|
1,339
|
17.2
|
249
|
1,299
|
19.2
|
△2.0
|
수도권
(42개교)
|
126
|
615
|
20.5
|
130
|
588
|
22.0
|
△1.5
|
비수도권
(82개교)
|
105
|
723
|
14.5
|
120
|
711
|
16.8
|
△2.3
|
* 주 1. 법정부담금 부담률 : 법정부담금 부담액 / 법정부담금 기준액⨯100
2. 미결산대학(광양보건대) 제외
3. 법정부담금 유형 : 사학연금(퇴직수당 포함), 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산재보험
|
4 기숙사 현황
< 기숙사 수용 현황 >
◆자료기준일 : ‘22.4.1.
|
(단위: 명, %, %p)
|
|||||||
구분
|
2022년
|
2021년
|
증감
(A-B)
|
|||||
수용가능
인원
|
재학생수
|
수용
(가능)률1」
(A)
|
수용가능
인원
|
재학생수
|
수용
(가능)률
(B)
|
|||
전체(133개교)
|
64,842
|
379,090
|
17.1
|
62,529
|
393,241
|
15.9
|
1.2
|
|
설립
|
국․공립
(8개교)
|
3,852
|
6,572
|
58.6
|
3,465
|
6,542
|
53.0
|
5.6
|
사립
(125개교)
|
60,990
|
372,518
|
16.4
|
59,064
|
386,699
|
15.3
|
1.1
|
|
소재지
|
수도권
(43개교)
|
13,299
|
170,159
|
7.8
|
12,898
|
174,746
|
7.4
|
0.4
|
비수도권
(90개교)
|
51,543
|
208,931
|
24.7
|
49,631
|
218,495
|
22.7
|
2.0
|
|
* 주 1. 기숙사 수용률 : 수용 가능 인원 / 재학생수 × 100
|
< 기숙사비 납부제도 >
◆자료기준일: ’22.4.1.
|
(단위: 개, %2)
|
|||||||||
구분
|
카드납부 실시
|
현금분할납부 실시
|
||||||||
직영
|
민자
|
행복
기숙사
|
합계1」
|
직영
|
민자
|
행복
기숙사
|
합계
|
|||
전체(133개교)
|
11
|
1
|
1
|
13
|
17
|
1
|
1
|
19
|
||
9.8
|
33.3
|
9.1
|
10.3
|
15.2
|
33.3
|
9.1
|
15.1
|
|||
설립
|
국․공립
(8개교)
|
1
|
0
|
0
|
1
|
2
|
0
|
0
|
2
|
|
0.9
|
0.0
|
0.0
|
0.8
|
1.8
|
0.0
|
0.0
|
1.6
|
|||
사립
(125개교)
|
10
|
1
|
1
|
12
|
15
|
1
|
1
|
17
|
||
8.9
|
33.3
|
9.1
|
9.5
|
13.4
|
33.3
|
9.1
|
13.5
|
|||
소재지
|
수도권
(43개교)
|
3
|
1
|
0
|
4
|
6
|
1
|
0
|
7
|
|
2.7
|
33.3
|
0.0
|
3.2
|
5.4
|
33.3
|
0.0
|
5.6
|
|||
비수도권
(90개교)
|
8
|
0
|
1
|
9
|
11
|
0
|
1
|
12
|
||
7.1
|
0.0
|
9.1
|
7.1
|
9.8
|
0.0
|
9.1
|
9.5
|
|||
* 주 1. 총 기숙사 수 126개(직영 112개, 민자 3개, 행복 11개)
- 직영기숙사, 민자기숙사, 사학진흥재단에서 지원하는 행복(공공)기숙사 및 글로벌 교류센터를 대상으로 조사
2. 비율은 유형별 기숙사 중 해당 납부제도를 실시하는 기숙사의 비율
(예 : 직영 기숙사 112개 중 카드 납부를 실시하는 기숙사는 11개로서, 전체 직영 기숙사의 9.8%)
|
5 실험·실습실(연구실 등) 안전관리 현황
<실험·실습실(연구실 등)1」 안전등급 현황>
◆자료기준일: 2021학년도
|
(단위 : 개, %)
|
|||||||||||||
구분
|
2021년
|
2020년
|
||||||||||||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5등급
|
합계
|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5등급
|
합계
|
|||
전체(133개교)
|
4,651
|
2,470
|
69
|
0
|
0
|
7,190
|
4,009
|
2,903
|
100
|
0
|
0
|
7,012
|
||
64.7
|
34.3
|
1.0
|
0.0
|
0.0
|
57.2
|
41.4
|
1.4
|
0.0
|
0.0
|
|||||
설립
|
국․공립
(8개교)
|
149
|
133
|
8
|
0
|
0
|
290
|
100
|
182
|
8
|
0
|
0
|
290
|
|
51.4
|
45.9
|
2.7
|
0.0
|
0.0
|
34.5
|
62.8
|
2.7
|
0.0
|
0.0
|
|||||
사립
(125개교)
|
4,502
|
2,337
|
61
|
0
|
0
|
6,900
|
3,909
|
2,721
|
92
|
0
|
0
|
6,722
|
||
65.2
|
33.9
|
0.9
|
0.0
|
0.0
|
58.2
|
40.5
|
1.3
|
0.0
|
0.0
|
|||||
소재지
|
수도권
(43개교)
|
1,642
|
1,064
|
14
|
0
|
0
|
2,720
|
1,447
|
1,161
|
48
|
0
|
0
|
2,656
|
|
60.4
|
39.1
|
0.5
|
0.0
|
0.0
|
54.5
|
43.7
|
1.8
|
0.0
|
0.0
|
|||||
비수도권
(90개교)
|
3,009
|
1,406
|
55
|
0
|
0
|
4,470
|
2,562
|
1,742
|
52
|
0
|
0
|
4,356
|
||
67.3
|
31.5
|
1.2
|
0.0
|
0.0
|
58.8
|
40.0
|
1.2
|
0.0
|
0.0
|
|||||
* 주 1. 실험·실습실 = 이공계 분야 실험·실습실 + 비이공계 분야 실험·실습실
|
<분야별 실험·실습실 사고1」 건수>
◆자료기준일: 2021학년도
|
(단위 : 건)
|
||||||
구분
|
이공계 분야
|
비이공계 분야
|
|||||
2021년
|
2020년
|
전년대비증감
(A-B)
|
2021년
|
2020년
|
전년대비
증감
(C-D)
|
||
사고건수(A)
|
사고건수(B)
|
사고건수(C)
|
사고건수(D)
|
||||
전체(133개교)
|
38
|
32
|
6
|
7
|
5
|
2
|
|
설립
|
국․공립
(8개교)
|
0
|
1
|
△1
|
0
|
0
|
0
|
사립
(125개교)
|
38
|
31
|
7
|
7
|
5
|
2
|
|
소재지
|
수도권
(43개교)
|
9
|
5
|
4
|
2
|
3
|
△1
|
비수도권
(90개교)
|
29
|
27
|
2
|
5
|
2
|
3
|
|
* 주 1. 실험·실습 활동 중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제23조에 따라 3일 이상의 치료가 필요한 발생한 사고 건수
|
6 폭력예방교육 현황
<기관장1」 교육 이수 현황>
◆자료기준일: ‘21.1.1.∼12.31.
|
(단위 : 개교)
|
||||||
구분
|
설립구분
|
소재지
|
기관장 이수
|
||||
국·공립
(8개교)
|
사립
(125개교)
|
수도권
(43개교)
|
비수도권
(90개교)
|
계
(133개교)
|
|||
교육 유형별
|
성희롱
|
8
|
123
|
43
|
88
|
131
|
|
성매매
|
8
|
121
|
41
|
88
|
129
|
||
성폭력
|
8
|
121
|
41
|
88
|
129
|
||
가정폭력
|
8
|
121
|
41
|
88
|
129
|
* 주 1. 기관장은 교육 참석 여부를 조사하며, 분교 및 캠퍼스의 경우 기관장 업무를 수행하는 자의 참석 여부를 조사
<폭력예방교육 이수율>
◆자료기준일 : ‘21.1.1.∼12.31.
|
(단위 : %)
|
|||||||||||||
구분
|
국·공립(8개교)
|
사립(125개교)
|
계(133개교)
|
|||||||||||
|
재학생1」
|
|
재학생
|
|
재학생
|
|||||||||
교원
|
직원
|
교직원
|
교원
|
직원
|
교직원
|
교원
|
직원
|
교직원
|
||||||
전체(133개교)
|
76.6
|
88.8
|
82.1
|
54.4
|
85.1
|
89.0
|
86.3
|
67.0
|
84.9
|
89.0
|
86.2
|
66.8
|
||
교육 유형별
|
성희롱
|
76.7
|
88.6
|
82.0
|
-
|
85.8
|
90.3
|
87.2
|
-
|
85.6
|
90.3
|
87.0
|
-
|
|
성매매
|
76.5
|
89.1
|
82.2
|
-
|
84.7
|
88.5
|
85.9
|
-
|
84.5
|
88.5
|
85.7
|
-
|
||
성폭력
|
76.7
|
88.6
|
82.0
|
54.4
|
85.2
|
88.9
|
86.3
|
67.4
|
85.0
|
88.9
|
86.2
|
67.2
|
||
가정폭력
|
76.5
|
89.1
|
82.2
|
54.4
|
84.8
|
88.4
|
85.9
|
66.5
|
84.6
|
88.4
|
85.8
|
66.3
|
||
* 주 1. 대학생은 성폭력 및 가정폭력 예방교육의 필수 교육대상으로, 성희롱 및 성매매 예방교육의 이수율을 미산출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부, 민·관 합동 「이차전지 산업 혁신전략」 발표 (1) | 2022.11.02 |
---|---|
탄소중립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0) | 2022.11.01 |
2022년 9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0) | 2022.11.01 |
22년 9월 주요유통업체 매출동향 (0) | 2022.11.01 |
2022 코리아세일페스타 11월 1일 개막 (0) | 2022.1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