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지역별 인구·사업체 등 공간통계 융합자료 서비스 확대
2022.07.01 통계청
소지역별 인구·사업체 등 공간통계 융합자료 서비스 확대
|
- 지역의 인구와 사업체 분포 및 변화를 지도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
|
□ 통계청(청장 한훈)은 격자통계*와 경계, 도시화지역 경계, 기초단위구 경계 등 소지역 공간통계 융합자료 3종을 6월 30일부터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 https://sgis.kostat.go.kr)를 통해 개방하였다고 밝혔다.
* 격자통계: 통계자료의 실제 위치를 기반으로, 동일 간격으로 구획된 격자영역에 집계하여 제공하는 소지역 통계서비스 방식 (※격자크기: 100km, 10km, 1km, 500m, 100m)
** SGIS: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GIS 기반의 개방형 통계 플랫폼
○ 인구·가구·주택 격자통계 데이터는 9개 년도(’00, ’05, ’10, ’15~’20년), 사업체·종사자 격자통계 데이터는 20개 년도(’00~’19년)에 걸친 지도 기반의 대규모 통계 데이터로서 지역별 인구 및 사업체 등의 분포와 변화를 비교·분석하는데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격자통계는 소속기관인 통계개발원에서 개발한 비밀보호기법(BSCA: Bounded Small Cell Adjustment)을 적용함으로써 소지역에 관한 통계데이터를 개체식별 우려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분석이 가능하다.
- 그리고, 보다 깊이 있고 정교한 분석이 필요한 이용자를 위해서는 비밀보호기법이 적용되지 않은 원자료를 7월 중에 보안이 강화된 통계데이터센터(SDCStatistics Data Center, http://data.kostat.go.kr)를 통해 서비스할 계획임을 밝혔다.
○ 또한, 이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올해 2월에 서비스를 시작한 SGIS「도시화 분석 지도」중 도시 및 준도시 경계인 도시화지역 경계를 연도*별로 제공하고, 통계지역경계의 기본(최하위) 단위인 기초단위구 경계를 시도별로 제공하여 다양한 공간데이터 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도시화지역 경계 제공연도: ’00, ’05, ’10, ’15~’20년 등 9개 년도
□ 통계청은 앞으로도 추가 개방이 가능한 소지역 공간자료를 지속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며, SGIS 소지역자료 활용매뉴얼도 게시하여 이용자들이 공간통계를 분석하는 데 참고할 수 있도록 하겠다.
[붙임자료]
1. 소지역 공간통계자료 제공확대 추진내용
2. (분석 예) 서울․경기․인천 인구 변화 (2010년과 2020년 비교)
3. 격자통계, 도시화지역 경계, 기초단위구 경계 신청방법
붙임1
|
|
소지역 공간통계자료 제공확대 추진내용
|
① (격자 통계·경계) 최대 100km, 최소 100m 등 5단계로 통계와 경계 제공
- ‘가다’(전남 가거도), ‘사사’(울릉도와 독도) 등 100km 단위로 신청
- 행정구역 경계와 조합하여 인구·사업체 부문 공간분석에 활용
![](https://blog.kakaocdn.net/dn/tsreH/btrF900Esyn/19MSVDTfBuBee2r88vpVN0/img.png)
② (도시화지역 경계) SGIS「도시화 분석 지도」중 도시·준도시 경계 정보를 연도별로 제공(’00, ’05, ’10, ’15~’20년, 총 9개 년도)
|
<도시화지역 경계(’20년)>
③ (기초단위구 경계) 최근년도(’21년) 기초단위구 경계를 시도별로 제공
- 학술연구와 지역정책 개발을 위한 소지역 기준으로 활용 가능
|
|
|
|
행정구역 경계(종로구, 혜화동)
|
기초단위구 경계
|
<기초단위구 경계와 행정구역 경계 비교>
붙임2
|
|
(분석 예) 서울․경기․인천 인구 변화 (2010년과 2020년 비교)
|
□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대해 2010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의 인구수 변화 정도를 1km 격자 단위로 분석한 결과,
- 서울시는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등의 시 경계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인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 빨간색이 인구 증가, 파란색이 인구 감소를 나타냄
![](https://blog.kakaocdn.net/dn/phZw4/btrGeul3Y5I/RDyExth8X8vhjCs40sSNTk/img.jpg)
<서울시 인구 증감(2010~2020년, 1km 격자)>
- 인천시의 경우에도 시 중심부 지역은 인구가 감소한 반면, 시 경계 지역에서는 인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음.
![](https://blog.kakaocdn.net/dn/12wkj/btrGe8iJiCr/kCYcCs6juYn7dxpSNCFdnk/img.jpg)
<인천시 인구 증감(2010~2020년, 1km 격자)>
- 경기도의 경우, 오산시, 화성시, 김포시 등 다수의 지역에서 인구가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음.
|
|
<경기도 인구 증감(2010~2020년, 1km 격자)>
<수도권 인구 증감(2010~2020년, 1km 격자)>
![](https://blog.kakaocdn.net/dn/bjfM9T/btrGb8jMBJM/b1K0nZH8OQ0C1CnITPy6k0/img.jpg)
□ 지도 기반의 격자통계는 행정구역(시도·시군구·읍면동) 경계와 조합하여 격자 크기(100km~100m), 제공년도(인구 부문 9개 년도, 사업체 부문 20개 년도)에 따라 지역별로 다양한 공간분석이 가능함
붙임3
|
|
격자통계, 도시화지역 경계, 기초단위구 경계 신청방법
|
□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 방문 (주소: https://sgis.kostat.go.kr)
ㅇ ‘자료제공 → 자료신청’ 메뉴에서 SGIS 소지역자료 제공 신청
ㅇ 행정구역 경계와 집계구 통계 및 경계도 같은 메뉴에서 신청 가능
□ 신규 소지역자료 선택하여 신청
ㅇ 격자 통계·경계, 도시화지역 경계, 기초단위구 경계 등 신규 소지역자료를 아래 그림과 같이 선택하여 제공 신청
![](https://blog.kakaocdn.net/dn/bhTz9e/btrGcVdl6AQ/ZDOVodDjdZBCyaoQklvRA0/img.jpg)
<격자통계 및 경계 신청 화면>
<도시화지역 경계 신청 화면>
![](https://blog.kakaocdn.net/dn/bd0uDk/btrF9G2qhrU/zIXQvpjG6TJ2j86Jo43dC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BkDkc/btrF9ZUWlTM/iqOO3PJvOxV9kt2Moqw7q0/img.jpg)
<기초단위구 경계 신청 화면>
□ 격자 선택 UI 제공
ㅇ 행정구역(시도·시군구)과 겹치는 100km 단위 격자를 검색하고 선택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 제공
- ‘대구광역시’를 검색하면 대구시 경계와 겹치는 ‘라마’, ‘마마’ 등 2개의 100km 격자가 자동 선택되며, 격자를 클릭해서 직접 선택할 수도 있음
![](https://blog.kakaocdn.net/dn/oJPk6/btrGe9hEFbB/77CrKStGmhRhaF14henfg1/img.jpg)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방부 군사법원 창설 (0) | 2022.07.03 |
---|---|
지방 투기과열지구 해제 등 규제지역 조정 (0) | 2022.07.01 |
2022년 5월 온라인쇼핑 동향 (0) | 2022.07.01 |
에너지바우처 지원 117만6000세대로 확대…지원단가도 인상 (0) | 2022.07.01 |
‘내 정보’ 유출로 피해?…“소송없이 문제 해결하세요” (0) | 2022.07.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