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월 수출입 동향
2022.03.01 산업통상자원부
2022년2월 수출입 동향
- ’22. 3. 1.(화) 배포 -
※ 자세한 내용은 첨부자료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ㅇ 본 자료는 관세청 통관자료와 무역통계(무역협회)를 기초로
2022년 2월 수출입 실적을 분석한 것임
ㅇ 전체 수출입 실적 및 주요 품목별 수출 실적(MTI 기준)은
2월 28일까지의 통관기준 잠정치 기준으로 작성
ㅇ 다만, 연간 통계 확정 시(2023.2월)까지 정정 가능
|
|
◈ (총괄) 2월 수출 539.1억달러(+20.6%), 수입 530.7억달러(+25.1%),
무역수지는 +8.4억달러 흑자를 기록
◈ 2월 수출입의 주요 특징
➊ 오미크론 확산, 원자재價 상승, 우크라이나 사태 등 대내외 어려운 여건에도 무역수지는 1월 대비 대폭 개선(+56.8억달러)되며 흑자 전환
* 무역수지(억달러) : (‘21.10월)+18.1→(11월)+29.7→(12월)△4.3→(‘22.1월)△48.3→(2월)+8.4
ㅇ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수입은 2월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수출이 월간 사상 최고의 일평균(26.96억달러)을 기록하며 수지 개선을 견인
* 2월 원유・가스・석탄 등 에너지 수입액은 125억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3.4억달러 증가
* 역대 일평균 수출액 순위(억달러) : (1위)26.96(‘22.2월)→(2위)26.6(‘21.9월)→(3위)26.5(‘21.10월)
➋ 수출은 20% 이상 증가하며 2월 최초 500억달러를 넘어 역대 2월 최고 달성
* 2월 수출 상위 3개년 실적(억달러) : (1위)539(‘22.2월)→(2위)463(‘12.2월)→(3위)447(‘21.2월)
ㅇ 16개월 연속 증가, 12개월 연속 두 자릿수의 견조한 수출 증가세
* 16개월 증가는 ‘16.11~’18.3월 이후, 12개월 두자리 증가는 ‘09.11~’11.9월 이후 처음
➌ 15대 주요 품목, 9대 지역 수출이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기록하며 특정 품목・지역의 편중 없이 고른 수출 성장세 시현
ㅇ (품목) 반도체・컴퓨터・디스플레이・가전 등 IT 품목과 철강・석유화학・
석유제품・바이오 등이 큰 폭으로 증가하며 수출 증가세 주도
* 수출 증가율(%) : (반도체)+24.0, (컴퓨터)+44.5, (디스플레이)+39.2, (가전)+14.6,
(철강)+40.1, (석유화학)+24.7, (석유제품)+66.2, (바이오헬스)+24.7 등
ㅇ (지역) 中・美・EU・亞 등 4대 시장은 역대 2월 중 1위, 중남미・인도 등 신흥시장도 모두 증가하며 9대 지역 모두 11개월 연속 증가
|
|||||||||
구 분
|
중 국
|
미 국
|
E U
|
아세안
|
일 본
|
중남미
|
인 도
|
중 동
|
CIS
|
수출액(억달러)
|
130.0
|
77.4
|
54.8
|
100.2
|
24.7
|
21.5
|
13.5
|
13.7
|
13.0
|
증감률(%)
|
+16.0
|
+20.9
|
+8.6
|
+38.4
|
+12.7
|
+18.1
|
+4.9
|
+30.4
|
+45.6
|
※ 對러시아 수출이 전체의 73%를 차지하는 對CIS 수출 영향은 현재까지는 제한적인 것으로 파악
|
2022년 2월 수출입 동향
|
2월 수출 539.1억달러(+20.6%), 수입 530.7억달러(+25.1%)
|
1
|
|
2월 수출입 개요
|
□ (수 출) 2월 수출은 전년동기(447억달러)대비 +20.6% 증가한 539.1억달러
* 2월 조업일수는 20.0일로, 전년(’21.2월) 대비 +0.5일, 전월(‘22.1월) 대비 △2.0일
ㅇ 일평균 수출은 전년동기(22.9억달러)대비 +17.6% 증가한 26.96억달러
□ (수 입) 2월 수입은 전년동기(424억달러)대비 +25.1% 증가한 530.7억달러
ㅇ 일평균 수입은 전년동기(21.7억달러)대비 +22.0% 증가한 26.5억달러
□ (무역수지) 8.4억달러 흑자로, 1월 대비 대폭 개선되면서 흑자 전환
【 2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백만달러, %, 관세청) 】
|
||||||
구 분
|
2021년
|
2021년
|
2022년
|
|||
2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
수 출
|
44,707(+9.3)
|
60,331(+31.9)
|
60,734(+18.3)
|
55,321(+15.2)
|
53,910(+20.6)
|
|
|
(일평균)
|
2,293(+26.1)
|
2,514(+26.4)
|
2,479(+15.9)
|
2,515(+17.9)
|
2,696(+17.6)
|
수 입
|
42,405(+14.7)
|
57,358(+43.6)
|
61,160(+37.0)
|
60,155(+35.3)
|
53,069(+25.1)
|
|
무역수지
|
+2,302
|
+2,973
|
△426
|
△4,834
|
+841
|
□ (품 목) 15대 주요 품목 중 14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
ㅇ (증가 품목) 14개 품목 중 12개는 두 자릿수 대 증가하며 상승세 지속
- 반도체(20개월 연속), 무선통신(16개월), 석유화학・철강(14개월), 일반기계・석유제품・컴퓨터 (12개월), 디스플레이(11개월) 등은 장기간 수출 증가세
* 그 외 품목 연속 증가 : (섬유・가전・이차전지) 5개월, (자동차) 4개월, (바이오헬스) 3개월
ㅇ (감소 품목) 15대 품목 중 차부품만 소폭 감소(△1.1%)
* 차량용 반도체 수급 영향에 따른 해외 공장의 생산 감소로 차부품 수출 소폭 감소
【 2월 15대 주요 품목별 수출액(억달러) 및 증감률(%) 】
|
||||||||
구 분
|
반도체
|
석유화학
|
일반기계
|
자동차
|
철강
|
석유제품
|
디스플레이
|
차부품
|
수출액
|
103.8
|
47.9
|
39.6
|
38.4
|
33.1
|
39.7
|
19.0
|
17.8
|
증가율
|
+24.0
|
+24.7
|
+0.9
|
+9.1
|
+40.1
|
+66.2
|
+39.2
|
△1.1
|
구 분
|
바이오헬스
|
무선통신
|
컴퓨터
|
섬 유
|
선박
|
가전
|
이차전지
|
합 계
|
수출액
|
15.8
|
12.7
|
15.0
|
9.7
|
17.3
|
6.7
|
6.9
|
539.1
|
증가율
|
+24.7
|
+8.2
|
+44.5
|
+15.3
|
+15.8
|
+14.6
|
+10.3
|
+20.6
|
□ (지 역) 9대 지역 모두 11개월 연속 수출이 증가
ㅇ 중국・미국・EU・아세안 등 주력 수출시장과 중남미・인도 등 신흥시장수출이 모두 호조세를 띄며, 9대 全 지역 모두 11개월 이상 연속 증가
- 對미국・EU 수출은 18개월 연속, 對중국・중남미는 16개월, 對아세안・인도・CIS는 12개월, 對일본・중동은 11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감
- 對러시아 수출을 포함한 對CIS 수출은 12개월 연속 증가
* CIS 수출의 73%를 차지하는 對러시아 수출도 14개월 연속 증가세 지속
【 2월 9대 주요 지역별 수출액(억달러) 및 증감률(%) 】
|
|||||
구 분
|
중 국
|
미 국
|
EU*
|
아세안
|
일 본
|
수출액
|
130.0
|
77.4
|
54.8
|
100.2
|
24.7
|
증가율
|
+16.0
|
+20.9
|
+8.6
|
+38.4
|
+12.7
|
구 분
|
중남미
|
인 도
|
중 동
|
CIS
|
총 계
|
수출액
|
21.5
|
13.5
|
13.7
|
13.0
|
539.1
|
증가율
|
+18.1
|
+4.9
|
+30.4
|
+45.6
|
+20.6
|
※ 對EU 증가율 +8.6%는 영국을 제외한 27개 EU 회원국으로의 수출 증가율
|
2
|
|
2월 수출입 주요 특징
|
우크라이나 사태 등 대외 불확실성 심화에도 무역수지 흑자 전환
ㅇ 오미크론 상황 지속, 원자재 가격 상승에 우크라이나 사태 발발로 대내외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가운데, 2월 무역수지는 1월 대비 +56.8억달러가 개선되는 등 큰 폭으로 증가하며 흑자 전환
* 무역수지(억달러) : (‘21.10월)+18.1→(11월)+29.7→(12월)△4.3→(‘22.1월)△48.3→(2월)+8.4
ㅇ 높은 에너지 가격 추이*가 지속되면서 수입은 역대 2월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수출이 월간 기준 사상 최대 일평균 실적(26.96억달러)을 달성하며 무역수지 개선을 견인
* 유가(두바이유, $/B) : (‘21.2월)60.89 → (7월)72.93 → (12월)73.21 → (’22.1월)83.47 → (2월)94.10
* 가스(JKM, $/mmbtu) : (‘21.2월)8.17 → (7월)10.94 → (12월)31.61 → (’22.1월)35.87 → (2월)32.84
* 석탄(호주탄, $/톤) : (‘21.2월)86→(7월)150→(12월)170→(’22.1월)219→(2월 1~25일)237
- 반도체・석유화학・석유제품・컴퓨터・바이오헬스・선박 등 주요 품목의 일평균 수출액이 지난 1월보다 증가하면서 흑자 전환에 기여
【 주요 품목의 월별 수출액 추이(백만달러) 】
|
||||||
구 분
|
반도체
|
석유화학
|
석유제품
|
컴퓨터
|
바이오
|
선박
|
1월 일평균 수출액
|
492
|
228
|
160
|
65
|
76
|
35
|
2월일평균 수출액
|
519
|
240
|
199
|
75
|
79
|
87
|
- 2월의 원유・가스・석탄 3대 에너지 수입액은 124.8억달러로, 지난 1월 수입액 대비 △34.6억달러 감소하며 수지 개선에 일부 영향
【 ‘22.2월 원유・가스・석탄 3대 에너지원의 전년대비 수입액 】
|
|||||
구 분
|
‘21년2월수입액
|
‘22년1월수입액
|
‘22년2월수입액
|
|
|
증감액(전년비)
|
증감액(전월비)
|
||||
원 유
|
42.8억달러
|
75.0억 달러
|
69.9억달러
|
27.1억달러
|
△5.1억달러
|
가 스
|
31.6억달러
|
64.0억 달러
|
35.5억달러
|
4.0억달러
|
△28.3억달러
|
석 탄
|
7.1억달러
|
20.5억 달러
|
19.3억달러
|
12.3억달러
|
△1.2억달러
|
3대 품목 합계
|
81.4억달러
|
159.5억 달러
|
124.8억달러
|
+43.4억달러
|
△34.6억달러
|
수출액은 2월 최초 500억달러를 돌파하며 역대 2월 중 최대 실적
ㅇ 2월은 연중 조업일수가 가장 적어 수출액이 500억 달러를 하회하였지만 이번 달은 최초로 500억달러 돌파 → 역대 2월 중 최대 실적 달성
- 기존 2월 최고치였던 ‘12년 2월(23일) 보다 이번 달 조업일수(20일)는 3일 적었음에도 76억 달러가 더 증가하며 2월 최고 수출실적 경신
ㅇ 12개월 연속으로 ‘해당 月 최고치 경신’ 및 ‘수출 500억달러 상회’
구 분
|
‘21년
|
‘22년
|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
월 수출액
(억달러)
|
480
|
447
|
537
|
512
|
507
|
548
|
555
|
532
|
559
|
557
|
604
|
607
|
553
|
539
|
|
역대 해당
月 중 순위
|
3위
|
3위
|
12개월 연속, 해당 월의 역대 1위
|
수출은 16개월 연속 증가, 12개월 연속 두 자릿수대 높은 증가율
ㅇ 수출은 16개월 연속 증가(‘20.11월~)했으며, ’21년 3월 이후 12개월 연속 두 자릿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수출 펀더멘털은 견조
* ‘20.11월 이후 16개월 연속 증가, ’21.3월 이후 12개월 연속 두 자릿수대 증가율 기록
- 두 자릿수의 수출증가세가 12개월 연속(‘21.3~’22.2월)으로 이어진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수출이 회복(‘09.11~’11.9월)된 이후 10년 만의 大기록
ㅇ 최근 수출 증가율이 둔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2월 수출이 20% 이상의 증가율을 회복하는 등 수출 호조세가 지속
15대 주요 품목 중 14개가 증가하면서 견조한 증가세
ㅇ 15대 주요 품목 중 차부품 제외 14개가 수출 플러스
-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가 10개월 연속 100억 달러를 기록한 가운데,
컴퓨터·디스플레이 등 여타 IT 품목도 모두 두 자릿수 성장
- 석유화학(+24.7%)·석유제품(+66.2%)·철강(+40.1%) 등의 원자재 가공 품목도 20%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며 수출 호조세를 견인
- 바이오·이차전지 등 新산업 품목 수출도 역대 2월 최고실적을 경신
하는 등 높은 성장세를 지속
구 분
|
반도체
|
석유화학
|
철강
|
바이오헬스
|
이차전지
|
컴퓨터
|
수출액(억달러)
|
103.8
|
47.9
|
33.1
|
15.8
|
6.9
|
15.0
|
수출 증가율(%)
|
+24.0
|
+24.7
|
+40.1
|
+24.7
|
+10.3
|
+44.5
|
역대 순위
|
2월 中 1위
|
2월 中 2위
|
【IT 품목】
◈ (반도체)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불구, 견조한 수요에 기반해 역대 2월 중 처음으로 100억 달러를 돌파 → 10개월 연속 수출 100억 달러 달성
* 역대 2월 반도체 수출액(억 달러) : (1위)103.8(‘22.2월) → (2위)90.0(’18.2월) → (3위)83.7(’21.2월)
ㅇ ‘20.9월 이후 한 차례(’21.3월, 8.6%) 제외 모두 두 자릿수 증가율 기록 중
* 반도체 수출증가율(전년비, %) : (20.9월)11.8 → (10월)10.4 → (중략) → (‘22.1월)24.2 → (2월)24.0
◈ (디스플레이) 우리 업계가 超격차 경쟁력을 보유한 고부가 OLED 분야
시장 확대 흐름이 이어지면서 11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달성
* ‘16.11월~’17.11월(13개월 연속) 이후 최장기 연속 수출 플러스 기록
◈ (컴퓨터) 북미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로 수요가 전반적으로 증가한 가운데
高성능 SSD 출하 효과가 더해지며 역대 2월 중 2위 달성
* 역대 2월 컴퓨터 수출액(억 달러) : (1위)15.1(’04.2월)→(2위)15.0(‘22.2월) → (3위)10.8(’20.2월)
ㅇ 최근 6개월간 월평균 수출 16.0억 달러를 기록 중이며, 이는 ’00년 이후
반기별 월평균 수출액 기준 역대 최고실적에 해당
* 6개월간 월평균 수출액(억 달러) : (1위)16.0(‘21.9~’22.2월) → (2위)15.5(‘04.上) → (3위)14.2(‘03.下)
◈ (무선통신기기) 신규모델 출시 등 호조세에 힘입어 16개월 연속 플러스
|
【중간재】
◈ (석유화학) 전방산업 수요확대 흐름과 고유가發 단가 상승 등이 복합
작용하면서 14개월 연속 플러스, 12개월 연속 수출 45억 달러 기록
* 역대 2월 油化 수출액(억 달러) : (1위)47.9(‘22.2월) → (2위)41.1(’13.2월) → (3위)40.7(‘18.2월)
ㅇ 업계가 최고 영업실적을 기록했던 ‘17~’18년보다 수출액·증가율 모두 우위
* 구간별 평균 수출액/성장률(억 달러/%) : (‘21.1월~現)46.4/+53.5%, (‘17~’18.上)38.7/+20.5%
◈ (철강) 여전히 견조한 글로벌 수요와 제품가격 증가가 복합 작용하며
역대 2월 중 10년 만에 30억 달러를 상회하는 수출실적 기록
* 역대 2월 철강 수출액(억 달러) : (1위)33.1(‘22.2월) → (2위)31.0(’12.2월) → (3위)29.4(’17.2월)
ㅇ ‘21.6월 이후 8개월 동안 높은 성장세를 바탕으로 수출액 30억 달러 유지
◈ (석유제품) 高유가 지속으로 정제마진이 높은 수준을 이어가면서 우리
석유제품 수출도 ‘21.4월 이후 11개월 평균 97.6%의 높은 증가세 유지 중
* 유가(두바이油, $/B) : (‘21.2월)60.89 → (7월)72.93 → (12월)73.21 → (’22.1월)83.47 → (2월)00.00
* 주요 정유社 가동률 : (‘21.2월)82.9 → (6월)81.6 → (9월)80.3 → (12월)86.6 → (’22.1월)89.0
【기 타】
◈ (자동차) 차량용반도체 수급난 영향에도 불구, 글로벌 경기회복 흐름과
친환경차 수출 호조세 등에 힘입어 4개월 연속 플러스 달성
ㅇ 전기차도 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 5개월 연속 7억 달러 등 호조세
* 전기차 수출증감률(%) : (‘21.11월)+129.7 → (12월)+129.7 → (‘22.1월)+53.0 → (2월)+95.5
◈ (유망 품목) 바이오헬스·시스템반도체·전기차·이차전지 등 핵심 신산업과
농수산식품·SSD 등 유망품목도 지속 증가하며 수출 증가세를 뒷받침
ㅇ 바이오헬스는 오미크론 확산 등으로 진단키트·의약품 수요가 전세계적으로
급증함에 따라 1월에 이어 20% 성장을 계속하면서 역대 2월 중 1위 기록
* 역대 바이오 수출액(억 달러) : (1위)15.8(‘22.2월) → (2위)12.7(’21.2월) → (3위)7.6(’20.2월)
ㅇ 이차전지·농수산식품은 역대 2월 수출실적 중 1위 기록 경신
* 역대 2월 이차전지 수출액(억 달러) : (1위)6.9(‘22.2월) → (2위)6.3(’21.2월) → (3위)5.7(’20.2월)
* 역대 2월 농식품 수출액(억 달러) : (1위)8.2(‘22.2월) → (2위)6.7(’21.2월) → (3위)6.4(’20.2월)
ㅇ 지난해 연간 수출액 최고치를 경신했던 시스템반도체·전기차·SSD·
OLED 등의 新성장품목은 지난 1월에 이어 높은 성장세 지속
|
||||||||
【 ‘22.2월 新성장품목의 수출액(억달러) 및 증감률(%) 】
|
||||||||
구 분
|
빅3 품목
|
유망 품목
|
||||||
시스템반도체
|
바이오헬스
|
전기차
|
SSD
|
OLED
|
농수산식품
|
|||
수출액
|
36.1
|
15.8
|
7.7
|
13.2
|
13.3
|
8.2
|
||
증감률
|
+33.9%
|
+24.7
|
+95.5%
|
+69.6%
|
+58.1%
|
+21.4%
|
||
|
9대 全지역으로의 수출은 11개월 연속 플러스
ㅇ 우리 핵심 수출시장인 중국·미국・아세안·EU 수출은 모두 증가세를 이어가면서 각각 역대 2월 수출실적 중 1위를 달성
구 분
|
중 국
|
아세안
|
미 국
|
EU
|
일 본
|
중남미
|
인 도
|
중 동
|
CIS
|
수출액(억달러)
|
130.0
|
100.2
|
77.4
|
54.8
|
24.7
|
21.5
|
13.5
|
13.7
|
13.0
|
수출증감률(%)
|
+16.0
|
+38.4
|
+20.9
|
+8.6
|
+12.7
|
+18.1
|
+4.9
|
+30.4
|
+45.6
|
역대 순위
|
2월 中 1위
|
2월 中 1위
|
2월 中 1위
|
2월 中 1위
|
-
|
-
|
2월 中 2위
|
-
|
2월 中 2위
|
- 중국·아세안·미국 등 3대 시장 모두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중국은 12개월 연속 130억 달러, 아세안은 4개월 연속 100억 달러를 달성하면서 견조한 수출 증가세를 견인
ㅇ 우크라이나 사태가 악화되며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나,
對러시아·우크라이나 수출은 2월까지 증가세를 유지하는 중
* 수출증감률(‘22.1월→2월, %) : (러시아)22.1→ 48.8 / (우크라이나)13.6→21.2
◈ (對중국 수출) 반도체·석유화학·무선통신 등 주력 품목이 1월에 이어
20% 이상의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역대 2월 수출실적 중 1위 달성
* 품목별 수출증가율(%, 2.1~25일) : (반도체)+33.9, (석유화학)+27.7, (무선통신기기)+112.0
* 對中 역대 2월 수출액(억 달러) : (1위)130.2(’22.2월) → (2위)112.1(’21.2월) → (3위)111.2(’17.2월)
◈ (對아세안 수출) 아세안 내 산업생산 회복흐름으로 반도체 등의
수출 호조세가 계속되며 4개월 연속 수출 100억 달러 기록
* 품목별 수출증가율(%, 2.1~25일) : (반도체)+38.5, (철강)+11.4, (석유제품)+257.0, (일반기계)+10.7
* 對아세안 역대 2월 수출액(억 달러) : (1위)100.2(‘22.2월) → (2위)77.7(‘20.2월) → (3위)75.9(‘18.2월)
◈ (對미국 수출)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일반기계·철강 수출 호조세와
자동차·석유제품 등의 선전에 힘입어 역대 2월 중 1위 기록
* 품목별 수출 증가율(%, 2.1~25일) : (자동차)+20.1, (가전)+21.9, (일반기계)+17.2, (이차전지)+32.5
* 對美 역대 2월 수출액 : (1위)77.4(‘22.2월) → (2위)64.0(‘21.2월) → (3위)59.3(‘20.2월)
|
3
|
|
수출 총력 대응 강화
|
□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월 수출이 20% 이상 큰 폭으로 증가
하면서 2개월 연속 이어진 무역적자의 고리를 끊고 3개월 만에 흑자 전환을 달성”하였다고 언급함
ㅇ 특히, “2월 흑자 전환은 우크라이나 사태 악화,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으로 우리경제가 어려운 시기에 이루어낸 의미 있는 성과”이며,
ㅇ “우리와 경제구조가 유사한 국가*들이 에너지가격 급등으로 대규모 무역적자를 기록하는 상황에서 우리 제조업의 저력을 보여준 쾌거”라고 강조
* (日) ‘22.1월 에너지 수입증가(원유+85%, LNG+52%, 석탄+167%) → △190억 달러 적자
* (佛) ‘21.11월 에너지 수입증가(원유+63%, 가스+272%, 석탄+84%) → △126억 유로 적자
□ 또한, “수출은 1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는 등 호조세를 이어가며 15대 품목과 9대 시장 모두 고른 증가세”를 보였다며,
ㅇ “반도체, 석유화학 등 우리 산업의 견고한 경쟁력과 수출의 튼튼한 펀더멘탈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함
□ 문 장관은 “우크라이나 사태 등 대외 요인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수출 증가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올해 상반기에 수출지원대책을 집중 추진”하겠다고 밝힘
ㅇ 우선, 對러시아 제재에 따른 기업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물류난 해소, 거래선 전환, 무역금융 등의 지원대책을 신속 추진하는 한편,
- KOTRA·무역협회와 함께 수출입·현지진출 기업애로를 상시접수하고,
전담 지원창구를 통해 애로를 밀착 해소하겠다고 밝힘
ㅇ 아울러, 올해 상반기에 무역보험 100조원, 수출마케팅 1,100억원을
투입해 수출기업 자금난 해소와 해외판로 개척을 지원하는 동시에,
- 물류난이 안정화될 때까지 선복 공급과 물류비 지원을 확대하고,
현지 공동물류센터·항만시설 확충 등에 집중하겠다고 강조
* (선복) 임시선박 月 4척 이상 투입(‘22.1월 9척) 등, (물류비) 특별융자 1,500억원(’22.上) 등
참고
|
|
15대 주요 수출 품목 규모 및 증감률
|
(단위 : 백만 달러, %)
|
|||||||||
순번
|
품목
|
’21.2
|
‘21.12
|
‘22.1
|
‘22.2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
1
|
반도체
|
8,372
|
13.1
|
12,781
|
35.1
|
10,817
|
24.2
|
10,382
|
24.0
|
2
|
석유화학
|
3,840
|
23.7
|
4,779
|
34.5
|
5,025
|
40.2
|
4,790
|
24.7
|
3
|
석유제품
|
2,391
|
△12.2
|
3,867
|
80.2
|
3,531
|
89.3
|
3,972
|
66.2
|
4
|
일반기계
|
3,927
|
△5.7
|
5,024
|
6.1
|
4,600
|
13.9
|
3,961
|
0.9
|
5
|
자동차
|
3,521
|
46.7
|
4,230
|
17.2
|
4,090
|
2.3
|
3,840
|
9.1
|
|
(전기차)
|
392
|
102.5
|
841
|
129.7
|
760
|
53.0
|
767
|
95.5
|
6
|
철 강
|
2,364
|
3.4
|
3,597
|
48.7
|
3,669
|
49.9
|
3,312
|
40.1
|
7
|
디스플레이
|
1,362
|
19.1
|
2,149
|
2.0
|
1,992
|
10.0
|
1,896
|
39.2
|
|
(OLED)
|
841
|
32.9
|
1,534
|
6.2
|
1,412
|
15.7
|
1,329
|
58.1
|
8
|
자동차부품
|
1,803
|
0.1
|
2,121
|
△1.0
|
2,062
|
14.2
|
1,783
|
△1.1
|
9
|
선 박
|
1,498
|
3.6
|
1,420
|
△49.0
|
769
|
△77.9
|
1,735
|
15.8
|
10
|
바이오헬스
|
1,269
|
66.6
|
1,892
|
6.3
|
1,676
|
30.0
|
1,584
|
24.7
|
11
|
컴퓨터
|
1,039
|
△4.1
|
1,609
|
44.7
|
1,438
|
49.4
|
1,501
|
44.5
|
12
|
무선통신기기
|
1,173
|
10.1
|
1,531
|
4.3
|
1,378
|
1.9
|
1,270
|
8.2
|
13
|
섬 유
|
844
|
△24.1
|
1,249
|
12.1
|
1,113
|
22.2
|
972
|
15.3
|
14
|
이차전지
|
625
|
10.0
|
738
|
3.4
|
727
|
15.7
|
690
|
10.3
|
15
|
가 전
|
583
|
10.6
|
763
|
11.6
|
740
|
19.7
|
668
|
14.6
|
전체
|
44,707
|
9.3
|
60,734
|
18.3
|
55,321
|
15.2
|
53,910
|
20.6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관원, 농업인 공익직불제 자동전화 교육 실시_농림축산식품부 (0) | 2022.03.01 |
---|---|
스마트 복합쉼터 추가 조성으로 도로이용 편리해진다_국토교통부 (0) | 2022.03.01 |
올해부터 미래차 전환에 나서는 자동차부품기업을 위한 금융기관 대출상품을 출시하고, 정부가 이자를 지원한다_산업통상자원부 (0) | 2022.03.01 |
환경부, 지역 환경보건 기반구축 위해 환경보건센터 7곳 지정 (0) | 2022.03.01 |
기업부설연구소 연구개발 역량진단 서비스 개시_과학기술정보통신부 (0) | 2022.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