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미래차 전환에 나서는 자동차부품기업을 위한 금융기관 대출상품을 출시하고, 정부가 이자를 지원한다
2022.03.01 산업통상자원부
올해부터 미래차 전환에 나서는 자동차부품기업을 위한
금융기관 대출상품을 출시하고, 정부가 이자를 지원한다
- 친환경차 보급촉진 이차보전사업 공고 및 신청접수(3.2~3.31)
- 올해 1,700억원 규모 자금 대출 및 최대 2%p 이자 지원
□ 산업통상자원부(장관:문승욱)는 올해부터 미래차 전환을 위한 투자에 나서는 자동차부품기업에 대한 전용 대출상품을 시중은행과 협력하여 출시하고, 정부가 대출이자 일부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ㅇ 이를 위해 올해 신규로 추진하는『친환경차 보급촉진 이차보전*』사업을 공고하고, 사업 전담기관인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을 통해 3월 2일부터 3월 31일까지 자금지원 신청을 접수한다.
* 이차보전 : 시중은행의 자금을 활용하여 대출하고, 정부는 이자 일부를 지원하여 기업에 저리로 자금을 공급하는 방식
□ 올해 대출규모는 약 1,700억원 수준으로, 전기차 부품 등 미래차 부품 생산 및 기술확보를 위한 ①설비투자, ②지분인수 등 M&A, ③연구개발자금 등에 대해 지원하며,
ㅇ 한국산업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등 5개 시중은행에서 관련 대출상품을 출시·운용한다.
ㅇ 업체당 최대 200억원 한도로 대출을 실시하며, 정부는 사업계획 심사 등을 통해 미래차 전환 준비가 충실한 기업을 대출심사 대상으로 추천하고, 대출이자를 최대 2%p까지 대출기간(최대 8년) 동안 지원한다.
* 지원금리(한도) : 중소기업 2%p, 중견기업 1.5%p, 그 외 기업 1%p
- 예시) 은행대출금리 3%인 중소기업 A사 경우, 기업은 1% 이자만 부담(정부 2% 부담)
< 자동차부품기업 전용 이차보전 대출 개요 >
‘22년 예상 대출액 : 약 1,700억원 규모 (이자 지원 가능 대출 예상액, 추정치)
지원절차 : (전담기관) 지원신청 접수·심사 → (전담기관) 이차보전대출 추천서 발급 → (신청기업) 금융기관에 대출 신청 → (금융기관) 대출심사·실행 → (정부) 이자 지원
취급금융기관(대출기관) : 한국산업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등 5개 금융기관의 전국 영업점
지원대상 : 친환경차 부품을 제작·조립하는 기업(계획중인 자 포함), 기업활력제고를 위한 특별법에 따라 친환경차 부품 관련 사업재편계획을 승인받은 기업
대출자금 유형(자금용도) : ① 시설자금(친환경차 부품 생산설비 등 시설투자자금), ② M&A자금(친환경차 부품 관련 사업 추진을 위한 합병, 지분인수 등 투자자금), ③ 연구개발자금(친환경차 부품 관련 연구개발에 필요한 자금)
지원방식 : 대출금리 중 일부를 정부가 부담
(기업별 실 부담금리 = 대출금리* - 지원금리(이차보전율))
* 대출금리 : 취급금융기관별로 자체 여신규정 등에 따라 책정하는 금리
지원금리(이차보전율) : 중소기업 2.0%p, 중견기업 1.5%p, 그 외 기업 1.0%p
지원기간(이차보전 지원) : 시설자금·M&A자금은 최대 8년, 연구개발자금 최대 5년
□ 국내 자동차산업은 작년 한해 전기차 등 친환경차의 내수판매·수출이 모두 역대 최고를 기록(5대 중 1대는 친환경차)하고, 친환경차 수출대수는 40만대를 돌파하는 등 친환경차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 중이다.
* 친환경차 판매실적(‘21년) : 내수판매 34.8만대(전체 내수판매 대수의 20.1%, 전년比 54.5% 증가), 수출 40.7만대(전체 승용차 수출대수의 20.7%, 전년比 50.0% 증가)
ㅇ 이에 우리 자동차 부품산업 생태계를 신속히 미래차 중심으로 혁신하여 친환경·자율주행 소재·부품 신시장을 선점하고, 일자리·생산기반을 유지·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는 상황이며,
ㅇ 이번 자동차 부품기업 전용 대출상품 출시로 미래차 부품 아이템을 발굴하고, 생산설비·기술확보 등을 위한 미래차 전환 투자에 나서는 부품기업의 자금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산업부 관계자는 “자동차부품기업 전용 대출상품이 미래차 전환을 위한 부품기업의 선제적 대응 투자를 촉진하는데 마중물 역할을 하길 기대” 하며,
ㅇ “앞으로도 지원예산 및 정책수단을 지속적으로 확충하여 자동차산업 생태계의 공정한 전환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이번 사업공고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산업부(www.motie.go.kr) 및 한국산업기술진흥원(www.kiat.or.kr)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첨부파일
0301(2일 조간)자동차과, 올해부터 미래차 전환에 나서는 자동차부품기업을 위한 금융기관 대출상품을 출시하고, 정부가 이자를 지원한다.hwp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 복합쉼터 추가 조성으로 도로이용 편리해진다_국토교통부 (0) | 2022.03.01 |
---|---|
2022년 2월 수출입 동향_산업통상자원부 (1) | 2022.03.01 |
환경부, 지역 환경보건 기반구축 위해 환경보건센터 7곳 지정 (0) | 2022.03.01 |
기업부설연구소 연구개발 역량진단 서비스 개시_과학기술정보통신부 (0) | 2022.03.01 |
다함께돌봄센터 아침·저녁(7~9시) 운영 연장 실시(아침·저녁 틈새 돌봄 제공을 위한 시범사업 실시)_보건복지부 (0) | 2022.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