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시도의 일.생활 균형 수준은?
2021.12.30 고용노동부
우리 시도의 일·생활 균형 수준은?
◈ 2020년 기준 지역별 일·생활 균형 지수 발표
|
□ 고용노동부(장관 안경덕)는 전국 17개 시도별 일과 생활의 균형 정도를 보여주는 ‘2020년 기준 지역별 일·생활 균형 지수’를 발표했다.
○ 일·생활 균형 지수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위탁하여 일, 생활, 제도 및 지자체 관심도 등 4개 영역, 24개 지표에 대해 실태조사 등을 통해 산출한 점수*로 2017년부터 매년 발표하고 있다.
* 지표별 최대 도달할 수 있는 정도를 기준값으로 설정하고 해당 연도별 도달한 정도를 점수화함
○ 이번에 산출한 일·생활 균형 지수는 2020년도 기준 실태조사 등의 자료를 토대로 전문가의 조사·자문·검증, 지자체 자료 수집 등을 거쳐 산출하였다.
< 일·생활 균형지수 산출 세부지표 >
영역(배점)
|
세부 지표(24개 지표)
|
일
(22.1점)
|
①총 근로시간, ②초과 근로시간, ③휴가기간, ④유연근무제 도입률, ⑤유연근무제 이용률
|
생활
(30.1점)
|
①남성 가사노동시간 비중, ②여성취업에 대한 견해, ③가사분담에 대한 견해,
④일과 가족생활 우선도, ⑤평일 여가시간, ⑥평일 여가시간 충분도, ⑦일‧여가생활 균형 정도
|
제도
(25.0점)
|
①여성육아휴직 사용 사업장, ②남성 육아휴직 사용 사업장, ③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사용 사업장, ④배우자 출산휴가 사용 사업장,
⑤국‧공립 보육시설 설치율, ⑥초등돌봄교실 이용률, ⑦일‧가정 양립제도 인지도
|
지자체 관심도
(22.8점)
|
①일‧생활 균형 조례 유무, ②일‧생활 균형 제도 홍보, ③담당조직 유무
④일‧생활 균형 관련 교육‧컨설팅, ⑤가족문화 관련시설 현황
|
□ 2020년 기준 일·생활 균형 지수는 전국 평균 53.4점으로 2019년 평균 50.5점보다 2.9점이 증가하였고, 17개 시도 중 12개 지역에서 점수가 상승하는 등 일·생활 균형 수준이 지난해보다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전국 광역시도별 일·생활 균형 수준을 살펴보면,
○ 전반적인 일·생활 균형 수준은 서울(62.0점), 부산(61.2점), 제주(57.6점), 전남(57.4점), 세종(55.9점)이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 영역별 일·생활 균형 수준을 살펴보면,
○ “일 영역”에서는 총근로시간(182.8시간→163.4시간) 및 초과근로시간이 감소(12.2시간→10.0시간)하는 등 일에 대한 비중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주 52시간 근무제도 및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재택근무 등 유연근무 제도의 확산*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 유연근무 제도 도입률(19.8%→27.1%)과 이용률(11.6%→14.2%)이 모두 증가
○ “생활 영역”에서는 ‘가사 일을 남녀가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는 견해 비율이 상승(58.7%→62.1%)하였고, 평일 여가 시간 및 일·여가생활의 균형 정도가 크게 개선되는 등 가사노동 분담에 대한 인식과 일·생활 균형 문화가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제도 영역”에서는 여성 및 남성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배우자 출산휴가, 국공립보육시설 설치율 등이 모두 증가하는 등 일·생활 균형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되고 있음을 나타냈다.
○ “지자체 관심도 영역”에서는 일·생활 균형 조례 제정, 전담 부서 및 인원 확충, 관련 시설 및 교육·컨설팅의 지표 점수가 증가하는 등 지자체의 노력이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영역별 순위를 살펴보면, “일 영역”은 울산(15.8), 부산(15.5), 서울(15.4), “생활 영역”은 제주(20.2), 부산(17.3), 울산(17.1), ”제도 영역“은 서울(20.8), 세종(20.7), 울산(17.1), ”지자체 관심도“ 영역은 경기(13.0), 부산(12.7), 전남(11.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2020년 기준 시도별 일·생활 균형지수 >
순위
|
지역
|
계
(100점)
|
일
(22.1점)
|
생활
(30.1점)
|
제도
(25.0점)
|
지자체 관심도
(22.8점)
|
|
전국 평균
|
53.4
|
13.7
|
15.9
|
15.7
|
8.0
|
||
|
시
|
54.5
|
14.4
|
16.0
|
16.6
|
7.5
|
|
도
|
52.5
|
13.2
|
15.9
|
14.9
|
8.5
|
||
1
|
서울
|
62.0
|
15.4
|
15.5
|
20.8
|
10.2
|
|
2
|
부산
|
61.2
|
15.5
|
17.3
|
15.7
|
12.7
|
|
3
|
제주
|
57.6
|
14.8
|
20.2
|
16.0
|
6.6
|
|
4
|
전남
|
57.4
|
14.6
|
15.2
|
15.6
|
11.8
|
|
5
|
세종
|
55.9
|
13.4
|
15.3
|
20.7
|
6.5
|
|
6
|
경기
|
55.5
|
13.4
|
14.9
|
14.2
|
13.0
|
|
7
|
울산
|
55.4
|
15.8
|
17.1
|
17.1
|
5.4
|
|
8
|
충남
|
54.4
|
13.4
|
15.4
|
16.5
|
9.1
|
|
9
|
경남
|
52.6
|
12.7
|
16.3
|
15.1
|
8.4
|
|
10
|
대전
|
51.9
|
14.5
|
15.8
|
15.0
|
6.6
|
|
11
|
충북
|
51.7
|
12.5
|
15.3
|
15.6
|
8.3
|
|
12
|
대구
|
51.4
|
13.6
|
15.1
|
14.7
|
8.0
|
|
13
|
인천
|
49.7
|
13.6
|
15.5
|
15.0
|
5.6
|
|
14
|
광주
|
48.5
|
13.1
|
16.1
|
14.0
|
5.3
|
|
15
|
전북
|
48.0
|
11.7
|
16.1
|
12.7
|
7.4
|
|
16
|
경북
|
47.9
|
12.2
|
14.7
|
14.6
|
6.4
|
|
17
|
강원
|
47.0
|
13.0
|
15.3
|
13.5
|
5.2
|
* 소숫점 둘째자리 반올림
□ 한편, 2019년 지수와 비교하여 향상된 정도를 살펴볼 때, 울산(10단계 상승)이 가장 크게 개선되었고, 뒤를 이어 충남(7단계 상승), 경남(5단계 상승) 순으로 상승폭이 컸다.
□ 민길수 고용지원정책관은 “사회적 관심, 지자체의 노력 등에 힘입어 일·생활 균형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있는 점은 상당히 의미가 있다.”라고 하면서,
○ “최근 코로나19 상황이 아직도 심각한 점을 고려하면 재택근무 등 새로운 근무방식의 확산이 감염을 예방하는 동시에 일·생활 균형 문화를 확산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참고 1
|
|
지역별 일·생활 균형 지수 자료
|
□ 전년대비 현황(2019년-2020년)
지역
|
2019년
|
2020년
|
||||||||
총점
|
일
|
생활
|
제도
|
관심도
|
총점
|
일
|
생활
|
제도
|
관심도
|
|
전국평균
|
50.5
|
12.0
|
15.6
|
13.4
|
9.5
|
53.4
|
13.7
|
15.9
|
15.7
|
8.0
|
시 평균
|
51.6
|
12.0
|
15.7
|
14.5
|
9.4
|
54.5
|
14.4
|
16.0
|
16.6
|
7.5
|
서울
|
58.8
|
13.4
|
15.8
|
19.9
|
9.7
|
62.0
|
15.4
|
15.5
|
20.8
|
10.2
|
부산
|
56.2
|
11.0
|
17.5
|
13.2
|
14.4
|
61.2
|
15.5
|
17.3
|
15.7
|
12.7
|
대구
|
48.5
|
11.6
|
15.6
|
11.5
|
9.8
|
51.4
|
13.6
|
15.1
|
14.7
|
8.0
|
인천
|
50.4
|
12.1
|
15.4
|
13.4
|
9.5
|
49.7
|
13.6
|
15.5
|
15.0
|
5.6
|
광주
|
51.0
|
12.5
|
15.8
|
11.5
|
11.2
|
48.5
|
13.1
|
16.1
|
14.0
|
5.3
|
대전
|
53.7
|
15.5
|
15.9
|
15.2
|
7.2
|
51.9
|
14.5
|
15.8
|
15.0
|
6.6
|
울산
|
43.3
|
9.8
|
14.9
|
12.6
|
6.1
|
55.4
|
15.8
|
17.1
|
17.1
|
5.4
|
세종
|
50.7
|
10.1
|
15.1
|
18.5
|
7.0
|
55.9
|
13.4
|
15.3
|
20.7
|
6.5
|
도 평균
|
49.6
|
12.0
|
15.6
|
12.5
|
9.6
|
52.5
|
13.2
|
15.9
|
14.9
|
8.5
|
경기
|
50.5
|
11.9
|
14.6
|
12.6
|
11.4
|
55.5
|
13.4
|
14.9
|
14.2
|
13.0
|
강원
|
48.4
|
15.2
|
14.5
|
11.1
|
7.6
|
47.0
|
13.0
|
15.3
|
13.5
|
5.2
|
충북
|
52.3
|
10.2
|
15.9
|
14.1
|
12.2
|
51.7
|
12.5
|
15.3
|
15.6
|
8.3
|
충남
|
46.0
|
10.3
|
14.8
|
13.2
|
7.7
|
54.4
|
13.4
|
15.4
|
16.5
|
9.1
|
전북
|
47.4
|
12.0
|
15.4
|
10.5
|
9.4
|
48.0
|
11.7
|
16.1
|
12.7
|
7.4
|
전남
|
55.2
|
14.2
|
15.4
|
12.4
|
13.3
|
57.4
|
14.6
|
15.2
|
15.6
|
11.8
|
경북
|
43.8
|
10.2
|
14.7
|
11.4
|
7.6
|
47.9
|
12.2
|
14.7
|
14.6
|
6.4
|
경남
|
46.2
|
10.5
|
16.6
|
12.9
|
6.3
|
52.6
|
12.7
|
16.3
|
15.1
|
8.4
|
제주
|
56.7
|
13.7
|
18.3
|
14.0
|
10.6
|
57.6
|
14.8
|
20.2
|
16.0
|
6.6
|
□ 전년대비 순위변화(2019년-2020년)
지역
|
2019
|
2020
|
점수변화
|
순위변화
|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
서울
|
58.8
|
1
|
62.0
|
1
|
3.2
|
-
|
0
|
부산
|
56.2
|
3
|
61.2
|
2
|
5.0
|
↑
|
1
|
대구
|
48.5
|
11
|
51.4
|
12
|
2.9
|
↓
|
1
|
인천
|
50.4
|
10
|
49.7
|
13
|
-0.7
|
↓
|
3
|
광주
|
51.0
|
7
|
48.5
|
14
|
-2.5
|
↓
|
7
|
대전
|
53.7
|
5
|
51.9
|
10
|
-1.8
|
↓
|
5
|
울산
|
43.3
|
17
|
55.4
|
7
|
12.1
|
↑
|
10
|
세종
|
50.7
|
8
|
55.9
|
5
|
5.2
|
↑
|
3
|
경기
|
50.5
|
9
|
55.5
|
6
|
5.0
|
↑
|
3
|
강원
|
48.4
|
12
|
47.0
|
17
|
-1.4
|
↓
|
5
|
충북
|
52.3
|
6
|
51.7
|
11
|
-0.6
|
↓
|
5
|
충남
|
46.0
|
15
|
54.4
|
8
|
8.4
|
↑
|
7
|
전북
|
47.4
|
13
|
48.0
|
15
|
0.6
|
↓
|
2
|
전남
|
55.2
|
4
|
57.4
|
4
|
2.2
|
-
|
0
|
경북
|
43.8
|
16
|
47.9
|
16
|
4.1
|
-
|
0
|
경남
|
46.2
|
14
|
52.6
|
9
|
6.4
|
↑
|
5
|
제주
|
56.7
|
2
|
57.6
|
3
|
0.9
|
↓
|
1
|
참고 2
|
|
일·생활 균형 지역별 지수 산출 기준표
|
영역
|
지표명
|
자료원
|
기준값
|
비고
|
|
일
(5개)
|
총근로시간
|
시도별 임금 및 근로시간보고서
(세종, 충남 통합)
|
150시간
|
1,800시간/12개월
|
|
초과근로 시간
|
시도별 임금 및 근로시간보고서
(세종, 충남 통합)
|
2.0시간
|
2023년 추정값
|
||
휴가기간(1년간 사용한 휴가기간)
|
국민여가활동조사
|
15일
|
2017년 근로자 평균연차
휴가부여일수(15.1일)
|
||
유연근무제도 도입률
|
일가정양립실태조사 (세종, 충남 통합)
|
36.4%
|
일가정양립실태조사
2018년 최대값의 15% 가산
|
||
유연근무제도 이용률
|
일가정양립실태조사 (세종, 충남 통합)
|
21.6%
|
일가정양립실태조사
2018년 최대값의 15% 가산
|
||
생활
(7)
|
가족
(4개)
|
남성 가사노동시간 비중
|
생활시간조사(공표주기 5년)
|
0.5
|
남성 가사노동시간
/전체 가사노동시간
|
여성취업에 대한 견해
|
사회조사(홀수해)
|
81.2%
|
2023년 추정값
|
||
가사분담에 대한 견해
|
사회조사(짝수해)
|
74.1%
|
2023년 추정값
|
||
일과 가족생활 우선도
|
사회조사(홀수해)
|
12.5%
|
2023년 추정값
|
||
여가
(3개)
|
여가시간(평일)
|
국민여가활동조사
|
5.69시간
|
2023년 추정값
|
|
여가시간 충분도(평일)
|
국민여가활동조사
|
100점
|
7점 만점 기준
|
||
일・여가생활 균형 정도
|
국민여가활동조사
|
10.0%
|
2023년 추정값
|
||
제도
(7개)
|
여성 육아휴직 이용(시행기업)
|
고용보험DB
|
2.60%
|
2023년 추정값
|
|
남성 육아휴직 이용(시행기업)
|
고용보험DB
|
0.59%
|
2023년 추정값
|
||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이용(시행기업)
|
고용보험DB
|
0.37%
|
2023년 추정값
|
||
배우자 출산휴가 이용(시행기업)
|
일가정양립실태조사 (세종, 충남 통합)
|
9.4%
|
일가정양립실태조사
2018년 최대값의 15% 가산
|
||
국공립보육시설 설치비율
|
보육통계
|
25.6%
|
2023년 추정값
|
||
초등돌봄교실 이용률
|
학교알리미
|
24.9%
|
2023년 추정값
|
||
일・가정양립 제도 인지도
|
일가정양립실태조사 (세종, 충남 통합)
|
81.6점
|
2023년 추정값
|
||
지자체
관심도
(5개)
|
일・생활 균형 조례 유무
|
자치법규 정보시스템
|
1.0점
|
조례 제정, 근로자(시민) 및
기업지원 명시 만점(1점)
|
|
지자체의 일・생활 균형 제도 홍보
|
일가정양립실태조사 (세종, 충남 통합)
|
19.9점
|
일가정양립실태조사
2018년 최대값의 15% 가산
|
||
담당조직 유무
|
시도 홈페이지(조직도) 및 관련 자료
|
1.1점
|
담당조직 형태 만점(1점)+
관련 조직 5개
|
||
일・생활 균형 관련 교육ㆍ컨설팅
|
일가정양립실태조사 (세종, 충남 통합)
|
13.8%
|
일가정양립실태조사
2018년 최대값의 15% 가산
|
||
지역사회 가족문화관련 시설 현황
|
문화체육관광부 등록공연장 현황 등
|
28.06개
(인구 천 명당)
|
2023년 추정값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상공인 방역지원금 지급 시작…이렇게 신청하세요! 중소벤처기업부 (0) | 2021.12.31 |
---|---|
2022년 산업통상자원부 업무보고 「함께 극복·도약하는 산업강국」 실현 (0) | 2021.12.31 |
22년 1월 한국판 뉴딜 주요사업 추진계획_기획재정부 (0) | 2021.12.31 |
소상공인 방역지원금 첫날 약 29만명에 100만원씩 지급_중소벤처기업부 (0) | 2021.12.30 |
2021 방송통신광고비 조사 결과 발표_과학기술정보통신부 (1) | 2021.12.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