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어류양식동향조사 결과(잠정) 보도자료
2025.03.21 통계청


2024년 어류양식동향조사 결과(잠정) (요약)
|
◾ 2024년 어류양식 생산량은 감성돔, 가자미류, 방어류 등의 출하량이 늘어 전년 대비 2.6% 증가하였고, 산지가격 상승 등으로 생산금액은 8.0% 증가
- 반면, 여름철 고수온과 질병 피해로 인한 경영 악화로 어류양식 경영체 수는 전년보다 감소하였고 입식 ․ 양식 마릿수, 양식 면적, 사료량 등 전반적으로 감소
|
|
○(생산량) 81,911톤으로 전년 79,810톤 대비 약 2,101톤(2.6%) 증가
- 6, 7월 초(2~3분기) 감성돔, 가자미류, 방어류, 농어류 등의 출하량 증가 영향
○(생산금액) 1조 2,112억원으로 전년 1조 1,219억원 대비 893억원(8.0%) 증가
- 주요 어종(넙치류, 조피볼락 등)의 대규모 폐사로 인한 출하 물량 부족으로 산지 가격 인상
○(경영체 수) 1,446개로 전년의 1,451개 대비 5개(-0.3%) 감소
- 소규모 양식 어가의 경영 악화에 따른 휴·폐업 증가로 매년 감소 추세
* ‘20(1,601개) → ’21(1,538개) → ‘22(1,463개) → ’23(1,451개) → ‘24(1,446개)
○(종사자 수) 5,354명으로 전년 5,328명 대비 26명(0.5%) 증가
- 지속적인 외국인 근로자 유입과 양식장 관리인력 수요 증가가 주요 원인
○(입식마릿수) 267백만 마리로 전년 313백만 마리 대비 46백만 마리(-14.6%) 감소
○(양식마릿수) 338백만 마리로 전년 477백만 마리 대비 139백만 마리(-29.1%) 감소
- 주요 어종(조피볼락, 넙치류 등)의 고수온 및 질병 피해로 대규모 폐사 영향
○(양식면적) 351만m2로 전년 352만m2 대비 1만m2(-0.2%) 감소
○(먹이를 준 양) 536천 톤으로 전년 548천 톤 대비 약 12천 톤(-2.3%) 감소
- 대규모 폐사로 인한 주요 어종(조피볼락, 넙치류 등)의 양식량 감소로 사료량 동반 감소
|
|
< 생산량 및 생산금액 변화 >
|
< 입식 및 양식 마릿수 변화 >
|
|
|
2024년 어류양식동향조사 결과(잠정)
|
1. 생산 현황
가. 생산량
◾ 어류양식 생산량은 81,911톤으로
전년 79,810톤 대비 2,101톤(2.6%) 증가
|
○ 어류양식 생산량은 6, 7월 초(2~3분기) 감성돔, 가자미류, 방어류, 농어류 등의 출하량 증가로 전년보다 2.6% 증가
* 감성돔(623톤), 가자미류(468톤), 방어류(461톤), 농어류(138톤), 돌돔(137톤) 등
< ‘24년 분기별 생산량 추이 >
‧
|
1분기
|
21.5천톤
|
-0.2천톤
|
|
-0.7%
|
/
|
2분기
|
21.1천톤
|
1.3천톤
|
|
6.3%
|
‧
|
3분기
|
18.3천톤
|
1.2천톤
|
|
6.7%
|
/
|
4분기
|
21.0천톤
|
-0.2천톤
|
|
-0.7%
|
< 주요 어종별 생산량 >
(단위: 톤, %)
구분
|
2023년
|
2024p)년
|
전년 대비
|
|||
증감
(C=B-A)
|
증감률
(C/A)
|
|||||
(A)
|
비중
|
(B)
|
비중
|
|||
합계
|
79,810
|
100.0
|
81,911
|
100.0
|
2,101
|
2.6
|
넙치류
|
40,089
|
50.2
|
40,125
|
49.0
|
36
|
0.1
|
조피볼락
|
14,418
|
18.1
|
14,463
|
17.7
|
45
|
0.3
|
가자미류
|
7,730
|
9.7
|
8,198
|
10.0
|
468
|
6.1
|
숭어류
|
6,642
|
8.3
|
6,659
|
8.1
|
17
|
0.3
|
참돔
|
6,283
|
7.9
|
6,474
|
7.9
|
191
|
3.0
|
기 타 어 종1)
|
4,648
|
5.8
|
5,992
|
7.3
|
1,344
|
28.9
|
주1) 기타어종 : 고등어, 기타돔류, 부세, 송어류, 연어류, 전어, 참조기, 참다랑어, 방어류, 복어류, 전갱이류 등
|
나. 생산금액
◾ 어류양식 생산금액은 1조 2,112억원으로
전년 1조 1,219억원 대비 893억원(8.0%) 증가
|
○ 주요 어종(넙치류, 조피볼락 등)의 산지 가격 인상으로 생산금액은 전년보다8.0% 증가
|
<주요 어종별 kg당 평균 산지 가격*>
|
|
||||||||
|
|
|||||||||
넙치류
|
:
|
(’23)
|
16,187원
|
→
|
(’24)
|
17,052원
|
(865원
|
5.3%)
|
||
조피볼락
|
:
|
(’23)
|
10,143원
|
→
|
(’24)
|
10,881원
|
(738원
|
7.3%)
|
||
숭어류
|
:
|
(’23)
|
11,215원
|
→
|
(’24)
|
11,324원
|
(109원
|
1.0%)
|
||
가자미류
|
:
|
(’23)
|
11,460원
|
→
|
(’24)
|
11,644원
|
(184원
|
1.6%)
|
||
참돔
|
:
|
(’23)
|
13,146원
|
→
|
(’24)
|
13,819원
|
(673원
|
5.1%)
|
||
|
|
|
|
|
|
|
|
*산지 가격: 해면양식으로 생산한 물량을 생산금액으로 나눈 kg당 단순평균 가격임
< 주요 어종별 생산금액 >
(단위: 억원, %)
구분
|
2023년
|
2024p)년
|
전년 대비
|
|||
증감
(C=B-A)
|
증감률
(C/A)
|
|||||
(A)
|
비중
|
(B)
|
비중
|
|||
합계
|
11,219
|
100.0
|
12,112
|
100.0
|
893
|
8.0
|
넙치류
|
6,489
|
57.8
|
6,842
|
56.5
|
353
|
5.4
|
조피볼락
|
1,463
|
13.0
|
1,574
|
13.0
|
111
|
7.6
|
가자미류
|
886
|
7.9
|
955
|
7.9
|
69
|
7.8
|
참돔
|
826
|
7.4
|
895
|
7.4
|
69
|
8.3
|
숭어류
|
745
|
6.7
|
754
|
6.2
|
9
|
1.2
|
기 타 어 종1)
|
810
|
7.2
|
1,093
|
9.0
|
283
|
34.8
|
주1) 기타어종 : 고등어, 기타돔류, 부세, 송어류, 연어류, 전어, 참조기, 참다랑어, 방어류, 복어류, 전갱이류 등
|
2. 경영체 수
◾ 어류양식 경영체 수는 1,446개로
전년 1,451개 대비 5개(-0.3%) 감소
|
○ 고수온 및 질병 피해로 인한 소규모 양식 어가의 경영 환경 악화로 휴·폐업 등이 늘어나 어류양식 경영체 수는 전년보다 0.3% 감소
- 전남(여수 등) 해상가두리, 제주의 육상수조식 경영체 감소가 원인
- 반면, 전북(고창), 전남(무안, 신안)의 축제식 경영체는 소폭 증가
< 양식방법별 경영체 >
(단위: 개, %)
구분
|
2023년
|
2024p)년
|
전년 대비
|
|||
증감
(C=B-A)
|
증감률
(C/A)
|
|||||
(A)
|
비중
|
(B)
|
비중
|
|||
합계
|
1,451
|
100.0
|
1,446
|
100.0
|
-5
|
-0.3
|
해상가두리
|
861
|
59.3
|
858
|
59.3
|
-3
|
-0.3
|
육상수조식
|
547
|
37.7
|
542
|
37.5
|
-5
|
-0.9
|
축제식
|
32
|
2.2
|
35
|
2.4
|
3
|
9.4
|
병 행1)
|
11
|
0.8
|
11
|
0.8
|
0
|
0.0
|
주1) 병행: 해상가두리+육상수조식, 해상가두리+축제식, 육상수조식+축제식, 해상가두리+육상수조식+축제식
|
3. 종사자 수
◾ 어류양식 종사자 수는 5,354명으로
전년 5,328명 대비 26명(0.5%) 증가
|
○ 지속적인 외국인 근로자 국내 유입과 그물갈이 등 양식장 관리 인력 수요가 늘어나 상용종사자 수의 증가로 전년보다 소폭 증가
- 제주(서귀포)의 육상수조식 양식장 관리 인력은 1.2% 증가
- 반면, 전남(여수 등) 소규모 경영체의 휴․폐업으로 경영주, 무급가족종사자는 소폭 감소
-
|
종사자수:
|
(‘23)
|
5,328명
|
→
|
(‘24)
|
5,354명
|
(26명, 0.5%)
|
‧
|
경 영 주:
|
(‘23)
|
1,451명
|
→
|
(‘24)
|
1,446명
|
(-5명, -0.3%)
|
‧
|
무급가족종사자:
|
(‘23)
|
736명
|
→
|
(‘24)
|
730명
|
(-6명, -0.8%)
|
‧
|
상용종사자:
|
(‘23)
|
3,141명
|
→
|
(‘24)
|
3,178명
|
(37명, 1.2%)
|
< 지위별 종사자 >
(단위: 명, %)
구분
|
2023년
|
2024p)년
|
전년 대비
|
|||
증감
(C=B-A)
|
증감률
(C/A)
|
|||||
(A)
|
비중
|
(B)
|
비중
|
|||
합계
|
5,328
|
100.0
|
5,354
|
100.0
|
26
|
0.5
|
경영주
|
1,451
|
27.2
|
1,446
|
27.0
|
-5
|
-0.3
|
무급가족종사자
|
736
|
13.8
|
730
|
13.6
|
-6
|
-0.8
|
상용종사자
|
3,141
|
59.0
|
3,178
|
59.4
|
37
|
1.2
|
|
4. 입식 마릿수
◾ 어류양식 입식 마릿수는 2억 67백만 마리로
전년 3억 13백만 마리 대비 약 46백만(-14.6%) 감소
|
○ 고수온과 질병 피해로 경영 환경이 악화되어 입식 유보 및 소규모 양식 경영체의 휴․폐업 증가로 입식 마릿수는 전년보다 14.6% 감소
- 어종별 경영체 수 비중이 높은 조피볼락의 경영체 수 감소와 함께 넙치, 가자미류 등 주요 어종의 전반적인 입식 유보 현상이 두드러져 입식 마릿수 감소
- 반면, 기타 어종의 입식 마릿수는 경남 지역의 증가 폭이 커 전체적으로 17.3% 증가
* 경남 기타 어종 경영체 수 : ’23(408개) → ‘24(447개) / (39개, 9.5%)
< 주요 어종별 입식 마릿수 >
(단위: 백만 마리, %)
구분
|
2023년
|
2024p)년
|
전년 대비
|
|||
증감
(C=B-A)
|
증감률
(C/A)
|
|||||
(A)
|
비중
|
(B)
|
비중
|
|||
합계
|
312.5
|
100.0
|
267.0
|
100.0
|
-45.5
|
-14.6
|
넙치류
|
91.3
|
29.2
|
80.3
|
30.1
|
-11.0
|
-12.0
|
조피볼락
|
93.5
|
30.0
|
68.1
|
25.5
|
-25.4
|
-27.2
|
가자미류
|
44.4
|
14.2
|
39.3
|
15.0
|
-5.0
|
-11.4
|
숭어류
|
28.3
|
9.0
|
24.1
|
9.0
|
-4.1
|
-14.6
|
참 돔
|
22.2
|
7.1
|
16.6
|
6.0
|
-5.6
|
-25.1
|
기 타 어 종1)
|
32.8
|
10.5
|
38.4
|
14.4
|
5.7
|
17.3
|
주1) 기타어종 : 고등어, 기타돔류, 부세, 송어류, 연어류, 전어, 참조기, 참다랑어, 방어류, 복어류, 전갱이류 등
|
5. 양식 마릿수
◾ 어류양식 양식 마릿수는 3억 38백만 마리로
전년 4억 77백만 마리 대비 약 139백만(-29.1%) 감소
|
○ 고수온 및 질병 피해로 인한 주요 양식 어종의 대규모 폐사로 양식 마릿수는 전년보다 29.1% 감소
- 어류양식의 비중이 높은 조피볼락의 대폭 감소(-48.5%)가 주된 원인
< 주요 어종별 양식 마릿수 >
(단위: 백만 마리, %)
구분
|
2023년
|
2024p)년
|
전년 대비
|
|||
증감
(C=B-A)
|
증감률
(C/A)
|
|||||
(A)
|
비중
|
(B)
|
비중
|
|||
합계
|
476.9
|
100.0
|
338.1
|
100.0
|
-138.8
|
-29.1
|
조피볼락
|
241.7
|
50.7
|
124.5
|
36.8
|
-117.2
|
-48.5
|
넙치류
|
62.9
|
13.2
|
55.8
|
16.5
|
-7.1
|
-11.2
|
참돔
|
44.5
|
9.3
|
45.0
|
13.3
|
0.5
|
1.1
|
숭어류
|
42.5
|
8.9
|
39.8
|
11.8
|
-2.7
|
-6.3
|
가자미류
|
35.3
|
7.4
|
31.6
|
9.3
|
-3.7
|
-10.5
|
기 타 어 종1)
|
50.0
|
10.5
|
41.4
|
12.3
|
-8.6
|
-17.2
|
주1) 기타어종 : 고등어, 기타돔류, 부세, 송어류, 연어류, 전어, 참조기, 참다랑어, 방어류, 복어류, 전갱이류 등
|
6. 양식 면적
◾ 어류양식 면적은 351만m2로
전년 352만m2 대비 1만m2(-0.2%) 감소
|
○ 고수온 및 질병 피해로 해상 및 육상수조식 주요 양식 어종인 조피볼락, 넙치류 등이 대규모 폐사하여 양식 면적이 소폭 감소
- 경남, 충남의 해상가두리 주요 어종(조피볼락, 돔류 등) 및 제주, 전남의 육상수조식 주요 어종(넙치류, 가자미류 등)의 대규모 폐사 영향
- 반면, 전남지역(무안, 신안) 축제식 주요 어종(숭어류 등)은 양식량이 늘어 면적 증가
< 양식 방법별 양식 시설면적 >
(단위: 만m2, %)
구분
|
2023년
|
2024p)년
|
전년 대비
|
|||
증감
(C=B-A)
|
증감률
(C/A)
|
|||||
(A)
|
비중
|
(B)
|
비중
|
|||
합계
|
351.6
|
100.0
|
350.8
|
100.0
|
-0.8
|
-0.2
|
해상가두리
|
95.5
|
27.1
|
83.3
|
23.8
|
-12.2
|
-12.8
|
육상수조식
|
238.3
|
67.8
|
231.0
|
65.8
|
-7.3
|
-3.1
|
축제식
|
17.8
|
5.1
|
36.5
|
10.4
|
18.7
|
104.8
|
|
7. 먹이를 준 양
◾ 어류양식 먹이를 준 양은 536천 톤으로
전년 548천 톤 대비 약 12천 톤(-2.3%) 감소
|
○ 고수온 및 질병 피해로 인한 양식 마릿수가 감소하여 양식 어종의 주된 먹이인 생사료는 2.9% 줄어든 반면, 정부가 장려하는 배합사료는 소폭 증가
-
|
먹이를준양:
|
(‘23)
|
547.9천톤
|
→
|
(‘24)
|
535.5천톤
|
(-12.4천톤, -2.3%)
|
‧
|
생 사 료:
|
(‘23)
|
463.0천톤
|
→
|
(‘24)
|
449.5천톤
|
(-13.5천톤, -2.9%)
|
‧
|
배 합 사 료:
|
(‘23)
|
84.8천톤
|
→
|
(‘24)
|
85.9천톤
|
(1.1천톤, 1.3%)
|
<주요 어종별 먹이를 준 양>
(단위 : 천톤, %)
구분
|
2023년
(A)
|
2024p)년
(B)
|
전년 대비
|
|||
증감
(C=B-A)
|
증감률
(C/A)
|
|||||
합계
|
547.9
|
535.5
|
-12.4
|
-2.3
|
||
종류별
|
생사료
|
463.0
|
449.5
|
-13.5
|
-2.9
|
|
|
(비중)
|
(84.5)
|
(84.0)
|
|||
배합사료
|
84.8
|
85.9
|
1.1
|
1.3
|
||
|
(비중)
|
(15.5)
|
(16.0)
|
|||
어종별
|
넙치류
|
267.0
|
281.7
|
14.8
|
5.5
|
|
조피볼락
|
127.2
|
89.7
|
-37.5
|
-29.5
|
||
참돔
|
66.3
|
73.2
|
6.9
|
10.4
|
||
숭어류
|
24.7
|
24.0
|
-0.7
|
-2.8
|
||
가자미류
|
18.1
|
17.8
|
-0.3
|
-1.7
|
||
기 타 어 종1)
|
44.6
|
49.1
|
4.5
|
10.1
|
주1) 기타어종 : 고등어, 기타돔류, 부세, 송어류, 연어류, 전어, 참조기, 참다랑어, 방어류, 복어류, 전갱이류 등
|
|
8. 지역별 어류양식 현황
가. 생산량
○ 시도별 생산량은 전남 27.5천톤(33.6%), 제주 25.0천톤(30.5%), 경남 22.6천톤(27.6%) 순
- 전남, 경남의 주요 양식 어종인 감성돔, 가자미류, 방어류 등의 생산량 증가
- 반면, 제주, 경북, 충남, 기타 지역의 주요 양식 어종(넙치류, 조피볼락, 가자미류, 돔류 등)은 6~7월 초 대규모 폐사로 생산량 감소
< 시·도, 주요 어종별 생산량 >
(단위: 천톤, %)
구분
|
2023년
|
2024p)년
|
전년 대비
|
|||||||||||||
합계
(A)
|
넙치류
|
조피볼락
|
참돔
|
가자미류
|
숭어류
|
기타
어종
|
합계
(B)
|
넙치류
|
조피볼락
|
참돔
|
가자미류
|
숭어류
|
기타
어종
|
증감
(C=B-A)
|
증감률
(C/A)
|
|
합계
|
79.8
|
40.1
|
14.4
|
6.3
|
7.7
|
6.6
|
4.7
|
81.9
|
40.1
|
14.5
|
6.5
|
8.2
|
6.7
|
6.0
|
2.1
|
2.6
|
전남
|
24.7
|
16.8
|
4.6
|
1.1
|
0.2
|
1.0
|
0.9
|
27.5
|
18.1
|
5.4
|
1.4
|
0.4
|
0.8
|
1.3
|
2.8
|
11.4
|
제주
|
25.5
|
21.1
|
0.0
|
-
|
4.2
|
-
|
0.3
|
25.0
|
19.9
|
0.0
|
-
|
4.7
|
-
|
0.3
|
-0.6
|
-2.1
|
경남
|
21.3
|
1.6
|
7.0
|
5.1
|
0.1
|
4.9
|
2.7
|
22.6
|
1.7
|
7.1
|
4.9
|
0.1
|
5.2
|
3.6
|
1.2
|
5.8
|
경북
|
4.2
|
0.4
|
0.3
|
0.1
|
2.8
|
-
|
0.5
|
3.7
|
0.2
|
0.2
|
1.0
|
2.7
|
-
|
0.5
|
-0.4
|
-10.6
|
충남
|
3.0
|
-
|
2.5
|
0.0
|
-
|
0.4
|
0.1
|
2.3
|
-
|
1.7
|
-
|
-
|
0.4
|
0.2
|
-0.7
|
-21.7
|
기타1)
|
1.1
|
0.2
|
-
|
-
|
0.4
|
0.3
|
0.2
|
0.8
|
0.2
|
-
|
-
|
0.2
|
0.3
|
0.1
|
-0.3
|
-29.2
|
주1) 기타 : 부산, 울산, 강원, 전북
나. 생산금액
○ 시도별 생산금액은 전남 4,423억원(36.5%), 제주 3,992억원(33.0%), 경남 2,865억원(23.7%) 순
- 어류양식 비중이 높은 전남, 제주, 경남은 산지가격 인상으로 생산금액 증가
- 반면, 양식 비중과 생산량이 줄어든 경북, 충남, 기타 지역은 생산금액 감소
< 시·도, 주요 어종별 생산금액 >
(단위: 억원, %)
구분
|
2023년
|
2024p)년
|
전년 대비
|
|||||||||||||
합계
(A)
|
넙
치
류
|
조피볼락
|
참돔
|
가자미류
|
숭어류
|
기타어종
|
합계
(B)
|
넙
치
류
|
조피볼락
|
참돔
|
가자미류
|
숭어류
|
기타어종
|
증감
(C=B-A)
|
증감률
(C/A)
|
|
합계
|
11.219
|
6,489
|
1,463
|
826
|
886
|
745
|
810
|
12,112
|
6,842
|
1,574
|
895
|
955
|
754
|
1,093
|
893
|
8.0
|
전남
|
3,784
|
2,862
|
479
|
141
|
27
|
113
|
162
|
4,423
|
3,198
|
676
|
197
|
42
|
90
|
220
|
639
|
16.9
|
제주
|
3,863
|
3,279
|
3
|
-
|
510
|
-
|
71
|
3,992
|
3,300
|
5
|
-
|
604
|
-
|
83
|
129
|
3.3
|
경남
|
2,587
|
250
|
653
|
665
|
10
|
550
|
460
|
2,865
|
271
|
667
|
685
|
10
|
584
|
649
|
278
|
10.7
|
경북
|
508
|
63
|
44
|
19
|
297
|
-
|
85
|
452
|
38
|
25
|
13
|
279
|
-
|
97
|
-56
|
-11.0
|
충남
|
343
|
-
|
283
|
1
|
-
|
51
|
8
|
276
|
-
|
202
|
-
|
-
|
48
|
26
|
-67
|
-19.5
|
기타1)
|
133
|
35
|
-
|
-
|
42
|
31
|
25
|
104
|
35
|
-
|
-
|
20
|
31
|
18
|
-29
|
-22.1
|
주1) 기타 : 부산, 울산, 강원, 전북
다. 경영체 수
○ 시도별 경영체 수는 경남 514개(35.6%), 전남 489개(33.8%), 제주 265개(18.3%) 순
- 경남, 경북의 해상가두리 양식 경영체 수는 소폭 증가한 반면, 전남(여수시 등), 제주는 해상가두리와 육상수조식 경영체 수가 전년보다 소폭 감소
< 시‧도, 양식방법별 경영체 수 >
(단위: 개, %)
구분
|
2023년
|
2024p)년
|
전년 대비
|
|||||||||
합 계
(A)
|
해상
가두리
|
육상
수조식
|
축제식
|
병행
|
합 계
(B)
|
해상
가두리
|
육상
수조식
|
축제식
|
병행
|
증감
(C=B-A)
|
증감률
(C/A)
|
|
합계
|
1,451
|
861
|
547
|
32
|
11
|
1,446
|
858
|
542
|
35
|
11
|
-5
|
-0.3
|
경남
|
500
|
464
|
30
|
-
|
6
|
514
|
476
|
30
|
-
|
8
|
14
|
2.8
|
전남
|
505
|
307
|
189
|
5
|
4
|
489
|
293
|
188
|
6
|
2
|
-16
|
-3.2
|
제주
|
270
|
3
|
267
|
-
|
-
|
265
|
2
|
263
|
-
|
-
|
-5
|
-1.9
|
충남
|
76
|
75
|
-
|
1
|
-
|
77
|
76
|
-
|
1
|
-
|
1
|
1.3
|
경북
|
62
|
8
|
47
|
6
|
1
|
63
|
9
|
47
|
6
|
1
|
1
|
1.6
|
기 타1)
|
38
|
4
|
14
|
20
|
-
|
38
|
2
|
14
|
22
|
-
|
0
|
0.0
|
주1) 기타 : 부산, 울산, 강원, 전북
라. 종사자 수
○ 시도별 종사자 수는 제주 1,754명(32.8%), 전남 1,737명(32.4%), 경남 1,325명(24.8%) 순
- 경남, 경북, 기타 지역은 해상가두리 및 축제식 양식 경영체 수 증가로 종사자 수가 증가
- 반면, 전남, 충남은 경영 악화로 인한 휴․폐업 증가 등으로 경영주, 무급가족종사자, 상용종사자 모두 감소
< 시·도, 지위별 종사자 수 >
(단위: 명, %)
구분
|
2023년
|
2024p)년
|
전년 대비
|
|||||||
합 계
(A)
|
경영주
|
가 족
종사자
|
상 용
종사자
|
합 계
(B)
|
경영주
|
가 족
종사자
|
상 용
종사자
|
증감
(C=B-A)
|
증감률
(C/A)
|
|
합계
|
5,328
|
1,451
|
736
|
3,141
|
5,354
|
1,446
|
730
|
3,178
|
26
|
0.5
|
제주
|
1,751
|
270
|
65
|
1,416
|
1,754
|
265
|
46
|
1,443
|
3
|
0.2
|
전남
|
1,780
|
505
|
367
|
908
|
1,737
|
489
|
343
|
905
|
-43
|
-2.4
|
경남
|
1,262
|
500
|
217
|
545
|
1,325
|
514
|
246
|
565
|
63
|
5.0
|
경북
|
236
|
62
|
40
|
134
|
242
|
63
|
38
|
141
|
6
|
2.5
|
충남
|
206
|
76
|
37
|
93
|
192
|
77
|
42
|
73
|
-14
|
-6.8
|
기타1)
|
93
|
38
|
10
|
45
|
104
|
38
|
15
|
51
|
11
|
11.8
|
주1) 기타 : 부산, 울산, 강원, 전북
마. 입식 마릿수
○ 시도별 입식 마릿수는 경남 87백만 마리(32.6%), 전남 69백만 마리(26.0%), 제주 68백만 마리(25.3%) 순
- 고수온 및 질병 피해로 인한 경영 악화로 입식 마릿수는 전남(0.8% 증가)을 제외한 모든 시도가 감소
< 시·도, 주요 어종별 입식 마릿수 >
(단위: 백만 마리, %)
구분
|
2023년
|
2024p)년
|
전년 대비
|
|||||||||||||
합계
(A)
|
조피볼락
|
넙치류
|
숭어류
|
가자미류
|
참돔
|
기타어종
|
합계
(B)
|
넙치류
|
조피볼락
|
가자미류
|
숭어류
|
참돔
|
기타어종
|
증감
(C=B-A)
|
증감률
(C/A)
|
|
합계
|
313
|
94
|
91
|
28
|
44
|
22
|
33
|
267
|
80
|
68
|
39
|
24
|
17
|
38
|
-46
|
-14.6
|
경남
|
110
|
51
|
4
|
17
|
1
|
16
|
21
|
87
|
4
|
30
|
1
|
17
|
10
|
24
|
-24
|
-21.3
|
전남
|
69
|
24
|
28
|
2
|
4
|
6
|
5
|
69
|
26
|
22
|
3
|
4
|
6
|
8
|
1
|
0.8
|
제주
|
83
|
0
|
57
|
-
|
25
|
-
|
1
|
68
|
45
|
-
|
22
|
-
|
-
|
1
|
-16
|
-19.1
|
충남
|
22
|
18
|
-
|
2
|
-
|
0
|
2
|
19
|
-
|
15
|
-
|
2
|
-
|
3
|
-2
|
-10.6
|
경북
|
15
|
1
|
1
|
-
|
13
|
0
|
0
|
13
|
1
|
1
|
11
|
-
|
0
|
0
|
-2
|
-12.1
|
기 타1)
|
13
|
-
|
0
|
8
|
2
|
-
|
3
|
11
|
4
|
-
|
3
|
1
|
-
|
2
|
-3
|
-19.2
|
주1) 기타 : 부산, 울산, 강원, 전북
바. 양식 마릿수
○ 시도별 양식 마릿수는 경남 154백만 마리(45.5%), 전남 98백만 마리(29.0%), 제주 48백만 마리(14.3%) 순
- 고수온 및 질병 피해로 인한 대규모 폐사로 양식 마릿수는 모든 시도가 감소
< 시·도, 주요 어종별 양식 마릿수 >
(단위: 백만 마리, %)
구분
|
2023년
|
2024p)년
|
전년 대비
|
|||||||||||||
합계
(A)
|
조피볼락
|
넙치류
|
숭어류
|
가자미류
|
참돔
|
기타어종
|
합계
(B)
|
조피볼락
|
넙치류
|
참돔
|
숭어류
|
가자미류
|
기타어종
|
증감
(C=B-A)
|
증감률
(C/A)
|
|
합계
|
477
|
242
|
63
|
43
|
35
|
45
|
50
|
338
|
125
|
56
|
45
|
40
|
32
|
41
|
-139
|
-29.1
|
경남
|
221
|
120
|
3
|
33
|
1
|
32
|
31
|
154
|
59
|
3
|
33
|
31
|
0
|
28
|
-67
|
-30.1
|
전남
|
125
|
64
|
25
|
5
|
2
|
12
|
17
|
98
|
44
|
23
|
12
|
6
|
2
|
12
|
-27
|
-21.7
|
제주
|
53
|
0
|
33
|
-
|
18
|
0
|
2
|
48
|
0
|
29
|
-
|
-
|
18
|
1
|
-5
|
-9.2
|
충남
|
59
|
56
|
-
|
3
|
-
|
-
|
0
|
22
|
19
|
-
|
-
|
2
|
-
|
0
|
-37
|
-63.3
|
경북
|
15
|
2
|
1
|
-
|
12
|
0
|
0
|
14
|
2
|
1
|
0
|
-
|
11
|
0
|
-1
|
-7.0
|
기 타1)
|
4
|
-
|
1
|
1
|
2
|
-
|
0
|
2
|
-
|
0
|
-
|
0
|
1
|
0
|
-2
|
-47.1
|
주1) 기타 : 부산, 울산, 강원, 전북
사. 양식 면적
○ 시도별 양식 면적은 전남 130만m2(37.0%), 제주 125만m2(35.5%), 경남 51만m2(14.5%) 순
- 고수온과 질병 피해로 전남, 제주, 경남 등의 해상가두리, 육상수조식 양식 면적은 감소
- 반면, 전남(숭어류), 충남(전어류)의 축제식 양식 면적은 증가
< 시·도, 양식방법별 양식 시설면적 >
(단위: 만m2, %)
구분
|
2023년
|
2024p)년
|
전년 대비
|
|||||||
합 계
(A)
|
해 상
가두리
|
육 상
수조식
|
축제식
|
합 계
(B)
|
해 상
가두리
|
육 상
수조식
|
축제식
|
증감
(C=B-A)
|
증감률
(C/A)
|
|
합계
|
352
|
96
|
238
|
18
|
351
|
83
|
231
|
37
|
-1
|
-0.2
|
전남
|
131
|
40
|
88
|
3
|
130
|
32
|
84
|
13
|
-2
|
-1.2
|
제주
|
128
|
0
|
127
|
-
|
125
|
0
|
124
|
-
|
-3
|
-2.4
|
경남
|
53
|
44
|
8
|
-
|
51
|
43
|
8
|
-
|
-2
|
-2.9
|
경북
|
17
|
2
|
12
|
3
|
16
|
2
|
11
|
3
|
0
|
-3.0
|
충남
|
8
|
8
|
-
|
-
|
16
|
5
|
-
|
11
|
9
|
111.4
|
기 타1)
|
16
|
1
|
3
|
12
|
13
|
0
|
3
|
9
|
-3
|
-17.4
|
주1) 기타 : 부산, 울산, 강원, 전북
아. 먹이(사료)를 준 양
○ 시도별 먹이를 준 양은 경남 179천톤(33.5%), 전남 168천톤(31.3%), 제주 165천톤(30.7%) 순
- 배합사료가 주식인 넙치, 가자미류의 양식 비중이 높은 전남, 제주 사료량은 증가
- 반면, 생사료의 사료 비중이 높은 경남, 충남, 경북은 감소
< 시·도, 주요 어종별 먹이를 준 양 >
(단위: 천톤, %)
구분
|
2023년
|
2024p)년
|
전년 대비
|
|||||||||||||
합계
(A)
|
넙치류
|
조피볼락
|
참돔
|
숭어류
|
가자미류
|
기타어종
|
합계
(B)
|
넙치류
|
조피볼락
|
참돔
|
숭어류
|
가자미류
|
기타어종
|
증감
(C=B-A)
|
증감률
(C/A)
|
|
합계
|
548
|
267
|
127
|
66
|
25
|
18
|
45
|
536
|
282
|
90
|
73
|
24
|
18
|
49
|
-12
|
-2.3
|
경남
|
187
|
8
|
69
|
59
|
19
|
0
|
32
|
179
|
8
|
49
|
66
|
19
|
0
|
37
|
-8
|
-4.3
|
전남
|
161
|
110
|
34
|
5
|
3
|
1
|
8
|
168
|
121
|
29
|
6
|
2
|
1
|
8
|
6
|
4.0
|
제주
|
160
|
147
|
0
|
0
|
-
|
11
|
2
|
165
|
151
|
0
|
0
|
-
|
12
|
1
|
4
|
2.7
|
충남
|
23
|
-
|
21
|
0
|
2
|
-
|
0
|
11
|
-
|
9
|
-
|
2
|
-
|
0
|
-12
|
-51.4
|
경북
|
13
|
1
|
3
|
2
|
-
|
5
|
2
|
10
|
1
|
2
|
1
|
-
|
5
|
2
|
-3
|
-23.6
|
기타1)
|
3
|
1
|
-
|
-
|
1
|
0
|
0
|
3
|
1
|
-
|
-
|
1
|
0
|
0
|
0
|
-5.5
|
주1) 기타 : 부산, 울산, 강원, 전북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안산), 충남 경제자유구역 지정절차 본격 시작 (0) | 2025.03.21 |
---|---|
과기정통부, 2025년 데이터 가치평가 및 품질인증 지원사업 공모 개시 (0) | 2025.03.21 |
아세안+3 거시경제조사기구(AMRO), 2024년 한국 연례협의보고서 발표 (0) | 2025.03.21 |
메이슨 국제투자분쟁(ISDS) 중재판정 취소소송 1심 판결 선고 (0) | 2025.03.21 |
2025년 저탄소농업 프로그램(경종) 상반기 참여 농업인 선정 완료 (0) | 2025.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