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배송 · 드론 국산화 집중 지원한다
16일부터 ’25년 「드론실증도시 구축 사업」 및 「드론 상용화 지원 사업」 공모 … K-드론배송 상용화, 드론레저스포츠 활성화, 드론부품 국산화 집중 육성
2025.01.16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25년 드론산업을 한 단계 성장시키기 위해 1월 16일부터「드론실증도시 구축 사업」과「드론 상용화 지원 사업」공모를 시작한다.
ㅇ 이번 공모를 통해, 드론 배송, 레저스포츠, 국산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지원하며, 드론 기술을 국민의 일상과 산업에 더 깊이 연결해 나갈 계획이다.
□「드론실증도시 구축 사업」은 ’19년부터 추진해 왔다. 이 사업은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드론 사업모델(배송, 레저스포츠, 행정서비스)을 실증하고, 드론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자체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ㅇ 지난해부터 새롭게 서비스를 시작한 드론 배송은 총 14개 지자체를 선정, 50개 지역(섬 32곳, 공원 17곳, 항만 1곳)에서 10,635km, 2,993회 드론배송을 실시한 바 있다.
□「드론 상용화 지원 사업」은 드론기업의 우수기술 상용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24년에는 14개 기업의 기술과 서비스 상용화를 지원하였다.
ㅇ 특히, 지난해에는 국내 드론라이트쇼 전문기업인 유비파이가 군집비행 세계기록 수립 성공(’24.5, 5,293대)과 해당 드론기체 9천대를 미국, 캐나다 등에 수출하며 ‘1천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는 성과도 거뒀다.
□ 「드론실증도시 구축 사업(’25년 130억원)」은 드론배송, 드론레저스포츠, 첨단드론행정서비스 등 3개 분야에 신청할 수 있다.
ㅇ 드론배송 분야는 섬, 공원, 항만에서의 드론 배송 서비스를 위해 신규 지자체 10곳 이상을 선정하고, 14개 기존 참여 지자체는 사업계획 평가를 통해 의료물품 배송, 지역 순찰 등 공공서비스로 활용 범위를 확대한다. 주민 요구를 반영해 배송 품목을 다양화하고, 유통 물류 업체와 협력해 드론 배송을 실질적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ㅇ 드론레저스포츠 분야는 국제 드론라이트쇼와 국제 드론스포츠 대회를 지원하여 드론 레저스포츠 저변확대와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특히, 드론레이싱은 국산 기체를 활용하는 대회를 육성하고 향후, 드론축구와 같이 드론축구월드컵(‘25.9, 전주)을 개최하는 수준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국제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ㅇ 첨단 드론행정서비스 분야는 3D 모델링 및 실시간 드론영상 제공 등의 국내 우수 드론기술이 지역의 혁신 행정모델로 도입되어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드론 상용화 지원 사업(’25년 48억원)」은 부품 국산화를 기반으로 드론 전주기 생태계 구축, 사회적 요구도가 높은 기술 개발, 드론 활용 일반 분야 등 3개 분야에 신청할 수 있다.
ㅇ 드론의 모터, 배터리, 비행제어기, 통신장치 등 핵심부품 기술 개발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양산체계 구축에서 완성체 판매․활용까지 연계하여 지속 생산이 가능한 실질적인 국산화 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다.
- 국제 동향(전쟁, 공급망 위기 등)을 고려하여 국내 신속한 국산화 개발이 필요한 과제들이 우선 선정 대상이며, 실질적 수요를 기반으로 하는 생산-판매-활용 전주기 생태계를 구축하는 프로젝트 과제 형태로 각 개발업체들이 컨소시움(10개 이내) 구성하여 신청시 최대 33억원 내외 규모로 지원한다.
ㅇ 또한, 사회적 요구도가 높으며 지속적인 기술 상용화가 필요한 과제로써, 드론 배송용 장거리 기체, 농업․소방․방제용 고중량 탑재 기체 개발 등 고성능 중대형 기체 개발과 시설점검 및 보안․감시용 고성능 광학열상(EO/IR) 카메라 개발도 지원 대상이다.
□ 공모 신청은 ’25년 2월 14일*까지이며, 자세한 사항은 1월 16일부터 드론정보포털(https://droneportal.or.kr), 항공안전기술원 누리집(http://kiast.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신청서는 항공안전기술원(인천 서구)에 방문 제출하여야 함
□ 국토교통부 김기훈 첨단항공과장은 “작년에 이어 K-드론배송, 드론레저스포츠, 드론 국산화라는 세 축을 중심으로 드론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면서, “지자체 및 드론 사업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식품부, 기후변화 대응 위해 스마트 과수원 특화단지 4개소 선정 (0) | 2025.01.16 |
---|---|
한눈에 보는 2024년 자동차 산업 동향 (0) | 2025.01.16 |
국가보훈부 2025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0) | 2025.01.16 |
국방부 ‘2025년 주요 현안 해법회의’ ‘군 본연의 역할과 사명’에 매진하는 신뢰받는 군대 (0) | 2025.01.16 |
국유재산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0) | 2025.0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