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24년 3분기 건설공사 계약액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4. 12. 30.
반응형

‘24년 3분기 건설공사 계약액

24년 3분기 계약액 53.7조원, 공공 12.0조원, 민간 41.7조원

2024.12.30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24.3분기 건설공사 계약액전년 동기 대비 18.0% 증가53.7조 원을 기록하였다고 밝혔다.

 

(주체별) 공공부문은 12.0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

민간부문은 41.7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1% 증가하였다.

 

(공종별) 토목(산업설비, 조경 포함) 산업설비가 증가하며 전년 동기 대비 56.2% 증가 18.2조 원을, 건축4.9% 증가35.5조 원을 기록하였다.

 

(기업규모별) 상위 1~50위 기업은 26.5조 원(전년 동기 대비 45.3% 증), 51~ 100위 2.3조 원(14.5% 증), 101~300위 3.6조 원(21.0% 감), 301~ 1,000위 3.9조 원(16.2% 증), 그 외 기업이 17.4조 원(0.9% 증)을 기록하였다.

 

(현장 소재지별) 수도권26.0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하였고, 비수도권27.7조 원으로 30.2% 증가하였다.

 

(본사 소재지별) 수도권33.8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7% 증가하였고, 비수도권19.8조 원으로 17.8% 증가하였다.

 

□ 한편, 건설공사 계약 통계에 관한 자료는 12월 30일(월)부터 국토교통 통계누리집(sta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붙임

‘24. 3분기 건설공사 계약액(상세 내용)

 

 

’24.3분기 건설공사 계약액전년 동기 대비 18.0% 증가53.7조 원을 기록하였다.

 

* 건설산업종합정보망(KISCON)에 통보된 건설공사 계약금액을 집계·분석

 

 

1.주체별·공종별 계약액

 

□ (주체별) 공공부문은 택지조성, 주택사업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12조 원을, 민간부문은 반도체 공장 등 산업설비 공사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1% 증가 41조 7천억 원을 기록하였다.

 

□ (공종별) 토목(산업설비, 조경 포함) 공종은 반도체 대형 산업설비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2% 증가 18조 2천억 원을 기록하였다.

 

건축의 경우, 작년보다 4.9% 소폭 증가35조 5천억 원을 기록하였다.

 

2.기업 규모별 계약액

 

’24.3분기 기업 순위별 계약액*상위 1~50위 기업이 26조 5천억 원(전년 동기 대비 45.3% 증가), 51~100위 기업 2조 3천억 원(14.5% 증가), 101~300위 기업 3조 6천억 원(21.0% 감소), 301~1,000위 기업 3조 9천억 원(16.2% 증가), 그 외 기업이 17조 4천억 원(0.9% 증가)을 기록하였다.

 

* KISCON에 통보된 전년도 계약금액 총액 기준으로 순위 산정

 

3.지역별 계약액

 

 

‘24.3분기 지역별 건설공사 계약액은

 

ㅇ (현장 소재지별) 수도권이 26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하였고, 비수도권이 27조 7천억 원으로 30.2% 증가하였다.

 

ㅇ (본사 소재지별) 수도권이 33조 8천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7% 증가하였고, 비수도권이 19조 8천억 원으로 17.8% 증가하였다.

 

□ 한편, 건설공사 계약 통계에 관한 자료는 12월 30일(월)부터 국토교통 통계누리집(sta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건설공사계약통계
이용 시 유의사항



1. 건설공사계약통계는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라 국토교통부에서 운영 중인
건설산업종합정보망(KISCON)에 통보된 건설공사대장 기재사항을 집계·분석한
자료로 종합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가 계약한 1억 원 이상 원도급공사가 대상

2. 통계청에서 매월 조사·발표하고 있는 건설 경기 동향조사상의 건설수주와의 증감 변동
방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조사방법과 조사대상의 차이에 기인함

① 건설공사계약통계가 종합·전문건설업체의 1억 원 이상 원도급공사 전수를 대상으로 집계하는 반면, 통계청 건설 경기 동향조사는 전전년도 건설업조사 기성액 기준 상위 54%에 해당하는 종합건설업체를 모집단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있음
② 건설공사계약통계는 도급공사를 대상으로 하여 직영공사가 제외된 반면,
통계청 조사는 직영공사를 포함하고 있음
③ 장기계속공사의 경우 건설공사계약통계는 당해 연도 계약액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통계청 조사는 총 공사액을 기준으로 하고 있음
④ 두 기관 간 세부 조사ㆍ신고기준의 차이가 있을 수 있음

3. 연간 보도자료 공표 일정(공표일정은 변경될 수 있음)
2024년 1분기 건설공사 계약통계 : 2024. 6. 21(금)
2024년 2분기 건설공사 계약통계 : 2024. 9. 20(금)
2024년 3분기 건설공사 계약통계 : 2024. 12. 30(월)
2024년 4분기 건설공사 계약통계 : 2025. 3. 28(금)

4. 통계상 수치는 반올림한 것이므로 세부 항목 간 수치와 전체 합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공표되는 성장률(증가율)은 원 단위 금액을 이용하여 계산한 수치로 공표된 조 원 단위의 금액으로 계산한 수치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 일부 공사의 계약변동(신규통보, 계약변경, 계약해지 등) 사항을 반영해 2023년 3분기 지역별 건설공사 계약액에 수정이 있음을 알려드립니.

 

 

 

참고1

발주자별·공종별 건설공사 계약액

 

《 발주자별·공종별 건설공사 계약액 》

(단위: 조 원, 전년 동기 대비 %)

구 분
’19년
’20년
’21년
’22년
’23년

’24년





1/4
2/4
3/4
4/4
1/4
2/4
3/4
합계
230.3
261.4
288.9
296.8
240.6
68.4
54.7
45.5
72.0
63.1
60.6
53.7
(5.1)
(13.5)
(10.5)
(2.7)
(△18.9)
(△6.3)
(△33.8)
(△38.8)
(7.9)
(△7.9)
(10.7)
(18.0)
주체
공공
58.9
65.6
62.0
61.5
67.6
19.4
14.8
11.1
22.3
21.4
16.2
12.0
(19.4)
(11.4)
(△5.5)
(△0.9)
(9.9)
(3.8)
(8.1)
(5.2)
(30.5)
(10.1)
(9.5)
(8.7)
민간
171.4
195.8
226.9
235.3
173.1
49.0
40.0
34.4
49.6
41.7
44.4
41.7
(1.0)
(14.2)
(15.9)
(3.7)
(△26.4)
(△7.3)
(△42.1)
(△46.1)
(0.1)
(△15.0)
(11.2)
(21.1)
공종
토목(계)
66.3
57.7
62.7
73.4
78.2
28.0
15.6
11.7
22.9
24.0
20.1
18.2
(13.2)
(△12.9)
(8.6)
(17.1)
(6.5)
(20.3)
(△10.4)
(△21.6)
(28.1)
(△14.4)
(29.1)
(56.2)
건축
164.0
203.6
226.2
223.3
162.5
40.4
39.2
33.8
49.1
39.1
40.5
35.5
(2.2)
(24.2)
(11.1)
(△1.3)
(△27.3)
(△18.8)
(△40.0)
(△43.1)
(0.5)
(△3.3)
(3.4)
(4.9)

* ‘토목(계)’에는 토목, 산업설비, 조경 포함

 

《 세부공종별 건설공사 계약액 》

(단위 : 조원)

구분 
토목(계)

건축

토목
산업설비
조경
2019년
66.3
45.3
18.5
2.5
164.0
2020년
57.7
37.9
16.9
3.0
203.6
2021년
62.7
40.8
18.9
3.0
226.2
2022년
73.4
42.1
27.9
3.4
223.3
2023년
78.2
39.9
35.0
3.4
162.5
2019년
1분기
23.5
19.4
3.5
0.6
34.1
2분기
13.8
8.2
4.9
0.7
42.6
3분기
10.0
6.1
3.3
0.5
37.0
4분기
19.0
11.5
6.8
0.7
50.4
2020년
1분기
18.1
14.7
2.6
0.7
39.1
2분기
13.9
8.8
4.3
0.8
49.8
3분기
8.8
5.0
3.2
0.5
49.4
4분기
17.0
9.3
6.8
0.9
65.4
2021년
1분기
19.5
15.3
3.5
0.7
46.5
2분기
14.8
9.0
5.0
0.9
61.2
3분기
11.6
6.2
4.9
0.5
53.6
4분기
16.8
10.3
5.6
0.9
64.9
2022년
1분기
23.3
16.5
6.1
0.7
49.7
2분기
17.4
9.2
7.0
1.2
65.3
3분기
14.9
6.4
7.9
0.6
59.5
4분기
17.9
10.1
7.0
0.9
48.8
2023년
1분기
28.0
14.0
13.3
0.8
40.4
2분기
15.6
9.2
5.2
1.1
39.2
3분기
11.7
6.1
5.0
0.6
33.8
4분기
22.9
10.5
11.5
0.9
49.1
2024년
1분기
24.0
15.8
7.4
0.8
39.1
2분기
20.1
10.1
9.0
0.9
40.5
3분기
18.2
7.5
10.0
0.7
35.5

 

참고2

기업규모별 건설공사 계약액

 

(단위: 조 원, 전년 동기 대비 %)

 
구분
’19년
’20년
’21년
’22년
’23년

’24년





1/4
2/4
3/4
4/4
1/4
2/4
3/4
합계
229.9
260.9
288.2
296.4
240.4
68.4
54.7
45.4
72.0
63.0
60.6
53.7
(5.1)
(13.5)
(10.5)
(2.8)
(△18.9)
(△6.4)
(△33.8)
(△38.8)
(7.9)
(△7.8)
(10.8)
(18.3)
1∼
50위
95.5
106.9
114.9
122.9
102.9
31.0
22.2
18.2
31.6
29.4
27.6
26.5
(5.3)
(12.0)
(7.4)
(7.0)
(△16.2)
(12.0)
(△34.5)
(△50.8)
(30.1)
(△5.2)
(24.3)
(45.3)
51∼
100위
13.7
16.2
19.0
17.2
12.8
3.6
2.3
2.0
4.9
3.8
2.8
2.3
(8.7)
(18.4)
(17.0)
(△9.4)
(△25.4)
(△27.9)
(△57.8)
(△35.5)
(35.8)
(6.1)
(21.7)
(14.5)
101∼
300위
18.8
21.6
27.6
27.2
21.9
5.9
5.1
4.5
6.4
5.2
4.6
3.6
(2.9)
(14.9)
(27.7)
(△1.3)
(△19.4)
(△20.6)
(△29.7)
(△29.3)
(4.6)
(△12.8)
(△11.0)
(△21.0)
301∼
1,000위
19.8
23.9
24.3
25.0
18.8
5.2
5.1
3.4
5.1
6.1
4.5
3.9
(12.9)
(21.1)
(1.6)
(2.8)
(△24.9)
(△32.0)
(△23.1)
(△30.6)
(△12.8)
(18.9)
(△12.1)
(16.2)
1,000위 ∼
82.1
92.3
102.5
104.0
83.9
22.7
19.9
17.2
24.0
18.5
21.1
17.4
(3.1)
(12.3)
(11.1)
(1.5)
(△19.4)
(△10.2)
(△31.6)
(△24.2)
(△10.6)
(△18.4)
(5.8)
(0.9)

* `기업규모별’ 기준은 비건설업이 제외된 건설업 기준으로 재집계되어, 통합발주(건설업+비건설업)가 금액이 모두 포함된 건설공사계약 총액과 다소 차이가 있음

 

** 건설산업종합정보망(KISCON)에 통보된 전년도 계약금액 총액 기준으로 순위 산정

 

 

참고3

지역별 건설공사 계약액

 

《 현장소재지별 건설공사 계약액 (단위 : 조원)

구분
’19년
’20년
’21년
’22년
’23년

’24년





1/4
2/4
3/4
4/4
1/4
2/4
3/4
전국
230.3
261.4
288.9
296.8
240.6
68.4
54.7
45.5
72.0
63.1
60.6
53.7

소계
118.6
129.3
137.2
141.2
107.7
27.7
25.5
24.2
34.0
29.5
29.6
26.0
서울
30.4
30.9
28.9
32.0
27.7
6.0
6.8
9.3
9.6
6.2
6.7
7.1
인천
21.0
18.5
18.9
16.2
12.5
2.4
3.6
1.6
4.4
6.3
4.3
3.2
경기
67.1
80.0
89.4
93.0
67.4
19.3
15.2
13.3
20.0
17.0
18.6
15.7

소계
111.7
132.0
151.7
155.5
133.0
40.8
29.2
21.3
38.0
33.5
31.0
27.7
부산
9.4
11.5
12.1
14.4
11.2
3.5
2.8
1.7
3.0
3.3
2.7
1.9
대구
8.2
11.9
11.8
6.1
4.3
0.8
1.0
0.7
1.6
1.0
1.6
1.0
광주
5.1
6.6
5.3
4.5
7.4
2.8
1.5
1.6
1.0
1.2
0.5
0.6
대전
4.5
6.6
7.5
5.2
6.8
1.6
1.4
0.8
2.8
1.4
2.1
1.3
울산
5.1
6.3
5.5
9.3
16.5
10.7
1.9
1.2
2.5
1.8
1.9
1.4
세종
2.1
2.4
3.5
2.8
1.7
0.6
0.4
0.2
0.5
0.7
0.6
0.8
강원
8.1
9.0
10.3
12.5
9.3
1.8
2.9
1.8
2.4
2.1
2.9
1.9
충북
8.8
9.8
13.8
14.5
8.9
2.4
1.9
2.0
2.6
2.1
3.3
2.5
충남
15.1
15.6
18.6
22.0
14.5
3.6
4.0
3.0
3.4
4.3
4.0
6.5
전북
6.9
8.4
8.5
10.5
7.9
2.4
1.8
1.0
2.4
2.8
1.6
1.1
전남
14.3
14.2
15.9
14.7
14.1
3.7
3.4
2.0
4.3
3.7
3.3
1.9
경북
9.9
11.8
17.2
17.1
15.6
3.3
2.9
2.8
6.5
4.2
3.1
2.9
경남
10.5
15.2
17.2
17.4
11.7
2.9
2.3
1.7
4.3
4.2
2.3
3.0
제주
3.6
2.9
4.4
4.6
3.2
0.7
0.9
1.0
0.6
0.6
0.9
0.9

 

《 본사소재지별 건설공사 계약액 (단위 : 조원)

구분
’19년
’20년
’21년
’22년
’23년

’24년





1/4
2/4
3/4
4/4
1/4
2/4
3/4
전국
229.9
260.9
288.2
296.4
240.4
68.4
54.7
45.4
72.0
63.0
60.6
53.7

소계
138.4
163.5
179.3
180.0
145.3
44.8
32.1
28.5
43.5
34.5
36.2
33.8
서울
82.9
98.6
111.4
110.9
94.9
31.5
20.4
18.7
28.2
23.6
23.2
25.6
인천
9.9
11.9
12.7
13.1
7.9
1.9
2.4
1.5
1.9
2.2
2.4
1.3
경기
45.5
53.1
55.2
56.0
42.4
11.4
9.4
8.3
13.3
8.7
10.5
6.9

소계
91.5
97.4
108.9
116.4
95.1
23.6
22.6
16.9
28.5
28.5
24.4
19.8
부산
9.5
9.8
11.0
12.6
8.8
2.3
1.8
2.1
2.4
3.3
2.1
2.2
대구
4.8
4.6
5.8
6.1
4.3
0.9
1.3
0.7
1.3
1.0
1.3
0.9
광주
5.6
6.6
9.3
8.9
6.0
1.2
0.8
1.6
1.9
2.0
0.9
0.6
대전
5.6
6.0
6.4
6.4
4.7
1.5
1.5
0.7
1.0
1.8
1.6
2.1
울산
2.7
2.6
2.5
3.6
3.5
0.9
0.9
0.6
1.0
0.8
0.8
0.7
세종
1.0
1.1
0.9
0.7
1.1
0.2
0.1
0.1
0.5
0.1
0.2
0.4
강원
4.3
4.7
5.0
6.0
4.6
1.1
1.1
0.8
1.4
1.2
1.8
1.1
충북
5.1
5.2
6.2
7.6
6.3
1.5
1.5
1.1
1.9
1.6
1.7
1.4
충남
7.0
6.1
7.1
9.1
7.0
1.9
1.4
1.2
2.1
1.8
1.9
1.7
전북
5.6
6.0
6.3
7.6
5.8
1.6
1.2
0.9
1.6
1.7
1.4
1.1
전남
15.8
21.0
19.7
20.1
15.5
3.5
3.5
3.0
5.0
5.6
3.8
2.3
경북
14.2
13.4
16.6
16.3
16.0
4.3
4.8
2.4
4.0
4.6
3.8
2.4
경남
7.9
8.5
9.5
8.7
9.7
2.1
2.2
1.3
4.0
2.4
2.1
2.6
제주
2.4
2.0
2.5
2.6
1.8
0.4
0.6
0.3
0.4
0.4
0.9
0.4

* `본사소재지’ 기준은 비건설업이 제외된 건설업 기준으로 재집계되어, 통합발주(건설업+비건설업) 금액이 모두 포함된 건설공사계약 총액과 다소 차이가 있음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