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래가구추계[시도편]: 2022-2052년
2024.12.12 통계청
장래가구추계(시도편): 2022~2052년
|
시도별 장래가구추계 결과(요약)
|
2022년 대비 2052년, 10개 시도(서울, 부산, 대구 등 제외)의 가구수는 증가할 전망
|
ㅇ (총가구) 2022년에는 경기(537만), 서울(408만), 부산(144만) 순으로 많았으나, 2052년에는 경기(653만), 서울(397만), 인천(145만) 순이 될 전망
- 부산·대구(2032년), 울산(2034년)에서 가구 감소를 시작하여, 2052년 세종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가구 감소
* (전국) 총가구는 2022년 2,166만 가구에서 2041년 2,437만 가구까지 증가한 후 감소, 2052년에 2,328만 가구에 이를 전망
|
< 시도별 가구 증감, 2022년 대비 2052년 >
|
|
2052년 평균 가구원수, 모든 시도에서 2명 미만이 될 전망
|
ㅇ (평균 가구원수) 2022년 최고 2.41명(세종·경기)에서 최저 2.11명(경북) 수준이나, 2052년에는 1.93명(세종)에서 1.65명(경북·충남)까지 줄어들 전망
* (전국) 평균 가구원수는 2022년 2.26명에서 점차 감소하여 2052년 1.81명까지 감소할 전망
|
< 시도별 평균 가구원수, 2022, 2052년 >
![](https://blog.kakaocdn.net/dn/bhNB6k/btsLjT1ixS0/v17wSYHIEXQrfXRSkSXHmk/img.png)
2052년 가구유형, 모든 시도에서 1인가구 비중이 가장 높아질 전망
|
ㅇ (가구유형) 2022년 대전, 서울 등 14개 시도는 1인가구가, 세종·울산·경기는 부부+자녀가구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2052년에는 모든 시도에서 1인가구가 가장 주된 가구유형이 될 전망
* (전국) 2052년 가구유형별 비중은 ①친족가구(55.2%)[부부(22.8%), 부부+자녀(17.4%), 부(모)+자녀(7.6%) 등], ②1인가구(41.3%), ③비친족가구(3.5%)에 해당
< 시도별 가구유형별 가구 구성비 추이, 2022-2052년 >
(단위: %)
|
|
부부 가구
|
부부+자녀 가구
|
|
|
부(모)+자녀
|
1인가구
|
|
|
ㅇ (1인가구) 2022년 1인가구 비중은 대전, 서울 등 15개 시도에서 30%를 넘었으며, 2052년에는 강원, 충북 등 12개 시도에서 40%를 넘을 전망
* (전국) 전체 가구 중 1인가구 비중은 2022년 34.1%에서 2052년 41.3%로 증가할 전망
|
< 시도별 1인가구 구성비, 2022, 2052년 >
|
|
2022년 대비 2052년, 모든 시도에서 부부가구 비중은 증가, 부부+자녀가구 비중은 감소할 전망
|
ㅇ (부부가구) 2022년 부부가구 비중은 경북(21.8%), 전남(21.5%), 강원(20.7%) 순으로 높았으며, 2052년 모든 시도에서 20%를 넘을 전망
* (전국) 전체 가구 중 부부가구 비중은 2022년 17.3%에서 2052년 22.8%로 증가할 전망
|
< 시도별 부부가구 구성비, 2022, 2052년 >
|
|
ㅇ (부부+자녀가구) 2022년 부부+자녀가구 비중은 세종(34.3%), 울산(32.8%) 순으로 높았으나, 2052년 세종, 경기를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20% 미만으로 낮아질 전망
* (전국) 전체 가구 중 부부+자녀가구 비중은 2022년 27.3%에서 2052년 17.4%로 감소
|
< 시도별 부부+자녀가구 구성비, 2022, 2052년 >
|
|
2052년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 비중, 전남, 경북 등 11개 시도에서 50% 초과할 전망
|
ㅇ (고령자 가구) 2022년 고령자 가구 비중은 전남(34.4%), 경북(31.5%), 전북(30.9%) 순으로 높았으며, 2052년에는 경북(60.2%), 전남(60.1%) 등 11개 시도에서 50%를 초과할 전망
* (전국) 고령자 가구 비중은 2022년 24.1%에서 2052년 50.6%로 증가할 전망
|
< 시도별 고령자(65세 이상) 가구 구성비, 2022, 2052년 >
|
|
2052년 고령자 1인가구 비중, 강원, 전남 등 12개 시도에서 20% 초과할 전망
|
ㅇ (고령자 1인가구) 2022년 고령자 1인가구 비중은 전남(14.8%), 경북(12.9%) 순으로 높았으나, 2052년에는 강원, 전남, 경북 등 12개 시도에서 2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
* (전국) 고령자 1인가구 비중은 2022년 8.9%에서 2052년 21.3%로 증가할 전망
|
< 시도별 고령자 1인가구 구성비, 2022, 2052년 >
|
|
|
시도별 장래가구추계 결과
|
1. 총가구
2022년 대비 2052년, 10개 시도(서울, 부산, 대구 등 제외) 가구수 증가할 전망
|
□ (전국) 2022년 총가구는 2,166만 4천 가구에서 2041년 2,437만 2천 가구까지 증가한 후 감소, 2052년에는 2,327만 7천 가구에 이를 전망
□ (시도) 2022년 대비 2052년, 서울, 부산, 대구, 광주, 울산, 전북, 경남을 제외한 10개 시도의 가구수는 증가할 전망
ㅇ 2022년 시도별 총가구는 경기(537만), 서울(408만), 부산(144만) 순으로 많았으나, 2052년에는 경기(653만), 서울(397만), 인천(145만) 순이 될 전망
ㅇ 경기는 2022년 536만 8천 가구에서 늘어 2044년 668만 가구를 정점으로 감소, 2052년에는 653만 5천 가구(2022년 대비 21.7% 증가)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
ㅇ 서울은 2022년 408만 1천 가구에서 늘어 2038년 427만 6천 가구를 정점으로 감소, 2052년에는 396만 8천 가구(2022년 대비 –2.8%)까지 감소할 전망
ㅇ 세종은 2022년 15만 1천 가구에서 2052년 26만 9천 가구(2022년 대비 78.2% 증가) 수준, 제주는 2022년 27만 5천 가구에서 2052년 31만 3천 가구(2022년 대비 14.2% 증가)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
[그림 1] 시도별 가구 증감, 2022년 대비 2052년
|
|
[표 1] 시도별 총가구 및 구성비, 2022~2052년
지역
|
가구(천 가구)
|
|||||||
2022
|
2027
|
2032
|
2042
|
2052
|
’22년 대비 ’52년
|
연평균 변화
|
||
증감
|
증감률(%)
|
|||||||
전국
|
21,664
|
22,807
|
23,652
|
24,366
|
23,277
|
1,613
|
7.4
|
54
|
서울
|
4,081
|
4,202
|
4,256
|
4,251
|
3,968
|
-113
|
-2.8
|
-4
|
부산
|
1,442
|
1,468
|
1,473
|
1,422
|
1,268
|
-175
|
-12.1
|
-6
|
대구
|
1,007
|
1,033
|
1,036
|
1,003
|
902
|
-105
|
-10.4
|
-4
|
인천
|
1,203
|
1,312
|
1,386
|
1,477
|
1,450
|
247
|
20.6
|
8
|
광주
|
621
|
642
|
657
|
657
|
615
|
-6
|
-1.0
|
-0
|
대전
|
644
|
689
|
706
|
715
|
673
|
29
|
4.5
|
1
|
울산
|
453
|
467
|
472
|
461
|
415
|
-38
|
-8.4
|
-1
|
세종
|
151
|
175
|
202
|
243
|
269
|
118
|
78.2
|
4
|
경기
|
5,368
|
5,836
|
6,227
|
6,661
|
6,535
|
1,167
|
21.7
|
39
|
강원
|
681
|
702
|
735
|
779
|
773
|
91
|
13.4
|
3
|
충북
|
702
|
739
|
779
|
828
|
813
|
111
|
15.8
|
4
|
충남
|
926
|
1,026
|
1,093
|
1,181
|
1,179
|
253
|
27.3
|
8
|
전북
|
776
|
787
|
802
|
803
|
755
|
-21
|
-2.7
|
-1
|
전남
|
782
|
805
|
826
|
841
|
807
|
25
|
3.1
|
1
|
경북
|
1,163
|
1,207
|
1,238
|
1,256
|
1,183
|
20
|
1.7
|
1
|
경남
|
1,388
|
1,428
|
1,462
|
1,466
|
1,359
|
-29
|
-2.1
|
-1
|
제주
|
275
|
289
|
304
|
320
|
313
|
39
|
14.2
|
1
|
구성비(%), 증감(%p)
|
|
|||||||
전국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0.0
|
|
|
서울
|
18.8
|
18.4
|
18.0
|
17.4
|
17.0
|
-1.8
|
|
|
부산
|
6.7
|
6.4
|
6.2
|
5.8
|
5.4
|
-1.2
|
|
|
대구
|
4.7
|
4.5
|
4.4
|
4.1
|
3.9
|
-0.8
|
|
|
인천
|
5.6
|
5.8
|
5.9
|
6.1
|
6.2
|
0.7
|
|
|
광주
|
2.9
|
2.8
|
2.8
|
2.7
|
2.6
|
-0.2
|
|
|
대전
|
3.0
|
3.0
|
3.0
|
2.9
|
2.9
|
-0.1
|
|
|
울산
|
2.1
|
2.0
|
2.0
|
1.9
|
1.8
|
-0.3
|
|
|
세종
|
0.7
|
0.8
|
0.9
|
1.0
|
1.2
|
0.5
|
|
|
경기
|
24.8
|
25.6
|
26.3
|
27.3
|
28.1
|
3.3
|
|
|
강원
|
3.1
|
3.1
|
3.1
|
3.2
|
3.3
|
0.2
|
|
|
충북
|
3.2
|
3.2
|
3.3
|
3.4
|
3.5
|
0.3
|
|
|
충남
|
4.3
|
4.5
|
4.6
|
4.8
|
5.1
|
0.8
|
|
|
전북
|
3.6
|
3.5
|
3.4
|
3.3
|
3.2
|
-0.3
|
|
|
전남
|
3.6
|
3.5
|
3.5
|
3.5
|
3.5
|
-0.1
|
|
|
경북
|
5.4
|
5.3
|
5.2
|
5.2
|
5.1
|
-0.3
|
|
|
경남
|
6.4
|
6.3
|
6.2
|
6.0
|
5.8
|
-0.6
|
|
|
제주
|
1.3
|
1.3
|
1.3
|
1.3
|
1.3
|
0.1
|
|
|
2. 가구증가율 및 평균 가구원수
2052년 평균 가구원수, 모든 시도에서 2명 미만이 될 전망
|
1) 가구증가율
□ (전국) 2022년 총가구는 전년에 비해 1.84% 증가했으나, 가구증가율은 점차 감소하여 2042년 마이너스로 전환, 2052년에는 –0.73% 수준으로 예상
□ (시도) 2022년 가구증가율은 세종(5.49%), 경기(2.72%), 인천(2.70%) 순으로 높고, 울산(0.93%), 대전(1.13%), 대구(1.17%) 순으로 낮음
ㅇ 가구증가율은 점차 감소하여 부산·대구는 2032년, 울산은 2034년부터 감소할 전망
ㅇ 2052년에는 세종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감소할 전망
※ 가구 정점 : 서울(2038년), 부산(2031년), 대구(2031년), 인천(2045년), 광주(2037년), 대전(2039년), 울산(2033년), 경기(2044년), 강원(2046년), 충북(2045년), 충남(2047년), 전북(2037년), 전남(2041년), 경북(2039년), 경남(2038년), 제주(2044년)
|
2) 평균 가구원수
□ (전국) 2022년 평균 가구원수는 2.26명에서 점차 감소하여 2052년 1.81명까지 감소할 전망
□ (시도) 2022년 시도별 평균 가구원수는 최고 2.41명(세종·경기)에서 최저 2.11명(경북) 수준이나,
ㅇ 2052년에는 최고 1.93명(세종)에서 최저 1.65명(경북·충남)까지 줄어들고, 모든 시도에서 평균 가구원수가 2명 미만이 될 전망
[그림 2] 시도별 평균 가구원수, 2022, 2052년
![](https://blog.kakaocdn.net/dn/bhEhmL/btsLh1mMklX/kBPZesLP6fmxFnAjPbKXok/img.png)
[표 2] 시도별 가구증가율 및 평균 가구원수, 2022~2052년
지역
|
가구증가율(%), 증감(%p)
|
|||||
2022
|
2027
|
2032
|
2042
|
2052
|
’22년 대비 ’52년
증감
|
|
전국
|
1.84
|
0.92
|
0.62
|
-0.03
|
-0.73
|
-2.57
|
서울
|
1.40
|
0.45
|
0.17
|
-0.26
|
-0.91
|
-2.31
|
부산
|
1.39
|
0.18
|
-0.02
|
-0.72
|
-1.36
|
-2.75
|
대구
|
1.17
|
0.35
|
-0.02
|
-0.64
|
-1.30
|
-2.48
|
인천
|
2.70
|
1.54
|
0.99
|
0.29
|
-0.49
|
-3.19
|
광주
|
1.73
|
0.63
|
0.34
|
-0.30
|
-0.90
|
-2.64
|
대전
|
1.13
|
1.34
|
0.42
|
-0.21
|
-0.78
|
-1.92
|
울산
|
0.93
|
0.57
|
0.09
|
-0.56
|
-1.36
|
-2.28
|
세종
|
5.49
|
2.86
|
2.62
|
1.42
|
0.77
|
-4.73
|
경기
|
2.72
|
1.60
|
1.13
|
0.28
|
-0.51
|
-3.22
|
강원
|
1.70
|
0.29
|
0.85
|
0.32
|
-0.36
|
-2.06
|
충북
|
1.70
|
0.82
|
0.94
|
0.27
|
-0.48
|
-2.19
|
충남
|
2.02
|
2.07
|
1.16
|
0.41
|
-0.33
|
-2.35
|
전북
|
1.19
|
0.12
|
0.29
|
-0.26
|
-0.84
|
-2.04
|
전남
|
1.32
|
0.45
|
0.44
|
-0.05
|
-0.69
|
-2.01
|
경북
|
1.29
|
0.70
|
0.43
|
-0.16
|
-0.88
|
-2.17
|
경남
|
1.37
|
0.49
|
0.36
|
-0.30
|
-1.07
|
-2.44
|
제주
|
2.27
|
0.96
|
0.89
|
0.21
|
-0.51
|
-2.77
|
평균 가구원수(명), 증감(명)
|
||||||
전국
|
2.26
|
2.13
|
2.02
|
1.89
|
1.81
|
-0.45
|
서울
|
2.20
|
2.08
|
1.99
|
1.88
|
1.82
|
-0.38
|
부산
|
2.20
|
2.07
|
1.98
|
1.85
|
1.79
|
-0.41
|
대구
|
2.27
|
2.13
|
2.03
|
1.91
|
1.85
|
-0.41
|
인천
|
2.35
|
2.21
|
2.11
|
1.96
|
1.87
|
-0.47
|
광주
|
2.26
|
2.11
|
1.99
|
1.85
|
1.77
|
-0.48
|
대전
|
2.17
|
2.00
|
1.89
|
1.79
|
1.73
|
-0.44
|
울산
|
2.34
|
2.19
|
2.07
|
1.91
|
1.83
|
-0.51
|
세종
|
2.41
|
2.27
|
2.14
|
2.00
|
1.93
|
-0.48
|
경기
|
2.41
|
2.26
|
2.15
|
2.01
|
1.92
|
-0.49
|
강원
|
2.12
|
2.04
|
1.95
|
1.83
|
1.73
|
-0.39
|
충북
|
2.16
|
2.05
|
1.94
|
1.81
|
1.72
|
-0.45
|
충남
|
2.17
|
1.99
|
1.88
|
1.74
|
1.65
|
-0.52
|
전북
|
2.16
|
2.05
|
1.95
|
1.82
|
1.74
|
-0.42
|
전남
|
2.13
|
2.01
|
1.90
|
1.77
|
1.67
|
-0.46
|
경북
|
2.11
|
1.97
|
1.87
|
1.73
|
1.65
|
-0.46
|
경남
|
2.24
|
2.10
|
1.98
|
1.82
|
1.73
|
-0.51
|
제주
|
2.31
|
2.19
|
2.08
|
1.94
|
1.87
|
-0.44
|
3. 가구원수별 가구
1) 총괄
2052년 모든 시도에서 1인가구 비중이 가장 높고, 강원·충북 등 12개 시도에서 40%를 넘을 전망
|
□ (전국)
ㅇ 2022년 가구원수별 가구 비중은 1인가구(739만 가구, 34.1%)가 가장 높고, 2인가구(620만 가구, 28.6%), 3인가구(418만 가구, 19.3%), 4인가구(306만 가구, 14.1%) 순임
ㅇ 2052년까지 1인 및 2인가구가 연평균 각각 7만 4천 가구, 6만 9천 가구씩 증가하면서, 1~2인 가구가 전체가구의 76.8%를 차지할 전망
□ (시도)
ㅇ 2022년 모든 시도에서 1인가구 비중이 가장 높았고, 대전·서울 등 15개 시도에서 30%를 넘었음
ㅇ 2052년에도 모든 시도에서 1인가구 비중이 가장 높고, 강원·충북 등 12개 시도에서 40%를 넘을 전망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달청, 불공정 조달행위 22개사 부당이득 환수 (0) | 2024.12.13 |
---|---|
중소·소상공인 매출 확대와 나눔 실천의 장, 특별판매장 및 나눔바자회 열려 (0) | 2024.12.13 |
크리스마스 전에 미리 드리는 근로장려금 (0) | 2024.12.13 |
2025학년도 학자금 지원 가능 대학 및 학자금 지원 제한 대학 발표 (0) | 2024.12.13 |
조달청, '24년도 4분기 G-PASS 기업 65개사 신규지정 (0) | 2024.1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