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과기정통부, 2024년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17개교(일반 15개, 특화 2개) 선정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4. 5. 22.
반응형

과기정통부, 2024년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17개교(일반 15개, 특화 2개) 선정

2024.05.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기정통부, 2024년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17개교(일반 15개, 특화 2개) 선정
- 일반 분야(트랙)은 150억원(최장 8년간), 특화분야(트랙)는 55억원(최장 6년)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5월 23일 디지털 대전환 시대 소프트웨어 핵심인재를 양성하는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사업의 ’24년도 선정 결과를 발표하였다.

 

’15년에 시작된 SW중심대학은 산업체 수요기반SW교육과정 개편, SW전공 정원 확대, 비전공자 대상 SW융합교육 등을 통해 신기술 수요에 부합하는 SW 전문·융합인재 양성을 주도해왔으며, 지난해까지 9년간(’15~’23년) 48,969명의 SW전공인력34,287명의 융합인력을 배출하였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17개 대학(일반트랙* 15개, 특화트랙** 2개)선정하고 일반트랙 대학에는 각 10억원, 특화트랙에는 각 5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일반트랙) 입학정원 100명 이상, SW관련 학과 대학원 운영 필수

** (특화트랙) 재학생 수 1만명 미만 중소규모 대학, SW학과 정원 및 대학원 운영요건 없음

 

일반트랙은 올해 47개 대학이 신청하였으며(경쟁률 3.1:1), 그 중 건양대, 고려대(세종), 공주대, 단국대, 부경대, 서강대, 선문대, 세종대, 숭실대, 우송대, 울산대, 조선대, 한림대, 한성대, 한양대 에리카가 선정되었다.

 

특화트랙*은 올해 8개 대학이 신청하였고(경쟁률 4:1), 그 중 창원대, 한신대가 선정되었다.

* 대학이 지역 산업과 협력하여 SW융합 또는 SW산업 내 특화 분야(SW 테스팅, SW 안전 등) 교육체계를 마련하는 트랙으로 2021년 신설

 

SW중심대학은 최장 8년간의 지원을 받으며, 대학 내 SW·AI 교육뿐만 아니라, 초·중·고교생 대상의 SW 기초교육 지원, 고품질의 온라인 교육콘텐츠 개발·공유, 지역 기업과의 산학협력 등 대학별 특성에 맞는 다양한 사업을 운영할 계획이다.

 

【 ’24년 선정 대학 주요 추진방향 】

 
구분
대학명
총괄책임자
중점 추진방향
일반
트랙
건양대
김용석
‣ 오픈 이노베이션 기반 지역정주형 AX융합인재 양성
고려대(세종)
김희석
‣ 국가 디지털 혁신을 주도할 SW·AI융합교육 선도대학
공주대
임재현
‣ 미래 50년을 준비하는 지역혁신 SW선도대학
단국대
최종무
‣ 변화에 적응하며 사회에 공헌하는 실전형 SW·AI인재 양성
부경대
송하주
‣ 동남권 지역혁신 디지털허브 AI·SW융합인재 양성
서강대
박수용
‣ 창의역량을 갖춘 AI·SW융합인재 양성
선문대
이현
‣ THE FIRST AI·SW중심 글로컬 공동체 대학
세종대
송오영
‣ SW·AI역량을 갖춘 K-컬처 연계 전문융합인재 양성
숭실대
신용태
‣ 대전환시대, 혁신 생태계를 선도하는 창의인재 양성 대학
우송대
한태우
‣ 글로벌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K-SW인재 양성
울산대
김종면
‣ 울산 주력산업 DX혁신을 위한 SW전문인력 양성
조선대
변재영
‣ 지역혁신을 선도하는 소프트웨어 MVP인력 양성
한림대
김선정
‣ AI기반 창의융합 인재를 양성하는 SW중심대학
한성대
김남윤
‣ 산업주도의 신기술 SW·AI인재 양성 선도대학
한양대
(에리카)
LEE SCOTT UK JIN
‣ SW인재 1만 양성 및 경기서남권 SW가치확산 수혜인력 10만 달성
특화
트랙
창원대
유선진
‣ SW-DNA기반 창원국가산단 디지털 혁신 고급인재 양성
한신대
류승택
‣ AI·SW기반 디지털 라이프케어 융합산업 선도

 

과기정통부 송상훈 정보통신정책실장은“SW중심대학은 SW교육 혁신의 전진기지로 우수 SW인재를 육성하고, 지역사회·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SW중심대학이 인공지능 일상화 시대, SW·AI 신기술 분야를 선도하는 인재양성기술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SW중심대학 현황

□ 연도별 선정내역 ※ 노란 음영은 재선정 대학 21개

 
구분
1단계(4+2년)
2단계(4+2+2년) / (4+2년)
2015년
(종료)
2016년
(종료)
2017년
(종료)
2018년(종료)
2019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일반*
특화**
일반
특화
일반
특화
일반
특화
신청대학
40개교
31개교
38개교
27개교
23개교
27개교
17개교
39개교
36개교
46개교
55개교
28개교
11개교
26개교
10개교
36개교
10개교
47개교
8개교
경쟁률
5:1
5.2:1
6.3:1
5.4:1
4.6:1
5.4:1
3.4:1
4.0:1
5.5:1
3.7:1
5.0:1
3.3:1
5:1
3.1:1
4:1
규모
8개교
6개교
6개교
5개교
5개교
5개교
5개교
9개교
9개교
13개교
17개교
7개교
2개교
7개교
2개교
11개교
2개교
15개교
2개교
대학
가천대
고려대
경북대
서강대
세종대
성균관대
아주대
충남대








국민대
동국대
부산대
서울여대
KAIST
한양대










경희대
광운대
단국대
중앙대
조선대
한동대










강원대
건국대
숭실대
한림대
한양대
(에리카)










동명대
선문대
우송대
원광대
제주대











대가대
안동대
연세대
(미래)
이화여대
충북대










동서대
배재대
상명대
한국외대
호서대











가천대
경기대
경북대
성균관대
순천향대
전남대
충남대









한국항공대
삼육대














국민대
숙명여대
아주대
인하대
전북대
KAIST
한밭대









경운대
인제대














군산대
동국대
영남대
한동대
경남대
순천대
부산대
경희대
동아대
연세대
고려대





한라대
신한대














건양대
고려대(세종)
공주대
단국대
부경대
서강대
선문대
세종대
숭실대
우송대
울산대
조선대
한림대
한성대
한양대
(에리카)
창원대
한신대














* 일반트랙 : (신규) 최장 8년(4+2+2년) / (재선정) 최장 6년(2+2+2년) ** 특화트랙 : 최장 6년(4+2년)

 

□ 지역별 SW중심대학 현황

 

※ 수도권 대 지역 비율 : 24개(41.4%) VS 34개(58.6%)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