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특허 권리자 변동 정보를 한눈에!
2024.05.22 특허청
한·미·일 특허 권리자 변동 정보를 한눈에!
|
- 특허청, 한·미·일 특허 권리자 변동 정보 데이터 약 2,800만 건 개방 -
- 국내·외 국가·기업별 기술이전 및 기술개발 동향 파악 가능 -
- 지식재산 정보서비스 기업 방문, 데이터 이용 활성화 위한 간담회 개최(5.22) -
|
특허청은 국민과 기업들의 국내·외 특허정보 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5. 22.(수)부터 특허정보활용서비스(KIPRISPlus, plus.kipris.or.kr)를 통하여 한국, 미국, 일본의 특허 권리자 변동 정보 데이터 총 2,800만 건을 개방한다고 밝혔다.
특허정보활용서비스(KIPRISPlus, plus.kipris.or.kr)는 특허청이 운영하는 공공데이터 개방플랫폼으로서, 국내·외 13개국 산업재산권(특허·상표·디자인) 공보와 특허 행정정보 등으로 구성된 총 120종의 데이터 상품을 파일 또는 공개에이피아이)API*(OpenAPI) 형태로 개방하고 있다. [붙임 1]
* 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표준화하여 구축된 데이터를 누구나 다양한 정보서비스 개발 등을 위해 실시간으로 호출하여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공개 인터페이스
<한·미·일 특허 권리자 변동 정보 데이터 약 2,800만 건 개방>
이번에 개방하는 권리자 변동 정보는 국내·외 특허 데이터에서 권리자 변동 이력과 최종 권리자 정보를 추출하고 표준에 맞춰 구축한 정보자료뭉치(데이터베이스)다. [붙임 2]
기존에는 최종 권리자 정보만 제공되어 사용자들이 권리자 변경이력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번 데이터 개방을 통해 특허의 국내·외 거래 등 이전 및 기술 개발 동향을 쉽게 분석·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허청은 개방 수요가 높은 중국특허공보에 대한 국문번역문 데이터와 한국형 혁신분류체계 분류코드*(KPC) 데이터도 각각 올해 7월과 10월에 개방할 예정이다.
* 특허분류 검색의 효율성 및 정확성 제고 등을 목적으로 ’22년 도입한 자체 특허분류체계
<지식재산 정보서비스 기업 방문, 지식재산 데이터 이용 활성화 위한 간담회 개최>
특허청 이인수 산업재산정보국장은 5. 22.(수) 14시 지식재산 정보서비스 기업인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 코리아*(Clarivate Analytics Korea, 서울시 중구)를 방문해 지식재산 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현장소통 간담회를 개최한다. [붙임 3]
* IP 정보조사, 분석, 보호, 권리보장, 관리, 상업화 등 IP 분야 솔루션 제공 기업
이번 현장 방문은 특허정보를 이용하는 기업들의 서비스 개발 현황 및 불편사항을 청취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논의 사항은 향후 특허데이터 구축 및 개방 정책 수립 시 검토·반영할 예정이다.
특허청 이인수 산업재산정보국장은 “글로벌 인공지능(AI) 경쟁시대에 국가 경쟁력은 인공지능(AI)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학습용 데이터를 얼마나 다양하고 방대하게 확보하느냐에 달려있다”며 “특허청은 앞으로도 데이터 활용 기업 등 이용자들의 수요와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데이터 개방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붙임 : 1. 특허정보활용서비스 개요
2. 권리자 변경이력 정보 개요
3. 방문기업(클래리베이트애널리틱스, Clarivate Analytics) 개요
※ 방문 사진은 행사 후 배포 예정
붙임 1
|
|
특허정보활용서비스(KIPRISPlus) 개요
|

□ 서비스 소개
ㅇ 특허청이 개방 중인 모든 IP 정보를 실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①벌크 데이터, ②Open API 방식의 정보제공 서비스
□ 데이터 제공 형태
ㅇ (벌크데이터) IP 정보를 대용량으로 일괄 제공하는 방식
ㅇ (Open API) 특허청 DB의 IP 정보를 네트워크 연계 기반으로 자체 DB 구축 없이 이용하는 방식
※ ’23년 국내 공보, 행정, 부가 정보(9.3억 건), 해외 공보, 부가 정보(1.5억 건) 제공
□ 활용 분야
구분
|
활용 기관
|
활용 목적
|
IP관리
|
특허법인, IP 관리기업, R&D 연구소
|
IP 고객관리 및 성과 관리에 활용
|
IP금융
|
은행, 신용보증기관, 금융 공사
|
기술 담보의 여신 및 금융심사에 활용
|
IP평가
|
기술 평가 전문기관, 평가 연구기관
|
(유망) 기술 평가 측정에 활용
|
IP거래
|
IP 거래 전문기관, 대학
|
권리 거래를 위한 중개에 활용
|
IP서비스
|
IP 번역기업, IP 정보서비스기업
|
번역 엔진 성능 향상에 활용, 신규 서비스 창출에 활용
|
붙임 2
|
|
권리자 변경이력 정보 개요
|
국내 권리자 변경이력 정보
|
|||
국내 등록 데이터에서 권리자 변경이력 정보를 추출, 가공하여 구축한 변경/최종 권리 정보
|
|||
메타
정보
|
분류체계
|
국내 IP데이터 > 행정정보 > 등록정보
|
|
제공기관
|
특허청
|
||
업데이트주기
|
매일
|
||
상품개시일
|
2024년 5월
|
||
태그
|
변동정보, 권리변경이력, 권리자
|
||
세부
정보
|
서비스유형
|
벌크데이터, API
|
|
데이터 제공기간
|
1979년 ~ 현재
|
||
데이터 건수
|
3,585,615건(2023.12.31. 기준)
|
||
데이터 제공방식
|
TXT, API
|
||
데이터세부사항
|
국내 권리자 변경이력 정보
|
미국 권리자 변경이력 정보
|
|||
USPTO에서 제공하는 특허 소유권(Patnet Assignment) 데이터에서 권리자 변경이력
정보를 추출, 가공하여 구축한 변경/최종 권리 정보
|
|||
메타
정보
|
분류체계
|
해외 IP데이터 > 미국
|
|
제공기관
|
특허청
|
||
업데이트주기
|
매월
|
||
상품개시일
|
2024년 5월
|
||
태그
|
변동정보, 권리변경이력, 권리자, 미국
|
||
세부
정보
|
서비스유형
|
벌크데이터
|
|
데이터 제공기간
|
1980년 ~ 현재
|
||
데이터 건수
|
16,994,276건(2023.12.31. 기준)
|
||
데이터 제공방식
|
TXT
|
||
데이터세부사항
|
미국 권리자 변경이력 정보
|
일본 권리자 변경이력 정보
|
|||
일본정리표준화(Standardized data) 데이터에서 권리자 변경이력 정보를 추출, 가공하여
구축한 변경/최종 권리 정보
|
|||
메타
정보
|
분류체계
|
해외 IP데이터 > 일본
|
|
제공기관
|
특허청
|
||
업데이트주기
|
매월
|
||
상품개시일
|
2024년 5월
|
||
태그
|
변동정보, 권리변경이력, 권리자, 일본
|
||
세부
정보
|
서비스유형
|
벌크데이터
|
|
데이터 제공기간
|
1967년 ~ 현재
|
||
데이터 건수
|
7,247,516(2023.12.31. 기준)
|
||
데이터 제공방식
|
TXT
|
||
데이터세부사항
|
일본 권리자 변경이력 정보
|
붙임 3
|
|
방문기업(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 Clarivate Analytics) 개요
|
□ 기업 개요
o 2016년 톰슨로이터(Thomson Reuiter)의 지적재산사업부가 독립하여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Clarivate Analytics) 설립
o 최근 10여 년간 삼성, LG,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다수의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IP 조사분석 서비스를 포함한 컨설팅 업무 수행
|
□ 비즈니스 모델
ㅇ 지난 50여년 동안 전세계 190개국 이상의 국가에서 IP5를 비롯한 4만 5천여 고객에게 산업재산권 분야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 IP 정보조사, 분석, 보호, 권리보장, 관리, 상업화 등 IP 분야 전반의 솔루션 제공
ㅇ 특장점은 방대한 전 세계의 특허 문헌을 전문가 관점에서 일관성과 객관성이 확보되도록 재해석‧구축한 특허 데이터베이스(Derwent DB)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차·수소 협력 동반자, 일본 도레이 사(社) 5,000억 원 투자계획 발표 (0) | 2024.05.22 |
---|---|
과기정통부, 2024년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17개교(일반 15개, 특화 2개) 선정 (0) | 2024.05.22 |
대량문자 전송자격인증제 사전 설명회 개최 (0) | 2024.05.22 |
정부기관 최초 AI상담 운영으로 상담률 98% 달성 (0) | 2024.05.22 |
청년도약계좌 운영 점검회의 개최 (0) | 2024.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