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2023년 농림어업조사 결과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4. 4. 20.
반응형

2023년 농림어업조사 결과

2024.04.18 통계청

2023년 농림어업조사 결과

 

 

 

 

 

 

 

2023년 농림어업조사 결과(요약)

 

농림어가 및 인구
2023년 농가는 999천 가구, 어가는 42천 가구, 임가는 99천 가구임

 

2023. 12. 1. 현재 우리나라 농가는 999천 가구, 어가는 42천 가구(내수면 제외), 임가는 99천 가구임 (6, 18, 26)

- 전년대비 농가(-2.3%), 어가(-1.8%), 임가(-1.4%) 모두 감소

농림어가 규모 (2022년-2023년)
인구는 농가 2089천 명, 어가 87천 명(내수면 제외), 임가 204천 명임
(6, 18, 26)

- 전년대비 농가(-3.5%), 어가(-4.1%), 임가 (-2.7%) 모두 감소


농림어가 인구 규모 (2022년-2023년)

 

농림어가의 주된 가구유형은 2인 가구이며, 고령인구 비율은 지속 증가

 

농림어가의 주된 가구유형은 2인 가구임
(8, 20, 28)

- 2인 가구는 농가 57.5%, 어가 61.8%, 임가 60.3%

※ ’20년 인구주택총조사 2인 가구 비율 28.0%


가구유형 비율 (2022년-2023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농가 52.6%, 어가 48.0%, 임가 52.8% (10, 22, 29)

※ ’23년 우리나라 고령인구 비율 18.2%
(장래인구추계, 통계청)

고령인구 비율 (2022년-2023년)

 

 

농업 부문

 

농가가 많은 시도는 경북(166천 가구), 전남, 경남 순임

 

❍ 시도별 농가 규모는 경북 166천 가구(전체 농가의 16.6%), 전남 145천 가구, 경남 116천 가구 순임 (7)

- 전년대비 농가 감소율이 높은 시도는
특·광역시(-5.1%), 경기도(-4.0%), 경남(-2.8%)



시도별 농가 규모 (2022년-2023년)

 

전체 농가의 56.4%는 전업(專業)농가, 43.6%는 겸업(兼業)농가임

 

❍ 전업농가는 564천 가구(전체 농가의 56.4%), 겸업농가(1+2)435천 가구(43.6%)(11)

- 전년대비 전업농가 비율은 2.2%p 감소한 반면, 겸업농가 비율은 2.2%p 증가


전·겸업별 농가 구성비 (2022년-2023년)

 

경지규모 1.0ha 미만이 734천 가구로 전체 농가의 73.5%

 

❍ 경지규모 1.0ha 미만 농가는 734천 가구(전체 농가의 73.5%), 3.0ha 이상 농가는 74천 가구(전체 농가의 7.4%) (13)

- 경지규모 5.0ha 이상은 35천 가구(전체 농가의 3.5%)


경지 규모별 농가 (2022년-2023년)
경영형태별 농가는 논벼(384천 가구), 채소‧산나물, 과수 순임

 

 

❍ 경영형태별 농가는 논벼 384천 가구(전체 농가의 38.4%), 채소·산나물 221천 가구, 과수 166천 가구임 (14)

- 전년대비 식량작물(-7.4%), 약용작물(-4.1%), 화초·관상작물(-3.7%) 순으로 감소

경영형태별 농가 구성비 (2022년-2023년)
❍ 경영형태별 시도 분포를 보면, 논벼는 전남(17.6%), 채소·산나물은 전남(16.0%), 과수는 경북(30.0%)에서 가장 많았음 (15)

- 식량작물은 경기(14.2%), 축산은 경북(18.4%)에서 가장 많았음

 

농축산물 판매금액 1억 이상 농가는 전체 농가의 4.2%

 

 

❍ 농축산물 판매금액이 1천만 원 미만 농가는 전체 농가의 64.5%이고, 1억 이상인 농가는 4.2%(17)

- 전년대비 판매금액 1천만 원 미만 농가비율은 0.6%p 감소, 1억 원 이상인 농가 비율은 0.4%p 증가


판매금액별 농가 구성비 (2022년-2023년)

 

농축산물 판매처는 농협․농업법인이 전체 농가의 35.5%로 가장 많았음

 

❍ 농축산물 판매처는 농협·농업법인이 전체 농가의 35.5%로 가장 많았고, 소비자 직접판매 30.9%, 수집상 7.1% 순임 (17)

- 전년대비 농축산물가공업체는 4.2%, 농협·농업법인은 2.8% 증가


판매처별 농가 구성비 (2022년-2023년)

 

어업 부문(해수면)

 

어가가 많은 시도는 전남(16천 가구), 경남, 충남 순임

 

❍ 시도별 어가 규모는 전남 16천 가구(전체 어가의 37.9%), 경남 67백 가구, 충남 63백 가구(15.2%) 순임 (19)

- 전년대비 울산(3.7%), 전북(2.5%), 전남(0.6%)은 증가하였으나, 경북(-6.5%), 강원(-6.0%), 부산(-5.5%)은 감소

시도별 어가 규모 (2022년-2023년)

 

전체 어가의 39.9%는 전업(專業)어가, 60.1%는 겸업(兼業)어가임

 

❍ 전업어가는 17천 가구(전체 어가의 39.9%), 겸업어가는 25천 가구(60.1%)(23)

- 전년대비 전업어가 비율은 4.1%p 감소하였으나, 겸업어가 비율은 4.1%p 증가


·겸업별 어가 구성비 (2022년-2023년)

 

양식업 어가와 어로어업 어가 모두 감소함

 

❍ 경영형태별로는 양식업 11천 가구(26.2%), 어로어업 31천 가구(73.8%)(24)

- 전년대비 양식업 어가는 2.1%, 어로어업 어가는 1.7% 감소


경영형태별 어가 규모 (2022년-2023년)
❍ 어선보유 어가는 25천 가구(전체 어가의 58.8%), 전년대비 4.7% 감소함 (24)

 

임업 부문

 

임가가 많은 시도는 경북(2만 가구), 경남, 전남 순임

 

❍ 시도별 임가 규모는 경북이 2만 가구(전체 임가의 20.6%), 경남(16천 가구), 전남(15천 가구) 순임 (27)

- 전년대비 경기(-12.0%), 특·광역시(-9.6%), 제주(-6.6%)는 감소하였으나, 충남(4.5%), 전북(3.7%)은 증가

시도별 임가 규모 (2022년-2023년)

 

전체 임가 중 재배임업만 경영하는 가구는 80.9%

 

❍ 재배임업만 경영은 8만 가구(전체 임가의 80.9%), 비재배임업만 경영은 6천 가구(5.7%), 재배 및 비재배임업 경영은 13천 가구(13.4%)(30)

- 전년대비 재배임업만 경영(-4.2%) 및 비재배임업만 경영(-8.8%)은 감소하였으나, 재배 및 비재배임업 경영(25.1%) 증가

경영형태별 임가 구성비(2022년-2023년)

 

 

재배임업 임가가 많이 재배하는 품목은 산나물, 떫은감, 관상작물 순임

 

❍ 임산물을 재배하는 임가는 94천 가구로 전년대비 0.9% 감소함 (32)

- 산나물 재배임가(32천 가구)가 가장 많았고, 떫은감(26천 가구), 관상작물(16천 가구)

임산물 재배품목별 임가 (2022년-2023년)

 

2023년 농림어업조사 결과

 

1. 농업 부문

 

가. 농가 규모 및 분포

2023121일 현재, 농가는 999천 가구, 농가인구는 2089천 명임

 

❍ 2023. 12. 1. 현재, 고령에 따른 농업 포기, 전업(轉業) 등으로 전년대비 농가는 2만 4천 가구(-2.3%) 감소, 농가인구는 7만 7천 명(-3.5%) 감소함

 

- 농가 비율은 총가구의 4.6%로 전년대비 0.2%p 감소, 농가인구 비율은 총인구의 4.0%로 전년대비 0.2%p 감소

 

❍ 농가인구 중 남자는 102만 5천 명, 여자는 106만 4천 명으로 성비는 96.3임

 

<표 1-1> 농가 및 농가인구(2019년~2023년)

(단위: 천 가구, 천명, %, %p)

2019
2020
2021
2022(A)
2023(B)
증 감
(C=B-A)
증 감 률
(C/A×100)
농 가
1,007
1,035
1,031
1,023
999
-23.8
-2.3
 
농가 비율(%)*
5.0
5.0
4.8
4.7
4.6
-0.2
-
농 가 인 구
2,245
2,314
2,215
2,166
2,089
-76.8
-3.5

남 자
1,100
1,153
1,100
1,069
1,025
-44.5
-4.2

여 자
1,145
1,161
1,115
1,096
1,064
-32.3
-2.9

성 비
96.1
99.4
98.6
97.5
96.3
-1.2
-
 
농가인구 비율(%)*
4.3
4.5
4.3
4.2
4.0
-0.2
-

* 총가구 및 총인구에 대한 농가, 농가 인구의 비율

<그림 1-1> 연도별 농가 추이(2019년~2023년)


 

농가가 가장 많은 시도는 경북(166천 가구), 전남, 경남 순이고 시군구는 제주시(17천 가구), 청주시, 상주시 순임

 

❍ 시도별 농가 규모는 경북 16만 6천 가구(전체 농가의 16.6%), 전남 14만 5천 가구(14.5%), 경남 11만 6천 가구(11.6%) 순임

 

- 전년대비 특·광역시(-5.1%), 경기(-4.0%), 경남(-2.8%), 충북(-2.8%), 경북(-2.1%) 순으로 감소

 

<표 1-2> 시도별 농가 규모(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

2022(A)
2023(B)
증 감
(C=B-A)
증 감 률
(C/A×100)
 
구성비
 
구성비
전 국
1,023
100.0
999
100
-23.8
-2.3
특·광역시*
96
9.4
91
9.1
-4.9
-5.1
경 기
114
11.2
110
11.0
-4.6
-4.0
강 원
67
6.5
66
6.6
-1.2
-1.9
충 북
72
7.0
70
7.0
-2.0
-2.8
충 남
117
11.5
116
11.6
-1.5
-1.3
전 북
90
8.8
90
9.0
-0.5
-0.5
전 남
147
14.4
145
14.5
-2.1
-1.4
경 북
170
16.6
166
16.6
-3.5
-2.1
경 남
120
11.7
116
11.6
-3.3
-2.8
제 주
30
3.0
30
3.0
-0.1
-0.3

* 세종특별자치시 포함

 

❍ 농가가 많은 시군구는 제주 제주시(1만 7천 가구), 충북 청주시(1만 6천 가구), 경북 상주시(1만 4천 가구) 순임

 

<표 1-3> 농가 규모 상위 5개 시군 현황(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순 위
시군구
2022년
2023년
시군구
2022년
2023년
1
충북 청주시
17.5
16.0
제주 제주시
17.1
17.2
2
제주 제주시
17.1
17.2
충북 청주시
17.5
16.0
3
경남 창원시
13.9
13.2
경북 상주시
13.6
13.7
4
경북 상주시
13.6
13.7
제주 서귀포시
13.4
13.2
5
경북 포항시
13.6
13.0
경남 창원시
13.9
13.2

 

나. 농가 구조

 

□ 가 구

 

가구원수별로는 2인 가구가 전체 농가의 57.5%로 가장 많았음

 

❍ 2023. 12. 1. 현재, 농가는 2인 가구가 57만 4천 가구(전체 농가의 57.5%)로 가장 많았고, 1인 가구 22만 6천 가구(22.6%), 3인 가구 11만 9천 가구(11.9%) 순임

 

- 전년대비 1인 가구(1.7%)는 증가하였으나, 5인 이상 가구(-9.7%), 4인 가구(-9.6%) 등 나머지 가구 유형에서는 감소

 

<표 1-4> 가구원수별 농가(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
 
1인
2인
3인
4인
5인 이상
2022
1,023
222
588
124
58
30
(100.0)
(21.7)
(57.5)
(12.1)
(5.7)
(3.0)
2023
999
226
574
119
53
27
(100.0)
(22.6)
(57.5)
(11.9)
(5.3)
(2.7)
증 감
-23.8
3.7
-14.2
-4.9
-5.6
-2.9
증감률
-2.3
1.7
-2.4
-3.9
-9.6
-9.7

 

<그림 1-2> 가구원수별 농가 비율(2022년~2023년)


 

경영주 연령은 70세 이상이 전체 농가의 47.8%로 가장 많았음

 

❍ 경영주는 연령별로는 70세 이상이 47만 7천 가구(전체 농가의 47.8%)로 가장 많았고, 60대는 34만 2천 가구(34.2%), 50대는 14만 1천 가구(14.2%) 순임

 

- 전년대비 70세 이상(2.6%) 경영주는 증가하였으나, 40세 미만(-22.7%), 40대(-20.9%) 등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감소

 

<표 1-5> 경영주 연령별 농가(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

40세 미만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2022
1,023
7
42
158
351
465
(100.0)
(0.7)
(4.1)
(15.5)
(34.3)
(45.5)

남 자
828
6
37
141
303
341
(100.0)
(0.7)
(4.5)
(17.0)
(36.5)
(41.2)
 
여 자
194
1
4
17
48
124
(100.0)
(0.4)
(2.2)
(8.9)
(24.8)
(63.7)
2023
999
5
33
141
342
477
(100.0)
(0.5)
(3.3)
(14.2)
(34.2)
(47.8)

남 자
803
5
30
126
297
345
(100.0)
(0.6)
(3.7)
(15.7)
(36.9)
(43.0)
 
여 자
196
0
3
15
45
132
(100.0)
(0.2)
(1.6)
(7.7)
(23.1)
(67.3)
증 감
-23.8
-1.6
-8.7
-16.7
-8.8
12.1
증감률
-2.3
-22.7
-20.9
-10.6
-2.5
2.6

* ’23년 65세 이상 경영주는 농가 664천 가구(전체 농가의 66.4%) 전년대비 17천 가구(2.7%) 증가

 

❍ 경영주의 농업경력이 20년 이상인 농가는 71만 8천 가구(전체 농가의 71.9%)이며, 5년 미만인 농가는 3만 1천 가구(3.1%)임

 

- 전년대비 농업경력이 20년 이상인 경영주 비율은 1.2%p 증가

 

<표 1-6> 경영주 농업경력별 농가(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년, %)
 
5년 미만
5~10년
10~15년
15~20년
20년 이상
2022
1,023
41
94
109
56
723
(100.0)
(4.0)
(9.2)
(10.6)
(5.4)
(70.7)
2023
999
31
87
103
60
718
(100.0)
(3.1)
(8.7)
(10.3)
(6.0)
(71.9)
증 감
-23.8
-10.1
-7.2
-5.6
4.2
-5.1
증감률
-2.3
-24.9
-7.6
-5.1
7.5
-0.7

 

□ 인 구

 

연령별 농가인구는 70세 이상이 전체 농가인구의 36.7%로 가장 많았음

 

❍ 연령별 농가인구는 70세 이상이 76만 7천 명(전체 농가인구의 36.7%)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64만 명, 50대 31만 2천 명 순임

 

- 전년대비 70세 이상(1.6%)은 증가하였으나, 10세 미만(-18.5%), 40대(-13.1%), 20대(-12.1%) 등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감소

 

<표 1-7> 연령별 농가인구(2022년~2023년)

(단위: 천 명, %)
 
10세 미만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2022
2,166
35
82
90
76
132
342
653
756
(100.0)
(1.6)
(3.8)
(4.2)
(3.5)
(6.1)
(15.8)
(30.2)
(34.9)

남 자
1,069
18
43
50
43
68
163
319
365
(100.0)
(1.7)
(4.1)
(4.7)
(4.0)
(6.4)
(15.3)
(29.8)
(34.1)
 
여 자
1,096
17
39
40
34
64
179
334
391
(100.0)
(1.5)
(3.5)
(3.6)
(3.1)
(5.8)
(16.3)
(30.5)
(35.6)
2023
2,089
28
78
79
69
115
312
640
767
(100.0)
(1.4)
(3.7)
(3.8)
(3.3)
(5.5)
(14.9)
(30.7)
(36.7)

남 자
1,025
14
41
44
39
59
149
311
367
(100.0)
(1.4)
(4.0)
(4.3)
(3.8)
(5.8)
(14.6)
(30.3)
(35.8)
 
여 자
1,064
14
37
35
30
56
163
330
400
(100.0)
(1.3)
(3.5)
(3.3)
(2.8)
(5.2)
(15.3)
(31.0)
(37.6)
증 감
-76.8
-6.4
-4.2
-10.9
-7.2
-17.3
-29.8
-12.8
11.8
증감률
-3.5
-18.5
-5.1
-12.1
-9.4
-13.1
-8.7
-2.0
1.6

 

❍ 농가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율은 52.6%로 전년대비 2.8%p 증가함

 

<표 1-8> 농가인구의 고령인구 비율(2022년~2023년)

(단위: 천 명, %, %p)

2022(A)
2023(B)
증 감
(C=B-A)
증 감 률
(C/A×100)
농 가 인 구
2,166
2,089
-77
-3.5

65세 이상
1,078
1,099
21
1.9
농가 고령인구 비율
49.8
52.6
2.8
-
우리나라 고령인구 비율
17.4
18.2
0.9
-
* 고령인구 비율: (65세 이상 인구 ÷ 총인구) × 100

 

다. 농업 경영

 

□ 전․겸업

 

전체 농가의 56.4%는 전업(專業)농가, 43.6%는 겸업(兼業)농가임

 

❍ 2023. 12. 1. 현재, 전업농가는 56만 4천 가구(전체 농가의 56.4%), 겸업농가는 43만 5천 가구(43.6%)임

 

- 전년대비 전업농가 비율은 -2.2%p 감소(58.6%→56.4%)

- 전년대비 1종 겸업농가 비율은 1.1%p 증가(9.2%→10.3%)

2종 겸업농가 비율은 1.1%p 증가(32.2%→33.2%)

 

<표 1-9> 전ㆍ겸업별 농가(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
 
전 업
겸 업
 
 
1종
2종
2022
1,023
599
423
94
329
(100.0)
(58.6)
(41.4)
(9.2)
(32.2)
2023
999
564
435
103
332
(100.0)
(56.4)
(43.6)
(10.3)
(33.2)
증 감
-23.8
-35.7
11.9
9.1
2.9
증감률
-2.3
-6.0
2.8
9.6
0.9

* 1종 겸업: 농업수입 ≥ 농업외수입, 2종 겸업: 농업수입 < 농업외수입

 

<그림 1-3> 전 ․ 겸업별 농가 구성비(2022년~2023년)


 

전업농가가 많은 시도는 경북(109천 가구), 전남, 충남 순임

 

❍ 시도별 전업농가는 경북 10만 9천 가구, 전남 8만 7천 가구, 충남 7만 1천 가구, 경남 6만 6천 가구 순임

 

- 전업농가 비율은 경북(65.7%), 충남(61.0%), 전남(60.0%), 경남(57.0%) 순

 

- 겸업농가 비율은 강원(54.3%), 특·광역시(51.9%), 제주(51.9%) 순

 

<표 1-10> 시도별 전 ․ 겸업 농가(2023년)

(단위: 천 가구, %)
 
전 업
겸 업
 
1종
2종
전 국
999
564
435
103
332
(100.0)
(56.4)
(43.6)
(10.3)
(33.2)
특·광역시*
91
44
47
4
44
(100.0)
(48.1)
(51.9)
(4.0)
(47.9)
경 기
110
53
57
7
49
(100.0)
(48.5)
(51.5)
(6.5)
(45.0)
강 원
66
30
36
8
27
(100.0)
(45.7)
(54.3)
(12.6)
(41.7)
충 북
70
40
30
6
24
(100.0)
(56.9)
(43.1)
(8.2)
(34.8)
충 남
116
71
45
12
33
(100.0)
(61.0)
(39.0)
(10.2)
(28.7)
전 북
90
50
40
15
25
(100.0)
(55.3)
(44.7)
(16.9)
(27.9)
전 남
145
87
58
20
38
(100.0)
(60.0)
(40.0)
(14.0)
(26.1)
경 북
166
109
57
15
42
(100.0)
(65.7)
(34.3)
(9.0)
(25.3)
경 남
116
66
50
11
39
(100.0)
(57.0)
(43.0)
(9.8)
(33.2)
제 주
30
15
16
5
11
(100.0)
(48.1)
(51.9)
(16.6)
(35.3)

* 세종특별자치시 포함

 

□ 경지규모

 

경지규모 1.0ha 미만이 734천 가구로 전체 농가의 73.5%

 

❍ 경지규모 0.5ha 미만 농가는 52만 2천 가구(전체 농가의 52.2%), 0.5~1.0ha 미만 농가는 21만 3천 가구(21.3%), 1.0~2.0ha 미만 농가는 13만 8천 가구(13.8%) 순임

 

- 경지규모 1.0ha 미만 농가는 73만 4천 가구(전체 농가의 73.5%), 3.0ha 이상 농가는 7만 4천 가구(7.4%). 경지규모 5.0ha 이상은 3만 5천 가구(3.5%) 순

 

<표 1-11> 경지규모별 농가(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
 
경지없는
농 가
경 지 있 는 농 가
소 계
0.5ha 미만
0.5~1.0
1.0~2.0
2.0~3.0
3.0~5.0
5.0ha 이상
2022
1,023
7
1,016
534
218
144
47
39
35
(100.0)
(0.7)
(99.3)
(52.2)
(21.3)
(14.1)
(4.6)
(3.8)
(3.4)
2023
999
6
993
522
213
138
46
39
35
(100.0)
(0.6)
(99.4)
(52.2)
(21.3)
(13.8)
(4.6)
(3.9)
(3.5)
증 감
-23.8
-0.7
-23.1
-11.9
-5.0
-5.7
-0.6
-0.2
0.3
증감률
-2.3
-9.3
-2.3
-2.2
-2.3
-4.0
-1.4
-0.4
0.8

 

□ 시설재배

 

시설재배 농가는 14만 가구이며 자동화시설 설치 농가는 33천 가구임

 

❍ 시설 종류별 자동화 비율은 비닐하우스(연동) 62.4%, 유리온실 58.4%, 버섯재배사 34.0% 순임

 

<표 1-12> 시설재배 농가 중 자동화시설 설치 농가(2023년)

 

(단위: 천 가구, %)

자동화시설 설치 농가
비닐하우스
(단동)
비닐하우스
(연동)
유리온실
육묘장
버섯
재배사
기타
2023
시설 설치 농가(A)
140.1
102.7
24.8
0.2
14.7
2.5
0.6

자동화시설
설치 농가(B)
3.3
18.1
15.5
0.1
0.4
0.8
0.1

자동화 비율 (B/A)
23.6
17.6
62.4
58.4
3.0
34.0
8.5

* 자동화시설: ICT(정보통신기술)를 농가시설에 접목하여 스마트폰, PC 등을 통해 원격 또는 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관리하는 시설(제어패널, 복합제어기 등)

* 2종류 이상의 중복 응답 가구가 있어 표 내의 합계는 일치하지 않음

 

❍ 시설 가온 방식별 농가 비율은 등유 59.1%, 전기 29.7%, 경유 7.7% 순임

 

<표 1-13> 시설 가온방식별 농가(2023년)

 

(단위: 천 가구, %)

시설 가온 농가
경유
등유
중유
가스
전기
지열
공기열
석탄
기타
2023
41.1
3.2
24.3
1.2
1.0
12.2
1.8
2.7
0.3
1.1
(100.0)
(7.7)
(59.1)
(2.8)
(2.4)
(29.7)
(4.5)
(6.6)
(0.7)
(2.6)

* 2종류 이상의 중복 응답 가구가 있어 표 내의 합계는 일치하지 않음

 

❍ 에너지절감시설별 농가 비율은 보온커튼 69.3%, 비순환 수막시설 26.9%, 순환수막시설 14.6% 순임

 

<표 1-14> 에너지절감시설 설치 농가(2023년)

 

(단위: 천 가구, %)

에너지절감시설 설치 농가
보온커튼
알루미늄
스크린
배기열
회수장치
열회수형
환기장치
수막시설
(순환식)
수막시설
(비순환)
기타
2023
44.0
30.2
1.5
1.2
5.1
6.3
11.7
0.7
(100.0)
(69.3)
(3.5)
(2.9)
(11.7)
(14.6)
(26.9)
(1.5)

* 2종류 이상의 중복 응답 가구가 있어 표 내의 합계는 일치하지 않음

 

□ 경영형태

 

경영형태별 농가는 논벼(384천 가구), 채소‧산나물, 과수 순임

 

❍ 경영형태별 농가 비율은 논벼 38.4%, 채소·산나물 22.1%, 과수 16.6% 순임

 

- 전년대비 기타작물(5.9%)은 증가하였으나, 식량작물(-7.4%), 약용작물(-4.1%), 화초·관상작물(-3.7%) 등 나머지 경영형태에서는 모두 감소

 

<표 1-15> 경영형태별 농가(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

논 벼
식량작물
채 소
산나물
특용작물
버 섯
과 수
약용작물
화 초
관상작물
기타작물
축 산
2022
1,023
391
98
223
69
171
7
13
4
46
(100.0)
(38.2)
(9.6)
(21.8)
(6.8)
(16.7)
(0.7)
(1.3)
(0.4)
(4.5)
2023
999
384
91
221
69
166
7
12
5
45
(100.0)
(38.4)
(9.1)
(22.1)
(6.9)
(16.6)
(0.7)
(1.3)
(0.5)
(4.5)
증 감
-23.8
-7.6
-7.2
-2.4
-0.5
-4.5
-0.3
-0.5
0.3
-1.0
증감률
-2.3
-2.0
-7.4
-1.1
-0.7
-2.6
-4.1
-3.7
5.9
-2.2

 

❍ 경영형태별 시도별 농가 비율로 보면, 논벼는 전남(전체 논벼 농가의 17.6%), 채소·산나물은 전남(전체 채소·산나물 농가의 16.0%), 과수는 경북(전체 과수 농가의 30.0%)에서 가장 많았음

 

- 식량작물은 경기(전체 식량작물 농가의 14.2%), 특용작물·버섯은 경기(전체 특용작물·버섯 농가의 17.7%), 축산은 경북(전체 축산 농가의 18.4%)에서 가장 많았음

 

* 세종특별자치시 포함

 

□ 주요 과수재배 및 가축사육

 

과수재배 농가는 떫은감, 가축사육 농가는 한우가 가장 많았음

 

❍ 과수재배 농가는 떫은감(전체 농가 중 4.9%)이 가장 많았고, 사과(3.9%), 복숭아(3.6%), 단감(3.5%) 순임

 

- 전년대비 단감(4.4%) 재배 농가가 증가한 반면, 사과(-6.1%), 배(-5.7%) 등 나머지 과종 재배 농가에서는 감소

 

<표 1-17> 주요 과수별 재배농가(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
 
전 체
농 가
사 과
복숭아
단 감
포 도
감 귤
떫은감
2022
1,023
41
13
36
33
26
21
49
(100.0)
(4.0)
(1.3)
(3.5)
(3.3)
(2.6)
(2.1)
(4.8)
2023
999
39
12
36
35
26
21
49
(100.0)
(3.9)
(1.2)
(3.6)
(3.5)
(2.6)
(2.1)
(4.9)
증 감
-23.8
-2.5
-0.7
0.0
1.5
-0.4
-0.1
-0.7
증감률
-2.3
-6.1
-5.7
-0.1
4.4
-1.5
-0.5
-1.3

* 복수응답 항목

 

❍ 가축사육 농가는 한우(전체 농가 중 5.8%)가 가장 많았고, 닭(2.3%), 젖소(0.3%), 돼지(0.3%) 순임

- 전년대비 젖소 사육농가(5.7%)는 증가한 반면, 육우(젖소수컷) 사육농가(-27.8%), 닭(육계+산란계) 사육농가(-11.3)에서는 농가 규모 감소

 

<표 1-18> 주요 가축별 사육농가(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
 
전 체
농 가
한 우
육 우
(젖소수컷)
젖 소
돼 지
(육계+산란계)
오 리
2022
1,023
57
2
3
3
25
1
(100.0)
(5.6)
(0.1)
(0.3)
(0.3)
(2.4)
(0.1)
2023
999
57
1
3
3
23
1
(100.0)
(5.8)
(0.1)
(0.3)
(0.3)
(2.3)
(0.1)
증 감
-23.8
0.3
-0.4
0.2
0.0
-0.6
-0.8
증감률
-2.3
0.6
-27.8
5.7
0.9
-11.3
-4.0

* 복수응답 항목

 

□ 농축산물 판매

 

농축산물 판매금액 1억 원 이상 농가는 전체 농가의 4.2%

 

❍ 농축산물 판매금액이 1천만 원 미만 농가는 전체 농가의 64.5%이고, 1억 이상인 농가는 4.2%임

 

- 전년대비 판매금액 1천만 원 미만 농가비율은 0.6%p 감소, 1억 원 이상인 농가 비율은 0.4%p 증가

 

<표 1-19> 농축산물 판매금액 규모별 농가(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
 
판 매 금 액 규 모
120만원
미만
120만~1천
만원 미만
1천~3천만원
미만
3천~5천만원
미만
5천~7천만원
미만
7천~1억원
미만
1억~2억원
미만
2억원
이상
2022
1,023
185
481
193
65
37
23
25
13
(100.0)
(18.1)
(47.0)
(18.9)
(6.3)
(3.6)
(2.3)
(2.5)
(1.3)
2023
999
182
462
188
63
36
25
26
16
(100.0)
(18.2)
(46.3)
(18.8)
(6.3)
(3.6)
(2.5)
(2.6)
(1.6)
증 감
-23.8
-3.0
-18.9
-5.4
-1.3
-1.0
2.1
1.1
2.7
증감률
-2.3
-1.6
-3.9
-2.8
-2.0
-2.7
9.1
4.2
20.1

 

농축산물 판매처는 농협․농업법인이 전체 농가의 35.5%로 가장 많았음

 

❍ 농축산물 판매처는 농협·농업법인이 전체의 35.5%로 가장 많았고, 소비자 직접 판매 30.9%, 수집상 7.1%, 산지공판장 6.3% 순임

 

- 전년대비 농축산물 가공업체는 4.2%, 농협·농업법인은 2.8% 증가

 

 

2. 해수면어업 부문

가. 어가 규모 및 분포

 

2023121일 현재, 어가는 42천 가구, 어가인구는 87천 명임

 

❍ 2023. 12. 1. 현재, 전년대비 어가는 8백 가구(-1.8%) 감소하고, 어가인구는 3.7천 명(-4.1%) 감소함

- 어가 비율은 총가구의 0.2%, 어가인구 비율은 총인구의 0.2%임

 

❍ 어가인구 중 남자는 4만 3천 7백 명, 여자는 4만 3천 4백 명으로 성비는 100.8임

 

<표 2-1> 어가 및 어가인구(2019년~2023년)

 
(단위: 천 가구, 천 명, %, %p)

2019
2020
2021
2022(A)
2023(B)
증 감
(C=B-A)
증 감 률
(C/A×100)
어 가
50.9
43.1
43.3
42.5
41.8
-0.8
-1.8
 
어가 비율(%)*
0.3
0.2
0.2
0.2
0.2
0.0
-
어 가 인 구
113.9
97.1
93.8
90.8
87.1
-3.7
-4.1

남 자
56.3
49.7
47.1
45.6
43.7
-1.9
-4.1

여 자
57.6
47.3
46.7
45.2
43.4
-1.8
-4.0
성 비
97.9
105.1
100.7
100.8
100.8
0.0
-
 
어가인구 비율(%)*
0.2
0.2
0.2
0.2
0.2
0.0
-

* 총가구 및 총인구에 대한 어가, 어가 인구의 비율

 

<그림 2-1> 연도별 어가 추이(2019년~2023년)


 

어가가 많은 시도는 전남(16천 가구), 경남, 충남 순임

❍ 시도별 어가 규모는 전남 1만 6천 가구(전체 어가의 37.9%), 경남 7천 가구(16.1%), 충남 6천 가구(15.2%) 순임

 

- 전년대비 울산(3.7%), 전북(2.5%), 전남(0.6%)은 증가한 반면, 경북(-6.5%), 강원(-6.0%), 부산(-5.5%)은 감소

 

<표 2-2> 시도별 어가(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

2022(B)
2023(B)
증 감
(C=B-A)
증 감 률
(C/A×100)
 
구성비
 
구성비
전 국
42.5
100.0
41.8
100.0
-0.8
-1.8
부 산
1.6
3.7
1.5
3.6
-0.1
-5.5
인 천
1.5
3.5
1.4
3.5
0.0
-2.2
울 산
0.5
1.3
0.6
1.3
0.0
3.7
경 기
0.6
1.4
0.6
1.4
0.0
-3.4
강 원
1.6
3.8
1.5
3.7
-0.1
-6.0
충 남
6.4
15.1
6.3
15.2
-0.1
-1.4
전 북
2.6
6.0
2.6
6.3
0.1
2.5
전 남
15.7
37.0
15.8
37.9
0.1
0.6
경 북
2.0
4.8
1.9
4.6
-0.1
-6.5
경 남
7.1
16.7
6.7
16.1
-0.4
-5.4
제 주
2.8
6.7
2.8
6.6
-0.1
-3.3

 

<그림 2-2> 시도별 어가(2022년~2023년)


 

나. 어가 구조

 

□ 가 구

 

가구원수별로는 2인 가구가 전체 어가의 61.8%로 가장 많았음

❍ 2023. 12. 1. 현재, 어가는 2인 가구가 2만 5천 가구(전체 어가의 61.8%)로 가장 많았고, 1인 가구 8천 4백 가구(20.0%), 3인 가구 4천 8백 가구(11.6%) 순임

 

- 전년대비 1인 가구(5.7%)는 증가하였으나, 4인 가구(-21.1%), 5인 이상 가구(-10.6%), 3인 가구(-4.5%) 순으로 감소

 

<표 2-3> 가구원수별 어가(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
 
1인
2인
3인
4인
5인 이상
2022
42.5
7.9
26.2
5.1
2.0
1.3
(100.0)
(18.6)
(61.6)
(11.9)
(4.7)
(3.1)
2023
41.8
8.4
25.8
4.8
1.6
1.2
(100.0)
(20.0)
(61.8)
(11.6)
(3.8)
(2.8)
증 감
-0.8
0.5
-0.4
-0.2
-0.4
-0.1
증감률
-1.8
5.7
-1.6
-4.5
-21.1
-10.6

 

<그림 2-3> 가구원수별 어가 비율(2022년~2023년)


 

 

경영주 연령은 60대가 전체 어가의 39.0%로 가장 많았음

 

❍ 경영주 연령별로는 60대가 1만 6천 3백 가구(전체 어가의 39.0%)로 가장 많았고, 70세 이상 1만 6천 가구(38.2%), 50대 6천 3백 가구(15.2%) 순임

 

- 전년대비 70세 이상(3.1%) 경영주는 증가하였으나, 40세 미만(-22.0%), 40대(-14.4%), 50대(-6.8%) 순으로 감소

 

<표 2-4> 경영주 연령별 어가(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
 
40세 미만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2022
42.5
0.7
3.1
6.8
16.5
15.5
(100.0)
(1.6)
(7.3)
(16.0)
(38.7)
(36.4)
 
남 자
34.4
0.6
3
6.4
13.7
10.6
(100.0)
(1.9)
(8.8)
(18.5)
(39.9)
(30.9)
 
여 자
8.2
0.0
0.1
0.4
2.8
4.8
(100.0)
(0.5)
(1.4)
(5.3)
(33.6)
(59.2)
2023
41.8
0.5
2.7
6.3
16.3
16.0
(100.0)
(1.3)
(6.4)
(15.2)
(39.0)
(38.2)
 
남 자
33.3
0.5
2.6
6.0
13.5
10.7
(100.0)
(1.5)
(7.8)
(18.0)
(40.4)
(32.2)
 
여 자
8.4
0.0
0.1
0.3
2.8
5.2
(100.0)
(0.2)
(0.8)
(3.9)
(33.2)
(61.9)
증 감
-0.8
-0.1
-0.4
-0.5
-0.2
0.5
증감률
-1.8
-22.0
-14.4
-6.8
-1.1
3.1

 

 

<그림 2-4> 경영주 연령별 어가 비율(2022년~2023년)


 

□ 인 구

 

연령별 어가인구는 60대가 전체 어가인구의 35.5%로 가장 많았음

❍ 연령별 어가인구는 60대가 3만 1천 명(전체 어가인구의 35.5%)로 가장 많았고, 70세 이상 2만 6천 명(29.7%), 50대 1만 3천 가구(15.4%) 순임

 

- 전년대비 70세 이상(2.9%)은 증가한 반면, 60대 이하 모든 연령 구간에서는 감소

 

 

❍ 어가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율은 48.0%로 전년대비 3.7%p 증가함

 

<표 2-6> 어가인구의 고령인구 비율(2022년~2023년)

(단위: 천 명, %, %p)

2022(A)
2023(B)
증 감
(C=B-A)
증 감 률
(C/A×100)
어 가 인 구
90.8
87.1
-3.7
-4.1

65세 이상
40.2
41.8
1.6
4.1
어가 고령인구 비율
44.2
48.0
3.7
-
우리나라 고령인구 비율
17.4
18.2
0.9
-
* 고령인구 비율: (65세 이상 인구 ÷ 총인구) × 100

 

다. 어업 경영

 

□ 전․겸업

 

전체 어가의 39.9%는 전업(專業)어가, 60.1%는 겸업(兼業)어가임

 

❍ 2023. 12. 1. 현재, 전업어가는 1만 7천 가구(전체 어가의 39.9%), 겸업어가는 2만 5천 가구(60.1%)임

 

- 전년대비 전업어가 비율은 4.1%p 감소(44.1%→39.9%)

- 전년대비 1종 겸업어가 비율은 3.2%p 증가(26.6%→29.8%)

2종 겸업어가 비율은 0.9%p 중가(29.3%→30.2%)

 

<표 2-7> 전․ 겸업별 어가(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
 
전 업
겸 업
 
 
1종
2종
2022
42.5
18.7
23.8
11.3
12.5
(100.0)
(44.1)
(55.9)
(26.6)
(29.3)
2023
41.8
16.7
25.1
12.5
12.6
(100.0)
(39.9)
(60.1)
(29.8)
(30.2)
증 감
-0.8
-2.1
1.3
1.1
0.2
증감률
-1.8
-11.0
5.5
10.1
1.3

* 1종 겸업: 어업수입 ≥ 어업외수입, 2종 겸업: 어업수입 < 어업외수입

 

 

<그림 2-5> 전·겸업별 어가비율(2022년~2023년)


 

□ 경영형태

 

양식업 어가와 어로어업 어가 모두 감소함

 

❍ 경영형태별로는 양식업 1만 1천 가구(26.2%), 어로어업 3만 1천 가구(73.8%)임

 

- 전년대비 양식업 어가는 2.1% 감소, 어로어업 어가는 1.7% 감소

 

<표 2-8> 경영형태별 어가(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
 
양식업
어로어업
2022
42.5
11.2
31.4
(100.0)
(26.3)
(73.7)
2023
41.8
10.9
30.8
(100.0)
(26.2)
(73.8)
증 감
-0.8
-0.2
-0.5
증감률
-1.8
-2.1
-1.7

 

 

□ 어선보유 현황

어선보유 어가는 245백 가구로, 전체 어가의 58.8%

 

❍ 어선보유 어가는 2만 5천 가구(전체 어가의 58.8%)로, 전년대비 4.7% 감소함

 

<표 2-9> 보유어선 톤수별 어가(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

전체
어가
어선
보유어가
2톤
미만
2∼5톤
미만
5∼10톤
미만
10톤
이상
2022
42.5
25.8
9.9
9.4
4.7
1.7
(100.0)
(60.6)
(23.3)
(22.2)
(11.1)
(4.0)
2023
41.8
24.5
9.1
9.0
4.7
1.8
(100.0)
(58.8)
(21.8)
(21.4)
(11.1)
(4.4)
증 감
-0.8
-1.2
-0.8
-0.5
-0.1
0.1
증감률
-1.8
-4.7
-8.2
-5.0
-1.6
8.3

 

□ 수산물 판매

 

수산물 판매금액 1억 원 이상 어가는 전체 어가의 15.1%

 

❍ 수산물 판매금액 1천만 원 미만 어가는 1만 6천 5백 가구(전체 어가의 39.4%)이고, 1억 원 이상은 6천 3백 가구(15.1%)임

 

<표 2-10> 수산물 판매금액 규모별 어가(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

판매금액규모
120만원
미만
120~1천만원미만
1천~3천만원미만
3천~5천만원미만
5천~1억원미만
1억원
이상
2022
42.5
1.9
14.2
9.5
4.7
5.0
7.2
(100.0)
(4.5)
(33.5)
(22.2)
(11.1)
(11.7)
(17.0)
2023
41.8
1.9
14.6
9.3
4.1
5.6
6.3
(100.0)
(4.5)
(34.9)
(22.4)
(9.8)
(13.3)
(15.1)
증 감
-0.8
0.0
0.4
-0.1
-0.6
0.6
-0.9
증감률
-1.8
-1.9
2.6
-1.2
-13.4
11.5
-12.7

 

수산물 판매처는 수협이 전체 어가의 40.3%로 가장 많았음

 

❍ 수산물 판매처별 어가 비율은 수협이 전체 어가의 40.3%로 가장 많았고, 소비자 직접판매 20.1%, 수집상 16.0% 순임

 

<표 2-11> 수산물 판매처별 어가(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

수 협
도매시장
수집상
음식점
가공업체
소 비 자
직접판매
양식장·
소매상
기 타
(판매없음
포함)
2022
42.5
17.6
1.6
7.7
2.8
0.9
8.4
3.5
0.2
(100.0)
(41.4)
(3.7)
(18.0)
(6.6)
(2.1)
(19.7)
(8.1)
(0.4)
2023
41.8
16.8
1.7
6.7
2.6
1.0
8.4
3.9
0.6
(100.0)
(40.3)
(4.2)
(16.0)
(6.3)
(2.3)
(20.1)
(9.3)
(1.5)
증 감
-0.8
-0.8
0.2
-1.0
-0.2
0.1
0.1
0.4
0.4
증감률
-1.8
-4.5
11.7
-12.7
-6.5
8.8
0.7
12.6
230.3

 

3. 임업 부문

가. 임가 규모 및 분포

 

2023121, 현재 임가는 99천가구, 임가인구는 204천 명임

 

❍ 2023. 12. 1. 현재, 전년대비 임가는 1천 4백 가구(-1.4%) 감소, 임가인구는 20만 4천 명으로 5천 8백 명(-2.7%) 감소함

 

- 임가 비율은 총가구의 0.5%, 임가인구 비율은 총인구의 0.4%

 

<표 3-1> 임가 및 임가인구(2019년~2023년)

(단위: 천 가구, 천 명, %, %p)
 
2019
2020
2021
2022(A)
2023(B)
증 감
(C=B-A)
증 감 률
(C/A×100)
임 가
80.0
103.4
103.8
100.6
99.2
-1.4
-1.4
 
임가 비율(%)*
0.4
0.5
0.5
0.5
0.5
0.0
-
임 가 인 구
178.4
232.8
219.0
210.1
204.3
-5.8
-2.7

남 자
90.4
119.2
113.5
108.0
104.5
-3.5
-3.2

여 자
88.0
113.7
105.5
102.1
99.8
-2.3
-2.3

성 비
102.7
104.8
107.6
105.7
104.7
-1.0
-
 
임가인구 비율(%)*
0.3
0.4
0.4
0.4
0.4
0.0
-

* 총가구 및 총인구에 대한 임가, 임가 인구의 비율

<그림 3-1> 연도별 임가 추이(2019년~2023년)

 

임가가 많은 시도는 경북(2만 가구), 경남, 전남 순

 

❍ 시도별 임가 규모는 경북이 2만 가구(전체 임가의 20.6%)로 가장 많았고, 경남 1만 6천 가구(15.8%), 전남 1만 5천 가구(15.2%) 순임

 

- 전년대비 경기(-12.0%), 특·광역시(-9.6%), 제주(-6.6%)은 감소한 반면, 충남(4.5%), 전북(3.7%)은 증가

 

<그림 3-2> 시도별 임가(2022년~2023년)


 

나. 임가 구조

 

□ 가 구

 

가구원수별로는 2인 가구가 전체 임가의 60.3%로 가장 많았음

 

❍ 2023. 12. 1. 현재, 임가는 2인 가구가 6만 가구(전체 임가의 60.3%)로 가장 많았고, 1인 가구 2만 1천 가구(21.4%), 3인 가구 1만 2천 가구(11.9%) 순임

 

- 전년대비 1인 가구(2.5%)는 증가하였으나, 나머지 모든 가구에서는 감소

 

<표 3-3> 가구원수별 임가(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
 
1인
2인
3인
4인
5인 이상
2022
100.6
20.7
60.6
11.9
5.1
2.3
(100.0)
(20.6)
(60.2)
(11.8)
(5.1)
(2.3)
2023
99.2
21.2
59.8
11.9
4.2
2.1
(100.0)
(21.4)
(60.3)
(11.9)
(4.2)
(2.1)
증 감
-1.4
0.5
-0.8
0.0
-0.9
-0.2
증감률
-1.4
2.5
-1.3
-0.1
-18.3
-7.2

 

<그림 3-3> 가구원수별 임가비율(2022년~2023년)


 

□ 인 구

 

연령별 임가인구는 70세 이상에서 전체 임가인구의 35.5%로 가장 많았음

 

❍ 연령별 임가인구는 70세 이상에서 7만 3천 명(35.5%)으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7만 1천 명(34.8%), 50대 3만 1천 명(15.2%) 순임

 

- 전년대비 70세 이상(5.9%)은 증가하였으나, 60대 이하 모든 연령 구간에서는 감소

 

<표 3-4> 연령별 임가 인구(2022년~2023년)

(단위: 천 명, %)
 
30세 미만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
2022
210.1
16.6
6.6
9.8
37.0
71.4
68.6
(100.0)
(7.9)
(3.2)
(4.7)
(17.6)
(34.0)
(32.6)

남 자
108.0
10.0
3.9
4.8
17.3
36.8
35.1
(100.0)
(9.3)
(3.7)
(4.4)
(16.1)
(34.1)
(32.5)
 
여 자
102.1
6.6
2.7
5.0
19.7
34.6
33.5
(100.0)
(6.5)
(2.6)
(4.9)
(19.3)
(33.9)
(32.8)
2023
204.3
14.7
6.2
8.5
31.1
71.2
72.6
(100.0)
(7.2)
(3.0)
(4.2)
(15.2)
(34.8)
(35.5)

남 자
104.5
8.5
3.8
4.6
14.2
36.1
37.3
(100.0)
(8.1)
(3.7)
(4.4)
(13.6)
(34.5)
(35.7)
 
여 자
99.8
6.2
2.3
4.0
16.9
35.1
35.3
(100.0)
(6.2)
(2.3)
(4.0)
(16.9)
(35.2)
(35.4)
증 감
-5.8
-2.0
-0.5
-1.2
-5.9
-0.2
4.1
증감률
-2.7
-11.8
-7.5
-12.7
-15.9
-0.3
5.9

 

❍ 임가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율은 52.8%로 전년대비 4.0%p 증가함

 

<표 3-5> 임가 인구의 고령인구 비율(2022년~2023년)

(단위: 천 명, %, %p)

2022(A)
2023(B)
증 감
(C=B-A)
증 감 률
(C/A×100)
임 가 인 구
210.1
204.3
-5.8
-2.7

65세 이상
102.6
108.0
5.4
5.2
임가 고령인구 비율
48.8
52.8
4.0
-
우리나라 고령인구 비율
17.4
18.2
0.9
-
* 고령인구 비율: (65세 이상 인구 ÷ 총인구) × 100

 

다. 임업 경영

 

□ 경영형태

 

전체 임가 중 재배임업만 경영하는 가구는 80.9%

 

❍ 2023. 12. 1. 현재, 「재배임업만 경영」은 8만 가구(전체 임가의 80.9%), 「비재배임업만 경영」은 6천 가구(5.7%), 「재배 및 비재배임업 경영」은 1만 3천 가구(13.4%)임

 

- 전년대비 재배임업만 경영(-4.2%) 및 비재배임업만 경영(-8.8%)은 감소하였으나, 재배 및 비재배임업 경영(25.1%)은 증가

 

 

<그림 3-4> 경영형태별 임가비율(2022년~2023년)


 

□ 생산형태

 

비재배임가는 19천 가구로 전년대비 12.6% 증가

 

❍ 비재배업의 생산형태별 임가는 채취업이 1만 2천 가구(63.6%)로 가장 많았고, 육림업 8천 3백 가구(44.1%), 벌목·양묘업 3천 7백 가구(19.4%) 순

 

- 전년대비 육림업(17.1%), 벌목·양묘업(14.1%), 채취업(12.8%) 모두 증가

 

<표 3-7> 생산형태별 임가(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

비재배업
임 가
육림업
벌목·양묘업
채취업
2022
16.8
7.1
3.2
10.7
(100.0)
(42.4)
(19.1)
(63.4)
2023
18.9
8.3
3.7
12.0
(100.0)
(44.1)
(19.4)
(63.6)
증 감
2.1
1.2
0.5
1.4
증감률
12.6
17.1
14.1
12.8

* 2종류 이상의 중복 생산 가구가 있어 표 내의 합계는 일치하지 않음

 

❍ 채취 품목별로 임가 비율은 고사리 35.1%가 가장 많았고, 기타 산나물 26.7%, 송이버섯 26.1% 순임

 

- 전년대비 송이버섯, 수실(열매)류, 수액류를 제외한 모든 품목에서 임가 증가

 

 

□ 재배 품목별

 

임산물을 재배하는 임가는 94천 가구로 전년대비 0.9% 감소

 

❍ 재배업의 재배품목별 임가는 산나물 재배임가가 3만 2천 가구(34.2%)로 가장 많았고, 떫은감 2만 6천 가구(27.5%), 관상작물 1만 6천 가구(16.8%) 순

 

- 전년대비 관상작물(-4.6%)을 제외한 모든 품목에서 임가 증가

 

<표 3-9> 재배 품목별 임가(2022년~2023년)

(단위: 천 가구, %)
 
재배업
임 가
산나물
약용작물
관상작물
표고버섯
떫은감
대추
호두,잣
은행
복분자
2022
94.4
30.1
14.7
16.5
2.9
25.7
12.2
7.7
7.8
3.0
(100.0)
(31.9)
(15.6)
(17.4)
(3.1)
(27.2)
(12.9)
(8.2)
(8.3)
(3.2)
2023
93.6
32.0
14.8
15.7
3.5
25.7
13.6
8.1
8.0
3.2
(100.0)
(34.2)
(15.8)
(16.8)
(3.7)
(27.5)
(14.6)
(8.7)
(8.6)
(3.4)
증 감
-0.8
1.9
0.0
-0.8
0.5
0.0
1.4
0.4
0.2
0.2
증감률
-0.9
6.5
0.2
-4.6
18.0
0.2
11.7
5.7
2.5
6.0

* 2종류 이상의 품목을 재배하는 가구가 있어 전체 수치와 표 내의 합계는 일치하지 않음

 

<그림 3-5> 재배 품목별 임가(2022년~2023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