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고용행정 통계로 본 2023년 12월 노동시장 동향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4. 1. 9.
반응형

고용행정 통계로 본 2023년 12월 노동시장 동향

2024.01.08 고용노동부

고용행정 통계로 본 2023년 12월 노동시장 동향

 

2023년 12월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515만 1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9만 6천명(+2.0%) 증가하였다.
▸ 고용보험 상시가입자수(천명): ('23.7)15,197 (8)15,225 (9)15,255 (10)15,282 (11)15,288 (12)15,151
▸ 고용보험 상시가입자수 증감(천명): ('23.7)373 (8)362 (9)359 (10)342 (11)335 (12)296

< 고용보험 가입자수 및 증감 추이(천명) >

* 자료 출처: EIS고용행정통계(eis.work.go.kr), 최근 월의 자료는 잠정치 활용
산업별로는 제조업(+108천명)서비스업(+182천명)에서 모두 증가했다.
제조업금속가공, 식료품, 자동차, 기타운송장비 등을 중심으로 증가하였으나, 전자·통신, 섬유, 의복·모피 등은 감소하였고, 고용허가제 외국인 당연가입에 따른 증가분을 배제할 경우 감소하였다. ※17쪽 <별첨> 참고
제조업 가입자수(천명): ('23.7)3,814 (8)3,817 (9)3,825 (10)3,828 (11)3,833 (12)3,836
제조업 가입자수 증감(천명): ('23.7)118 (8)118 (9)119 (10)117 (11)116 (12)108
서비스업보건복지, 숙박음식, 사업서비스업 위주로 증가하였으나 증가폭이 둔화되었고, 도소매, 교육서비스, 부동산업 등은 감소하였다.
서비스업 가입자수(천명): ('23.7)10,458 (8)10,482 (9)10,504 (10)10,529 (11)10,528 (12)10,393
서비스업 가입자수 증감(천명): ('23.7)244 (8)233 (9)231 (10)216 (11)210 (12)182
< 산업별 가입자 증감(천명) >

12월 중 구직급여 신규신청자는 9만 3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천명(-6.3%) 감소하였고, 공공행정(-1.6천명), 도소매업(-1.2천명), 사업시설(-1.1천명) 다수 산업에서 감소하였다.
▸구직급여 신규신청자수(천명): ('23.7)104 (8)87 (9)82 (10)80 (11)88 (12)93
▸구직급여 신규신청자수 증감(천명): ('23.7)4 (8)6 (9)1 (10)3 (11)2 (12)-6
구직급여 지급자는 51만 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만명(+1.9%) 증가하였고, 지급액은 7,587억원으로 98억원(+1.3%) 증가하였으며, 1인당 지급액은 148만 1천원으로 9천원(-0.6%) 감소하였다.

 

 

※ <붙임1> 2023년 12월 노동시장 동향 상세 내용(6~17쪽)

※ <붙임2> 2023년 12월 통계표(19쪽 이하)

붙임 1

 

 

 


< 고용행정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 개요 및 이용 시 유의사항 >



○ 목적: 고용보험, 워크넷 등 전산망 운영을 통해 축적된 행정 데이터의 분석과 신속한 정보제공을 통하여 고용정책 수립, 평가 및 노동시장 동향 분석에 활용하기 위함
○ 법적근거: 통계법 제18조(통계작성의 승인) 규정에 의한 국가승인통계
1. 고용보험통계: 승인번호 제327002호
2. 구직급여신청동향: 승인번호 제118044호
3. 워크넷 구인·구직 및 취업동향: 승인번호 제327003호
수록내용: 고용보험 가입자수, 고용보험 자격 취득 및 상실자수, 구직급여 신청자수 및 지급액, 구인ㆍ구직등록자수 등
○ 포괄범위
1. 고용보험 가입자수: 고용보험 가입자로서 계약형태가 ‘상용’, ‘임시직’인 근로자
단, 소정근로시간이 월 60시간(주15시간) 미만인 자*, 국가‧지방 공무원법에 따른 공무원, 사립학교 교직원 연금법 적용을 받는 자 등은 적용되지 않음
* 3개월 이상 계속하여 근로를 제공하는 자는 포함
2. 구직급여: 고용보험 피보험 상태를 유지하다가 자격을 상실한 자로서 구직급여 수급신청을 한 자 중 재취업을 위해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는 자에게 지급
* 고용보험법 제2조 제6호에 따른 일용근로자도 통계에 적용
3. 구인구직자: 공공고용서비스망인 워크넷(Work-Net)에 등록한 구인자수 및 구직자수
○ 이용 시 유의사항
1. 최신 월의 통계는 잠정치 통계이며, 익월 발표시 확정치로 대체됨
2. 동 자료는 고용보험, 워크넷 등 공공고용서비스 영역에 대한 전수행정자료이며, 포괄하지 않는 부분*이 있으므로 이용시 유의 바람
* 고용보험: 가입자 중 자영업자, 일용직, 예술인, 노무제공자(특고, 플랫폼종사자)
및 고용보험 미가입자, 구직급여를 받지 않는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 등
* 워크넷: 워크넷을 이용하지 않는 구인·구직
3. 건설업, 서비스업은 일용근로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전체동향 설명에 한계가 있음
4. 산업분류는 제10차 한국 표준 산업분류(2017년)를 따랐음

 

 


< 구직급여 현황 개요 및 이용 시 유의사항 >



목적: 실직한 근로자의 구직급여 신규 신청 동향을 정기적으로 발표하여, 노동시장 정책 마련 및 고용정책 참고자료로 활용
대상: 구직급여 신규신청자(월말기준), 지급자수(소정급여기간 동안의 지급자 전체)
* 소정급여일수: 피보험기간, 연령에 따라 구직급여를 받을 수 있는 일수(6구간)

피보험기간
연 령
1년미만
1년이상
3년미만
3년이상
5년미만
5년이상
10년미만
10년이상
50세 미만
120일
150일
180일
210일
240일
50세이상 및 장애인
120일
180일
210일
240일
270일
○ 이용 시 유의사항
1.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란 수급자격 판단 이전의 순수 신청자로 수급자격 미충족 대상자도 포함(구직급여 신청자 = 구직급여 수급자격 충족자 + 미충족자)
2. 구직급여 신규신청자 규모는 경제활동인구나 전체 실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으므로, 전체 고용상황과 연계하여 일반화하는 것은 곤란하며, 고용시장 현황 파악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
3. 구직급여 통계에는 자영업, 예술인, 노무제공자(특고, 플랫폼종사자)는 제외되고, 고용보험 가입자 통계에서 제외된 일용근로자는 포함되어 있으므로, 해석에 유의할 필요가 있음
4. 구직급여 신청 관련 산업분류는 제10차 한국 표준 산업분류(2017년)를 따랐음
5. 모든 통계자료는 세목과 총계가 각각 반올림되었으므로 세목의 합계가 총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음
‘19.10.1부터 구직급여 지급요건, 지급수준, 지급기간 등이 변경되어, 기존 구직급여 신청·지급현황 통계와 시계열 단절이 발생하므로 ’19.10월~‘21.6월 통계수치의 전년동월대비 비교는 부적절

 

 

고용보험 가입자수 현황

 

1. 제조업

 

 

(전체) 제조업 가입자수는 383만 6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0만 8천명 증가

고용허가제 외국인 당연가입 증가분을 배제할 경우 감소 ※17쪽 <별첨> 참고

제조업 가입자수(천명): (‘23.7)3,814 (8)3,817 (9)3,825 (10)3,828 (11)3,833 (12)3,836

제조업 가입자수 증감(천명): (’23.7)118 (8)118 (9)119 (10)117 (11)116 (12)108

고용허가제(E9, H2) 외국인 제외 가입자 증감(천명): ('23.7)4 (8)1 (9)+0 (10)-3 (11)-3 (12)-11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수 및 증감(천명, 전년동월대비)>

(중분류) 금속가공, 식료품, 자동차, 기타운송장비 등 대부분 업종에서 증가 지속하였고, 전자·통신, 섬유, 의복·모피 등은 감소

 

<식료품 > 도축·육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기타식품 제조업(빵, 과자류 등) 중심으로 증가 지속

식료품 제조업 증감(천명): ('23.7)14.5 (8)13.8 (9)15.3 (10)15.6 (11)15.7 (12)14.4

도축·육류가공및저장처리업 증감(천명): ('23.7)4.1 (8)3.8 (9)4.3 (10)4.4 (11)4.4 (12)4.3

기타식품 제조업 증감(천명): ('23.7)7.8 (8)7.5 (9)7.9 (10)8.1 (11)8.2 (12)6.9

※ 식료품 생산지수(계절조정): ('23.7)96.6 (8)98.4 (9)99.0 (10p)97.7 (11p)98.3

 

 

<섬유제품> <의복·모피> 섬유제품은 지속되는 수출부진, 해외설비 이전 영향 등으로 감소 지속(’21.9월~), 의복·모피봉제의복 제조업(근무복, 작업복 등) 중심으로 감소 지속

섬유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3.7)-0.8 (8)-0.8 (9)-1.2 (10)-1.4 (11)-1.2 (12)-1.7

직물직조및직물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3.7)-1.5 (8)-1.5 (9)-1.7 (10)-1.9 (11)-1.7 (12)-1.8

※ 섬유제품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3.7)87.2 (8)91.1 (9)92.2 (10p)88.5 (11p)90.4

의복·모피 제조업 증감(천명): ('23.7)-0.7 (8)-0.8 (9)-0.9 (10)-1.0 (11)-1.2 (12)-1.4

봉제의복 제조업 증감(천명): ('23.7)-0.8 (8)-0.9 (9)-0.9 (10)-1.0 (11)-1.1 (12)-1.2

※ 의복·모피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3.7)116.4 (8)96.5 (9)95.4 (10p)82.6 (12)82.1

<화학제품 > 기초 화학물질(석유화학계 기초 화학물질, 산업용 가스 등), 합성고무 및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 중심으로 증가 지속

화학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3.7)3.0 (8)2.9 (9)3.4 (10)3.3 (11)4.8 (12)6.0

기초화학물질 제조업 증감(천명): ('23.7)2.4 (8)2.1 (9)2.1 (10)2.0 (11)1.8 (12)1.6

합성고무및플라스틱물질 제조업(천명): ('23.7)0.8 (8)1.4 (9)1.6 (10)1.6 (11)1.5 (12)1.9

※ 화학제품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3.7)87.0 (8)87.4 (9)88.6 (10p)87.2 (11p)89.6

<의약품 > <의료정밀광학 > 완제 의약품 중심으로 의약품 제조업 증가 하나 증가폭 둔화, 의료정밀광학(의료용기기, 정밀기기 등) 증가 지속

의약품 제조업 증감(천명): ('23.7)2.9 (8)2.8 (9)2.4 (10)2.3 (11)2.3 (12)2.0

완제 의약품 제조업 증감(천명): ('23.7)2.2 (8)2.0 (9)1.8 (10)1.7 (11)1.6 (12)1.3

※ 의약품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3.7)130.6 (8)143.3 (9)124.7 (10p)121.2 (11p)130.0

의료정밀광학 제조업 증감(천명): ('23.7)1.8 (8)1.8 (9)2.4 (10)2.4 (11)2.7 (12)2.2

의료용기기 제조업 증감(천명): ('23.7)1.8 (8)1.8 (9)1.8 (10)1.8 (11)1.8 (12)1.4

정밀기기 제조업 증감(천명): ('23.7)1.5 (8)1.5 (9)1.4 (10)1.4 (11)1.4 (12)1.3

※ 의료,정밀기기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3.7)105.4 (8)106.7 (9)113.2 (10p)108.5 (11p)106.6

<주요 제조업 중분류별 고용보험 가입자수 증감 추이(천명, 전년동월대비)>


 

 

<고무·플라스틱 > 플라스틱 제품(포장용, 기타 제품 등) 중심으로 증가 지속

고무·플라스틱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3.7)8.7 (8)9.4 (9)9.7 (10)9.7 (11)9.4 (12)9.1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3.7)7.8 (8)8.5 (9)8.9 (10)9.0 (11)8.8 (12)8.6

※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3.7)96.7 (8)99.1 (9)97.8 (10p)91.9 (11p)96.6

<1차 금속 > 철강, 주물제품의 수요산업인 자동차·조선 등 업종 호조에 기인하여 금속 주조업 위주로 증가 지속, 1차 철강·비철금속도 증가 지속

1차 금속 제조업 증감(천명): ('23.7)3.9 (8)3.7 (9)3.4 (10)3.3 (11)3.7 (12)3.4

금속 주조업 증감(천명): ('23.7)2.2 (8)2.3 (9)2.3 (10)2.4 (11)2.1 (12)2.0

1차 철강 제조업 증감(천명): ('23.7)0.8 (8)0.6 (9)0.3 (10)0.2 (11)0.9 (12)0.8

1차 비철금속 제조업 증감(천명): ('23.7)0.9 (8)0.9 (9)0.8 (10)0.8 (11)0.7 (12)0.6

※ 1차 금속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3.7)98.9 (8)99.2 (9)94.5 (10p)98.4 (11p)92.8

<금속가공 > 구조용 금속제품 제조업(금속 판, 골조 구조재 제조업 등) 증가, 기타 금속가공제품 제조업(도금, 도장, 절삭가공 등) 증가 지속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3.7)27.1 (8)28.3 (9)28.6 (10)28.9 (11)27.3 (12)26.4

구조용 금속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3.7)8.6 (8)8.9 (9)9.0 (10)9.1 (11)9.2 (12)8.8

기타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3.7)16.4 (8)16.7 (9)17.0 (10)17.2 (11)17.1 (12)16.4

※ 기타금속가공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3.7)97.5 (8)103.1 (9)102.1 (10p)98.1 (11p)102.3

<전자·통신> 전자부품 제조(디스플레이, 회로기판 등) 감소 지속 영상 및 음향기기, 반도체 증가폭 둔화 등으로 전년대비 감소

전자·통신 제조업 증감(천명): ('23.7)3.5 (8)2.4 (9)2.4 (10)-0.3 (11)0.3 (12)-1.5

영상 및 음향기기 제조업 증감(천명): ('23.7)3.4 (8)2.9 (9)2.8 (10)1.3 (11)1.3 (12)1.3

반도체 제조업 증감(천명): ('23.7)1.8 (8)1.5 (9)1.5 (10)0.8 (11)0.8 (12)0.2

전자부품 제조업 증감(천명): ('23.7)-2.0 (8)-2.7 (9)-2.8 (10)-2.7 (11)-1.9 (12)-2.5

※ 반도체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3.7p)122.2 (8)138.7 (9)156.5 (10p)136.8 (11p)154.3

※ 12월 수출 증감률: 반도체(+21.8%), 디스플레이(+10.9%), 무선통신(-2.7%), 컴퓨터(-34.5%)

<전기장비 > 이차전지를 중심으로 견조한 증가를 지속하나, 일·이차전지 제조는 전기차 수요 둔화증가폭 둔화(‘23.12월 이차전지 수출 –1.0% 감소)

전기장비 제조업 증감(천명): ('23.7)7.7 (8)7.5 (9)7.2 (10)6.9 (11)8.9 (12)7.3

일차·이차전지 제조업 증감(천명): ('23.7)6.2 (8)6.0 (9)5.8 (10)5.8 (11)5.5 (12)4.0

절연선 및 케이블 제조업 증감(천명): ('23.7)1.1 (8)1.3 (9)1.2 (10)1.0 (11)0.8 (12)0.8

※ 전기장비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3.7)111.8 (8)108.9 (9)107.7 (10p)101.6 (11p)100.1

 

 

<기계장비 > 일반목적용 기계(밸브, 기어, 공조기 등)특수목적용 기계(반도체, 건설, 산업용로봇 등) 모두 증가세 지속, 증가폭은 둔화

기계장비 제조업 증감(천명): ('23.7)9.5 (8)10.0 (9)8.6 (10)8.7 (11)8.0 (12)6.8

일반목적용 기계 제조업 증감(천명): ('23.7)6.7 (8)7.0 (9)6.3 (10)6.1 (11)5.8 (12)5.3

특수목적용 기계 제조업 증감(천명): ('23.7)2.8 (8)3.0 (9)2.2 (10)2.6 (11)2.1 (12)1.5

※기계·장비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3.7)95.4 (8)103.4 (9)108.9 (10p)99.2 (11p)107.1

※생산·설비투자 확대에 따른 견조한 제조장비 수요 증가로 8개월 연속 수출 증가(+2.2%)

<자동차 > 생산 및 수출 등 업황 호조 지속되는 가운데, 완성차(엔진 및 자동차) 제조업은 증가, 자동차부품은 증가 지속(‘22.11월 대형부품사의 통합계열사 출범에 의한 역기저로 ‘23.11월부터 증가폭은 둔화)

자동차 제조업 증감(천명): ('23.7)12.2 (8)12.8 (9)13.1 (10)13.4 (11)10.7 (12)9.4

엔진 및 자동차 제조업 증감(천명): ('23.7)-0.1 (8)+0.0 (9)-0.2 (10)-0.0 (11)0.8 (12)0.6

자동차부품 제조업 증감(천명): ('23.7)12.1 (8)12.6 (9)12.7 (10)12.8 (11)9.2 (12)8.3

※ 자동차 생산지수(계절조정): ('23.7)124.3 (8)131.9 (9)121.9 (10p)125.5 (11p)121.4

※ 친환경차·SUV 수출 호조세로 자동차 수출액 18개월 연속 증가(’23.12월 +17.9%)

<기타운송장비 > 조선업 업황 회복, 항공·우주 부품 생산 증가 등에 힘입어 16개월 연속 증가

기타운송장비 제조업 증감(천명): ('23.7)10.2 (8)10.6 (9)10.6 (10)10.8 (11)10.5 (12)10.7

선박및보트건조업 증감(천명): ('23.7)9.2 (8)9.4 (9)9.6 (10)9.9 (11)9.8 (12)10.1

항공·우주선·부품제조업 증감(천명): ('23.7)0.7 (8)0.8 (9)0.8 (10)0.7 (11)0.7 (12)0.7

※선박및보트건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3.7)116.4 (8)128.0 (9)121.6 (10p)113.5 (11p)114.6

※컨테이너·LNG운반선 등 高부가선박 수출 호조로 선박 수출액 5개월 연속 증가(+47.2%)

※항공·우주선·부품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3.6)135.5 (7)140.4 (8)134.1 (9p)145.5 (10p)150.2

<주요 제조업 중분류별 고용보험 가입자수 증감 추이(천명, 전년동월대비)>


2-2. 서비스업

 

 

 

(전체) 서비스업 가입자수는 1,039만 3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8만 2천명 증가

서비스업 가입자수(천명): ('23.7)10,458 (8)10,482 (9)10,504 (10)10,529 (11)10,528 (12)10,393

서비스업 가입자수 증감(천명): ('23.7)244 (8)233 (9)231 (10)216 (11)210 (12)182

보건복지, 숙박음식, 사업서비스업, 전문과학기술 등에서 큰 폭 증가 지속하나 증가폭 둔화세

ㅇ 반면, 도소매, 교육서비스업, 부동산업은 감소 지속

<주요 서비스업 고용보험 가입자수 증감(천명, 전년동월대비)>

구 분
’21.12월
’22.12월
’23.8월
’23.9월
’23.10월
’23.11월
’23.12월p)
가입자수
9,965
10,210
10,482
10,504
10,529
10,528
10,393
증감
313
246
233
231
216
210
182

도소매
45
2
-19
-19
-17
-17
-19

운수업
8
4
18
21
21
23
22

숙박음식
12
40
48
48
46
45
40

정보통신업
58
51
18
16
12
8
6

금융보험
5
3
4
4
3
3
3

부동산업
8
4
-4
-5
-5
-3
-3

전문과학기술
44
46
29
28
25
25
23

사업서비스
5
23
33
33
32
27
23

공공행정
-28
-11
0
4
4
5
4

교육서비스
44
10
-4
-9
-11
-10
-10

보건복지
103
67
106
106
103
99
89

예술,스포츠
5
6
1
1
1
2
2

협회,개인서비스
0
-2
1
0
-1
0
0
 

 

 

(중분류) 사회복지, 음식·음료, 보건업,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 중심으로 증가 지속하나 증가폭 둔화세, 소매업, 교육서비스업, 도매업은 감소

<도매업↓> 음‧식료품 및 담배 도매업 감소전환, 생활용품 도매업 감소 확대

도매업 증감(천명): ('23.7)0.5 (8)0.9 (9)-0.3 (10)-0.8 (11)-1.5 (12)-3.4

생활용품 도매업 증감(천명): ('23.7)-1.1 (8)-0.7 (9)-0.9 (10)-1.2 (11)-1.1 (12)-1.8

음‧식료품 및 담배 도매업 증감(천명): ('23.7)1.1 (8)1.3 (9)1.1 (10)1.1 (11)0.9 (12)0.0

- <소매업> 무점포 소매업 중심으로 감소 지속하고 종합 소매업 감소폭 확대되며 전체 소매업 감소 지속

소매업 증감(천명): ('23.7)-20.7 (8)-20.2 (9)-18.7 (10)-17.1 (11)-15.4 (12)-16.5

무점포 소매업 증감(천명): ('23.7)-13.5 (8)-13.3 (9)-12.9 (10)-12.3 (11)-11.4 (12)-11.1

종합 소매업 증감(천명): ('23.7)-6.1 (8)-5.8 (9)-4.2 (10)-2.9 (11)-2.9 (12)-3.5

<육상운송업 > 택시 운송업에서 감소 지속하나 택배업에서 증가 지속

육상운송·파이프라인운송업 증감(천명): ('23.7)5.8 (8)6.1 (9)6.2 (10)6.1 (11)7.2 (12)6.6

택시운송업 증감(천명): ('23.7)-4.9 (8)-4.7 (9)-4.2 (10)-4.1 (11)-3.5 (12)-3.7

택배업 증감(천명): ('23.7)9.3 (8)9.1 (9)8.8 (10)8.5 (11)8.4 (12)8.1

- <항공운송업 > 국제선 여행객 증가 등에 따라 여객부문 소폭 증가 지속

항공운송업 증감(천명): ('23.7)0.8 (8)0.9 (9)1.4 (10)1.3 (11)1.4 (12)1.6

12월 항공운송업 가입자(천명): (’19)42.4 (’20)40.0 (’21)39.1 (’22)38.5 (’23)40.2

※ 11월 국제선 여객수(천명): (’19)6,964 (’20)196 (’21)369 (’22)3,081 (’23)6,298

- <창고·운송관련업 > 항공 및 육상 화물 취급업 중심으로 증가, 기타 항공 운송지원 서비스업도 증가 지속

창고·운송관련 증감(천명): ('23.7)9.3 (8)10.4 (9)13.3 (10)13.2 (11)13.6 (12)13.3

항공 및 육상 화물 취급업 증감(천명): ('23.7)2.8 (8)4.0 (9)5.8 (10)6.5 (11)7.5 (12)9.0

기타 항공 운송지원 서비스업 증감(천명): ('23.7)1.2 (8)1.2 (9)1.2 (10)1.2 (11)1.4 (12)1.3

<숙박업 ><음식·음료업 > 숙박업 가입자수는 호텔업, 휴양콘도운영업 중심으로 증가(가입자수는 ‘19.12월의 99.6%), 음식·음료업한식점(+16.7천명), 구내식당(+8.4천명), 커피 전문점(+5.3천명)에서 큰 폭 증가 지속

숙박업 증감(천명): ('23.7)3.5 (8)3.6 (9)2.7 (10)2.2 (11)1.7 (12)1.7

호텔업 증감(천명): ('23.7)1.8 (8)1.8 (9)1.7 (10)1.4 (11)1.1 (12)0.8

휴양콘도 운영업 증감(천명): ('23.7)1.4 (8)1.5 (9)1.2 (10)1.2 (11)1.2 (12)1.6

12월 숙박업 가입자(천명): (’19)75.1 (’20)67.6 (’21)68.7 (’22)73.1 (’23)74.8

음식·음료업 증감(천명): ('23.7)46.1 (8)44.6 (9)45.5 (10)44.1 (11)42.9 (12)38.3

12월 기관구내식당업 가입자(천명): (‘19)40.3 (‘20)39.6 (’21)37.4 (‘22)39.9 (’23)48.2

 

 

 

<금융업 > 은행 및 저축기관에서 일반은행(-0.6천명) 중심으로 감소 지속하나, 기타 금융업에서 지주회사(+0.6천명) 중심으로 증가 지속

금융업 증감(천명): ('23.7)2.1 (8)2.2 (9)1.9 (10)1.2 (11)0.8 (12)0.8

은행 및 저축기관 증감(천명): ('23.7)0.6 (8)0.8 (9)0.7 (10)0.3 (11)-0.1 (12)-0.1

기타금융업 증감(천명): ('23.7)0.9 (8)0.7 (9)0.7 (10)0.4 (11)0.5 (12)0.6

- <금융 및 보험 관련 서비스 > 증권 및 선물 중개업에서 감소하나 보험 및 연금관련 서비스업 등에서 증가

금융‧보험관련서비스업 증감(천명): ('23.7)2.4 (8)2.3 (9)2.2 (10)2.4 (11)2.8 (12)2.2

증권 및 선물 중개업 증감(천명): ('23.7)-0.5 (8)-0.5 (9)-0.6 (10)-0.5 (11)-0.5 (12)-0.6

보험 및 연금관련서비스업 증감(천명): ('23.7)2.2 (8)2.4 (9)2.3 (10)2.4 (11)2.6 (12)2.6

<부동산업> 부동산 관리업에서는 증가 지속하나, 부동산 개발 및 공급업 등에서 감소폭 확대하며 부동산업 감소 지속

부동산업 증감(천명): ('23.7)-4.1 (8)-4.3 (9)-5.1 (10)-5.2 (11)-2.9 (12)-3.2

부동산개발 및 공급업 증감(천명): ('23.7)-3.3 (9)-3.2 (8)-4.0 (10)-3.9 (11)-3.6 (12)-4.3

부동산 관리업(천명): ('23.7)2.3 (8)2.4 (9)2.5 (10)2.2 (11)4.1 (12)4.3

<출판업 ><컴퓨터프로그래밍,시스템통합및관리 ><정보서비스업 > 소프트웨어개발 및 공급업에서 증가를 지속하나 증가폭 둔화

출판업 증감(천명): ('23.7)16.2 (8)14.2 (9)12.1 (10)10.5 (11)7.7 (12)5.4

소프트웨어개발 및 공급 증감(천명): ('23.7)16.0 (8)14.4 (9)12.6 (10)10.9 (11)8.3 (12)6.3

컴퓨터프로그래밍, 시스템통합 및 관리업 증감(천명): ('23.7)3.7 (8)2.9 (9)3.0 (10)2.5 (11)2.5 (12)3.3

정보서비스업 증감(천명): ('23.7)2.7 (8)2.1 (9)1.4 (10)0.9 (11)0.2 (12)0.1

- <영상·오디오기록물 제작·배급업> 영화‧비디오물 제작업 중심 감소 지속하고, 영화‧비디오물 상영업에서 감소폭 확대

영상·오디오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 증감(천명): ('23.7)0.8 (8)0.2 (9)0.4 (10)-0.1 (11)-1.1 (12)-1.3

영화‧비디오물 제작업(천명): ('23.7)0.6 (8)0.2 (9)-0.3 (10)-0.5 (11)-0.9 (12)-0.7

영화‧비디오물 상영업(천명): ('23.7)-0.4 (8)-0.6 (9)0.1 (10)0.1 (11)-0.1 (12)-0.5

<연구개발업 ><전문서비스업 ><건축기술 및 기타과학기술 > 공학 연구개발업, 회사본부,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중심 증가 지속

연구개발업 증감(천명): ('23.7)5.7 (8)4.4 (9)5.0 (10)4.3 (11)4.1 (12)4.7

전문서비스업 증감(천명): ('23.7)9.8 (8)9.6 (9)9.0 (10)7.9 (11)7.9 (12)6.6

회사본부 증감(천명): ('23.7)4.6 (8)4.3 (9)4.2 (10)3.3 (11)3.3 (12)3.0

건축 및 기타과학기술서비스업 증감(천명): ('23.7)13.1 (8)12.5 (9)11.4 (10)10.4 (11)10.2 (12)9.1

<공공행정 > 지방행정 집행기관(+3.3천명) 중심으로 5개월째 증가

공공행정 증감(천명) : ('23.7)-2.3 (8)0.2 (9)3.9 (10)4.4 (11)4.6 (12)4.4

 

 

<교육서비스업> 초등교육기관중등교육기관에서 감소하며, 전체 교육서비스업 감소

교육서비스업 증감(천명): ('23.7)5.3 (8)-3.7 (9)-9.1 (10)-11.0 (11)-10.0 (12)-10.0

초등교육기관 증감(천명): ('23.7)-0.2 (8)-3.9 (9)-8.8 (10)-9.4 (11)-9.2 (12)-8.8

중등교육기관 증감(천명): ('23.7)1.0 (8)-3.0 (9)-5.6 (10)-5.5 (11)-5.2 (12)-4.8

<보건업 ><사회복지업 > 보건·돌봄 수요 증가 영향으로 보건업 증가 지속, 사회복지업거주(노인요양 복지시설 운영업 +17.4천명), 비거주(방문 복지서비스 제공업 +23.7천명) 복지시설에서 모두 증가

보건업 증감(천명) : ('23.7)31.8 (8)31.0 (9)29.9 (10)29.7 (11)29.1 (12)26.8

사회복지업 증감(천명) : ('23.7)74.9 (8)75.0 (9)75.8 (10)72.8 (11)69.8 (12)62.5

거주복지시설 증감(천명): ('23.7)19.8 (8)19.5 (9)20.3 (10)19.6 (11)20.9 (12)19.5

비거주복지시설 증감(천명): ('23.7)55.0 (8)55.5 (9)55.5 (10)53.2 (11)48.8 (12)43.0

<사업시설 관리 및 조경 서비스업 > 사업시설 유지관리업 중심으로 증가 지속

사업시설관리 및 조경서비스업 증감(천명): ('23.7)14.6 (8)16.0 (9)15.1 (10)14.5 (11)15.0 (12)12.5

- <사업지원서비스업 > 고용알선 및 인력공급업, 경비‧경호업 증가 지속, 여행사 및 기타 여행보조 서비스업(가입자수는 ‘19.12월의 75.2%) 증가 추세

사업지원서비스업 증감(천명): ('23.7)15.5 (8)16.6 (9)17.9 (10)16.8 (11)11.9 (12)10.1

고용알선 및 인력공급업 증감(천명): ('23.7)6.0 (8)4.9 (9)5.8 (10)4.4 (11)2.3 (12)2.4

여행사및여행보조서비스업 증감(천명): ('23.7)3.2 (8)3.4 (9)3.5 (10)3.4 (11)3.4 (12)3.2

경비,경호 및 탐정업 증감(천명): ('23.7)3.6 (8)4.1 (9)4.6 (10)4.8 (11)2.8 (12)2.9

12월 여행사및여행보조서비스업 가입자(천명): (’19)30 (’20)22 (’21)18 (’22)19 (’23)23

<스포츠 및 오락관련 서비스업 > 경기장 운영업(-0.1천명) 감소하나, 스포츠 서비스업(+1.1천명, 수영장 등 기타 스포츠시설 운영업 중심)에서 증가 지속

▸스포츠 및 오락관련 서비스업 증감(천명): ('23.7)2.7 (8)2.1 (9)2.4 (10)2.3 (11)1.9 (12)1.4

스포츠 서비스업 증감(천명): ('23.7)1.9 (8)1.3 (9)1.4 (10)1.4 (11)1.3 (12)1.1

 

 

 

3. 인적속성

(성별) 남성 가입자는 845만 8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6만명 증가,

여성 가입자는 669만 3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3만 6천명 증가

남성 가입자수 증감(천명): ('23.7)193 (8)191 (9)192 (10)185 (11)181 (12)160

여성 가입자수 증감(천명): ('23.7)179 (8)171 (9)167 (10)157 (11)154 (12)136

(연령별) 30대(+70천명), 50대(+116천명), 60세이상(+162천명)증가하였고, 29세이하(-42천명)40대(-10천명)감소

29세이하는 인구감소 영향 받으며 도소매(-20.9천명), 정보통신업(-13.8천명), 사업서비스(-9.9천명) 등에서 감소, 40대는 인구감소 영향 받으며 건설업(-13.2천명), 도소매(-7.0천명), 교육서비스업(-5.1천명) 등에서 감소

29세이하 증감(천명): ('23.6)-24 (7)-31 (8)-31 (9)-26 (10)-32 (11)-31 (12)-42

40대 증감(천명): ('23.6)10 (7)11 (8)8 (9)5 (10)2 (11)-2 (12)-10

* 가장 최신자료인 ‘23.11월기준 경활 15세이상인구와 ’23.12월기준 고용보험 가입자수

<연령별 고용보험가입자수(천명, %, 전년동월대비)>


’21.12월
’22.12월
’23.8월
’23.9월
’23.10월
’23.11월
’23.12월p)
29세 이하
2,493
2,462
2,489
2,467
2,453
2,444
2,420
(증감)
57
-30
-31
-26
-32
-31
-42
(증감률)
(2.4)
(-1.2)
(-1.2)
(-1.1)
(-1.3)
(-1.3)
(-1.7)
30대
3,361
3,381
3,436
3,445
3,450
3,454
3,451
(증감)
17
20
74
74
73
73
70
(증감률)
(0.5)
(0.6)
(2.2)
(2.2)
(2.2)
(2.1)
(2.1)
40대
3,543
3,583
3,579
3,586
3,589
3,589
3,574
(증감)
44
40
8
5
2
-2
-10
(증감률)
(1.3)
(1.1)
(0.2)
(0.1)
(0.0)
(-0.1)
(-0.3)
50대
3,124
3,235
3,306
3,320
3,333
3,350
3,351
(증감)
147
111
97
97
100
111
116
(증감률)
(5.0)
(3.5)
(3.0)
(3.0)
(3.1)
(3.4)
(3.6)
60세 이상
1,991
2,193
2,416
2,436
2,456
2,451
2,356
(증감)
166
202
214
210
200
184
162
(증감률)
(9.1)
(10.1)
(9.7)
(9.4)
(8.8)
(8.1)
(7.4)

 

 

4. 사업장 규모

300인 미만 15만 1천명 증가, 300인 이상 14만 5천명 증가

300인 미만제조업(+82천명), 보건복지(+76천명), 숙박음식(+26천명),

300인 이상사업서비스(+26천명), 제조업(+25천명), 운수창고업(+25천명), 정보통신업(+14천명) 등 중심으로 증가

<규모별 고용보험 가입자수(천명, %, 전년동월대비)>


’21.12월
’22.12월
’23.8월
’23.9월
’23.10월
’23.11월
’23.12월p)
전산업
300인 미만
10,475
10,702
10,898
10,920
10,940
10,944
10,853
(증감)
370
226
215
204
192
184
151
(증감률)
(3.7)
(2.2)
(2.0)
(1.9)
(1.8)
(1.7)
(1.4)
300인 이상
4,037
4,154
4,327
4,335
4,342
4,344
4,298
(증감)
62
116
147
155
150
151
145
(증감률)
(1.6)
(2.9)
(3.5)
(3.7)
(3.6)
(3.6)
(3.5)
제조업
300인 미만
2,543
2,579
2,643
2,649
2,651
2,656
2,661
(증감)
65
36
89
90
90
87
82
(증감률)
(2.6)
(1.4)
(3.5)
(3.5)
(3.5)
(3.4)
(3.2)
300인 이상
1,114
1,150
1,174
1,176
1,176
1,177
1,175
(증감)
23
36
29
29
27
29
25
(증감률)
(2.1)
(3.2)
(2.5)
(2.5)
(2.4)
(2.5)
(2.2)
서비스업
300인 미만
7,205
7,375
7,505
7,522
7,539
7,537
7,445
(증감)
278
170
122
113
101
96
69
(증감률)
(4.0)
(2.4)
(1.7)
(1.5)
(1.4)
(1.3)
(0.9)
300인 이상
2,759
2,835
2,978
2,983
2,990
2,991
2,948
(증감)
35
76
111
118
115
114
113
(증감률)
(1.3)
(2.7)
(3.9)
(4.1)
(4.0)
(4.0)
(4.0)

* 서비스업: 표준산업분류상 A.농림어업, B.광업, C.제조업, D.전기,가스, F.건설업을 제외한 전산업

 

 

구직급여 신청 및 지급 현황 <5쪽 ‘이용시 유의사항’ 참고>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수(9만 3천명)는 전년동월대비 6천명(-6.3%) 감소

공공행정(-1.6천명), 도소매업(-1.2천명), 사업시설(-1.1천명) 중심으로 감소하나, 정보통신(+0.5천명), 보건복지(+0.3천명), 전문과학(+0.1천명)에서 증가

□ 전체 구직급여 지급자는 51만 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만명(+1.9%) 증가 하였고, 지급액은 7,587억원으로 98억원(+1.3%) 증가

ㅇ 구직급여 지급자 1인당 지급액은 148만 1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9천원 (-0.6%) 감소

<구직급여 신청・지급 현황(천명, %, 전년동월대비)>


’21.12월
’22.12월
’23.8월
’23.9월
’23.10월
’23.11월
’23.12월p)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
102
99
87
82
80
88
93
(증감)
-6
-3
6
1
3
2
-6
(증감률)
(-5.5)
(-2.8)
(7.2)
(1.2)
(3.8)
(2.7)
(-6.3)
구직급여 지급자
529
503
627
590
566
529
512
(증감)
-71
-26
24
19
31
16
10
(증감률)
(-11.8)
(-5.0)
(4.1)
(3.3)
(5.9)
(3.0)
(1.9)
지급건수
590
540
715
651
625
588
534
(증감)
-98
-50
31
2
43
14
-5
(증감률)
(-14.2)
(-8.6)
(4.5)
(0.3)
(7.3)
(2.4)
(-1.0)
구직급여 지급액(억원)
8,114
7,489
10,481
9,361
9,104
8,301
7,587
(증감)
-1,451
-626
618
99
915
331
98
(증감률)
(-15.2)
(-7.7)
(6.3)
(1.1)
(11.2)
(4.2)
(1.3)
지급건수당 지급액(천원)
1,374
1,387
1,465
1,438
1,456
1,412
1,420
(증감)
-16
13
25
11
51
24
33
(증감률)
(-1.1)
(0.9)
(1.7)
(0.8)
(3.6)
(1.8)
(2.4)
1인당 지급액(천원)
1,534
1,489
1,670
1,587
1,608
1,568
1,481
(증감)
-61
-44
35
-34
77
17
-9
(증감률)
(-3.8)
(-2.9)
(2.1)
(-2.1)
(5.0)
(1.1)
(-0.6)

주1) 구직급여 통계는 임금근로자 기준으로 작성(일용근로자 포함, 자영업자 제외), 1인당 지급액은 전체 지급액을 지급자수로 나눈 값이며, 지급건수당 지급액은 지급자에게 구직급여가 1회 지급될 때의 평균 지급액임(지급자는 1주∼4주 범위 내에서 지정된 실업인정일에 구직급여를 지급 받으므로, 월 2회 구직급여를 지급 받는 경우도 있음)

※ 별첨 : 고용허가제 외국인(E9, H2) 당연가입자 영향 검토

※ 첨부(통계표) :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23.12월 기준)

 

 

<별첨>
고용허가제 외국인(E9, H2) 당연가입자 영향 검토
□ 고용허가제 외국인(E9, H2)의 고용보험 당연적용(고용안정, 직업능력개발 당연적용) 올해 외국인력도입 확대에 따른 신규채용 증가로
해당 외국인 가입자는‘23.12월말 21만 5천명*(전년동월대비 +13.8만명)
* 미가입된 외국인 근로자가 고용보험에 당연적용으로 가입한 효과와 ’23년 외국인력 규모 확대에 따른 최근 신규 채용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
* 고용허가제(E9, H2) 외국인 가입자수(천명): ('23.9)200 (10)205 (11)209 (12)215
□‘23.12월 전체 고용보험 가입자는 29만 6천명이 증가하였고, 이중 고용허가제 외국인(E9, H2) 증가분(+13.8만명)을 제외한다면 15만 8천명 증가
* 전체가입자 증감(천명): ('23.8)362 (9)359 (10)342 (11)335 (12)296
고용허가제(E9, H2) 외국인 증감(천명): ('23.9)137 (10)139 (11)138 (12)138
* 고용허가제(E9, H2) 외국인 제외 증감(천명): ('23.9)222 (10)204 (11)197 (12)158


주: 규모별 고용허가제 외국인 고용보험 당연적용 시기(단, 실업급여는 임의적용)
(’21.1.1) 상시근로자 30인이상 사업장(‘22.1.1) 10인~30인미만(’23.1.1) 10인미만
ㅇ 특히, 고용허가제 외국인(E9, H2)의 89.4%가 제조업에 집중되어 있어
제조업 가입자 동향에 미치는 영향이 큼
* 전체 제조업 증감(천명): ('23.8)118 (9)119 (10)117 (11)116 (12)108
고용허가제(E9, H2) 외국인 제조업 증감(천명): ('23.8)117 (9)119 (10)120 (11)119 (12)119
* 고용허가제(E9, H2) 외국인 제외 증감(천명): ('23.8)1 (9)+0 (10)-3 (11)-3 (12)-11
□ 고용상황을 해석할 때 전체 및 제조업에 대하여는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외국인력 규모가 확대되면서 영향은 당분간 지속 예상
* 연도별 고용허가(E9) 규모(천명): (‘19)56 (‘20)56 (’21)52 (‘22)69 (’23)120 (‘24)165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