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브리핑(106차, 서면)
2023.11.17 해양수산부
![](https://blog.kakaocdn.net/dn/6yxCY/btsAuxwmTQg/YvD32FK3H4VGL2tRWzmFq1/img.png)
< 1. 인사말씀 >
□ 해양수산부 차관입니다.
< 2. 우리 해역·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
□ 11월 17일 기준, 우리 수산물에 대한 안전관리 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 어제까지 추가된 생산단계*와 유통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는 37건과 80건으로 모두 적합입니다.
* (검사 건수 상위 5개 품목) 갈치 3건, 굴 3건, 방어 3건,
갑오징어 2건, 젓새우 2건 등
□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 결과입니다.
○ 시료가 확보된 전남 보성군 소재 양식장 1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지난 4월 24일 이후 총 271건을 선정하였고, 262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현황입니다.
○ 11월 15일에 실시한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는 30건이고, 방사능이 검출된 수산물은 없었습니다.
보도참고자료 ('23.11.17)
|
□ 선박평형수 안전관리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이바라기현 가시마항에서 입항한 1척에 대한 조사가 있었고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금년 1월부터 현재까지 치바현 등에서 입항한 선박 112척에 대한 선박평형수 방사능 조사 결과,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 해수욕장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 11월 17일 기준, 추가로 조사가 완료된 충남 만리포·대천 2개 해수욕장 모두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11월 1~2주차(10.30~11.10) 분석 의뢰한 전국 20개소 중 18개소 분석 완료
□ 해양방사능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남서해역 3개 지점, 원근해 3개 지점의 시료분석 결과가 추가로 도출되었습니다.
○ 세슘 134는 리터당 0.067 베크렐 미만에서 0.092 베크렐 미만이고, 세슘 137은 리터당 0.072 베크렐 미만에서 0.080 베크렐 미만이었습니다.
* (134Cs) <0.067~<0.092Bq/L, (137Cs) <0.072~<0.080Bq/L
○ 이는 WHO 먹는 물 기준 대비 훨씬 낮은 수준으로, 방류 이후에도 우리 바다는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보도참고자료 ('23.11.17)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데이터
-브리퍼 : 원자력안전위원회 신재식 방사선방재국장 -
|
< 1. 인사말씀 >
□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방재국장입니다.
< 2. 방류 데이터 설명 > ※ 구체적 설명은 8.28 브리핑 참고
□ 도쿄전력이 어제(11.16) 공개한 데이터를 검토한 결과, 3차 방류가 계획대로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 해수배관헤더에서 채취한 시료에서는 리터당 143~177베크렐(Bq)의 삼중수소가 측정되어, 배출목표치인 리터당 1,500Bq을 만족했습니다.
□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는,
○ 해수 취수구에서 9.7~11.0cps, 상류수조에서 4.5~5.0cps, 이송펌프에서 5.3~6.2cps가 방사선 감시기에 측정되었고,
○ 오염수 이송 유량은 시간당 최대 19.05세제곱미터(m3), 해수 취수량은 시간당 14,833~15,177세제곱미터(m3)가 측정되어, 계획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 어제까지 방류된 오염수는 총 6,602세제곱미터(m3)였고, 삼중수소 배출량은 총 9,601억 베크렐(Bq)이었습니다.
보도참고자료 ('23.11.17)
|
< 3.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 >
□ 도쿄전력 측이 어제(11.16) 공개한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 도쿄전력은 원전으로부터 3km 이내 해역 10개 정점에서 11월 15일 채취한 해수 시료 분석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 모두 이상치 판단 기준인 리터(ℓ)당 700베크렐(Bq) 미만*으로 기록되었습니다.
* 3km 이내 10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6.2 (검출하한치 미만)~10
□ 이상입니다.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출생체중 1.5kg 미만 미숙아의 생존률이 크게 향상돼 (0) | 2023.11.17 |
---|---|
한덕수 국무총리, 정부 24 서비스 장애 관련 긴급 복구 철저 지시 (0) | 2023.11.17 |
내년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 사전열람, 12월 8일까지 의견 제출하세요 (0) | 2023.11.17 |
´보이지 않는 위험, 도로살얼음´, 300미터 전방에서 안내한다 (0) | 2023.11.16 |
산업부는 명확한 사업계획과 법적 근거를 토대로 ’24년 원전 생태계 지원 관련 예산안을 마련하였음 (0) | 2023.1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