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교란 생물 1종, 유입주의 생물 150종 신규 지정
2023.09.24 환경부
생태계교란 생물 1종, 유입주의 생물 150종 신규 지정
|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9월 25일부터 열대불개미 1종(기존 유입주의 생물)을 생태계교란 생물*로, 히말라야산양 등 150종은 유입주의 생물**로 신규 지정·관리한다.
* 현1속 36종 + 추가1종(열대불개미) → 누적1속 37종
** 현557종 + 추가150종 - 해제1종(열대불개미) → 누적706종
‘생태계교란 생물’이란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큰 것으로 판단되어 개체수 조절 및 제거, 관리가 필요한 생물이다. 열대불개미는 독침이 있고 생태적 특성이 붉은불개미와 유사하며, 국내외 확산 사례가 많아 생태계교란 생물로 신규 지정됐다.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되면 수입·반입·사육·양도·양수·보관·운반·방사 등이 금지*되며, 위반할 경우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하거나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 학술연구, 교육, 전시 등의 목적으로 유역(지방)환경청의 허가를 받은 경우 제외
‘유입주의 생물’이란 아직 국내에 유입된 적은 없지만, 국내에 유입될 경우 생태계에 위해를 미칠 우려가 있어 사전에 관리가 필요한 외래생물을 의미한다. 이번에 새로이 지정되는 유입주의 생물은 150종*이며, 기존 유입주의 생물에 속했던 열대불개미가 이번에 생태계교란 생물로 신규 지정됨에 따라 기존 목록에서 해제(제외)됐다. 유입주의 생물을 수입할 경우 사전에 관할 유역(지방)환경청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불법 수입 시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하거나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 포유류 9종, 조류 6종, 어류 13종, 양서류 13종, 파충류 4종, 연체동물 18종, 절지동물 9종, 곤충 41종, 거미 6종, 식물 31종
이번에 시행되는 ‘생태계교란 생물 및 유입주의 생물 지정 고시’의 자세한 내용은 환경부 누리집(www.me.go.kr) 법령정보 및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www.law.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환진 환경부 생물다양성과장은 “이번에 새로 지정되는 외래생물 목록을 동식물 수입업체, 관세사 등에 홍보하여 법정관리 외래생물이 적절히 관리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 고시.
2. 생태계교란 생물 1종 세부정보.
3. 유입주의 생물 지정 고시.
4. 유입주의 생물 150종 신규지정 사유.
5. 법정관리 외래생물 관리체계.
6. 법정관리 외래생물 지정현황.
7. 질의응답. 끝.
붙임 1
|
|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 고시
|
환경부고시 제 2023 - 228호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1조의2의 규정에 따라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고시」(환경부고시 제2022-209호, 2022.10.28.)를 다음과 같이 개정․고시합니다.
2023년 9월 25일
환 경 부 장 관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고시
제1조(목적) 이 고시는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21조의2에 따라 생태계 등에 미치는 위해가 큰 생물을 생태계교란 생물로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생태계교란 생물의 지정) 생태계교란 생물은 별표와 같다.
제3조(재검토기한) 환경부장관은「훈령·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이 고시에 대하여 2023년 1월 1일 기준으로 매 3년이 되는 시점(매 3년째의 12월 31일까지를 말한다)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제4조(규제의 재검토) 환경부장관은 「행정규제기본법」에 따라 이 고시에 대하여 2023년 1월 1일 기준으로 매 3년이 되는 시점(매 3년째의 12월 31일까지를 말한다)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고시는 발령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생태계교란 생물의 사육·재배에 관한 경과조치) ① 이 고시의 시행에 따라 신규로 지정된 생태계교란 생물을 기존에 사육 또는 재배하고 있던 자는 이 고시 시행일로부터 6개월을 초과하지 않는 기간 동안 해당 생물 개체에 한정하여 사육 또는 재배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기간을 초과하여 해당 생물 개체를 계속 사육 또는 재배하려는 자는 법 제24조의4제2항 및 동법 시행규칙 제11조의6에 따라 환경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별표〕
생태계교란 생물
1. 공통 적용기준
가. 포유류, 양서류ㆍ파충류, 어류, 갑각류, 곤충류: 살아 있는 생물체와 그 알을 포함한다.
나. 식물: 살아 있는 생물체와 그 부속체(종자, 구근, 인경, 주아, 덩이줄기, 뿌리) 및 표본을 포함한다.
다. 본 목록상의 약어 “spp.”는 상위 분류군에 속하는 모든 종을 의미한다.
2. 생태계교란 생물
구 분
|
종 명
|
비고
|
포유류
|
가. 뉴트리아 Myocastor coypus
|
|
양서류ㆍ
파충류
|
가. 황소개구리 Lithobates catesbeianus
|
|
나. 붉은귀거북속 전종 Trachemys spp.
|
|
|
다. 리버쿠터 Pseudemys concinna
|
|
|
라. 중국줄무늬목거북 Mauremys sinensis
|
|
|
마. 악어거북 Macrochelys temminckii
|
|
|
바. 플로리다붉은배거북 Pseudemys nelsoni
|
|
|
사. 늑대거북 Chelydra serpentina
|
|
|
어류
|
가. 블루길 Lepomis macrochirus
|
|
나. 배스 Micropterus salmoides
|
|
|
다. 브라운송어 Salmo trutta
|
|
|
갑각류
|
가. 미국가재 Procambarus clarkii
|
|
곤충류
|
가. 꽃매미 Lycorma delicatula
|
|
나. 붉은불개미 Solenopsis invicta
|
|
|
다. 등검은말벌 Vespa velutina nigrithorax
|
|
|
라. 갈색날개매미충 Pochazia shantungensis
|
|
|
마. 미국선녀벌레 Metcalfa pruinosa
|
|
|
바. 아르헨티나개미 Linepithema humile
|
|
|
사. 긴다리비틀개미 Anoplolepis gracilipes
|
|
|
아. 빗살무늬미주메뚜기 Melanoplus differentialis
|
|
|
자. 열대불개미 Solenopsis geminata
|
신규
|
|
식 물
|
가.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
|
|
나. 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
|
|
|
다. 서양등골나물 Ageratina altissima
|
|
|
라. 털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
|
|
마. 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 var. distichum
|
|
|
바. 도깨비가지 Solanum carolinense
|
|
|
사. 애기수영 Rumex acetosella
|
|
|
아. 가시박 Sicyos angulatus
|
|
|
자. 서양금혼초 Hypochaeris radicata
|
|
|
차.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
|
|
카. 양미역취 Solidago altissima
|
|
|
타. 가시상추 Lactuca scariola
|
|
|
파. 갯줄풀 Spartina alterniflora
|
|
|
하. 영국갯끈풀 Spartina anglica
|
|
|
거.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
|
|
너. 마늘냉이 Alliaria petiolata
|
|
|
더. 돼지풀아재비 Parthenium hysterophorus
|
|
붙임 2
|
|
열대불개미(Solenopsis geminata) 종 세부정보
|
|
국명 : 열대불개미
영명 : Tropical fire ant
학명 : Solenopsis geminata
분류 : 곤충강(Insecta)
벌목(Hymenoptera)
개미과(Formicidae)
|
1. 국내현황
|
미도입
|
2. 국외 지정현황
|
일본, 뉴질랜드, 필리핀
|
3. 국외 분포
|
|
(원산지) 남아메리카
(침입지)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등 전세계적으로 퍼졌다.
|
|
4. 형태적 특성
|
|
몸길이는 2-5mm으로 몸색은 적갈색, 머리는 갈색이다. 머리가 비교적 크고 정면에서 봤을 때 사각형이다. 머리 이마 가운데 세로로 깊은 홈이 있다. 큰턱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4개의 무딘 이빨이 있다. 대형일개미는 머리가 매우 크고 턱이 잘 발달되어 있다. 배자루마디는 2개이고 다리, 가슴, 복부에는 수많은 털이 있고 복부 끝에 독침을 가지고 있다.
|
|
5. 생태적 특성
|
|
일반적으로 땅속에 집을 만든다. 잡식성이며, 대형일개미는 식물 씨앗을 채집하는데 특화되어 있다. 독침은 동물을 제압하거나 무척추동물을 공격할 때 쓰인다. 사냥은 주로 땅 표면과 땅속에서 이루어진다. 한 군집에 하나 또는 다수의 여왕개미가 있다. 개미집은 땅속으로 1.5m 정도 들어가며, 입구는 흙이 융기되어 있는 원반 모양으로 개체수는 일개미 10만 마리 정도이다.
|
|
6. 위해성
|
|
다양한 작물에 발생하며 특히 양배추, 옥수수, 토마토 등의 씨앗 감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식물의 껍질을 벗기고 수액을 흡즙하며, 가지, 새싹, 꽃, 과일 등을 깨문다. 사람 및 가축 등이 독침에 쏘이는 사고가 발생하며 도시지역에 침범하여 도시 시설물 등에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또한 토착 개미군집, 주변 생물과 경쟁을 통해 생태계 교란을 야기한다.
|
|
7. 피해 사례
|
|
뉴질랜드에서는 독침으로 인해 사람과 가축이 부상을 입거나, 특히 일부 사람들에게는 과민성 쇼크가 나타나기도 한다. 도시지역에서는 관개수로의 구멍을 뚫거나, PVC 전기선을 씹어 전기사고가 나기도 한다. 경작지에서는 작물의 씨앗을 가져가기도 하며 농작물, 과일을 깨물어 작물에 상처를 내는 등 경제적 피해도 일으키고 있다
|
|
8. 유입 가능성
|
|
(국외 유입 경로) 주로 무역을 통해 비의도적으로 유입되어 퍼졌다.
(이용 사례) 이용 사례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국내 유입 가능성) 화물을 통해 비의도적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
|
9. 참고문헌
|
|
1) Carroll, C.R. Risch, S.J. 1983. Tropical annual cropping systems: ant ecology. Environmental Management, 7(1): 51-57.
2) Lakshmikantha, B.P. Kumar, A.R.V. Veeresh, G.K. 2001. Emergence of reproductives of the fire ant, Solenopsis geminata (Fabricius) (Hymenoptera: Formicidae), and its sex ratio. Pest Management and Economic Zoology, 9(2): 129-133.
3) Risch, S.J. Carroll, C.R. 1982. Effects of a keystone predacious ant, Solenopsis geminata, on arthropods in a tropical agroecosystem. Ecology, 63: 1979-1983.
4) Trager, J.C. 1991. A revision of the fire ants, Solenopsis geminata group (Hymenoptera: Formicidae: Myrmicinae). Journal of the New York Entomological Society, 99: 141-198.
|
붙임 3
|
|
유입주의 생물 지정 고시
|
환경부고시 제2023 - 229호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2조제6호의2에 따라 「유입주의 생물 지정고시」(환경부고시 제2022-210호, 2022.10.28.)를 다음과 같이 개정․고시합니다.
2023년 9월 25일
환 경 부 장 관
유입주의 생물 지정 고시
제1조(목적) 이 고시는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제6호의2에 따라 국내에 유입될 경우 생태계에 위해를 미칠 우려가 있는 유입주의 생물의 종류를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유입주의 생물 지정) 유입주의 생물은 별표와 같다.
제3조(재검토기한) 환경부장관은 「훈령․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이 고시에 대하여 2022년 1월 1일 기준으로 매 3년이 되는 시점(매 3년째의 12월 31일까지를 말한다)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제4조(규제의 재검토) 환경부장관은 이 고시에 대하여 「행정규제기본법」에 따라 2022년 1월 1일 기준으로 매 3년이 되는 시점(매 3년째의 12월 31일까지를 말한다)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부 칙
이 고시는 발령한 날부터 시행한다.
〔별표〕
유입주의 생물
1. 공통 적용기준
가. 포유류, 조류, 어류, 연체동물, 절지동물, 양서류, 파충류, 곤충, 거미: 살아 있는 생물체와 그 알을 포함한다.
나. 식물: 살아 있는 생물체와 그 부속기관(꽃, 열매, 종자, 뿌리 등) 및 표본을 포함한다.
2. 유입주의 생물(붉은색 표기: 신규 지정 종)
분류군
|
학 명
|
국 명
|
포유류
|
Rattus exulans
|
태평양쥐
|
Peromyscus maniculatus
|
북미들쥐
|
|
Callosciurus finlaysonii
|
태국다람쥐
|
|
Herpestes auropunctatus
|
작은몽구스
|
|
Sciurus aureogaster
|
멕시코회색다람쥐
|
|
Glis glis
|
큰겨울잠쥐
|
|
Castor fiber
|
유럽비버
|
|
Odocoileus virginianus
|
흰꼬리사슴
|
|
Sus scrofa vittatus
|
줄무늬멧돼지
|
|
Lepus californicus
|
북미사막토끼
|
|
Herpestes javanicus
|
아시아작은몽구스
|
|
Sciurus carolinensis
|
동부회색다람쥐
|
|
Mustela erminea
|
북방족제비
|
|
Dasypus novemcinctus
|
아홉띠아르마딜로
|
|
Neovision vision
|
아메리카밍크
|
|
Atelerix albiventris
|
네발가락고슴도치
|
|
Chlorocebus aethiops
|
그리벳원숭이
|
|
Dasyprocta leporina
|
붉은방둥이아구티
|
|
Desmodus rotundus
|
흡혈박쥐
|
|
Eliomys quercinus
|
뜰겨울잠쥐
|
|
Epomops franqueti
|
프랑켓견장과일박쥐
|
|
Hypsignathus monstrosus
|
망치머리박쥐
|
|
Ovis orientalis
|
무플론
|
|
Puma yagouaroundi
|
재규어푸마
|
|
Callosciurus erythraeus
|
붉은배청서
|
|
Molossus molossus tropidorhynchus
|
쿠바벨벳자유꼬리박쥐
|
|
Mustela putorius
|
긴털족제비
|
|
Canis lupus dingo
|
딩고
|
|
Lepus capensis
|
케이프멧토끼
|
|
Macropus agilis
|
연갈색왈라비
|
|
Macropus fuliginosus fuliginosus
|
캥거루섬캥거루
|
|
Macropus giganteus tasmaniensis
|
태즈메이니아캥거루
|
|
Macropus parma
|
파르마왈라비
|
|
Macropus rufogriseus rufogriseus
|
베넷왈라비
|
|
Ovis musimon
|
유럽무플론
|
|
Cervus canadensis nelsoni
|
로키산엘크
|
|
Cervus canadensis sibiricus
|
알타이엘크
|
|
Cervus elaphus scoticus
|
스코틀랜드말사슴
|
|
Elaphurus davidianus
|
사불상
|
|
Procyon cancrivorus
|
남미게잡이라쿤
|
|
Pteromys volans
|
시베리아하늘다람쥐
|
|
Rusa timorensis
|
자바루사사슴
|
|
Rusa unicolor
|
삼바사슴
|
|
Sciurus niger
|
여우청설모
|
|
Myonycteris torquata
|
작은목도리과일박쥐
|
|
Lepus europaeus
|
유럽토끼
|
|
Castor canadensis
|
비버
|
|
Hemitragus jemlahicus
|
히말라야산양
|
|
Erinaceus europaeus ssp. occidentalis
|
갈색가슴고슴도치
|
|
Bandicota indica
|
큰반디코트쥐
|
|
Mus caroli
|
류큐쥐
|
|
Tamias striatus
|
북미동부다람쥐
|
|
Sciurus anomalus
|
코카커스청설모
|
|
Hemiechinus auritus
|
긴귀고슴도치
|
|
Tachyglossus aculeatus
|
짧은코가시두더지
|
|
조류
|
Acridotheres tristis
|
검은목갈색찌르레기
|
Passer domesticus
|
집참새
|
|
Phasianus versicolor
|
일본꿩
|
|
Pycnonotus jocosus
|
붉은수염직박구리
|
|
Streptopelia chinensis
|
목점박이비둘기
|
|
Carpodacus mexicanus
|
집양진이
|
|
Corvus splendens
|
집까마귀
|
|
Zenaida asiatica
|
흰죽지비둘기
|
|
Acridotheres fuscus
|
숲찌르레기
|
|
Cardinalis cardinalis
|
붉은홍관조
|
|
Geopelia placida
|
평화비둘기
|
|
Acridotheres ginginianus
|
회색뿔찌르레기
|
|
Alopochen aegyptiaca
|
이집트기러기
|
|
Aplonis panayensis
|
붉은눈검은찌르레기
|
|
Garrulax perspicillatus
|
가면웃음지빠귀
|
|
Garrulax sannio
|
흰눈썹웃음지빠귀
|
|
Ianthocincla cineracea
|
검은턱웃음지빠귀
|
|
Molothrus ater
|
갈색머리검은피리새
|
|
Pitangus sulphuratus
|
큰타이런트새
|
|
Porphyrio porphyrio
|
자색물닭
|
|
Pycnonotus cafer
|
붉은꽁지직박구리
|
|
Gymnorhina tibicen
|
호주까치
|
|
Estrilda astrild
|
긴꼬리단풍조
|
|
Quelea quelea
|
붉은부리베짜는새
|
|
Streptopelia roseogrisea
|
아프리카염주비둘기
|
|
Corvus albus
|
흰가슴까마귀
|
|
Acridotheres javanicus
|
자바찌르레기
|
|
어류
|
Micropterus dolomieu
|
작은입배스
|
Siniperca chuatsi
|
중국쏘가리
|
|
Gambusia affinis
|
모기송사리
|
|
Esox lucius
|
북방민물꼬치고기
|
|
Channa striata
|
줄가물치
|
|
Neogobius melanostomus
|
유럽둥근망둑
|
|
Perca fluviatilis
|
유라시아민물농어
|
|
Clarias gariepinus
|
북아프리카동자개
|
|
Piaractus brachypomus
|
붉은파쿠
|
|
Atractosteus spatula
|
엘리게이터가
|
|
Phractocephalus hemioliopterus
|
남미붉은꼬리동자개
|
|
Maccullochella peelii
|
호주민물대구
|
|
Alosa sapidissima
|
아메리카청어
|
|
Alosa pseudoharengus
|
회색청어
|
|
Amia calva
|
보핀
|
|
Sander lucioperca
|
파이크농어
|
|
Ictiobus cyprinellus
|
큰입북미잉어
|
|
Ictiobus niger
|
검은북미잉어
|
|
Labeo rohita
|
큰입술잉어
|
|
Lepomis cyanellus
|
초록블루길
|
|
Lepomis megalotis
|
긴귀블루길
|
|
Micropterus punctulatus
|
얼룩무늬배스
|
|
Misgurnus fossilis
|
유럽미꾸리
|
|
Mylopharyngodon piceus
|
청잉어
|
|
Perccottus glenii
|
발기
|
|
Petromyzon marinus
|
대서양칠성장어
|
|
Pylodictis olivaris
|
넓적머리동자개
|
|
Silurus glanis
|
웰스메기
|
|
Ameiurus nebulosus
|
북미갈색동자개
|
|
Ameiurus melas
|
북미검정동자개
|
|
Morone americana
|
북미흰농어
|
|
Morone chrysops
|
흰배스
|
|
Scardinius erythrophthalmus
|
러드
|
|
Acheilognathus tabira erythropterus
|
붉은다비라납지리
|
|
Aspius aspius
|
아스피우스황어
|
|
Biwia zezera
|
비와매치
|
|
Gnathopogon elongatus elongatus
|
일본긴줄몰개
|
|
Ischikauia steenackeri
|
비와강준치
|
|
Ictiobus bubalus
|
검정입북미잉어
|
|
Esox niger
|
검정민물꼬치고기
|
|
Gasterosteus microcephalus
|
작은머리큰가시고기
|
|
Oncorhynchus masou rhodurus
|
비와산천어
|
|
Oncorhynchus clarkii
|
클라크송어
|
|
Catostomus catostomus
|
긴코서커
|
|
Cobitis biwae
|
비와종개
|
|
Acheilognathus asmussii
|
러시아납지리
|
|
Carassius gibelio
|
기벨리오붕어
|
|
Squalius cephalus
|
유럽몰개
|
|
Leuciscus leuciscus
|
유럽야레
|
|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microoculus
|
일본참중고기
|
|
Lepomis humilis
|
황점블루길
|
|
Channa panaw
|
파나우가물치
|
|
Sander volgensis
|
볼가민물꼬치농어
|
|
Liobagrus reini
|
일본퉁가리
|
|
Lates niloticus
|
나일농어
|
|
Morone saxatilis
|
줄농어
|
|
Gymnocephalus cernua
|
러프민물농어
|
|
Leuciscus idus
|
금빛황어
|
|
Alburnus alburnus
|
블릭
|
|
Alburnus chalcoides
|
다뉴브블릭
|
|
Coregonus albula
|
벤데이스흰연어
|
|
Coregonus lavaretus
|
유럽흰연어
|
|
Coregonus maraena
|
마라이나흰연어
|
|
Coregonus peled
|
페일리드흰연어
|
|
Gambusia holbrooki
|
동부모스퀴토피쉬
|
|
Ictalurus furcatus
|
푸른채널동자개
|
|
Pterygoplichthys disjunctivus
|
벌레무늬플래코
|
|
Pterygoplichthys multiradiatus
|
오리노코플래코
|
|
Rutilus rutilus
|
로우치
|
|
Cyprinus carpio var. specularis
|
거울잉어
|
|
Parachondrostoma toxostoma
|
톡소스톰황어
|
|
Amphilophus citrinellus
|
미다스키클리드
|
|
Clupeonella tscharchalensis
|
유럽담수티울카
|
|
Cobitis bilineata
|
이탈리아기름종개
|
|
Knipowitschia longecaudata
|
롱테일드워프망둑
|
|
Neogobius eurycephalus
|
유럽머쉬룸망둑
|
|
Neogobius fluviatilis
|
몽키망둑
|
|
Neogobius gorlap
|
카스피큰머리망둑
|
|
Neogobius pallasi
|
카스피모래망둑
|
|
Odontesthes bonariensis
|
아르헨티나실버사이드
|
|
Siganus rivulatus
|
마블독가시치
|
|
Perca flavescens
|
북미강농어
|
|
Rhodeus amarus
|
유럽납줄개
|
|
Acheilognathus tabira
|
다비라납자루
|
|
Gnathopogon caerulescens
|
비와호줄몰개
|
|
Chondrostoma nasus
|
유럽황어
|
|
Cirrhinus mrigala
|
무리갈잉어
|
|
Clarias macrocephalus
|
납작머리열대메기
|
|
Clarias lazera
|
아프리카열대메기
|
|
Pterygoplichthys pardalis
|
아마존비파
|
|
Lepomis microlophus
|
붉은귀블루길
|
|
Morone saxatilis × Morone chrysops
|
양식줄농어
|
|
Sander vitreus
|
월아이농어
|
|
Barbus barbus
|
수염잉어
|
|
Lates calcarifer
|
바라문디농어
|
|
Piaractus mesopotamicus
|
파쿠
|
|
Catostomus commersonii
|
화이트서커
|
|
Australoheros facetus
|
카멜레온틸라피아
|
|
Babka gymnotrachelus
|
레이서망둑
|
|
Barbus plebejus
|
이탈리아누치
|
|
Channa lucius
|
점줄가물치
|
|
Channa marulius
|
큰가물치
|
|
Clarias batrachus
|
걷는클라리아스메기
|
|
Clarias fuscus
|
흰점클라리아스메기
|
|
Coptodon zillii
|
붉은배틸라피아
|
|
Culaea inconstans
|
북미계곡가시고기
|
|
Elopichthys bambusa
|
노란뺨긴황어
|
|
Enneacanthus obesus
|
줄무늬블루길
|
|
Fundulus catenatus
|
북미점박이송사리
|
|
Lepomis auritus
|
붉은가슴블루길
|
|
Leucaspius delineatus
|
선블릭유럽갈겨니
|
|
Mayaheros urophthalmus
|
멕시코시클리드
|
|
Pelmatolapia mariae
(=Tilapia mariae)
|
점틸라피아
|
|
Proterorhinus semilunaris
|
서유럽관코망둑
|
|
Romanogobio belingi
|
북유럽흰마자
|
|
Salvelinus fontinalis
|
북미계곡곤들매기
|
|
Sarotherodon melanotheron
|
검은턱틸라피아
|
|
Coregonus muksun
|
묵순우레기
|
|
Lepomis gibbosus
|
펌프킨시드블루길
|
|
Channa maculata
|
얼룩가물치
|
|
Tinca tinca
|
작은비늘잉어
|
|
Culter alburnus
|
백어
|
|
Ponticola kessleri
|
큰머리망둑
|
|
Acheilognathus cyanostigma
|
일본줄납자루
|
|
Acheilognathus typus
|
일본납지리
|
|
Alosa immaculata
(= Alosa pontica)
|
흑해대서양전어
|
|
Barbus meridionalis
|
지중해누치
|
|
Clupeonella cultriventris
|
흑해왜청어
|
|
Coregonus lavaretus
|
유럽흰연어
|
|
Morone mississippiensis
|
미시시피민물농어
|
|
Oncorhynchus nerka
|
홍연어
|
|
연체동물
|
Perna viridis
|
초록담치
|
Achatina achatina
|
범무늬왕달팽이
|
|
Achatina immaculata
|
분홍입술왕달팽이
|
|
Deroceras agreste
|
초원뾰족민달팽이
|
|
Deroceras caruanae
|
긴목뾰족민달팽이
|
|
Deroceras subagrestis
|
정원뾰족민달팽이
|
|
Helix joppensis
|
방사무늬사막달팽이
|
|
Helix lucorum
|
에스카르고흰줄달팽이
|
|
Helix pomatia
|
에스카르고큰달팽이
|
|
Milax gracilis
|
부다페스트민달팽이
|
|
Milax rusticus
|
점박이능선달팽이
|
|
Milax sowerbyi
|
나무껍질민달팽이
|
|
Pomacea diffusa
|
높은탑사과우렁이
|
|
Succinea costaricana
|
호박잼물우렁이
|
|
Urocyclus flavescens
|
아프리카바나나민달팽이
|
|
Arion vulgaris
|
스페인민달팽이
|
|
Deroceras invadens
|
갈색뾰족민달팽이
|
|
Euglandina rosea
|
붉은늑대달팽이
|
|
Dreissena polymorpha
|
얼룩무늬담치
|
|
Dreissena bugensis
(=Dreissena rostriformis subsp. bugensis)
|
콰가담치
|
|
Potamopyrgus antipodarum
|
뉴질랜드진흙우렁이
|
|
Mytilopsis sallei
|
검은줄무늬홍합
|
|
Arion lusitanicus
|
포르투갈민달팽이
|
|
Cornu aspersum
(=Helix aspersa)
|
정원달팽이
|
|
Crepidula fornicata
|
대서양짚신고둥
|
|
Pomacea scalaris
|
갈색사과우렁이
|
|
Biomphalaria straminea
|
남미또아리물달팽이
|
|
Cernuella virgata
|
포도밭달팽이
|
|
Laevicaulis alte
|
가죽민달팽이
|
|
Lehmannia valentiana
|
세줄민달팽이
|
|
Tarebia granifera
|
남방누비달팽이
|
|
Arion distinctus
|
검은얼굴민달팽이
|
|
Perna perna
|
갈색주걱담치
|
|
Pomacea bridgesii
|
꼭지사과우렁이
|
|
Urosalpinx cinerea
|
대서양굴잡이고둥
|
|
Deroceras sturanyi
|
회색작은뾰족민달팽이
|
|
절지동물
|
Procambarus virginalis
|
마블가재
|
Procambarus acutus
|
북미흰돌기가재
|
|
Dikerogammarus haemobaphes
|
데몬두뿔옆새우
|
|
Hemimysis anomala
|
카스피해붉은띠곤쟁이
|
|
Orconectes propinquus
|
북미맑은물가재
|
|
Pontastacus leptodactylus
|
다뉴브유럽가재
|
|
Crangonyx pseudogracilis
|
날씬서양옆새우
|
|
Orconectes juvenilis
|
켄터키가재
|
|
Paramysis lacustris
|
카스피해기수곤쟁이
|
|
Solenopsis geminata
|
열대불개미
|
|
Paratrechina longicornis
|
열대긴수염개미
|
|
Faxonius limosus
(=Orconectes limosus)
|
가시투성팩슨가재
|
|
Pacifastacus leniusculus
|
붉은손바닥태평양가재
|
|
Faxonius virilis
(=Orconectes virilis)
|
큰집게발팩슨가재
|
|
Carcinus maenas
|
유럽녹색꽃게
|
|
Faxonius rusticus
(=Orconectes rusticus)
|
녹슨점무늬팩슨가재
|
|
Rhithropanopeus harrisii
|
해리스진흙게
|
|
Pontogammarus robustoides
|
건장폰토옆새우
|
|
Austrominius modestus
(=Elminius modestus)
|
꼬마남방붉은따개비
|
|
Macrobrachium lanchesteri
|
논유리징거미새우
|
|
양서류
|
Osteopilus septentrionalis
|
쿠바청개구리
|
Rana ridibundus
|
웃는개구리
|
|
Rana lessonae
|
유럽연못개구리
|
|
Bufo japonicus formosus
|
동일본두꺼비
|
|
Bufo japonicus japonicus
|
서일본두꺼비
|
|
Fejervarya kawamurai
|
히로시마늪개구리
|
|
Fejervarya sakishimensis
|
사키시마늪개구리
|
|
Rana japonica
|
일본산개구리
|
|
Pelophylax porosus
|
다루마개구리
|
|
Epidalea calamita
|
서유럽황갈색두꺼비
|
|
Sclerophrys mauritanica
|
모리타니두꺼비
|
|
Rhinella marinus
|
사탕수수두꺼비
|
|
Pelophylax esculentus
|
유럽식용개구리
|
|
Pelophylax kurtmuelleri
|
발칸개구리
|
|
Anaxyrus cognatus
|
대평원두꺼비
|
|
Anaxyrus punctatus
|
붉은점박이두꺼비
|
|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
미국장수도롱뇽
|
|
Duttaphrynus melanostictus
|
아시아검은안경두꺼비
|
|
Rana grylio
|
돼지개구리
|
|
Rana heckscheri
|
강개구리
|
|
Rana pipiens
|
북방표범개구리
|
|
Hylarana erythraea
|
아시아녹색개구리
|
|
Hoplobatrachus tigerinus
|
인도황소개구리
|
|
Hoplobatrachus rugulosus
|
동아시아황소개구리
|
|
Litoria dentata
|
염소울음청개구리
|
|
Litoria ewingii
|
호주남부갈색청개구리
|
|
Litoria raniformis
|
호주남부종개구리
|
|
Litoria aurea
|
그린벨개구리
|
|
Fejervarya limnocharis
|
보이에사마귀개구리
|
|
Bufo speciosus
|
텍사스두꺼비
|
|
Bufo typhonius
|
낙엽두꺼비
|
|
Rana dalmatina
|
유럽기민개구리
|
|
Anaxyrus quercicus
(=Bufo quercicus)
|
참나무두꺼비
|
|
Bombina bombina
|
유럽무당개구리
|
|
Bombina variegata
|
노란배무당개구리
|
|
Eleutherodactylus coqui
|
코키개구리
|
|
Eleutherodactylus johnstonei
|
소앤틸리스휘슬개구리
|
|
Eleutherodactylus planirostris
|
온실개구리
|
|
Gastrophryne carolinensis
|
북미동부맹꽁이
|
|
Hyla regilla
|
태평양청개구리
|
|
Limnonectes kuhlii
|
쿨개울개구리
|
|
Microhyla okinavensis
|
오키나와벼맹꽁이
|
|
Polypedates leucomystax
|
아시아갈색청개구리
|
|
Scinax ruber
|
붉은코청개구리
|
|
Discoglossus pictus
|
지중해치장개구리
|
|
Hyla arborea
|
유럽청개구리
|
|
Limnodynastes dorsalis
|
서부밴조개구리
|
|
Limnodynastes dumerilii
|
동부밴조개구리
|
|
Lithobates clamitans
(=Rana clamitans)
|
초록황소개구리
|
|
Lithobates septentrionalis
(=Rana septentrionalis)
|
밍크황소개구리
|
|
Lithobates virgatipes
(= Rana virgatipes)
|
목수황소개구리
|
|
Plethodon cinereus
|
동부붉은등미주도롱뇽
|
|
Plethodon glutinosus
|
북부끈적미주도롱뇽
|
|
Taricha granulosa
|
거친피부영원
|
|
Scinax x-signatus
|
베네수엘라코청개구리
|
|
Limnodynastes peronii
|
줄무늬습지개구리
|
|
Platyplectrum ornatum
(=Limnodynastes ornatus)
|
치장굴파기개구리
|
|
파충류
|
Boiga irregularis
|
호주갈색나무뱀
|
Graptemys pseudogeographica
|
가짜지도거북
|
|
Vipera aspis
|
유럽살모사
|
|
Mauremys mutica
|
노랑늪거북
|
|
Graptemys geographica
|
북미지도거북
|
|
Mauremys caspica
|
카스피민물거북
|
|
Pelomedusa subrufa
|
아프리카헬맷거북
|
|
Darevskia armeniaca
|
아르메니아도마뱀
|
|
Eutropis multifasciata
|
동인도갈색도마뱀
|
|
Calotes mystaceus
|
인도차이나숲도마뱀
|
|
Calotes versicolor
|
동양정원도마뱀
|
|
Protobothrops mucrosquamatus
|
갈색점박이살모사
|
|
Boiga cyanea
|
녹색고양이눈뱀
|
|
Rhabdophis subminiatus
|
붉은목유혈목이
|
|
Boiga cynodon
|
개이빨고양이눈뱀
|
|
Boiga nigriceps
|
검은머리고양이눈뱀
|
|
Notechis scutatus
|
호피무늬뱀
|
|
Epicrates maurus
|
콜롬비아무지개보아
|
|
Ctenotus lancelini
|
호주란셀섬도마뱀
|
|
Lampropholis delicata
|
무지개도마뱀
|
|
Mauremys sinensis × Mauremys reevesii
|
중국줄무늬목거북×남생이
|
|
Mauremys japonica × Mauremys reevesii
|
일본돌거북×남생이
|
|
Mauremys mutica kami
|
류큐노랑늪거북
|
|
Anolis cybotes
|
큰머리아놀도마뱀
|
|
Anolis aeneus
|
청동아놀도마뱀
|
|
Anolis allogus
|
부에시토아놀도마뱀
|
|
Anolis alutaceus
|
쿠바푸른눈아놀도마뱀
|
|
Anolis chlorocyanus
|
히스파니올라녹색아놀도마뱀
|
|
Anolis garmani
|
자메이카거대아놀도마뱀
|
|
Anolis homolechis
|
아바나아놀도마뱀
|
|
Anolis lineatus
|
퀴라소줄무늬아놀도마뱀
|
|
Anolis richardii
|
그레나다나무아놀도마뱀
|
|
Anolis wattsi
|
와츠아놀도마뱀
|
|
Ameiva ameiva
|
거대어미바도마뱀
|
|
Anolis sagrei
|
갈색도마뱀
|
|
Hemidactylus mabouia
|
열대집도마뱀부치
|
|
Hemidactylus turcicus
|
터키도마뱀부치
|
|
Iberolacerta horvathi
|
호르바트도마뱀
|
|
Lycodon aulicus
|
인도늑대뱀
|
|
Sphenomorphus maculatus
|
점박이숲도마뱀
|
|
Zamenis longissimus
|
아이스쿨라피우스뱀
|
|
Japalura swinhonis
(=Diploderma swinhonis)
|
대만도마뱀
|
|
Dendroaspis polylepis
|
검은맘바코브라
|
|
Hemidactylus garnotii
|
인도태평양집도마뱀부치
|
|
Hemidactylus platyurus
|
납작꼬리집도마뱀부치
|
|
거미류
|
Atrax robustus
|
시드니깔대기거미
|
Latrodectus antheratus
|
파라과이과부거미
|
|
Latrodectus apicalis
|
갈라파고스과부거미
|
|
Latrodectus bishopi
|
플로리다붉은점과부거미
|
|
Latrodectus cinctus
|
검은발과부거미
|
|
Latrodectus corallinus
|
아르헨붉은줄과부거미
|
|
Latrodectus curacaviensis
|
남미과부거미
|
|
Latrodectus dahli
|
검은배과부거미
|
|
Latrodectus diaguita
|
아르헨티나흰줄과부거미
|
|
Latrodectus elegans
|
붉은불짜과부거미
|
|
Latrodectus erythromelas
|
검붉은과부거미
|
|
Latrodectus geometricus
|
갈색과부거미
|
|
Latrodectus hasselti
|
붉은등줄과부거미
|
|
Latrodectus hesperus
|
붉은배과부거미
|
|
Latrodectus hystrix
|
가시과부거미
|
|
Latrodectus indistinctus
|
아프리카검은과부거미
|
|
Latrodectus karrooensis
|
남아프리카검은과부거미
|
|
Latrodectus katipo
|
뉴질랜드과부거미
|
|
Latrodectus lilianae
|
검은띠과부거미
|
|
Latrodectus mactans
|
검은과부거미
|
|
Latrodectus menavodi
|
마다가스카르검은과부거미
|
|
Latrodectus mirabilis
|
아르헨티나불짜과부거미
|
|
Latrodectus obscurior
|
마다가스카르갈색과부거미
|
|
Latrodectus pallidus
|
흰배과부거미
|
|
Latrodectus quartus
|
아르헨붉은점과부거미
|
|
Latrodectus renivulvatus
|
콩팥과부거미
|
|
Latrodectus revivensis
|
이스라엘과부거미
|
|
Latrodectus rhodesiensis
|
남아프리카갈색과부거미
|
|
Latrodectus thoracicus
|
칠레과부거미
|
|
Latrodectus tredecimguttatus
|
붉은점과부거미
|
|
Latrodectus variegatus
|
얼룩과부거미
|
|
Latrodectus variolus
|
북미흰줄과부거미
|
|
Hadronyche formidabilis
|
호주갈색깔때기거미
|
|
Hadronyche versuta
|
호주검은깔때기거미
|
|
Macrothele gigas
|
동양붉은턱큰실젖거미
|
|
Missulena bradleyi
|
호주검은쥐거미
|
|
Macrothele holsti
|
대만검은큰실젖거미
|
|
Macrothele taiwanensis
|
대만빗살큰실젖거미
|
|
Loxosceles intermedia
|
남미갈색실거미
|
|
Phoneutria bahiensis
|
브라질너구리거미
|
|
Phoneutria reidyi
|
아마존너구리거미
|
|
Missulena occatoria
|
호주붉은머리쥐거미
|
|
Hexophthalma hahni
|
육눈이모래거미
|
|
Badumna insignis
|
큰검은집거미
|
|
Dysdera crocata
|
돼지거미
|
|
Phoneutria keyserlingi
|
브라질점무늬너구리거미
|
|
Opilio canestrinii
|
유럽붉은참통거미
|
|
Odiellus spinosus
|
유럽가시통거미
|
|
Loxosceles gaucho
|
가우초실거미
|
|
Loxosceles laeta
|
칠레실거미
|
|
Loxosceles reclusa
|
북미갈색실거미
|
|
Cheiracanthium punctorium
|
큰턱장수염낭거미
|
|
Phoneutria fera
|
바나나너구리거미
|
|
Phoneutria nigriventer
|
남미검은배너구리거미
|
|
곤충
|
Phenacoccus solenopsis
|
북미솜깍지벌레붙이
|
Wasmannia auropunctata
|
남미작은불개미
|
|
Pheidole megacephala
|
아프리카큰머리혹개미
|
|
Solenopsis richteri
|
남미검은열마디개미
|
|
Hemiberlesia rapax
|
하와이깍지벌레
|
|
Adelges tsugae
|
솔송나무솜벌레
|
|
Chilo partellus
|
줄기얼룩명나방
|
|
Cryptotermes brevis
|
남미마른나무흰개미
|
|
Rhagoletis pomonella
|
사과과실파리
|
|
Anastrepha fratercula
(=Anastrepha fraterculus)
|
남미과실파리
|
|
Anastrepha ludens
|
멕시코과실파리
|
|
Anastrepha obliqua
|
서인도제도과실파리
|
|
Anastrepha serpentina
|
사포테과실파리
|
|
Anastrepha striata
|
신세계구아바과실파리
|
|
Anastrepha suspensa
|
카리브과실파리
|
|
Zeugodacus cucurbitae
(=Bactrocera cucurbitae)
|
오이과실파리
|
|
Bactrocera dorsalis
|
오리엔탈과실파리
|
|
Bactrocera tryoni
|
퀸즐랜드과실파리
|
|
Bactrocera zonata
|
복숭아과실파리
|
|
Ceratitis capitata
|
지중해과실파리
|
|
Ceratitis rosa
|
나탈과실파리
|
|
Bactrocera correcta
|
구아바과실파리
|
|
Phytomyza rufipes
|
양배추잎굴파리
|
|
Vespa orientalis
|
동양붉은말벌
|
|
Polistes dominula
|
유럽쌍살벌
|
|
Diprion pini
|
유럽솔잎벌
|
|
Orseolia oryzae
|
아시아벼혹파리
|
|
Reticulitermes lucifugus
|
이탈리아흰개미
|
|
Dendroctonus micans
|
광택가문비왕나무좀
|
|
Otiorhynchus sulcatus
|
검정포도바구미
|
|
Platypus quercivorus
|
참나무긴나무좀
|
|
Leptinotarsa decemlineata
|
콜로라도잎벌레
|
|
Diabrotica virgifera
|
미국옥수수잎벌레
|
|
Popillia japonica
|
왜콩풍뎅이
|
|
Aulacaspis yasumatsui
|
소철흰깍지벌레
|
|
Heteropsylla cubana
|
레우캐나나무이
|
|
Lobesia botrana
|
포도애기잎말이나방
|
|
Rhipiphorothrips cruentatus
|
포도덩굴총채벌레
|
|
Leptocorisa acuta
|
벼호리허리노린재
|
|
Pityogenes bidentatus
|
두가시소나무좀
|
|
Euscepes postfasciatus
|
고구마바구미
|
|
식물
|
Vincetoxicum rossicum
|
개줄덩굴
|
Carduus acanthoides
|
큰지느러미엉겅퀴
|
|
Carduus tenuiflorus
|
가는꽃지느러미엉겅퀴
|
|
Chromolaena odorata
|
양지등골나물
|
|
Mikania micrantha
|
덩굴등골나물
|
|
Senecio madagascariensis
|
갯솜방망이
|
|
Sphagneticola trilobata
|
미국갯금불초
|
|
Cenchrus echinatus
|
미국가시풀
|
|
Neyraudia reynaudiana
|
버마갈대
|
|
Brachiaria mutica
|
아프리카기장
|
|
Vulpia bromoides
|
들묵새아재비
|
|
Fallopia baldschuanica
|
중국닭의덩굴
|
|
Heracleum sosnowskyi
|
서양어수리
|
|
Hydrocotyle ranunculoides
|
서양물피막이
|
|
Asparagus asparagoides
|
아프리카밀나물
|
|
Landoltia punctata
|
점개구리밥
|
|
Elodea nuttallii
|
캐나다말
|
|
Andropogon gayanus
|
아프리카나도솔새
|
|
Oenanthe pimpinelloides
|
유럽미나리
|
|
Ageratina riparia
|
강변등골나물
|
|
Onopordum acanthium
|
솜엉겅퀴
|
|
Bunias orientalis
|
혹갓
|
|
Alternanthera pungens
|
가시땅비름
|
|
Prosopis glandulosa
|
왕메뚜기콩
|
|
Salpichroa origanifolia
|
덩굴가지
|
|
Myriophyllum heterophyllum
|
미국물수세미
|
|
Salvinia minima
|
좀생이가래
|
|
Sagittaria graminea
|
잔디잎소귀나물
|
|
Centaurea diffusa
|
퍼진수레국화
|
|
Ehrharta erecta
|
초원기장풀
|
|
Lolium persicum
|
페르시아호밀풀
|
|
Paspalum conjugatum
|
버펄로참새피
|
|
Hydrocharis morsus-ranae
|
유럽자라풀
|
|
Stratiotes aloides
|
총검자라풀
|
|
Eichhornia azurea
|
닻부레옥잠
|
|
Monochoria hastata
|
화살잎물옥잠
|
|
Aegilops tauschii
|
야생염소풀
|
|
Setaria palmifolia
|
넓은잎강아지풀
|
|
Echinocystis lobata
|
야생오이
|
|
Lycium ferocissimum
|
아프리카구기자
|
|
Paspalum fimbriatum
|
파나마참새피
|
|
Berteroa incana
|
흰꽃장대냉이
|
|
Lepidium appelianum
|
둥근열매다닥냉이
|
|
Heteropogon contortus
|
검은창끝겨이삭
|
|
Spartina densiflora
|
좁은꽃갯줄풀
|
|
Centaurea stoebe subsp. micranthos
|
분홍수레국화
|
|
Rhaponticum repens
|
기는뻐꾹채
|
|
Myriophyllum alterniflorum
|
호생꽃물수세미
|
|
Passiflora foetida
|
악취시계꽃
|
|
Spartina patens
|
아메리카갯줄풀
|
|
Acacia paradoxa
|
노랑꽃호주아카시아
|
|
Alhagi maurorum
|
사막가시골담초
|
|
Arctotheca calendula
|
남아프리카민들레
|
|
Asparagus scandens
|
남아프리카덩굴비짜루
|
|
Buddleja madagascariensis
|
마다가스카르브들레아
|
|
Carpobrotus chilensis
|
남아프리카송엽국
|
|
Cenchrus spinifex
|
미국해변가시풀
|
|
Crupina vulgaris
|
산비장이아재비
|
|
Dolichandra unguis-cati
|
고양이발톱덩굴
|
|
Echium vulgare
|
유럽푸른지치
|
|
Ehrharta longiflora
|
긴꽃초원기장풀
|
|
Erica lusitanica
|
유럽가솔송
|
|
Erechtites valerianifolius
|
갈래잎붉은서나물
|
|
Euphorbia cyathophora
|
꼬마포인세티아
|
|
Flaveria bidentis
|
아메리카해변미역취
|
|
Genista linifolia
|
지중해골담초
|
|
Genista monspessulana
|
프랑스골담초
|
|
Heliotropium europaeum
|
유럽향기풀
|
|
Hordeum bulbosum
|
야생보리
|
|
Hyptis brevipes
|
남미구슬박하
|
|
Hyptis suaveolens
|
성긴남미구슬박하
|
|
Ipomoea alba
|
밤메꽃
|
|
Iva axillaris
|
미국독돼지풀
|
|
Jatropha curcas
|
멕시코산호유동
|
|
Lantana montevidensis
|
처진줄기란타나
|
|
Megathyrsus maximus
|
기니기장
|
|
Morella faya
|
불꽃소귀나무
|
|
Pittosporum undulatum
|
호주돈나무
|
|
Rosa bracteata
|
큰꽃용가시나무
|
|
Senecio angulatus
|
남아프리카덩굴금방망이
|
|
Toxicodendron radicans
|
미국덩굴옻나무
|
|
Acacia auriculiformis
|
귀잎아카시아
|
|
Acacia confusa
|
타이완아카시아
|
|
Acacia farnesiana
|
가시바늘아카시아
|
|
Acacia mearnsii
|
호주아카시아
|
|
Agropyron desertorum
|
사막개밀
|
|
Ardisia elliptica
|
민거치자금우
|
|
Amelanchier spicata
|
꼬마채진목
|
|
Bassia hyssopifolia
|
다섯가시댑싸리
|
|
Bromus rubens
|
여우꼬리귀리
|
|
Centaurea melitensis
|
지중해엉겅퀴
|
|
Chrysanthemoides monilifera
|
국화아재비나무
|
|
Cortaderia jubata
|
안데스대왕갈대
|
|
Cytisus striatus
|
흰털열매골담초
|
|
Delairea odorata
|
아프리카덩굴솜방망이
|
|
Dioscorea oppositifolia
|
인도마
|
|
Dittrichia graveolens
|
구린내금불초
|
|
Galeopsis tetrahit
|
유럽털향유
|
|
Emex spinosa
|
가시개소리쟁이
|
|
Heracleum persicum
|
페르시아어수리
|
|
Salvinia biloba
|
큰생이가래
|
|
Centaurea virgata subsp. squarrosa
|
까실수레국화
|
|
Euphorbia oblongata
|
발칸털대극
|
|
Centaurea calcitrapa
|
마름쇠수레국화
|
|
Solanum aculeatissimum
|
희망봉왕도깨비가지
|
|
Solanum mauritianum
|
남미솜털까마중나무
|
|
Cenchrus setaceus
|
자주수크령
|
|
Onopordum acaulon
|
로제트엉겅퀴
|
|
Prosopis juliflora
|
개꼬리미모사나무
|
|
Cenchrus ciliaris
|
여우꼬리가시풀
|
|
Cortaderia splendens
|
뉴질랜드대왕갈대
|
|
Lactuca pulchella
|
미국왕고들빼기
|
|
Praxelis clematidea
|
남미보라꽃등골나물
|
|
Solanum marginatum
|
아프리카까마중나무
|
|
Acacia cyclops
|
해변아카시아
|
|
Acacia saligna
|
황금아카시아
|
|
Acanthospermum australe
|
별도꼬마리
|
|
Acanthospermum hispidum
|
가시별도꼬마리
|
|
Acetosa sagittata
|
메밀잎소리쟁이
|
|
Aegilops geniculata
|
지중해염소풀
|
|
Aegilops triuncialis
|
가시염소풀
|
|
Aethusa cynapium
|
유럽독미나리
|
|
Amaranthus polygonoides
|
열매비름
|
|
Amelichloa brachychaeta
|
남방가는나래새
|
|
Anredera cordifolia
|
백포도덩굴
|
|
Apera spica-venti
|
겨이삭아재비
|
|
Asparagus aethiopicus
|
남아공비짜루
|
|
Atriplex semibaccata
|
호주갯는쟁이
|
|
Avena barbata
|
가는잎귀리
|
|
Axonopus compressus
|
루이지애나잔디
|
|
Axonopus fissifolius
|
융단풀
|
|
Bambusa bambos
|
가시대나무
|
|
Bambusa vulgaris
|
남방대나무
|
|
Bromus arvensis
|
들참새귀리
|
|
Bromus briziformis
|
방울뱀참새귀리
|
|
Cakile maritima
|
유럽갯냉이
|
|
Cardiospermum grandiflorum
|
남미큰풍선덩굴
|
|
Cenchrus clandestinus
|
기는가시풀
|
|
Cenchrus pedicellatus
|
붉은꼬리가시풀
|
|
Cenchrus polystachios
|
긴꼬리가시풀
|
|
Centaurea benedicta
|
유럽수레국화
|
|
Centaurea eriophora
|
스페인수레국화
|
|
Centaurea nigra
|
까만포수레국화
|
|
Cerastium nutans
|
처진점나도나물
|
|
Chamaecytisus prolifera var. prolifera
|
카나리아골담초
|
|
Cinchona pubescens
|
퀴닌나무
|
|
Cirsium palustre
|
유럽늪엉겅퀴
|
|
Clidemia hirta
|
아메리카비누나무
|
|
Clinopodium acinos
|
유럽탑꽃
|
|
Cotoneaster franchetii
|
프랑셰개야광나무
|
|
Cotoneaster pannosus
|
은잎개야광나무
|
|
Crepis capillaris
|
유럽나도민들레
|
|
Crotalaria incana
|
남미활나물
|
|
Cyanthillium cinereum
|
열대자주꽃망초
|
|
Cytisus multiflorus
|
포르투갈골담초
|
|
Dipogon lignosus
|
남아공완두
|
|
Dittrichia viscosa
|
지중해금불초
|
|
Ehrharta calycina
|
자주초원기장풀
|
|
Euphorbia terracina
|
테라치나대극
|
|
Hakea salicifolia
|
버들잎하케아
|
|
Helianthus ciliaris
|
텍사스해바라기
|
|
Heliotropium amplexicaule
|
아르헨티나해꽃
|
|
Hieracium atratum
|
북극조밥나물
|
|
Hieracium glomeratum
|
유럽여왕조밥나물
|
|
Hieracium laevigatum
|
미끈이조밥나물
|
|
Hymenachne amplexicaulis
|
서인도물기장
|
|
Indigofera suffruticosa
|
과테말라땅비싸리
|
|
Ipomoea indica
|
푸른꽃나팔꽃
|
|
Ipomoea pandurata
|
미국들고구마
|
|
Lactuca canadensis
|
캐나다왕고들빼기
|
|
Lactuca tatarica
|
타타리아왕고들빼기
|
|
Ludwigia decurrens
|
날개여뀌바늘
|
|
Ludwigia grandiflora
|
큰물달맞이꽃
|
|
Lythrum hyssopifolia
|
유럽부처꽃
|
|
Malephora crocea
|
아프리카구릿빛채송화
|
|
Malvastrum coromandelianum
|
아메리카노랑아욱
|
|
Melaleuca quinquenervia
|
넓은잎껍질나무
|
|
Miconia calvescens
|
우단나무
|
|
Moraea flaccida
|
외잎남아공붓꽃
|
|
Moraea ochroleuca
|
살구색남아공붓꽃
|
|
Mycelis muralis
|
유럽가시상추
|
|
Nassella charruana
|
남미나래새
|
|
Nicotiana glauca
|
나무담배
|
|
Onopordum illyricum
|
일리리아엉겅퀴
|
|
Onopordum tauricum
|
타우리카엉겅퀴
|
|
Paspalum quadrifarium
|
황갈색큰참새피
|
|
Polygonum argyrocoleon
|
페르시아마디풀
|
|
Populus balsamifera
|
발삼물황철나무
|
|
Populus grandidentata
|
미국큰거치사시나무
|
|
Pseudelephantopus spicatus
|
개혓바닥국화
|
|
Reseda lutea
|
노란꽃목서초
|
|
Rhamnus alaternus
|
이탈리아갈매나무
|
|
Rumex confertus
|
러시아소리쟁이
|
|
Senna septemtrionalis
|
멕시코나무결명자
|
|
Sida cordifolia
|
심장잎공단풀
|
|
Solanum triflorum
|
아르헨티나까마중
|
|
Sporobolus diandrus
|
이술쥐꼬리새풀
|
|
Sporobolus indicus
|
미국쥐꼬리새풀
|
|
Stachytarpheta cayennensis
|
카옌개마편초
|
|
Stachytarpheta jamaicensis
|
자메이카마편초
|
|
Synedrella nodiflora
|
노란별꽃아재비
|
|
Tribulus cistoides
|
자메이카남가새
|
|
Trifolium arvense
|
토끼발클로버
|
|
Typha domingensis
|
미국애기부들
|
|
Typha lugdunensis
|
유럽꼬마부들
|
|
Cardaria chalepensis
|
중동큰다닥냉이
|
|
Centaurea iberica
|
이베리아수레국화
|
|
Chondrilla juncea
|
야윈뽀리뱅이
|
|
Halogeton glomeratus
|
아랄해수송나물
|
|
Peganum harmala
|
운향아재비
|
|
Stachytarpheta urticifolia
|
쐐기풀마편초
|
|
Vincetoxicum nigrum
|
유럽박주가리
|
|
Bromus diandrus
|
지중해참새귀리
|
|
Cenchrus biflorus
|
사헬대청가시풀
|
|
Euphorbia peplus
|
서아시아땅빈대
|
|
Passiflora suberosa
|
코르크시계꽃
|
|
Senecio glastifolius
|
남아프리카금방망이
|
|
Jatropha gossypiifolia
|
목화잎자트로파
|
|
Fallopia bohemica
(=Reynoutria × bohemica)
|
보헤미아닭의덩굴
|
|
Cuscuta monogyna
|
유럽새삼
|
|
Tithonia diversifolia
|
나무금잔화
|
|
Vachellia nilotica
|
이집트아카시아
|
|
Ambrosia tenuifolia
|
가는잎돼지풀
|
|
Carduus pycnocephalus
|
이탈리아엉겅퀴
|
|
Bassia prostrata
|
휜가지댑싸리
|
|
Centaurea diluta
|
북아프리카수레국화
|
|
Centaurea nigrescens
|
티롤수레국화
|
|
Centaurea stoebe
|
점박이수레국화
|
|
Centaurea virgata
|
서아시아수레국화
|
|
Echium italicum
|
이탈리아뱀지치
|
|
Elodea callitrichoides
|
우루과이나도검정말
|
|
Heliotropium indicum
|
인도해돌이꽃
|
|
Senecio viscosus
|
끈적금방망이
|
|
Solanum erianthum
|
솜털까마중나무
|
|
Prosopis pallida
|
흰꽃메스키트
|
|
Prosopis ruscifolia
|
파라과이메스키트
|
|
Prosopis velutina
|
우단메스키트
|
|
Solanum torvum
|
완두콩까마중
|
|
Sida acuta
|
뾰족공단풀
|
|
Heliotropium curassavicum
|
해변해돌이꽃
|
|
Hydrocotyle bonariensis
|
큰잎모래피막이
|
붙임 4
|
|
유입주의 생물 신규 지정 사유
|
□ 유입주의 생물 추가 지정(안)
① IUCN 악성침입외래종, 인접국(중국, 일본 등) 법정 관리종(국외지정)
② 사회적·생태적 피해를 야기한 사례가 있는 종
③ 기존 생태계교란 생물과 유전적·생태적 특성이 유사한 종
※ Ambrosia tenuifolia 사진 출처: ©PABLO PRELIASCO/VIA INATURALIST - CC BY-NC 4.0
④ 서식조건이 국내 환경과 유사하여 정착 가능성이 높은 종
⑤ 질병 등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친 사례가 있는 종
□ 유입주의 생물 신규 지정 기준
<유입주의 생물 후보군 발굴 기준표>
1 IUCN 악성침입외래종, 인접국(중국, 일본 등) 법정 관리종(국외지정)
2 사회적·생태적 피해 야기한 사례가 있는 생물종
3 기존 생태계교란 생물과 유전적·생태적 특성이 유사한 생물종
4 본 서식지 여건이 국내 환경과 유사하여 정착 가능성이 높은 생물종
5 질병 등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친 사례가 있는 생물종
|
붙임 5
|
|
법정관리 외래생물 관리체계
|
□ 법정관리 외래생물 관리절차
유입주의 생물 수입·반입 신청
|
⇨
|
위해성평가
|
⇨
|
①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
|
⇨
|
해당 생물 수입· 반입 승인여부 결정
|
②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지정
|
||||||
신청인→지방청
|
환경부→신청인
|
|||||
③ 유입주의 생물에서 제외(미관리)
|
||||||
그 외
|
법정관리 여부에 따른 방제 등 조치
|
|||||
지방청 / 환경부
→생태원
|
생태원→환경부
|
|||||
환경부·지방청
|
환경부
→지방청·지자체
|
□ 법정관리 외래생물 관리체계
구 분
|
유입주의 생물
|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24.2.17. 개정법 시행)
|
생태계교란 생물
|
유입 여부
|
국내 미유입
|
국내 기(旣)유입
|
국내 기(旣)유입
|
지정 이유
|
· 국내 유입될 경우
생태계 위해 우려
· 국내 유입 전 사전 차단
|
· 특정 생물의 생존이나 특정 지역의 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생물
· 생태계에 미치는 위해가 큰 생물 중 산업용으로 사용되며 대체가 곤란한 생물
|
· 국내 생태계에 미치는
위해가 큼
|
법적 근거
|
· 생물다양성법 제2조6호의2
|
· 생물다양성법 제2조8호의2
|
· 생물다양성법 제2조8호
|
승인
허가
신고
|
· 수입·반입 : 승인
(제22조 제1항)
· 위해성평가를 통해 수입·반입 승인여부 결정
(제21조의2, 제22조 제2항∼제4항)
|
· 판매 목적 수입등* : 허가
(안 제24조의2 제1항)
· 판매 외의 목적 수입등 : 신고
(안 제24조의2 제2항)
· 유입주의 생물일 당시 수입·반입 기승인시 수입등 가능
(제24조의2 제3항)
· 사육·재배 유예 신설
(안 제24조의5)
|
· 수입 등 금지
(제24조 제1항)
· 학술연구, 교육, 전시, 식용 등의 목적 : 허가
(제24조 제1항)
· 유입주의 생물일 당시 수입·반입 기승인시 수입등 가능
(제24조 제1항)
· 사육·재배 유예 및 지속사육 허가제도(제24조의4)
|
관리기준
|
· 관리절차 없음
|
· 생태계로 방출·방생·유기·이식 금지
· 학술연구 목적인 경우 허가
|
· 생태계로 방출·방생·유기·이식 금지
· 학술연구 목적인 경우 허가
|
벌 칙
|
· 승인없이 수입·반입 :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
· 허가없이 수입등 또는 방출 등 :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 신고없이 수입등 :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 허가없이 수입등 또는 방출 등 :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
지정현황
|
706종
|
4종
|
1속 37종
|
* 수입등 : 수입·반입·사육·재배·양도·양수·보관·운반 또는 유통
붙임 6
|
|
법정관리 외래생물 지정현황(‘23.9월 기준)
|
□ 유입주의 생물 지정 현황(706종)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종
|
31종
|
49종
|
24종
|
27종
|
45종
|
100종
|
102종 지정,
4종 해제
|
160종 지정
1종 해제
|
150종 지정
1종 해제
|
□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 현황(1속 37종)
‘98
|
‘99
|
‘01
|
‘02
|
‘09
|
‘13
|
‘16
|
‘18
|
‘19
|
‘20
|
‘21
|
‘22
|
‘23
|
3종
|
2종
|
1속
|
4종
|
6종
|
2종
|
2종
|
1종
|
3종
|
10종
|
1종
|
2종
|
1종
|
구 분
|
생태계교란 생물
|
‘98
|
황소개구리, 파랑볼우럭, 큰입배스(3종)
|
‘99
|
돼지풀, 단풍잎돼지풀(2종)
|
‘01
|
붉은귀거북속 전종(1속)
|
‘02
|
서양등골나물, 털물참새피, 물참새피, 도깨비가지(4종)
|
‘09
|
뉴트리아, 애기수영, 가시박, 서양금혼초, 미국쑥부쟁이, 양미역취(6종)
|
‘13
|
꽃매미, 가시상추(2종)
|
‘16
|
갯줄풀, 영국갯끈풀(2종)
|
‘18
|
붉은불개미(1종)
|
‘19
|
등검은말벌, 환삼덩굴, 미국가재(3종)
|
‘20
|
리버쿠터, 중국줄무늬목거북, 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 마늘냉이, 아르헨티나개미, 악어거북, 플로리다붉은배거북, 긴다리비틀개미, 빗살무늬미주메뚜기(10종)
|
‘21
|
브라운송어(1종)
|
‘22
|
늑대거북, 돼지풀아재비(2종)
|
‘23
|
열대불개미(1종)
|
□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지정 현황(4종)
지정일자
|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
‘20
|
라쿤(1종)
|
‘21
|
대서양연어, 아프리카발톱개구리, 피라냐(3종)
|
붙임 7
|
|
질의응답
|
1.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되면 어떻게 관리가 강화되나요?
|
○ (모니터링)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된 종에 대해 ’외래생물 전국서식실태조사‘와 함께 ’생태계교란 생물 모니터링‘을 추가 실시하여 보다 면밀하게 서식현황을 파악하게 됨
○ (제거사업) 생태계 등의 위해를 줄이기 위하여 해당종에 대해 방제, 퇴치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함
2. ‘유입주의 생물’ 제도의 취지는 무엇인가요?
|
○ 특이한 반려생물의 수요 증가로 위해성이 확인되지 않은 외래생물의 유입과 자연생태계 유출로 인해 사회‧경제적 피해 사례 지속 발생
- 특정종을 생태계교란 생물 또는 생태계위해 우려 생물로 지정하면 풍선 효과로 그와 생물적·생태적 특성이 유사한 생물종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문제 반복
○ 이에 위해성이 아직 확인되지 않았거나 의심되는 종이라도 ’유입주의 생물‘로 폭넓게 지정(’23년까지 706종 지정)하여 국내 유입되기 전 위해성평가를 거쳐 승인 여부가 결정되도록 제도 운영 중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불법 의심 직거래 2차 조사결과 발표 (0) | 2023.09.24 |
---|---|
(주)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거래상지위 남용행위 제재 (0) | 2023.09.24 |
‘국토위성’으로 해외 재난 복구 지원한다 (0) | 2023.09.24 |
여름방학 유해환경 점검 결과 청소년보호법 위반 1,802건 적발 (0) | 2023.09.24 |
지자체로 확산되는 미래직업 VR 콘텐츠 체험 (0) | 2023.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