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용정보원2 고령화로 2030년까지 15∼64세 생산가능인구 320만명 감소_고용노동부 고령화로 2030년까지 15∼64세 생산가능인구 320만명 감소” 고용부,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발표 청년층 비율 14.7%로 줄고 장년층 이상 55%로 늘어 2022.02.03 고용노동부 2030년까지 고령화의 영향으로 생산가능인구 증가폭이 크게 둔화되는 가운데, 청년층 비중은 낮아지고 장년층 이상 비중은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3일 ‘2020∼2030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을 발표, 인력공급 제약으로 세부 연령대별 경제활동참가율은 상승하지만 인구 고령화로 15세 이상 전체 경제활동참가율은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15세 이상 취업자는 2030년까지 98만 명 증가하지만 고령화 및 산업구조 변화 등의 영향에 따라 2025년을 정점으로 감소세로 전환할 것으로 내.. 2022. 2. 3. 2022년 상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 발표_고용노동부 2022년 상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 발표 2022.01.27 고용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한국산업기술진흥원 공동 전자.철강.반도체 ‘증가’. 디스플레이 ‘감소’, 기계.조선.섬유.자동차.건설.금융보험 ‘유지’ 본 연구는 기계, 조선, 전자, 섬유, 철강, 반도체,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국내 8개 주력 제조 업종과 건설업, 금융 및 보험업에 대한 2022년 상반기 일자리 증감에 대해 전망하고 있다(고용보험 피보험자 자료,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 경제활동인구조사 기준). 전망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대비 전자·철강·반도체 업종 일자리는 증가하는 반면, 디스플레이 업종 일자리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계·조선·섬유·자동차·건설·금융보험 업종은 지난해 하반기 고용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2022. 1.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