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뇌혈관질환2 금연 빠를수록 폐암,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해 감소(20대는 심뇌혈관질환, 30대 이상에서는 폐암 발생 위해가 급격히 증가) 금연 빠를수록 폐암,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해 감소 2022.02.14 질병관리청 금연 빠를수록 폐암,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해 감소 ◇ 흡연 기간이 길수록 심뇌혈관질환, 폐암 발생 위해가 증가 ○ 20대는 심뇌혈관질환, 30대 이상에서는 폐암 발생 위해가 급격히 증가 ○ 폐암 발생 위해는 60대 이후가 20대보다 60배 이상 높음 ◇ 흡연기간이 짧을수록 암에 걸릴 위해가 낮아지므로 하루라도 빨리 금연!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21년 흡연 기인 질병 발생 위해도 모델 개발에 따른 우리나라 흡연자의 폐암,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해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 이번 연구*는 한국인의 흡연 습성과 흡연 노출 생체지표** 측정 결과를 통한 위해 평가 모델을 구축하여 흡연자의 폐암, 심뇌혈관 질환 발생.. 2022. 2. 14. 고혈압·당뇨병 관리에 도움 되는 식습관 고혈압·당뇨병 관리에 도움 되는 식습관 2022.01.21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고혈압은 심뇌혈관질환의 가장 흔하고 강력한 위험인자로, 세계보건기구(WHO)는 관상동맥질환, 허혈성 및 출혈성 뇌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다른 질환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단이 간편하고 치료 및 관리가 용이하지만 평소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기 때문에 질환의 중요성 및 심각성을 간과하기 쉽다. 당뇨병은 우리 몸의 췌장에서 충분한 인슐린이 생산되지 않거나 생산된 인슐린이 비효과적으로 작용하여 혈당이 정상보다 높아지는 질병이다. 당뇨병은 일단 발병하면 완치되기 어렵고, 방치하면 망막증, 신부전, 신경장애 등의 합병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어 말기에는 실명하거나 투석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이러.. 2022. 1.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