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서비스 품질 미흡지역 79개소 중 74개소의 통신 품질 개선
2023.09.0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https://blog.kakaocdn.net/dn/zJLEh/btstkV42W5H/GGIiHvH9Pwzru9laxxI2K0/img.png)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 이종호)는 ‘22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에서 확인된 품질 미흡지역(구간) 79개소(5G서비스 20개소, LTE서비스 59개소)에 대해 품질 개선 여부를 재점검한 결과, 5G는 모든 곳에서, LTE는 54개소에서 품질이 개선되었다고 밝혔다.
< 서비스 및 지역유형별 품질 미흡지역 개선 현황 >
서비스 유형
|
점검
|
|
개선
|
개선율
|
|||
행정동
|
다중
이용시설
|
지하철
|
고속철도
|
||||
5G
|
20
|
2
|
3
|
12
|
3
|
20
|
100%
|
LTE
|
59
|
13
|
1
|
40
|
5
|
54
|
92%
|
합계
|
79
|
15
|
4
|
52
|
8
|
74
|
94%
|
※ 품질 미흡지역 : 전송성공률 90% 이하인 지역
품질이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확인된 미개선지역(구간)은 주로 교통인프라의 LTE 서비스에 집중되었다. 사업자별로 보면 SK텔레콤과 KT는 품질 미흡지역을 전부 개선하였으나, LG유플러스는 LTE 서비스 5개소에서 미개선지역(구간)*이 확인되었다.
* △수도권 2호선 홍대입구 ↔ 신도림, △수도권 3호선 신사 ↔ 약수, 불광 ↔ 삼송, △수도권 4호선 안산 ↔ 한대앞, △KTX 경부선 광명 ↔ 천안아산
< 통신사업자별 서비스유형별 품질 미흡지역 개선 현황 >
서비스 유형
|
SKT
|
KT
|
LGU+
|
전체
|
||||
개선
|
미개선
|
개선
|
미개선
|
개선
|
미개선
|
개선
|
미개선
|
|
5G
|
2
|
0
|
12
|
0
|
9
|
0
|
20
|
0
|
LTE
|
6
|
0
|
15
|
0
|
50
|
5
|
54
|
5
|
합계
|
8
|
0
|
27
|
0
|
59
|
5
|
74
|
5
|
※ 통신사별 중복된 지역(구간)이 있어 전체 수치는 통신사별 수치의 합계와 다를 수 있음
구체적으로, 5G 서비스는 품질 미흡지역(구간) 20개소 전체의 품질이 개선되었다. 사업자별로 보면, ‘22년 확인된 품질 미흡지역(구간)은 SKT는 2개소, KT는 12개소, LGU+는 9개소가 있었으나, ’23년 재점검 결과 모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 통신사업자별 지역유형별 5G 품질 미흡지역 개선 현황 >
지역 유형
|
SKT
|
KT
|
LGU+
|
전체
|
||||
개선
|
미개선
|
개선
|
미개선
|
개선
|
미개선
|
개선
|
미개선
|
|
행정동
|
-
|
-
|
2
|
0
|
-
|
-
|
2
|
0
|
다중이용시설
|
-
|
-
|
2
|
0
|
1
|
0
|
3
|
0
|
지하철
|
2
|
0
|
7
|
0
|
6
|
0
|
12
|
0
|
고속철도
|
-
|
-
|
1
|
0
|
2
|
0
|
3
|
0
|
합계
|
2
|
0
|
12
|
0
|
9
|
0
|
20
|
0
|
※ 통신사별 중복된 지역(구간)이 있어 전체 수치는 통신사별 수치의 합계와 다를 수 있음
※ 특정 유형에 특정 통신사의 품질 미흡지역이 없는 경우 “-” 표시
한편, LTE 서비스는 품질 미흡지역(구간) 59개소 중 약 92%인 54개소에서 품질 개선이 확인되었다. 사업자별로 보면, SKT 6개 지역(구간) 중 6개, KT 15개 지역(구간) 중 15개, LGU+ 55개 지역(구간) 중 50개가 개선되었으며,
품질이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확인된 미개선지역(구간)은 SKT와 KT는 없으며, LGU+는 5개로 나타났다. 미개선지역(구간)은 모두 지하철·고속철도였다.
< 통신사업자별 지역유형별 LTE 품질 미흡지역 개선 현황 >
지역 유형
|
SKT
|
KT
|
LGU+
|
전체
|
||||
개선
|
미개선
|
개선
|
미개선
|
개선
|
미개선
|
개선
|
미개선
|
|
행정동
|
-
|
-
|
1
|
0
|
12
|
0
|
13
|
0
|
다중이용시설
|
-
|
-
|
-
|
-
|
1
|
0
|
1
|
0
|
지하철
|
6
|
0
|
10
|
0
|
36
|
4
|
36
|
4
|
고속철도
|
-
|
-
|
4
|
0
|
1
|
1
|
4
|
1
|
합계
|
6
|
0
|
15
|
0
|
50
|
5
|
54
|
5
|
※ 통신사별 중복된 지역(구간)이 있어 전체 수치는 통신사별 수치의 합계와 다를 수 있음
※ 특정 유형에 특정 통신사의 품질 미흡지역이 없는 경우 “-” 표시
과기정통부 김경만 통신정책관은 “5G 서비스는 미흡 지역을 모두 개선하는 등 품질 향상을 위해 노력한 것으로 보이지만, LTE 서비스는 여전히 미개선지역이 일부 남아 있어 매우 아쉽다”고 평가하며, “미개선지역으로 확인된 5개소는 하반기 통신서비스 품질평가에서 다시금 점검하여 품질 개선을 지속적으로 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해 여름철, 전국 평균기온 평년보다 1℃ 높았고, 강수량은 291.2mm 더 내려 (0) | 2023.09.07 |
---|---|
전국 9개 시멘트공장 주변 주민 건강영향조사 (0) | 2023.09.07 |
2023년 고용형태공시 결과 발표 (0) | 2023.09.07 |
대기업·공공기관 등 특허 593건 무료 나눔 (0) | 2023.09.07 |
공공조달, …하반기 경제 활력에 ‘집중’ (0) | 2023.09.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