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중부 연안 및 내만, 고수온 경보 대체 발표
2023.08.25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우동식, 이하 수과원)은 8월 25일(금) 14시부로 남해 중부 연안** 및 경남 사천·강진만에 대해 고수온 경보를 대체 발표하였다.
* (예비주의보) 주의보 발표 약 7일 전 → (주의보) 수온 28℃ 도달 → (경보) 수온 28℃ 3일 이상 지속
** 경보 대체 : 남해 중부 연안(전남 고흥군 대항도 동측 종단~경남 남해군 서면 서측 종단)
최근 폭염이 지속되면서 수온이 계속 상승하여 남해 중부 연안 및 경남 사천·강진만에서는 28℃ 이상의 수온이 3일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8월 25일 12시 현재, 경보로 대체된 해역의 수온*은 27.9~28.0℃로 수온 상승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
* 주요 해역 수온(8월 25일 12시 평균) : 여수 송고(28.0℃), 남해 강진(27.9℃)
이로써 국립수산과학원은 현재까지 서해 연안(충남 당진시 도비도항~전남 진도군 죽림리), 동해 연안(경남 거제시 지심도~강원 고성) 및 전남 흑산도 해역에 고수온 주의보를, 남해 연안(전남 진도군 죽림리~경남 거제시 지심도), 제주 연안(추자도 포함) 및 서·남해 내만(충남 천수만, 전남 함평만·도암만·득량만·여자만·가막만, 경남 사천강진만·진해만)에 고수온 경보를 발표했다.
우동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고수온이 지속됨에 따라 양식생물의 면역력이 약화되어 추가적인 양식 어장의 피해가 우려된다.”라며, “어업인들께서는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응 장비 총력 가동 등 고수온 대응 양식장 관리요령에 따라 양식생물을 더욱 철저히 관리해 주시고, 수과원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수온 정보*에 관심 가져 주시길 바란다.”라고 당부하였다.
* 국립수산과학원 누리집 ‘실시간 해양환경 어장정보시스템’(www.nifs.go.kr/risa/) 및 ‘수온정보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붙임 1
|
|
고수온 특보 발표 해역
|

붙임 2
|
|
고수온 특보 단계별 조치사항 (어업인 어장관리요령)
|
특보
|
시기
|
어업인 어장관리요령
|
평 상 시
(24℃ 이하)
|
5~6월
|
○ 어린고기 입식시 밀도기준 준수, 입식
○ 피해어장 고수온 취약품종 입식 자제 및 대체어종 입식
○ 조기 출하 및 사전 분산(분망)으로 사육밀도 조절
○ 대응장비 보강 및 수리 등 가동 준비태세 완료
|
고 수 온
예비주의보
(25~27℃)
|
7월
|
○ 양질의 먹이, 면역증강제 공급으로 어체활력 강화
○ 어류질병 사전예방 및 약제투여에 의한 치료 완료
○ 가두리 그물 도색, 교체 및 청소
○ 차광막 시설 및 가두리 그물 침하시설 사전 준비·점검
|
고 수 온
주 의 보
(28℃ 도달)
|
8월
|
○ 수온·용존산소 모니터링 등 자기 어장 점검
○ 양식생물 동태 파악 점검으로 대응조치 적극 이행
○ 사료공급 중단
○ 대응장비 총력 가동
- 액화산소공급장치, 저층해수공급장치, 산소발생기, 에어컴프레셔 등
○ 차광막 설치 및 가두리 그물 침하
|
고 수 온
경 보
(수온 28℃
3일 이상)
|
8월
|
○ 수온·용존산소 모니터링 등 자기 어장 점검
○ 양식생물 동태 파악 점검으로 대응조치 적극 이행
○ 사료공급 중단
○ 대응장비 총력 가동
- 액화산소공급장치, 저층해수공급장치, 산소발생기, 에어컴프레셔 등
○ 차광막 설치 및 가두리 그물 침하
|
고 수 온
특보해제
(27℃ 이하)
|
9월 이후
|
○ 고수온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양질의 사료 공급(공급량 조절)
○ 어체약화로 인한 질병발생 우려, 어류질병 관리 강화
○ 어체 안정화 및 산소 보강을 위한 액화산소 공급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벤처 기술혁신 정책 두뇌 집단(싱크탱크), ‘제3회 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 포럼’ 개최 (0) | 2023.08.26 |
---|---|
민간기관 역량 활용, 양식수산물 ‘출하 전 검사’ 대폭 확대한다 (0) | 2023.08.26 |
국민건강·환경·경제 상생… 김포 환경재생 혁신복합단지 조성 협약 (0) | 2023.08.26 |
(공동)정부는 국민이 안심하실 수 있도록 철저하게 우리 해역의 방사능 안전성을 점검하고 있습니다 (0) | 2023.08.26 |
디지털 혁신 지역인재 양성 및 지역발전을 위한 산학협력 고도화 협약 체결 (0) | 2023.08.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