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김해공항 국제화물터미널 3년 만에 재가동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3. 7. 2.
반응형

김해공항 국제화물터미널 3년 만에 재가동

지자체·공항공사·항공사와의 긴밀한 협력으로 7월 1일부터 재가동

2023.07.02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코로나-19 기간 국제선 중단으로 문을 닫았던 김해공항 국제화물터미널7월 1일부터 재가동하였다고 밝혔다.

 

ㅇ 연간 2~4만톤의 화물(자동차ㆍ신발부품, 농산물 등)을 처리하던 김해공항 화물터미널이 '20년 4월부터 운영을 중단하면서 경남지역의 생산품은 차로 5시간 거리의 인천공항을 통해 수출입되었다. 특히, 우리나라 수출물량의 90% 이상(3.6천톤, 5,400만달러)을 생산하는 경남·진주지역의 딸기 농가들이 공항으로의 수송 시간이 증가되어 어려움호소해왔다.

 

□ 국토교통부는 김해공항 항공화물 활성화를 위한 민ㆍ관 협의체*를 구성('23.3월)하여, 화물보안 인력의 충원 및 교육, 시설의 점검 등 준비과정 전반에 걸쳐 현장과 소통ㆍ협업해왔으며, 그 결과 김해공항 국제화물터미널 3년 만에 재가동하게 되었다.

 

* 참여기관 : 국토교통부, 지자체(경남, 부산), 한국공항공사, 항공사, 지역 수출업체 등

 

ㅇ 화물터미널의 재가동으로 지역 신선화물 유통시간 단축(인천공항 이용대비 1~2일 단축)에 따른 품질 제고는 물론, 역내 산단 수출입 물류비용 절감되는 경남·진주 지역의 수출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김해공항은 현재 일평균 300여톤(연 11만톤)의 화물 처리가 가능하며, 여객기(일본, 중국, 동남아 28개 노선) 활용한 벨리카고(항공기 하부의 화물칸 활용) 수송 시작으로 11월 이후에는 싱가포르 등 주요 딸기 수출국으로의 화물전용기 운항추진하는 등 공급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국토교통부 김영국 항공정책관은 “김해공항 국제화물 서비스의 재개로 복원된 항공화물 공급망이 지방공항 활성화지역경제의 발전으로 이어지도록 지역 특성에 맞는 항공화물 수요의 발굴, 신규 항공사의 유치 노선의 개발 등에 지자체와의 협력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참 고

김해공항 국제선 운항 및 수출입 현황

 

□ 김해공항 국제노선 현황 * ’23.7.1 기준

국가(노선수)
노선 (회/주)
싱가포르(1)
싱가포르(6)
홍콩(1)
홍콩(4)
태국(1)
방콕(21)
베트남(4)
하노이(14), 호치민(14), 다낭(28), 나트랑(14)
말레이시아(2)
쿠알라룸푸르(3), 코타키나발루(2)
필리핀(4)
마닐라(7), 세부(14), 칼리보(2), 클라크필드(6)
일본(4)
도쿄(28), 오사카(42), 후쿠오카(42), 삿포로(7)
중국(8)
*홍콩 별도
베이징(4), 상하이(5), 칭다오(7), 선양(2), 옌지(6), 장가계(4), 시안(2), 스좌장(2)
대만(2)
타이베이(38), 까오슝(4)
몽골(1)
울란바토르(4)
28개 노선
주 332회

※ ’23.5월 기준, 주요 딸기 수출국은 싱가포르(26.5%), 홍콩(23.9), 태국(19.4), 베트남(12.0), 말레이시아(6.1) 순이며, 상위 5개국이 전체의 87.8% 점유

 

□ 코로나 이전 주요 화물 수출입국가 및 품목 * 한국무역협회 통계

[ 국가별 화물수송실적 (단위:ton) ]

구분
‘16년
‘17년
‘18년
‘19년
베트남
3,622
7,141
6,351
7,021
태 국
5,163
6,771
6,330
5,040
필리핀
934
1,049
1,938
1,401
말레이시아
173
309
640
850
홍 콩
668
656
585
359
싱가폴
-
-
-
88
일 본
29,438
10,792
2,497
1,940
중 국
1,450
1,347
1,293
1,008
기 타
405
507
395
478
합 계
41,853
28,572
20,029
18,185

[ 품목별 화물수송실적 (단위:ton) ]

구분
1위
2위
3위
4위
5위
수출
기계류
(3,177)
농림수산물
(1,760)
섬유류
(1,241)
전자전기제품
(1,136)
화학공업제품
(939)
수입
기계류
(1,013)
전자전기제품
(341)
섬유류
(118)
화학공업제품
(105)
생활용품
(97)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