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기준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결과 발표
2023.05.23 고용노동부
|
2022년 6월 기준
|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결과 발표
|
|
- ’22.6월 기준 근로자 1인당 시간당 임금총액은 전년대비 14.4% 상승
- 다만,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 주요 분배 지표 등은 코로나19 상황 이전인 ’19년과 유사한 수준
- 특히, 비정규직의 고용보험 가입률 등이 크게 증가,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사회보험 가입률 격차 축소
|
<1> 월평균 근로시간
ㅇ (전체) ’22.6월 기준 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1)은 154.9시간으로 전년동월(164.2시간)대비 9.2시간 감소
*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른 월력상 근로일수는 전년대비 2일 감소(22일→20일)
☞ 근로시간은 통상 월력상 근로일수 증감에 영향을 크게 받는 편으로,
6월 월력상 근로일수가 전년대비 2일 감소함에 따라 근로시간이 크게 감소
* 월력상 근로일수 증감(일): (‘18) -2→ (‘19) 0 → (‘20) +3 → (‘21) 0 → (‘22) -2
* 총근로일수 증감(일): (‘18) -1.3→ (‘19)-0.3→ (‘20) +1.6 → (‘21)+0.1 → (‘22) -1.3
총근로시간 증감(시간): (‘18)-12.2→ (‘19)-4.0→ (‘20)+11.2 → (‘21)+0.6 → (‘22) -9.2
|
ㅇ (고용형태별) 정규직은 169.0시간으로 전년대비 11.2시간 감소하였고, 비정규직은 111.7시간으로 3.7시간 감소
- 비정규직 중 용역근로자(167.8시간)와 기간제근로자(167.1시간)의 근로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단시간근로자(76.1시간)는 근로시간이 가장 짧음
- 파견근로자(-8.8시간), 기간제근로자(-8.5시간) 순으로 주로 감소
< 고용형태별 월평균 근로시간 현황 >
(단위: 시간)
구 분
|
’20년
|
’21년
|
’22년
|
|||||
|
|
전체
|
163.6
|
(11.2)
|
164.2
|
( 0.6)
|
154.9
|
(-9.2)
|
|
|
정규직
|
179.8
|
(14.6)
|
180.2
|
( 0.4)
|
169.0
|
(-11.2)
|
|
|
비정규직
|
114.0
|
( 2.0)
|
115.4
|
( 1.4)
|
111.7
|
(-3.7)
|
|
|
기간제근로자
|
172.7
|
(12.1)
|
175.7
|
( 3.0)
|
167.1
|
(-8.5)
|
|
|
단시간근로자
|
79.4
|
( 3.5)
|
78.6
|
(-0.8)
|
76.1
|
(-2.5)
|
|
|
일일근로자
|
79.6
|
(-5.5)
|
80.2
|
( 0.7)
|
79.9
|
(-0.3)
|
|
|
파견근로자
|
166.8
|
(15.9)
|
168.9
|
( 2.1)
|
160.1
|
(-8.8)
|
|
|
용역근로자
|
174.5
|
( 7.9)
|
173.9
|
(-0.6)
|
167.8
|
(-6.0)
|
* ( ) 전년대비 증감, 0.1시간은 6분을 의미함
<2> 시간당 임금총액(특수형태근로종사자 분석 제외)
ㅇ (전체) ’22.6월 기준 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시간당 임금총액은 22,651원으로 전년동월(19,806원)대비 14.4% 증가
* 시간당 임금총액(원, %): (’18) 19,522(+12.3)→ (’19) 20,573(+5.4)→ (’20) 19,316(-6.1)→ (’21) 19,806(+2.5)→ (’22) 22,651(+14.4)
☞ 시간당 임금총액(=월 임금총액÷총근로시간)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전년대비 ①월력상 근로일수 2일 감소로 인한 근로시간 감소, ②임금총액 증가(+7.8%)에 기인
↳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른 월력상 근로일수(일):
(’18) 19(-2)→ (’19) 19(0)→ (’20) 22(+3)→ (’21) 22(0)→ (’22) 20(-2)
↳ 월 임금총액 = 정액급여 + 초과급여 + (전년도 특별급여/12)
|
ㅇ (고용형태별) 정규직의 시간당 임금총액은 24,409원으로 전년대비 15.0% 증가하였고, 비정규직은 17,233원으로 11.3% 증가
- 비정규직 고용형태별로는 기간제근로자(17,517원) 16.2%, 파견근로자(16,010원) 14.1%, 일일근로자(21,416원) 11.1% 순으로 증가
< 고용형태별 시간당 임금총액 >
(단위: 원, %)
구 분
|
’20년
|
’21년
|
’22년
|
|||||||
|
|
전체
|
19,316
|
(-6.1)
|
19,806
|
(2.5)
|
|
22,651
|
(14.4)
|
|
|
|
정규직
|
20,731
|
(-6.6)
|
21,230
|
(2.4)
|
<100.0>
|
24,409
|
(15.0)
|
<100.0>
|
|
|
비정규직
|
15,015
|
(-3.0)
|
15,482
|
(3.1)
|
<72.9>
|
17,233
|
(11.3)
|
<70.6>
|
|
|
기간제근로자
|
14,719
|
(-5.0)
|
15,069
|
(2.4)
|
|
17,517
|
(16.2)
|
|
|
|
단시간근로자
|
13,594
|
(-5.7)
|
14,220
|
(4.6)
|
|
15,515
|
(9.1)
|
|
|
|
일일근로자
|
18,499
|
( 1.1)
|
19,283
|
(4.2)
|
|
21,416
|
(11.1)
|
|
|
|
파견근로자
|
13,486
|
(-5.8)
|
14,031
|
(4.0)
|
|
16,010
|
(14.1)
|
|
|
|
용역근로자
|
12,168
|
(-2.4)
|
12,202
|
(0.3)
|
|
13,290
|
(8.9)
|
|
* ( ) 전년대비 증감률, < >는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수준
[참고] 6월 임금총액 및 전년대비 증감률(천원, %)
<전 체> (‘20) 3,180 ( 1.4)→ (‘21) 3,271 (2.9)→ (‘22) 3,526 (7.8)
<정규직> (‘20) 3,693 ( 2.2)→ (‘21) 3,795 (2.8)→ (‘22) 4,078 (7.5)
<비정규직> (‘20) 1,620 (-1.4)→ (‘21) 1,681 (3.7)→ (‘22) 1,826 (8.6)
|
< 정규직 시간당 임금(=100) 대비 상대수준 >
□ 정규직의 시간당 임금총액(=100)을 기준으로 보면 비정규직은 70.6% 수준으로 전년(72.9%)대비 2.3%p 하락
ㅇ 이는 코로나19 상황 이전인 ’19년(69.7%)과 유사한 수준
|
|
① ’22.6월 월력상 근로일수 2일 감소 영향
↳ 근로시간 증감이 임금에 영향을 주지 않는 월급제와 연봉제가 대다수(94%)인 정규직은 월력상 근로일수가 감소할 경우 시간당 임금총액이 더 크게 증가
⇒ 월력상 근로일수 감소(-2일)가 동일한 ’18년도 유사한 경향
* 시간당 임금총액 상승률(전년대비, %): 정규직 +15.0%, 비정규직 +11.3%
월 임금총액 상승률(전년대비, %): 정규직 + 7.5%, 비정규직 + 8.6%
* 6월 월력상 근로일수(일): (‘18) 19(-2)→ (‘19) 19(0)→ (‘20) 22(+3)→ (‘21) 22(0)→ (‘22) 20(-2)
② 월 임금총액 상승률 큰 폭 확대 영향: (’21)+2.9%→ (’22)+7.8%
↳ ’22.6월 기준 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 임금총액은 3,526천원으로 전년동월(3,271천원)대비 7.8% 증가
⇒ 정액급여와 특별급여 상승 영향으로, 조사 이래 비교 가능한 ‘08년 이후 최대 수준
* 월 임금총액(천원, %) = 정액급여+초과급여+(전년도 특별급여/12):
(’18) 3,028(+4.6)→ (’19) 3,138(+3.6)→ (’20) 3,180(+1.4)→ (’21) 3,271(+2.9)→ (’22) 3,526(+7.8)
* 정규직(4,078천원) 7.5% 증가, 비정규직(1,826천원) 8.6% 증가
|
|
‣ 정액급여: (’21)+3.4% → (’22)+6.3%
①정보통신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등의 상승률 확대, ②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등에서 일상회복 등에 따른 일거리 증가 및 전년 상승률이 둔화·감소한 기저효과 등 영향
‣ 특별급여: (’21)–5.3% → (’22)+19.1%
①이전 2년간 특별급여가 감소했던 기저효과,
②제조업, 금융 및 보험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등이 성과급 지급 확대 영향
* 전년도 연간 특별급여: 정규직(5,464천원) 18.1% 증가, 비정규직(531천원) 41.5% 증가
|
|
|
|
< 300인 이상 정규직 시간당 임금(=100) 대비 상대수준 >
□ 300인 이상 정규직의 시간당 임금총액(=100)을 기준으로,
300인 미만 비정규직은 43.7% 수준으로 전년대비 1.8%p 하락
ㅇ 300인 이상 비정규직 전년대비 3.8%p, 300인 미만 정규직 1.0%p 각각 하락
|
|||||||
☞ 300인 이상 정규직 시간당 임금(=100) 대비 상대수준이 하락한 것은
(300인 미만 정규직 –1.0%p, 300인 미만 비정규직 –1.8%p)
↳ 300인 이상 대규모 사업체의 특별급여 지급 확대 등의 사유로,
300인 미만(+6.6%)보다 300인 이상(+7.6%) 월 임금총액이 크게 증가한 영향
‣ 300인 미만(전년대비, %): 정액+초과급여 +6.2, 특별급여 +12.1, 시간당 임금총액 +13.1
300인 이상(전년대비, %): 정액+초과급여 +5.1, 특별급여 +18.8, 시간당 임금총액 +14.6
|
|||||||
|
|||||||
(단위: %, 원)
|
’18년
|
’19년
|
’20년
|
’21년
|
’22년
|
||
수준
|
시간당 임금
|
||||||
300인
이상
|
정규직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37,783
|
비정규직
|
63.2
|
64.5
|
68.9
|
69.1
|
65.3
|
24,672
|
|
300인
미만
|
정규직
|
56.8
|
57.0
|
57.3
|
58.6
|
57.6
|
21,758
|
비정규직
|
41.8
|
42.7
|
44.5
|
45.6
|
43.7
|
16,520
|
|
ㅇ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300인 이상 정규직(=100) 대비 300인 미만 정규직 및 비정규직의 시간당 임금 차이가 점차 축소되는 추세
|
< 임금 관련 주요 분배 지표 >
※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일제 상용근로자 임금총액 기준
□ (OECD 제공) 저임금근로자(중위임금의 2/3 미만인 자) 비중은
’22.6월 기준 16.9%로 전년보다 1.3%p 상승 (5년 연속 20% 미만)
* ’22.6월 기준 중위임금: 3,146천원(+5.9%)
□ 임금 5분위 배율은 4.45배로 상․하위 20% 임금의 격차는 전년보다 0.1배p 확대 (5년 연속 5배 미만)
* 임금 5분위 배율: 상위 20% 평균임금 ÷ 하위 20% 평균임금
|
|||||||||||||
☞ 저임금근로자 비중, 임금 5분위 배율 모두 코로나19 상황 이전인 ’19년과 유사한 수준
↳ 하위 20% 평균임금(+5.8%)보다 상위 20%의 평균임금(+8.3%)이 크게 상승한데 기인
|
|||||||||||||
|
|
||||||||||||
< 분위별 평균임금 및 상승률 >
(단위: 천원, %, 배)
|
|||||||||||||
|
전체
|
1분위
|
2분위
|
3분위
|
4분위
|
5분위
|
5분위
배율
|
||||||
’08년
|
2,496
|
|
933
|
|
1,409
|
|
1,965
|
|
2,863
|
|
5,311
|
|
5.69
|
’09년
|
2,518
|
(0.9)
|
972
|
(4.2)
|
1,455
|
(3.3)
|
2,015
|
(2.5)
|
2,894
|
(1.1)
|
5,253
|
(-1.1)
|
5.40
|
’10년
|
2,590
|
(2.9)
|
1,003
|
(3.2)
|
1,498
|
(3.0)
|
2,079
|
(3.2)
|
2,986
|
(3.2)
|
5,384
|
(2.5)
|
5.37
|
’11년
|
2,726
|
(5.3)
|
1,051
|
(4.8)
|
1,579
|
(5.4)
|
2,165
|
(4.1)
|
3,110
|
(4.2)
|
5,725
|
(6.3)
|
5.45
|
’12년
|
2,807
|
(3.0)
|
1,099
|
(4.6)
|
1,636
|
(3.6)
|
2,244
|
(3.6)
|
3,196
|
(2.8)
|
5,858
|
(2.3)
|
5.33
|
’13년
|
2,897
|
(3.2)
|
1,122
|
(2.1)
|
1,681
|
(2.8)
|
2,307
|
(2.8)
|
3,281
|
(2.7)
|
6,094
|
(4.0)
|
5.43
|
’14년
|
3,049
|
(5.2)
|
1,189
|
(6.0)
|
1,752
|
(4.2)
|
2,383
|
(3.3)
|
3,413
|
(4.0)
|
6,508
|
(6.8)
|
5.47
|
’15년
|
3,083
|
(1.1)
|
1,218
|
(2.4)
|
1,771
|
(1.1)
|
2,406
|
(1.0)
|
3,433
|
(0.6)
|
6,585
|
(1.2)
|
5.41
|
’16년
|
3,173
|
(2.9)
|
1,279
|
(5.0)
|
1,846
|
(4.2)
|
2,500
|
(3.9)
|
3,540
|
(3.1)
|
6,699
|
(1.7)
|
5.24
|
’17년
|
3,264
|
(2.9)
|
1,348
|
(5.4)
|
1,924
|
(4.2)
|
2,585
|
(3.4)
|
3,642
|
(2.9)
|
6,821
|
(1.8)
|
5.06
|
’18년
|
3,415
|
(4.6)
|
1,509
|
(11.9)
|
2,044
|
(6.2)
|
2,703
|
(4.6)
|
3,774
|
(3.6)
|
7,044
|
(3.3)
|
4.67
|
’19년
|
3,529
|
(3.3)
|
1,605
|
(6.3)
|
2,150
|
(5.2)
|
2,794
|
(3.3)
|
3,877
|
(2.7)
|
7,221
|
(2.5)
|
4.50
|
’20년
|
3,622
|
(2.6)
|
1,689
|
(5.3)
|
2,231
|
(3.8)
|
2,879
|
(3.1)
|
3,971
|
(2.4)
|
7,341
|
(1.7)
|
4.35
|
’21년
|
3,727
|
(2.9)
|
1,737
|
(2.8)
|
2,301
|
(3.2)
|
2,967
|
(3.1)
|
4,076
|
(2.6)
|
7,553
|
(2.9)
|
4.35
|
’22년
|
4,001
|
(7.4)
|
1,837
|
(5.8)
|
2,454
|
(6.6)
|
3,171
|
(6.9)
|
4,367
|
(7.1)
|
8,176
|
(8.3)
|
4.45
|
* ( )는 전년대비 증감률
|
<3> 사회보험 가입률
ㅇ (전체) ’22.6월 기준 전체근로자의 사회보험 가입률은 90% 이상이며, 특히 산재보험 가입률은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차이가 없는 편
ㅇ (고용형태별) 정규직의 사회보험 가입률은 94% 이상으로 전년과 유사, 비정규직은 68~81% 수준(산재보험 제외)으로 전년대비 모두 상승*
* 비정규직은 전년대비 고용보험 4.6%p, 건강보험 3.9%p, 국민연금 4.5%p 상승
☞ 특히, ‘22년 비정규직의 고용보험 가입률(80.7%)이 전년대비 크게 상승(+4.6%p, ’17년 이후 최대 증가폭)하여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고용보험 가입률 격차는 크게 축소
* 고용보험 가입률 전년대비 증감(%p):
<정규직> (‘18) -0.1→ (‘19) -0.2 → (‘20) 0.0→ (‘21) -0.2→ (‘22) 0.4
<비정규직> (‘18) 2.1→ (‘19) 3.2→ (‘20) 0.4→ (‘21) 1.7→ (‘22) 4.6
|
- 사회안전망 확대로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사회보험 가입률 차이는 전년에 비해 모두 축소
- 비정규직 중 파견·용역근로자, 기간제근로자는 상대적으로 높고,
일일근로자*와 단시간근로자는 25~85% 수준(산재보험 제외)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나 전년보다 개선
* 일일근로자의 사회보험 가입률은 사회보험에 따라 가입대상 범위가 달라 차이가 큼
(예: 국민연금, 건강보험은 1개월 미만의 기한을 정하여 사용되는 근로자는 가입대상 적용 제외)
< 고용형태별 사회보험 가입률 현황 >
(단위: %, %p)
구 분
|
고용보험
|
건강보험
|
국민연금
|
산재보험
|
||||||
‘21년
|
‘22년
|
‘21년
|
‘22년
|
‘21년
|
‘22년
|
‘21년
|
‘22년
|
|||
|
|
전체
|
90.5
|
91.8
|
91.5
|
92.5
|
91.7
|
93.0
|
97.8
|
98.2
|
(0.2)
|
(1.3)
|
(0.4)
|
(1.0)
|
(0.4)
|
(1.3)
|
(0.0)
|
(0.4)
|
|||
|
|
정규직
|
94.2
|
94.6
|
98.5
|
98.6
|
98.3
|
98.5
|
97.8
|
98.1
|
(-0.2)
|
(0.4)
|
(0.0)
|
(0.1)
|
(0.0)
|
(0.2)
|
(-0.1)
|
(0.3)
|
|||
|
|
비정규직
|
76.1
|
80.7
|
66.4
|
70.3
|
63.0
|
67.5
|
97.6
|
98.4
|
(1.7)
|
(4.6)
|
(1.5)
|
(3.9)
|
(1.3)
|
(4.5)
|
(0.1)
|
(0.8)
|
|||
|
|
기간제근로자
|
89.3
|
91.5
|
93.6
|
95.7
|
88.7
|
91.8
|
98.9
|
99.2
|
(3.1)
|
(2.2)
|
(0.5)
|
(2.1)
|
(2.1)
|
(3.1)
|
(-0.1)
|
(0.3)
|
|||
|
|
단시간근로자
|
80.3
|
84.4
|
79.1
|
83.5
|
76.5
|
81.4
|
95.9
|
97.6
|
(-0.8)
|
(4.1)
|
(0.1)
|
(4.4)
|
(-1.1)
|
(4.9)
|
(0.2)
|
(1.7)
|
|||
|
|
일일근로자
|
58.6
|
64.3
|
22.9
|
24.9
|
22.9
|
24.5
|
98.5
|
98.5
|
(2.8)
|
(5.7)
|
(2.7)
|
(2.0)
|
(2.4)
|
(1.6)
|
(0.8)
|
(0.0)
|
|||
|
|
파견근로자
|
95.3
|
96.3
|
94.3
|
95.5
|
95.2
|
96.0
|
97.4
|
97.4
|
(-1.9)
|
(1.0)
|
(-2.3)
|
(1.2)
|
(-1.9)
|
(0.8)
|
(-2.2)
|
(0.0)
|
|||
|
|
용역근로자
|
94.9
|
94.6
|
95.6
|
95.3
|
92.6
|
93.2
|
98.7
|
98.7
|
(-1.1)
|
(-0.3)
|
(-0.5)
|
(-0.3)
|
(-1.7)
|
(0.6)
|
(-1.0)
|
(0.0)
|
* ( ) 전년대비 증감, %p
<4> 노동조합 가입률 및 부가급부 적용 현황
ㅇ (노조 가입률) ’22.6월 기준 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노동조합 가입률은 10.3%로 전년대비 0.3%p 상승
- 고용형태별로 가입률을 살펴보면, 정규직은 13.5%로 전년대비 0.4%p 상승, 비정규직은 0.7%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
ㅇ (퇴직연금 가입률) 53.3%로 전년대비 2.8%p 상승
- 고용형태별 가입률을 보면, 정규직은 61.4%로 전년대비 2.3%p 상승, 비정규직은 28.2%로 전년대비 3.6%p 상승
ㅇ (상여금 지급(예정)률) 상여금이 실제 지급되었거나 지급 예정되는 근로자는 53.3%로 전년대비 1.1%p 상승
- 고용형태별 지급률을 보면, 정규직은 62.8%로 전년대비 0.7%p 상승, 비정규직은 24.1%로 전년대비 1.9%p 상승
< 고용형태별 부가급부 적용률 등 현황 >
(단위: %, %p)
구 분
|
노조 가입률
|
퇴직연금 가입률
|
상여금 지급(예정)률
|
|||||
|
|
전체
|
10.3
|
(0.3)
|
53.3
|
(2.8)
|
53.3
|
(1.1)
|
|
|
정규직
|
13.5
|
(0.4)
|
61.4
|
(2.3)
|
62.8
|
(0.7)
|
|
|
비정규직
|
0.7
|
(0.0)
|
28.2
|
(3.6)
|
24.1
|
(1.9)
|
|
|
기간제근로자
|
1.6
|
(0.0)
|
49.1
|
(5.2)
|
47.6
|
(3.3)
|
|
|
단시간근로자
|
0.2
|
(0.0)
|
25.7
|
(3.0)
|
22.7
|
(2.7)
|
|
|
일일근로자
|
0.3
|
(-0.1)
|
2.8
|
(-0.1)
|
2.0
|
(-2.2)
|
|
|
파견근로자
|
1.0
|
(0.6)
|
42.2
|
(4.6)
|
28.4
|
(2.6)
|
|
|
용역근로자
|
1.8
|
(0.4)
|
46.5
|
(3.2)
|
23.7
|
(1.5)
|
* ( ) 전년대비 증감, %p
※ < 붙임 > 2022년 6월 기준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결과 상세 내용
< 참고1> 고용형태별 시간당 임금 및 월평균 근로시간 총괄표
< 참고2> 고용형태별 정의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뜰 국내 여행! 전국 숙박시설·놀이공원 할인권 발급 개시 (0) | 2023.05.24 |
---|---|
국세청, 변칙적 재산은닉 고액체납자 557명 집중 추적 (0) | 2023.05.24 |
’23년 에너지바우처 가구당 평균 지원금액 4만 3천원은 7월~9월 간 총 지원액임 (0) | 2023.05.23 |
2023학년도 2학기 1차 국가장학금 신청 (0) | 2023.05.23 |
2022년 기업특성별 무역통계(잠정) 결과 (0) | 2023.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