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기준 시도 서비스업동향통계 개편 결과
2023.05.11 통계청
![](https://blog.kakaocdn.net/dn/bvXGs1/btseKhOtrVn/iZMlrsKKzIwWMRvWkC1jsK/img.png)
□ 통계청(청장 한훈)은 최근의 시·도별 서비스업 구조변화를 반영하기 위하여 시도 서비스업동향 통계의 지수 기준연도를 현행 2015년에서 2020년으로 변경·공표하였습니다.
○ 금번 지수개편으로 조사대상 업종(업태) 및 가중치(기준액)를 갱신하고, 공표범위를 확대하여 서비스업동향 통계의 현실반영도와 활용성을 강화하였습니다.
○ 또한, 관련 경제지표와의 기준년을 일치시켜 통계의 비교성과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하였습니다.
□ 지수개편은 통상 5년 주기(0자, 5자 연도)로 실시하는데, 시도 서비스업생산지수와 소매판매액지수는 각각 2차 개편에 해당됩니다.
※ 시도 서비스업동향 통계 개편 결과는 통계청 홈페이지(https://kostat.go.kr) 및 국가통계포털(https://kosis.kr)을 통해 5월 11일부터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 시도 서비스업 구조변화 반영
○ (대표업종 변경) ‘15년 이후 변화된 시·도별 경제구조를 반영하여 ’20년 경제총조사 결과를 기준으로 대표업종 추가·세분
- 서비스업생산지수 시·도별 대표업종은 138개로 ‘15년 대비 4개 순증(서비스 103개, 도소매 35개)
(단위 : 개)
시 도
|
2020년
|
변동내역
|
재선정
|
2015년
|
||||||
전체
|
서비스업
|
도소매업
|
신규
|
세분
|
통합
|
탈락
|
|
포괄범위
조정
|
||
서 울
|
131
|
96
|
35
|
4
|
2(2→4)
|
-
|
-
|
125
|
3
|
125
|
부 산
|
127
|
92
|
35
|
2
|
2(2→4)
|
-
|
-
|
123
|
3
|
123
|
대 구
|
121
|
86
|
35
|
2
|
2(2→4)
|
-
|
-
|
117
|
3
|
117
|
인 천
|
125
|
90
|
35
|
3
|
2(2→4)
|
-
|
△2
|
120
|
3
|
122
|
광 주
|
121
|
87
|
34
|
2
|
2(2→4)
|
-
|
△1
|
117
|
3
|
118
|
대 전
|
118
|
84
|
34
|
3
|
2(2→4)
|
-
|
△1
|
113
|
3
|
114
|
울 산
|
120
|
85
|
35
|
2
|
2(2→4)
|
-
|
-
|
116
|
3
|
116
|
세 종
|
105
|
72
|
33
|
9
|
2(2→4)
|
-
|
△2
|
94
|
3
|
96
|
경 기
|
129
|
94
|
35
|
6
|
2(2→4)
|
-
|
-
|
121
|
3
|
121
|
강 원
|
122
|
88
|
34
|
2
|
2(2→4)
|
-
|
△1
|
118
|
3
|
119
|
충 북
|
119
|
85
|
34
|
2
|
2(2→4)
|
-
|
△1
|
115
|
3
|
116
|
충 남
|
120
|
86
|
34
|
3
|
2(2→4)
|
-
|
△1
|
115
|
3
|
116
|
전 북
|
123
|
88
|
35
|
2
|
2(2→4)
|
-
|
-
|
119
|
3
|
119
|
전 남
|
122
|
87
|
35
|
2
|
2(2→4)
|
-
|
-
|
118
|
3
|
118
|
경 북
|
119
|
85
|
34
|
2
|
2(2→4)
|
-
|
△1
|
115
|
3
|
116
|
경 남
|
123
|
89
|
34
|
2
|
2(2→4)
|
-
|
△1
|
119
|
3
|
120
|
제 주
|
117
|
83
|
34
|
3
|
2(2→4)
|
△1
|
△1
|
112
|
3
|
114
|
○ (가중치 및 기준액 갱신) ‘20년 경제총조사, GRDP, 행정자료를 활용하여 시도·업종(업태)별 가중치 및 기준액 작성
- 서비스업 대분류×시도별 평균 가중치는 금융·보험35.02‰p, 부동산30.12‰p 등에서 증가, 교육-33.49‰p, 운수·창고-25.37‰p 등에서 감소
- 소매업태별 기준액은 슈퍼마켓·잡화점 및 편의점은 모든 시도에서 증가, 백화점은 모든 시도에서 감소
< 시·도 대분류별 평균 신·구 가중치 차이 >
(단위 : ‰p)
대분류
|
수도
하수
|
도소매
|
운수
창고
|
숙박
음식점
|
정보통신
|
금융
보험
|
부동산
|
전문
과학
기술
|
사업시설관리
|
교육
|
보건
사회복지
|
예술
스포츠여가
|
협회
기타
|
가중치
차
|
0.14
|
1.31
|
-25.37
|
-21.69
|
-6.36
|
35.02
|
30.12
|
9.94
|
8.87
|
-33.49
|
17.49
|
-5.74
|
-10.25
|
2 세종특별자치시 지수 공표 범위 확대
○ 세종시의 서비스업1개→13개 대분류 및 소매판매2개→4개 업태 지수작성 범위를 다른 시도와 동일한 수준으로 확대하여 이용자 편의성 제고
구 분
|
’15년 기준
|
’20년 기준
|
서비스업생산지수
(1개→13개 대분류)
|
부동산
|
수도하수, 도소매, 운수창고, 숙박음식점, 정보통신, 금융보험, 부동산, 전문과학기술, 사업시설관리, 교육, 보건사회복지, 예술
스포츠여가, 협회단체기타
|
소매판매액지수
(2개→4개 업태)
|
대형마트,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
|
대형마트,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
슈퍼마켓잡화점 및 편의점,
전문소매점
|
3 2020년 기준 시·도별 지수작성 결과
○ (서비스업) ‘22년 신·구지수 증감률 차이는 –0.8%p~3.4%p 범위이며, 가중치 구조 및 조사계열 변경, 신규업종 추가 등에 기인
○ (소매판매) ’22년 세종시를 제외한 타시도의 신·구지수 증감률은 차이가 없으며, 세종시는 –0.6%p로 작성범위(업태) 확대에 기인
< 시·도별 불변 총지수 및 전년비 >
(2020=100.0, p, %, %p)
구 분
|
서비스업생산지수
|
소매판매액지수
|
||||||||||
2022년
|
전년비(2022년)
|
2022년
|
전년비(2022년)
|
|||||||||
구지수
(a)
|
신지수
(b)
|
차이 (b-a)
|
구지수
(a)
|
신지수
(b)
|
차이 (b-a)
|
구지수
(a)
|
신지수
(b)
|
차이
(b-a)
|
구지수(a)
|
신지수
(b)
|
차이
(b-a)
|
|
서 울
|
110.4
|
112.5
|
2.1
|
4.3
|
6.9
|
2.7
|
105.6
|
105.6
|
0.0
|
-1.0
|
-1.0
|
0.0
|
부 산
|
110.1
|
109.2
|
-0.9
|
5.6
|
4.8
|
-0.8
|
106.6
|
106.6
|
0.0
|
-0.2
|
-0.2
|
0.0
|
대 구
|
106.6
|
108.9
|
2.4
|
3.3
|
3.8
|
0.5
|
102.5
|
102.5
|
0.0
|
-0.6
|
-0.6
|
0.0
|
인 천
|
109.5
|
110.9
|
1.4
|
6.7
|
8.6
|
1.8
|
101.4
|
101.4
|
0.0
|
2.2
|
2.2
|
0.0
|
광 주
|
106.0
|
107.7
|
1.7
|
2.9
|
4.9
|
2.0
|
100.0
|
100.0
|
0.0
|
-2.1
|
-2.1
|
0.0
|
대 전
|
107.5
|
109.9
|
2.4
|
4.5
|
6.4
|
1.9
|
104.9
|
104.9
|
0.0
|
0.5
|
0.5
|
0.0
|
울 산
|
106.2
|
108.7
|
2.5
|
4.1
|
5.6
|
1.5
|
97.7
|
97.7
|
0.0
|
-1.5
|
-1.5
|
0.0
|
세 종
|
113.4
|
115.8
|
2.3
|
6.0
|
6.3
|
0.2
|
106.8
|
105.1
|
-1.7
|
-0.1
|
-0.7
|
-0.6
|
경 기
|
110.3
|
112.2
|
1.9
|
5.8
|
7.2
|
1.5
|
102.8
|
102.8
|
0.0
|
-0.1
|
-0.1
|
0.0
|
강 원
|
109.6
|
110.7
|
1.1
|
5.5
|
6.4
|
0.9
|
102.7
|
102.7
|
0.0
|
-0.7
|
-0.7
|
0.0
|
충 북
|
107.1
|
109.6
|
2.5
|
4.0
|
5.9
|
1.8
|
100.8
|
100.8
|
0.0
|
-1.9
|
-1.9
|
0.0
|
충 남
|
108.0
|
110.8
|
2.8
|
4.0
|
5.8
|
1.8
|
100.3
|
100.3
|
0.0
|
-0.8
|
-0.8
|
0.0
|
전 북
|
106.6
|
109.3
|
2.8
|
3.9
|
5.9
|
2.0
|
100.2
|
100.2
|
0.0
|
-0.9
|
-0.9
|
0.0
|
전 남
|
106.2
|
108.2
|
2.0
|
3.6
|
5.2
|
1.6
|
102.5
|
102.5
|
0.0
|
-1.5
|
-1.5
|
0.0
|
경 북
|
106.2
|
111.1
|
4.8
|
2.6
|
5.6
|
3.0
|
101.9
|
101.9
|
0.0
|
-0.2
|
-0.2
|
0.0
|
경 남
|
107.1
|
113.0
|
5.9
|
4.5
|
8.0
|
3.4
|
103.0
|
103.0
|
0.0
|
2.5
|
2.5
|
0.0
|
제 주
|
111.7
|
112.9
|
1.2
|
8.8
|
10.4
|
1.6
|
106.5
|
106.5
|
0.0
|
0.6
|
0.6
|
0.0
|
【붙임】2020년 기준 시도 서비스업동향통계 개편 관련 Q & A
Q> 5년 주기로 지수개편을 하는 이유는?
|
○ 현행 서비스업동향 통계는 2015년을 기준시점으로 설정하여 작성함에 따라, 성장업종의 확대와 사양업종의 축소, 서비스업 세부 업종 간 구조변화 등의 경제현실을 반영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 GDP, CPI 등 주요 경제지표들은 5년 주기 개편을 실시하고 있으며, 서비스업동향 통계도 국제권고안 준수 및 관련 지표와 기준년 일치를 통한 비교성과 이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5년 주기로 개편을 실시하였습니다.
※ 지수(Index)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수량, 가격 등의 변화를 비율(백분비)로 표현한 것으로 통상 비교의 기준이 되는 시점의 값을 100.0으로 설정합니다.
Q> 서비스업동향 통계의 대표업종 및 업태 선정기준은?
|
○ 대표업종(업태)은 최근 경제총조사 결과를 기초로 업종(업태)의 대표도, 모집단의 특성을 고려하고, 예산 및 인력 등의 한계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선정하였습니다.
○ 구체적인 시도 서비스업 대표업종·업태 선정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전국 대표업종·업태를 기본으로 시·도별 특성, 표본수 및 조사 가능성을 고려하여 전국 대표업종·업태를 통합, 세분 또는 제외하여 선정
‧ (서비스업생산지수) ‘20년 경제총조사 결과 시·도별 서비스업(13개 대분류) 총매출액 대비 1/1,000(0.1%) 이상인 산업 등
‧ (소매판매액지수) ‘20년 경제총조사 결과 시·도별 소매업 총매출액 대비 30/1,000 이상인 산업 등
Q> 지수개편에 따라 신‧구지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
○ 지수개편에 따라 대표업종, 가중치 및 디플레이터 등이 변경되었고, 통계작성에 이용하는 기초자료(조사계열) 변경 등에 따라 신‧구지수에 차이가 발생하였습니다.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통위, 생성형(Generative) 인공지능(AI) 기반 챗봇 서비스에서의 이용자 보호 쟁점 논의 (0) | 2023.05.12 |
---|---|
한국방문 회복률 150% 돌파 싱가포르에서 여름방학 가족여행 겨냥 K-관광 세일즈 (0) | 2023.05.12 |
2023년 독일 연구소에서 연구인턴활동을 수행할 대학생 선발 (0) | 2023.05.11 |
자율주행·디지털 트윈·스마트팜 등 디지털 전환 표준 중점 개발 (0) | 2023.05.11 |
데이터 경제 활성화의 주역 모빌리티! 현장의 목소리 듣다 (0) | 2023.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