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23.3월 고용동향 분석_기획재정부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3. 4. 12.
반응형

'23.3월 고용동향 분석

2023.04.12 기획재정부

2023년 3월 고용동향 분석

 

 

3월 고용지표는 양호한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며, 본격적인 일상회복에 따른 대면활동 증가와 기저영향 등으로 전월대비 취업자 수 증가폭이 확대되었다.

 

15세 이상 고용률(+0.8%p) 및 15~64세 고용률(+0.9%p)은 전년 동월대비 동반 상승하며 3월 기준 역대 최고 수준이었으며, 실업률(2.9%)은 △0.1%p 하락하여 3월 기준 역대 최저였다.

 

* 고용률(15세 이상, %): (‘21.3)59.8 … (‘22.3)61.4 (6)62.9 (9)62.7 (12)61.3 (’23.1)60.3 (2)61.1 (3)62.2

* 고용률(15~64세, %): (‘21.3)65.7 … (‘22.3)67.8 (6)69.1 (9)68.9 (12)68.5 (’23.1)67.8 (2)68.0 (3)68.7

* 실업률(%): (‘21.3)4.3 … (‘22.3)3.0 (6)3.0 (9)2.4 (12)30 (‘23.1)3.6 (2)3.1 (3)2.9

 

취업자수는 작년 기저(’22.3월 전년동월대비 83.1만명 증가, 연간 81.6만명 증가)에도 불구하고 +46.9만명 증가하였으며(25개월 연속 증가), 실업자수는 △3.4만명 감소하였다(24개월 연속 감소).

 

* 취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1.3)31.4 … (‘22.3)83.1 (6)84.1 (9)70.7 (12)50.9 (’23.1)41.1 (2)31.2 (3)46.9

* 실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1.3)3.6 … (’22.3)△34.2 (6)△20.5 (9)△5.2 (12)△11.3 (‘23.1)△11.9 (2)△6.4 (3)△3.4

 

전월대비 취업자수(계절조정)도 2개월 연속 증가하였으나(+9.4만명), 증가폭은 2월에 비해 축소하였다.

 

* 계절조정 취업자 증감(전월비, 만명): (‘22.3)△6.2 (6)△3.7 (9)△1.5 (12)△4.0 (’23.1)△2.7 (2)27.7 (3)9.4

 

숙박음식업・보건복지업의 취업자수 상승세 지속 등은 긍정적인 부분이나, 인구 감소(전년동월대비 △18.1만명)・기저효과 등에 따라 청년층 취업자가 감소한 점은 한계이다.

 

* 업종별 취업자 증감(‘23.2→3월, 전년동월비, 만명): (숙박음식)17.6→17.7 (보건복지)19.2→18.6

* 청년층 취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2.3)17.7 (6)10.4 (9)1.6 (12)△2.5 (‘23.1)△5.1 (2)△12.5 (3)△8.9

* 청년층 인구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2.3)△19.2 … (9)△20.8 (12)△21.1 (‘23.1)△18.9 (2)△19.1 (3)△18.1

 

향후 고용률・실업률은 안정적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고용률은 전년대비 소폭 상승하고 실업률은 작년과 유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작년 이례적 호조(’22년 +81.6만명)에 따른 기저효과와 함께 글로벌 금융 불안 등으로 인해 향후 취업자수 증가폭은 불확실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 전담반(TF)」을 중심으로 고용동향을 지속 관리하는 한편, 일자리 미스매치 완화 노력 등을 통해 민간 중심의 고용창출 지원을 지속할 계획이다.

 

※ 상세한 분석은 별첨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별첨 1

’23.3월 고용동향 상세 분석

 

1

‘23.3월 고용동향 특징 및 평가

 

□ 고용률 62.2%(3월 역대 최고), 실업률 2.9%(3월 역대 최저), 취업자수 +46.9만명 증가

 

15세 이상 고용률(+0.8%p)·15~64세 고용률(+0.9%p) 동반 상승, 3월 기준 역대 최고 수준

 

* 고용률(15세 이상, %): (‘21.3)59.8 … (‘22.3)61.4 (6)62.9 (9)62.7 (12)61.3 (’23.1)60.3 (2)61.1 (3)62.2

* 고용률(15~64세, %): (‘21.3)65.7 … (‘22.3)67.8 (6)69.1 (9)68.9 (12)68.5 (’23.1)67.8 (2)68.0 (3)68.7

 

계절조정 15세 이상 고용률15~64세 고용률도 모두 역대 최고 수준

 

* 고용률(15세 이상, %, 계절조정): (‘21.3)60.3 … (‘22.3)61.9 (6)62.2 (9)62.2 (12)62.0 (’23.1)62.0 (2)62.6 (3)62.7

* 고용률(15~64세, %, 계절조정): (‘21.3)66.1 … (‘22.3)68.2 (6)68.6 (9)68.7 (12)68.8 (’23.1)68.8 (2)68.8 (3)69.0

 

취업자수는 작년 기저(’22.3월 83.1만명, 연간 81.6만명)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월대비 +46.9만명 증가(1분기 평균 +39.7만명)

 

* 취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1.3)31.4 … (‘22.3)83.1 (6)84.1 (9)70.7 (12)50.9 (’23.1)41.1 (2)31.2 (3)46.9

 

전월대비 취업자수(계절조정)9.4만명 증가(2개월 연속), 다만 증가폭 축소

 

* 계절조정 취업자 증감(전월비, 만명): (‘22.3)△6.2 (6)△3.7 (9)△1.5 (12)△4.0 (’23.1)△2.7 (2)27.7 (3)9.4

 

실업자수 △3.4만명 감소(24개월 연속)하며 실업률△0.1%p 하락

 

* 실업률(%): (‘21.3)4.3 … (‘22.3)3.0 (6)3.0 (9)2.4 (12)30 (‘23.1)3.6 (2)3.1 (3)2.9

* 실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1.3)3.6 … (’22.3)△34.2 (6)△20.5 (9)△5.2 (12)△11.3 (‘23.1)△11.9 (2)△6.4 (3)△3.4

 

경제활동참가율전년 동월대비 +0.8%p 상승

 

* 경제활동참가율(%): (‘21.3)62.5 … (‘22.3)63.3 (6)64.9 (9)64.2 (12)63.3 (‘23.1)62.6 (2)63.1 (3)64.1

 

 

□ 산업별로는 제조업 감소, 숙박음식업·보건복지업 증가 지속

 

(제조업) 기저효과생산·수출감소 영향으로 3개월 연속 감소, 감소폭 확대

 

* 제조업 취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2.3)10.0 (6)15.8 (9)22.7 (12)8.6 (’23.1)△3.5 (2)△2.7 (3)△4.9

 

▪ 다만, 반도체 등 전자부품제조업 취업자수 감소폭 축소 등으로 인해 전월대비 취업자수2개월 연속 증가, 증가폭 확대

 

* 제조업 취업자 증감(전월비, 만명, 계절조정.): (‘22.3)4.9 (6)1.6 (9)△0.9 (12)△2.0 (‘23.1)△6.7 (2)0.1 (3)2.7

 

(서비스업) 마스크 착용의무 해제(3.20.) 등에 따른 대면활동 확대 직접일자리 조기집행 등으로 숙박음식업・보건복지업 중심 증가

 

* 취업자 증감(‘23.2월→3월, 전년동월비, 만명): (숙박음식)17.6→17.7 (보건복지)19.2→18.6

 

교육・예술스포츠업 증가, 운수창고업 취업자수 감소폭 축소 등도 서비스업 취업자수 증가폭 확대(2월 +38.0만명 → 3월 +50.0만명)영향

 

* 취업자 증감(‘23.2월→3월, 전년동월비, 만명): (교육)△0.3→0.8 (예술)2.8→3.2 (운수창고)△4.4→△1.0

 

정보통신업・전문과학기술업 취업자수 증가세 지속(25개월 연속 증가)

 

* 취업자 증감(‘23.2월→3월, 전년동월비, 만명): (정보통신)4.3→6.5 (전문과학기술)3.9→6.0

 

(농림・건설업) 농림어업날씨(강수일수 감소) 영향으로 4개월 만에 증가, 건설업은 건설시공 증가에도 불구 기저효과로 인해 감소

 

* 농림어업 취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2.3)3.5 (6)8.9 (9)8.4 (12)△1.4 (’23.1)△4.7 (2)△4.4 (3)3.0

 

* 건설업 취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2.3)6.4 (6)5.0 (9)△1.2 (12)△1.2 (’23.1)△3.9 (2)△0.4 (3)△2.0

 

□ 인구영향 등으로 고령층 중심 취업자 증가, 청년층 감소

 

* 3월 연령대별 취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청년)△8.9 (30대)2.4 (40대)△6.3 (50대)5.0 (60세↑)54.7

인구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청년)△18.1 (30대)△9.3 (40대)△10.7 (50대)0.7 (60세↑)52.2

 

(고령층) 인구 증가 및 경제활동참가* 확대 등으로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세 지속(26개월 연속)

 

* 60세 이상 경제활동참가율 추이(전년동월비, %): (‘22.3)0.5 (6)1.4 (9)1.3 (12)1.2 (’23.1)0.6 (2)0.9 (3)1.9

 

(청년층) 고용률(46.2%) 2개월 연속 전년대비 감소했으나, 여전히 3월 기준 2위(’00년 이후)로 과거에 비해 양호한 수준

 

* 15-29세 고용률(%): (‘22.3)46.3 (6)47.4 (9)46.6 (12)45.9 (’23.1)46.1 (2)45.5 (3)46.2 <△0.1%p>

 

실업률(7.1%) 2월 소폭 증가 후 전년대비 감소전환(△0.1%)

 

* 15-29세 실업률(%): (‘22.3) 7.2 (6) 6.9 (9) 6.1 (12) 5.2 (’23.1) 5.9 (2) 7.0 (3) 7.1 <△0.1%p>

 

취업자수기저효과 및 인구감소 등으로 5개월 연속 감소, 특히 제조업・도소매업・운수창고업에서 주로 감소

 

* 15-29세 취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2.3)17.7 (6) 10.4 (9) 1.6 (12)△2.5 (‘23.1)△5.1 (2)△12.5 (3)△8.9

* 15-29세 인구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2.3)△19.2 … (9)△20.8 (12)△21.1 (‘23.1)△18.9 (2)△19.1 (3)△18.1

 

- 다만, 대면활동 확대 등으로 2월 대비 감소폭 축소하였고, 전월비로는 2개월 만큰 폭(+5.1만명) 증가

 

* 15-29세 취업자 증감(전월비, 만명, 계절조정): (’22.3)1.7 (6)△3.2 (9)△2.8 (12)1.1 (‘23.1)0.4 (2)△5.0 (3)5.1

 

상용직・전일제(36시간 이상) 중심 증가, 임시직・일시휴직자 감소

 

(지위별) 상용직 중심으로 증가, 임시직감소세 유지

 

* 지위별 증감(‘23.2→3월, 전년동월비, 만명): (상용)47.0→49.7 (임시)△12.8→△7.5 (일용)△0.8→1.1

 

고용원有 자영업 지속 증가, 고용원無 자영업증가 전환

 

* 지위별 증감(‘23.2→3월, 전년동월비, 만명): (고용원 有 자영업)5.5→8.1 (고용원 無 자영업)△0.5→1.0

 

(시간별) 전일제(36시간 이상) 근로자 증가, 일시휴직자 감소

 

* 시간대별 증감(‘23.2→3월, 전년동월비, 만명): (일시휴직)△5.5→△30.1 (1~17)1.1→△11.0 (18~35)12.0→4.4 (36↑)23.6→83.7

 

2

전망 및 대응방향

 

고용률・실업률안정적 흐름 유지, 취업자수 증가폭 불확실성 확대

 

고용률생산연령인구 감소65세 이상 고용률 상승 등으로 인해 전년대비 소폭 상승 + 실업률작년유사한 수준 전망

 

최근 고용상황은 본격적인 일상회복에 따른 대면활동 증가, 돌봄수요 확대 등으로 서비스업 중심으로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 향후 글로벌 금융불안, 주력 품목의 수출 부진 경기둔화, 생산연령인구 감소 등으로 인한 취업자수 증가폭 불확실성 상존

 

* 3월 기준 반도체 등 15대 주요 품목 중 자동차・이차전지를 제외한 13개 업종 전년동월비 수출액 감소

* 생산연령인구(15~64세)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2.3)△23.6 ‥ (12)△30.6 (’23.1)△27.7 (2)△28.2 (3)△27.1

 

고용동향 면밀 모니터링 + 미스매치 완화 등 민간 중심 고용창출 지원

 

➊ 「일자리 전담반(TF)중심으로 고용동향면밀히 점검하고, 旣 편성된 일자리 사업 조기 집행고용둔화에 대비하여 선제 대응

 

현장 인력난 해소를 통한 일자리 미스매치 완화를 위해 구인난 호소가 큰 6대 업종*추가 업종에 대해 지원방안 마련

 

* ‘22.3.8일 비상경제장관회의 통해 「빈일자리 해소방안」 旣 발표, 적극 추진 중

 

➌ 내수 활력 제고 지원, 업종별 수출・투자 지원*경제활력 회복 노력지속하고, 노동시장 개혁속도감 있게 추진

 

청년, 여성, 고령층고용 취약계층노동시장 참여촉진*하여 잠재인력의 노동공급을 통한 경제활동참가율 제고

 

 

 

 

별첨 2

’23.3월 고용동향 특징 (고용노동부)
1 (총괄) 고용률 상승, 취업자수 증가, 실업률 하락하는 등 양호한 흐름 지속

 25개월 연속 고용률 상승(15~64세, 68.7%, +0.9%p)  취업자수 증가

(15세 이상, 2,822.3만명, +46.9만명), 계절조정취업자수 증가(+9.4만명)

* 취업자 증감(만명): (’22.9) 70.7 (10) 67.7 (11) 62.6 (12) 50.9 (‘23.1) 41.1 (2) 31.2 (3) 46.9

* 계절조정 증감(전월비, 만명): (‘22.9) -1.5 (10) 0.8 (11) -1.1 (12) -4.0 (’23.1) -2.7 (2) 27.7 (3) 9.4

 실업률 하락(2.9%, -0.1%p), 실업자 감소(84만명, -3.4만명) 

비경활인구 감소(1,630.4만명, -28.8만명)

* 실업률(%): (‘22.9) 2.4 (10) 2.4 (11) 2.3 (12) 3.0 (’23.1) 3.6 (2) 3.1 (3) 2.9

↳ 청년실업률(%): (‘22.9) 6.1 (10) 5.6 (11) 5.7 (12) 5.2 (’23.1) 5.9 (2) 7.0 (3) 7.1

* 실업자 증감(만명): (‘22.9) -5.2 (10) -9.5 (11) -6.8 (12) -11.3 (’23.1) -11.9 (2) -6.4 (3) -3.4

* 비경활인구 증감(만명): (‘22.9) -49.5 (10) -42.8 (11) -42.2 (12) -27.1 (’23.1) -13.9 (2) -10.6 (3) -28.8

2 (연령·성) 청년·40대 취업자 감소 지속, 여성·고령층 중심으로 취업자 증가

 

 (청년) 5개월째 취업자수 감소, 고용률 2개월 연속 하락

* 고용률 증감(%p, 2월→3월): (15∼29세) -0.4 → -0.1 (20∼24세) -0.9 → 0.2 (25∼29세) 1.0 → 0.5

* 실업률 증감(%p, 2월→3월) (15∼29세) 0.1 → -0.1 (20∼24세) -0.8 → -0.7 (25∼29세) 0.8 → 0.7

* 청년 취업자 증감(만명): (’22.9) 1.6 (10) 2.1 (11) -0.5 (12) -2.5 (‘23.1) -5.1 (2) -12.5 (3) -8.9

20∼24세 취업자 증감(만명): (‘22.9) -0.9 (10) -0.6 (11) -0.5 (12) -0.2 (’23.1) -1.4 (2) -7.3 (3) -4.2

25~29세 취업자 증감(만명): (‘22.9) 2.9 (10) 3.4 (11) 0.1 (12) -1.9 (’23.1) -2.9 (2) -2.1 (3) -4.3

 (30∼50대) 40대 9개월 연속 감소, 30대와 50대는 증가하나 증가폭 둔화

* 고용률 증감(%p, 2월→3월): (30대) 1.5 → 1.4 (40대) 0.0 → 0.3 (50대) 0.8 → 0.5

* 30대 취업자 증감(만명): (‘22.9) 9.1 (10) 6.1 (11) 6.6 (12) 4.2 (’23.1) 1.7 (2) 2.4 (3) 2.4

* 40대 취업자 증감(만명): (‘22.9) -1.7 (10) -1.1 (11) -0.6 (12) -5.7 (’23.1) -6.3 (2) -7.7 (3) -6.3

 

* 50대 취업자 증감(만명): (‘22.9) 16.6 (10) 14.7 (11) 9.2 (12) 11.0 (’23.1) 10.7 (2) 7.7 (3) 5.0

 (60세이상) ‘20.2월 이후 취업자 증가폭 최대, 전체 취업자 증가 상회

* 60세이상 취업자 증감(만명): (’22.9) 45.1 (10) 46.0 (11) 47.9 (12) 44.0 (‘23.1) 40.0 (2) 41.3 (3) 54.7

 (성별) 여성이 전체 취업자 증가를 견인하고, 남성 증가세는 크게 둔화

* 남성 취업자 증감(만명): (’22.9) 33.8 (10) 33.8 (11) 22.9 (12) 10.4 (‘23.1) 4.9 (2) 3.7 (3) 6.8

* 여성 취업자 증감(만명): (’22.9) 36.8 (10) 33.9 (11) 39.7 (12) 40.5 (‘23.1) 36.2 (2) 27.5 (3) 40.1

 

 

3 (산업) 서비스업은 보건복지, 숙박음식 등 중심으로 25개월 연속 증가 및 증가폭 확대, 제조업은 3개월 연속 감소 및 감소폭 확대

 (서비스) 보건복지(+18.6만명), 숙박음식(+17.7만명), 정보통신(+6.5만명), 전문과학기술(+6.0만명) 중심 증가

* 서비스업 증감(만명): (‘22.9) 39.9 (10) 41.5 (11) 45.3 (12) 44.6 (’23.1) 52.8 (2) 38.0 (3) 50.0

 도소매(-6.6만명) 46개월 연속 감소, 운수창고(-1.0만명) 5개월

연속 감소하나 감소폭은 축소

 예술스포츠(+3.2만명), 개인서비스(+2.9만명) 증가 지속

 (제조업) 3개월 연속 감소 및 감소폭 확대(-2.7만명 → -4.9만명)

* 제조업 증감(만명): (’22.9) 22.7 (10) 20.1 (11) 10.1 (12) 8.6 (‘23.1) -3.5 (2) -2.7 (3) -4.9

 (기타) 농림어업(+3.0만명) 증가 전환, 건설업(-2.0만명) 4개월 연속 감소

 

 

 

4 (종사상지위) 상용직 견조한 증가세, 일용직 증가 전환, 자영업자 증가 지속

 (상용직) 견조한 증가 지속하고 둔화하던 증가폭 소폭 개선

* 상용직 증감(만명): (’22.9) 81.6 (10) 73.8 (11) 67.8 (12) 63.6 (‘23.1) 57.5 (2) 47.0 (3) 49.7

 (임시·일용직) 임시직 10개월 연속 감소하나 감소폭 소폭 축소,

일용직은 추세적 감소 지속하다 23개월만에 증가 전환

* 임시직 증감(만명): (’22.9) -12.0 (10) -8.5 (11) -8.3 (12) -2.3 (‘23.1) -5.2 (2) -12.8 (3) -7.5

* 일용직 증감(만명): (’22.9) -11.4 (10) -8.0 (11) -8.4 (12) -7.6 (‘23.1) -7.0 (2) -0.8 (3) 1.1

 (자영업자 등) 고용원있는 자영업자와 고용원없는 자영업자가 모두 증가하며 18개월 연속 증가

* 자영업자 증감(만명): (’22.9) 18.3 (10) 16.6 (11) 15.6 (12) 5.3 (‘23.1) 2.9 (2) 5.0 (3) 9.1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 증감(만명): (’22.9) 9.6 (10) 6.7 (11) 2.7 (12) 2.6 (‘23.1) 5.4 (2) 5.5 (3) 8.1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증감(만명): (’22.9) 8.7 (10) 9.9 (11) 12.9 (12) 2.7 (‘23.1) -2.5 (2) -0.5 (3) 1.0

* 무급가족종사자 증감(만명): (’22.9) -5.9 (10) -6.1 (11) -4.1 (12) -8.1 (‘23.1) -7.2 (2) -7.2 (3) -5.5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