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분기 외국인직접투자, 역대 최대 신고
2023.04.06 산업통상자원부
2023년 1분기 외국인직접투자는 신고 기준으로 전년동기 대비 3% 증가한 56.3억불, 도착 기준으로 28% 감소한 33.8억불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규모의 신고금액을 달성하였다.
최근 주요 국가들의 긴축 기조, 고금리 상황, 자금시장 경색 등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2022년 1분기에 이어 역대 최대 신고 실적을 갱신한 의미 있는 성과이다. 특히, 반도체·화공·콘텐츠 등 첨단산업과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고용창출 효과가 큰 그린필드 투자가 13% 증가하는 등 한국의 안정적 투자환경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신뢰가 확인되었다.
【업종별】제조업은 15.4억불로 전년동기 대비 6% 감소하였으나, 서비스업은 39.5억불을 기록하며 전년동기 대비 5% 증가하였다. 제조업 중 전기·전자(+769%), 운송용 기계(+104%), 화공(53%) 등의 업종이 증가하였고, 서비스업에서는 여가·스포츠·오락(+5,167%), 사업지원·임대(+1,956%) 등의 업종이 크게 증가하였다.
【국가별】유럽과 중화권으로부터 유입된 투자는 각각 20.8억불(+258%), 14.0억불(+18%)로 증가하였으나, 미국과 일본으로부터의 투자는 각각 7.5억불(△14%), 3.0억불(△38%)로 전년동기보다 감소하였다.
【유형별】공장 또는 사업장을 신·증설하여 이를 직접 운영하기 위한 그린필드 투자는 41.8억불로 전년동기 대비 13%가 증가하였고, 기업 지분 인수 또는 합병 등의 목적의 M&A 투자는 14.5억불로 16%가 감소하였다.
【자금별】신규 법인을 설립하여 투자한 신규투자는 28.4억불로 전년동기 대비 92%의 큰 증가폭을 보였으며, 기존 법인에 재투자하는 증액투자는 29% 감소한 27.4억불을 기록하였다.
【지역별】17개 시·도 중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으로 유입된 투자는 35.2억불을 기록하며 전년동기 대비 17%가 감소하였으나, 수도권 이외의 지역으로의 투자는 46% 증가한 13.7억불을 기록하였다.
【향후 계획】정부는 외국인직접투자 유치를 확대하기 위해 현금지원제도 운영요령 개정 등 투자 지원제도를 강화하고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도록 규제를 적극적으로 혁신하는 등 국내 투자환경을 개선하고, 정상외교와 국가간 경제협력 행사 등과 연계한 투자유치 및 홍보활동을 지속할 예정이다.
※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자료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ㅇ 본 동향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외국인직접투자통계시스템(INSC)과 (사)외국인직접투자연구센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의 자료를 바탕으로 2023년 외국인직접투자 동향을 분석한 자료입니다.
* 업종 분류는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및 외국인직접투자통계시스템(INSC)을 따름
ㅇ 신고금액 및 도착금액은 2023년 3월 31일까지의 잠정실적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일부 수치는 추후 변경이 가능합니다.
ㅇ 산업통상자원부의 외국인직접투자 동향은 매 분기 발표되며, 2023년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자료는 2023년 7월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
【참 고】 2023년 1분기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상세자료
【별 첨】 2023년 1분기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참 고
|
|
2023년 1분기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상세자료
|
Ⅰ. 총괄
□ (실적) '23년 1분기 외국인직접투자는 역대 최대인 56.3억불 달성
ㅇ (금액) 신고 56.3억불(전년동기比 +3.4%), 도착 33.8억불(△27.7%) 기록
* 도착금액 역대 4위 / 종전 최대실적 : '22년 1분기 신고 54.5억불, 도착 46.8억불
ㅇ (건수) 신고 771건(△7.1%), 도착 553건(△27.1%) 기록
< 연도별 FDI 금액(단위 : 억불) >
구분
|
'23년 1분기
|
|
'22년 1분기
|
‘21년 1분기
|
5년 평균
('19~'23)
|
(전년比)
|
|||||
신고
|
56.3
|
+3.4%
|
54.5
|
47.4
|
44.5
|
도착
|
33.8
|
△27.7%
|
46.8
|
44.7
|
37.1
|
□ (평가) 주요국 긴축 기조, 고금리, 자금시장 경색 등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22.1분기에 이어 역대 최대실적(신고금액 기준)을 달성
ㅇ 반도체·화공·콘텐츠 등 첨단산업과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고용창출 효과가 큰 그린필드 투자가 증가
ㅇ 한국의 안정적 투자환경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신뢰 확인
ㅇ 외투 지원제도 강화, 규제 혁신 등 투자환경 개선, 정상외교 및 경제협력행사 연계 IR 등을 통해 외투 확대 모멘텀 유지노력 지속
Ⅱ. 세부 동향(업종별·국가별·유형별·자금별·지역별)
* 아래의 세부 동향은 모두 신고기준임
1. 업종별
|
□ (금액) 제조업(15.4억불, △6.2%, 비중 27%)은 감소, 서비스업(39.5억불, +4.8%, 비중 70%)과 기타업종(1.4억불, +47.7%, 비중 3%)은 증가
* 기타업종 : 1차 산업(농·축·수산·광업), 전기가스·수도·환경정화업 등
ㅇ (제조업) 15.4억불(전년동기比 △6.2%, 비중 27%)
- (증가업종) 전기·전자(+769.4%), 운송용 기계(+103.6%), 화공(+53.0%) 등
* 주요 투자사례 : A社(3.7억불, 전기·전자), B社(1.0억불, 전기·전자), C社(0.9억불, 화공)
- (감소업종) 의약(△99.1%), 식품(△97.9%), 기계장비·의료정밀(△12.0%) 등
ㅇ (서비스업) 39.5억불(전년동기比 +4.8%, 비중 70%)
- (증가업종) 여가·스포츠·오락(+5,167.4%), 사업지원·임대(+1,956.3%), 숙박·음식점(+314.5%), 금융·보험(+116.2%)
* 주요 투자사례 : D社(12.1억불, 금융·보험), E社(1.6억불, 숙박·음식점), F社(1.3억불, 금융·보험)
- (감소업종) 운수·창고(△93.5%), 연구개발(△76.5%), 정보통신(△33.9%) 등
□ (건수) 제조업(93건, △2.1%), 서비스업(644건, △7.9%)·기타업종(34건, △5.6%) 모두 전년동기 대비 감소
2. 국가별
|
* EU : 영국 포함, 중화권 : 중국·홍콩·싱가포르·말레이시아·대만
□ (금액) EU(20.8억불, +257.9%, 비중 37%), 중화권(14.0억불, +17.6%, 비중 25%)은 증가, 미국(7.5억불, △13.9%, 비중 13%), 일본(3.0억불, △38.1%, 비중 5%), 기타 국가(11.1억불, △52.3%, 비중 20%)는 감소
ㅇ (미국) 7.5억불(전년동기比 △13.9%, 비중 13%)
* 주요 투자사례 : G社1.3억불, 정보통신), H社(0.2억불, 전기·전자)
- (업종별) 제조업(1.5억불, +12.7%) 증가, 서비스업(6.0억불, △18.7%) 감소
- (유형별) 그린필드(7.4억불, △11.3%)와 M&A(0.2억불, △91.2%) 모두 감소
ㅇ (EU) 20.8억불(전년동기比 +257.9%, 비중 37%)
* 주요 투자사례 : D社(12.6억불, 금융·보험), I社(3.0억불, 기계장비)
- (업종별) 제조업(5.1억불, +172.8%), 서비스업(14.9억불, +303.2%) 모두 증가
- (유형별) 그린필드(9.2억불, +127.9%), M&A(11.6억불, +552.1%) 모두 증가
ㅇ (중화권) 14.0억불(전년동기比 +17.6%, 비중 25%)
* 주요 투자사례 : J社(5.0억불, 도·소매), E社(1.6억불, 식품)
- (업종별) 제조업(2.9억불, +76.6%), 서비스업(11.1억불, +8.3%) 모두 증가
- (유형별) 그린필드(13.3억불, +74.9%) 증가, M&A(0.8억불, △82.2%) 감소
ㅇ (일본) 3.0억불(전년동기比 △38.1%, 비중 5%)
* 주요 투자사례 : C社(0.9억불, 화공), K社(0.4억불, 금속), L社(0.2억불, 전기·전자)
- (업종별) 제조업(2.0억불, +11.2%) 증가, 서비스업(1.0억불, △66.8%) 감소
- (유형별) 그린필드(2.4억불, +41.5%) 증가, M&A(0.6억불, △81.8%) 감소
ㅇ (기타 국가) 11.1억불(전년동기比 △52.3%, 비중 20%)
* 주요 투자사례 : A社(3.7억불, 전기·전자), M社(3.6억불, 정보통신)
- (업종별) 제조업(4.0억불, △59.2%), 서비스업(6.5억불, △51.3%) 모두 감소
- (유형별) 그린필드(9.5억불, △38.4%), M&A(1.6억불, △79.9%) 모두 감소
□ (건수) 미국(88건, △36.7%), 기타 국가(258건, △10.4%)는 감소, EU(93건, +9.4%), 중화권(283건, +2.2%), 일본(49건, +19.5%)은 증가
3. 유형별
|
□ (금액) 그린필드(41.8억불, +12.5%, 비중 74%) 증가, M&A(14.5억불, △16.0%, 비중 26%) 감소
ㅇ (그린필드) 41.8억불(전년동기比 +12.5%)로, 제조업(14.6억불, +21.2%)과 서비스업(26.5억불, +6.6%) 모두 증가
* 주요 투자사례 : A社(3.7억불, 전기·전자), M社(3.6억불, 정보통신), I社(3.0억불, 기계장비)
ㅇ (M&A) 14.5억불(전년동기比 △16.9%)로, 제조업(0.9억불, △80.6%)은 감소한 반면, 서비스업(13.0억불, +1.3%)은 증가
* 주요 투자사례 : D社(10.5억불, 금융·보험), N社(1억불, 금융·보험)
□ (건수) 그린필드(704건, △5.8%), M&A(67건, △20.2%) 모두 감소
4. 자금별
|
□ (금액) 신규투자(28.4억불, +91.8%, 비중 50%)는 증가, 증액투자(27.4억불, △29.0%, 비중 49%) 및 장기차관(0.5억불, △52.7%, 비중 1%)은 감소
ㅇ (신규투자) 28.4억불(전년동기比 +91.8%)로 제조업(7.9억불, +21.0%)과 서비스업(20.2억불, +145.3%) 모두 증가
* 주요 투자사례 : I社(3억불, 기계장비), B社(1억불, 전기·전자)
ㅇ (증액투자) 27.4억불(전년동기比 △29.0%)로 제조업(7.3억불, △23.7%)과 서비스업(19.0억불, △33.8%) 모두 감소
* 주요 투자사례 : J社(5억불, 도·소매), M社(3.6억불, 정보통신)
ㅇ (장기차관) 0.5억불(전년동기比 △52.7%)
□ (건수) 신규투자(485건, △6.6%), 증액투자(259건, △6.8%), 장기차관(27건, △18.2%) 모두 감소
5. 지역별
|
* 수도권 :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 비수도권 : 이외 14개 시·도
□ (금액) 수도권(35.2억불, △16.6%, 비중 62%) 감소, 비수도권(13.7억불, +46.1%, 비중 24%) 증가
ㅇ (수도권) 35.2억불(전년동기比 △16.6%)로 제조업(2.2억불, △34.8%)과 서비스업(32.5억불, △39.2%)은 모두 감소
ㄱ
* 서울(28.39억불, △11.9%), 경기(5.63억불, △24.1%), 인천(1.18억불, △53.8%)
ㅇ (비수도권) 13.7억불(전년동기比 +46.1%)로 제조업(7.2억불, +214.0%)은 증가한 반면 서비스업(5.6억불, △80.6%)은 감소
* 증가 시·도 : 대구(0.16억불, +9,845.3%), 광주(3.71억불, +47,334.0%), 울산(0.42억불, +286.9%), 세종(0.36억불, +928.6%), 강원(0.24억불, +418.3%), 충북(0.50억불, +78.8%), 전북(5.85억불, +482.3%), 전남(1.26억불, +956.3%), 경남(0.10억불, +35.4%)
* 감소 시·도 : 부산(0.32억불, △69.0%), 대전(0.02억불, △83.1%), 충남(0.26억불, △56.2%), 경북(24억불, △2.1%), 제주(0.26억불, △95.5%)
□ (건수) 수도권(489건, △25.9%) 감소, 비수도권(144건, +16.1%) 증가
ㅇ (수도권) 제조업(52건, △5.5%), 서비스업(424건, △27.8%) 모두 감소
ㅇ (비수도권) 제조업(33건) 동일, 서비스업(91건, +23.0%) 증가
Ⅲ. 2023년 1분기 주요 외투 주요 사례(0.5억불 초과 상위 18개사)
구분
|
투자기업
|
금 액
(억불)
|
업종
|
유형
|
주요 내용
|
계
|
42.2
|
|
|
||
1
|
ㅇㅇ社
|
12.1
|
서비스
(금융·보험)
|
M&A
그린필드
|
보안 서비스
|
2
|
ㅇㅇ社
|
5.0
|
서비스
(도‧소매)
|
그린필드
|
전구체
|
3
|
ㅇㅇ社
|
3.7
|
제조
(전기·전자)
|
그린필드
|
반도체 패키징
|
4
|
ㅇㅇ社
|
3.6
|
서비스
(정보통신)
|
그린필드
|
콘텐츠 제작·유통 확장
|
5
|
ㅇㅇ社
|
3.1
|
서비스
(부동산)
|
그린필드
|
골프장·리조트
|
6
|
ㅇㅇ社
|
3.0
|
제조
(기계장비)
|
그린필드
|
풍력터빈 부품
|
7
|
ㅇㅇ社
|
1.7
|
서비스
(금융·보험)
|
M&A
|
의료기기 기업 인수
|
8
|
ㅇㅇ社
|
1.6
|
제조
(식품)
|
그린필드
|
식품
|
9
|
ㅇㅇ社
|
1.3
|
서비스
(정보통신)
|
그린필드
|
메타버스 플랫폼
|
10
|
ㅇㅇ社
|
1.3
|
서비스
(금융·보험)
|
그린필드
|
금융·보험 서비스
|
11
|
ㅇㅇ社
|
1.0
|
제조
(전기·전자)
|
그린필드
|
전기차용 배터리
|
12
|
ㅇㅇ社
|
0.9
|
제조
(화공)
|
그린필드
|
배터리 소재
|
13
|
ㅇㅇ社
|
0.8
|
서비스
(금융·보험)
|
그린필드
|
미정
|
14
|
ㅇㅇ社
|
0.7
|
서비스
(여가·스포츠)
|
그린필드
|
복합 리조트
|
15
|
ㅇㅇ社
|
0.7
|
제조
(섬유·직물)
|
그린필드
|
의류, 신발, 스포츠용품
|
16
|
ㅇㅇ社
|
0.6
|
제조
(전기·전자)
|
그린필드
|
미정
|
17
|
ㅇㅇ社
|
0.6
|
제조
(운송용기계)
|
그린필드
|
자동차용 철골 구조물
|
18
|
ㅇㅇ社
|
0.5
|
제조
(화공)
|
그린필드
|
생활용품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업의 미래산업화를 위한 발전계획(’23-’27) (0) | 2023.04.07 |
---|---|
쌀 산업 발전과 중장기 수급균형 방안 마련 (0) | 2023.04.07 |
교육부, 고위기 학생 맞춤지원 위한 시범학교 운영 (0) | 2023.04.06 |
재택근무로 업무효율도, 직원만족도 동시에 잡았다! (1) | 2023.04.06 |
공정과 준법의 가치를 훼손하는 민생탈세자 세무조사 (0) | 2023.04.06 |
댓글